KR20170044970A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970A
KR20170044970A KR1020150144743A KR20150144743A KR20170044970A KR 20170044970 A KR20170044970 A KR 20170044970A KR 1020150144743 A KR1020150144743 A KR 1020150144743A KR 20150144743 A KR20150144743 A KR 20150144743A KR 20170044970 A KR20170044970 A KR 2017004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ive
display
pixel data
image data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567B1 (ko
Inventor
양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567B1/ko
Priority to US15/290,265 priority patent/US10262623B2/en
Publication of KR2017004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Abstract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비직사각형의 유효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직사각형의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Method of application processor and display system}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 등 이미지 표시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IC, DDI)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며,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가 다양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의 형상이 다양화되고 있다. 다양한 형상의 화면에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상의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력 및 퍼포먼스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비직사각형의 유효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직사각형의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유효 표시 영역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표시될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하고, 패킹된 상기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함으로써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르면, 비직사각형의 화면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만을 데이터 처리 및 송/수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소비 전력 및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크린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a는 유효 표시 영역에서 부분 업데이트 되는 화소를 나타내고, 도 14b는 업데이트되는 화소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적용된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표시기능이 포함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표시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표시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시스템 프로세서(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다른 구성 요소(예컨대, 카메라 인터페이스, 외부 메모리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프로세서(100) 및 디스플레에 구동 회로(300)는 별개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하나의 모듈(module), 하나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또는 하나의 패키지, 예컨대 멀티-칩 패키지(패키지(multi-chip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의 유효 표시 영역(410), 다시 말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스크린에 대한 스크린 정보(SINFO)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유효 표시 영역(410)은 비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비직사각 형태의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한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 데이터, 즉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선별적으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화소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마더보드(motherboard)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또는 SoC(system on chi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멀티 미디어 프로세서 (multimedia processor), 또는 집적된 멀티 미디어 프로세서(integrated multimedia processor)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와 동일한 반도체 칩에 집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300)로부터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수신하고,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로 복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행 및 열로 배열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프레임 단위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LED) 디스플레이, ECD(Electrochromic Display), DMD(Digital Mirror Device), AMD(Actuated Mirror Device), GLV(Grating Light Valu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유효 표시 영역(410)을 포함한다. 유효 표시 영역(410)은 사용자에게 실제로 보여지는 영역으로서, 스크린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표시 영역(410)의 형상은 비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유효 표시 영역(41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링 형, 원형의 일부가 플랫한 플랫 타이어 형상, 다각형 또는 일 측면이 곡선인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비직사각형의 유효 표시 영역(410)은, 서로 다른 개수의 유효 화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수평 라인 또는 적어도 두 수직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유효 표시 영역(410)의 형태는 원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를 드로잉함으로써,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하고,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Step1). 이때,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한다는 것은,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차례로 배열시킴을 의미한다.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에 패킹 및 기입함으로써,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가 라인 단위(LPX)로 메모리의 행 또는 열에 차례로 기입되고, 유효 화소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들 사이에는 빈 영역, 다시 말해 유효 화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미리 설정된 화소수 단위로 패킹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 데이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Step2).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로부터 패킹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된 순서에 따라 라인 단위(LPX)로 차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기초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Step3).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되, 메모리로부터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해당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기초로 복원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들 중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만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기초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 데이터들 중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그래픽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유효 표시 영역(410) 및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직사각 영역(RR)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유효 화소 데이터뿐만 아니라, 실제로 보여지지 않는 영역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들지 데이터 전송 또는 데이터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동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그래픽 메모리의 리소스가 낭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함으로써,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만을 전송하거나 데이터 처리함으로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동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프로세서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프로세서(3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0), 이미지 생성기(120), 메모리(130), 패킹부(14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 전송부(160) 및 시스템 버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0)는 시스템 프로세서(3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PU(110)는 각 구성 요소(120, 130, 140, 150, 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도 1의 300)로부터 수신되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이미지 생성기(120)가 유효 표시 영역(410)에 해당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CPU(110)는 멀티-코어(multi-cor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멀티-코어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코어들(cores)을 갖는 하나의 컴퓨팅 컴포넌트(computing component)이다.
이미지 생성기(120)는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기(12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표시될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기(120)는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생성기(12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그래픽 액셀레이터(Accelerator), 디스플레이 프로세서(DS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기(120)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레임 버퍼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3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시스템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PRAM(Phase change RAM), ReRAM(Resistive RAM)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메모리(13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13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패킹부(140)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킹부(140)는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생성기(120)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유효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 데이터들 중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패킹부(140)는 메모리(130)로부터 유효 화소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 패킹부(140)는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에일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패킹부(140)는 다른 구성 요소(110, 120, 150, 160)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는 CPU(11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도 1의 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30)로부터 독출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30)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독출하고, 독출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송부(16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 신호 및 화소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 신호 및 화소 데이터를 구동 회로(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160)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RGB 인터페이스, CPU 인터페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 SPI(serial pheripheral interface), MCU(micro controller unit) 인터페이스,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DP(displayport) 인터페이스, eDP(embedded displayport)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이 전송부(160)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각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시스템 버스(170)를 통하여 내부적으로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4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 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의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스크린 정보의 수신은, 시스템 프로세서(100)에 파워가 인가된 후 초기화 단계, 또는 리셋 후 초기화 단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표시 영역(410)은 비직사각 형태일 수 있으며, 스크린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에서, 수평 또는 수직 라인별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410)의 시작 위치 및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화소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패킹 및 기입한 후, 상기 메모리(130)로부 독출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표시 영역(410)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기입한 후,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유효 화소 데이터를 선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수신부(310), 메모리 컨트롤러(320), 그래픽 메모리(330), 언패킹부(340) 및 소스 드라이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이미지 처리 회로, 전원 생성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외부, 예컨대 시스템 프로세서(도 1의 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전송부(16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320)는 그래픽 메모리(330)의 기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320)는 그래픽 메모리(330)가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유효 화소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320)는 그래픽 메모리(330)가 유효 화소 데이터를 차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330)는 메모리 컨트롤러(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330)는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일 수 있다.
언패킹부(340)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언패킹한다는 것은 행 또는 열단위로 출력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 각가을 유효 표시 영역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따라 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언패킹부(340)는 그래픽 메모리(330)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언패킹부(34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하고,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333)에 저장하도록 메모리 컨트롤러(320)를 제어할 수 있다. 언패킹부(340)는 메모리 컨트롤러(32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350)는 전송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400)을 구동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35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들을 생성하고, 영상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0) 상의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한 스크린 정보(SINFO)를 시스템 프로세서(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스크린 정보의 전송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파워가 인가된 후의 초기화 단계, 또는 리셋 후 초기화 단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스크린 정보를 시스템 프로세서(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시스템 프로세서(100)로부터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2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S2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330)에 저장하고, 그래픽 메모리(33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한 후, 복원된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S240). 소스 드라이버(350)가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들을 생성하고, 영상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는 도 7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비직사각형의 유효 표시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표시 영역(410)은, 7개의 수직 라인(C0~C6)과 7개의 수평 라인(R0~R7)에 포함되는 25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7개의 수직 라인(C0~C6)과 7개의 수평 라인(R0~R7)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상기 유효 표시 영역(410)과 동일한 형상, 예컨대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우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로부터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한 스크린 정보(SINFO)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410)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를 드로잉함으로써,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메모리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MEM)의 적어도 하나의 행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라인분의 유효 화소 데이터가 기입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화소수 단위로 메모리(MEM)에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MEM)의 하나의 행에는 7개의 유효 화소 데이터가 기입될 수 있으며, 25개의 유효 화소 데이터가 4개의 행에 차례로 기입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차례로 독출하고, 독출된 복후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수신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그래픽 램(GRAM)에 차례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화소수 단위로 그래픽 램(GRAM)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a에서, 시스템 프로세서(100)의 메모리(MEM)의 하나의 행에 기입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의 수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의 그래픽 램(GRAM)의 하나의 행에 저장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의 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래픽 램(GRAM)의 하나의 행에는 9개의 유효 화소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그래픽 램(GRAM)에 저장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그래픽 램(GRAM)으로부터 유효 이미지 데이터의 하나의 수평 라인분에 해당하는 화소 데이터 단위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유효 화소 데이터를 수평 라인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함으로써, 수평 라인 단위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구동하고,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가 유효 표시 영역(4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크린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크린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400)의 수평 또는 수직 라인별로, 유효 표시 영역(410)을 구성하는 유효 화소의 시작 위치 및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유효 화소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도 7b에 도시된 유효 표시 영역(410)의 스크린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크린 정보(SINFO)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수평 라인별, 또는 각 수직 라인별, 오프셋 및 화소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은 각 라인에서 유효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가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화소 길이는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화소들의 수를 나타낸다.
도 8b는 유효 표시 영역의 형상이, 하트, 링 형상과 같은 경우로서, 동일한 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에서 유효 표시 영역이 불연속적인 경우의 스크린 정보(SINFO)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예컨대, 유효 표시 영역의 형상이, 링 형태일 때, 유효 표시 영역의 중심부에서, 수평 라인의 유효 화소는 불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크린 정보(SINFO)는 각 수평 라인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프셋 및 화소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평 라인(R1)의 경우, 유효 화소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두번째 열부터 배열된 3개의 유효 화소가 유효 표시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제3 수평 라인(R3)의 경우, 비연속적으로 배열된 유효 화소들을 포함하며, 첫번째 열부터 배열된 2개의 유효 화소 및 4번째 열부터 배열된 두개의 유효 화소가 유효 표시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스크린 정보(SINHFO)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정보(SINFO)는 다른 종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 생성기(120)는 CPU(110)의 제어 하에,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기(120)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생성기(12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기(120)는 내부에 구비되는 직사각 형태의 가상 메모리(121)에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를 드로잉항으로써,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킹부(140)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메모리(130)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30)에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가 차례로 기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30)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부(160)를 통해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수신하고, 메모리 컨트롤러(320)는 수신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그래픽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320)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차례로 그래픽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는 그래픽 메모리(330)에 연속하게 저장될 수 있다.
언패킹부(340)는 그래픽 메모리(330)로부터 독출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언패킹부(340)는 패킹된 복수의 유효 데이터를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재배열 함으로써,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a)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수평 라인 단위로 영상 신호들로 변환하고, 영상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미지 생성기(120)는 CPU(110)의 제어 하에,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130b)에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들은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 상에서의 위치 그대로 메모리(130b)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0b)는 7개의 수평 라인 및 7개의 수직 라인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7행 7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저장 영역들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b)는 메모리(130b)에 기입된 복수의 화소 데이터들 중,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a)는 패킹부(140b)의 제어하에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저장된 화소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독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b)는 독출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패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b)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차례로 연속하게 배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50b)는 전송부(160)를 통해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는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시스템 프로세서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수신하고, 메모리 컨트롤러(320b)는 수신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그래픽 메모리(330b)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컨트롤러(320b)는 언패킹부(340b)의 제어에 따라,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재배열하고, 재배열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그래픽 메모리(330b)에 기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 컨트롤러(320b)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하고, 유효이미지 데이터(VIDT)를 그래픽 메모리(330b)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메모리 컨트롤러(320b)는 그래픽 메모리(330b)로부터 행 단위로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유효 화소 데이터(VPD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b)는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영상 신호들로 변환하고, 영상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일부를 업데이트하는 부분 업데이트 시의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의 일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 생성기(도 3의 120)는 유효 표시 영역 중 업데이트될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상기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S)를 메모리(MEM)의 대응하는 위치에 기입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100)는 업데이트 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UPDT(S), 이하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라고 함) 및 업데이트 되는 화소의 위치 정보, 다시 말해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를 기초로 상기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S)를 그래픽 메모리(GRAM)의 대응하는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그래픽 메모리(GSRAM)의 주소 정보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간의 위치 정보를 맵핑한 맵핑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를 기초로, 업데이트 되는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그래픽 메모리(GRAM)의 저장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S)를 기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00)는 그래픽 메모리(GRAM)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복원하고, 유효 이미지 데이터(VIDT)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메모리(GRAM)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들 중 일부만이 업데이트된 바, 유효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일부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4a는 유효 표시 영역에서 부분 업데이트 되는 화소를 나타내고, 도 14b는 업데이트되는 화소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부분 업데이트에 따라, 도 14a에 도시된 화소들(U1, U2, U3)이 새로운 영상 신호로 업데이트되는 경우, 시스템 프로세서는 도 14b에 도시된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는 업데이트되는 수직 라인들 또는 수평 라인들(UL), 오프셋 및 화소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은 업데이트되는 수평 또는 수직 라인 상에서, 업데이트 되는 유효 화소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며, 화소 길이는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업데이트되는 화소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행(R1)의 5열(C5)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U1) 및, 3행(R2)의 5열(C5) 및 6열(C6)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U2 및 U3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 위치 정보(UP)는 도시된 제1 위치 정보(UP1) 및 제2 위치 정보(U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UP1)는 제2 수평 라인(R1)에서, 다섯번째로 배열되는 화소부터 하나의 화소가 업데이트됨을 나타내고, 제2 위치 정보(UP)는 제3 수평 라인(R2)에서, 다섯번째로 배열되는 화소부터 두개의 화소가 업데이트 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노멀 디스플레이 동작 시 시스템 프로세서(AP)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초기화 구간에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시스템 프로세서(AP)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정보, 다시 말해 스크린 정보(SINFO)를 전송할 수 있다(S310). 유효 표시 영역은 비직사각형태일 수 있으며, 스크린 정보(SINFO)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또는 수직 라인별로, 유효 표시 영역의 시작 위치 및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화소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초기화 구간, 예컨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시스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1의 1000)에 파워가 인가된 후의 안정화 구간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리셋된 후의 안정화 구간에 초기화 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스크린 정보(SINFO)를 시스템 프로세서(AP)로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유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유효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의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 및 실제로 보여지지 않는 무효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S3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직사각 형태의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중, 유효 화소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유효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에 패킹 및 기입할 수 있다.
시스템 프로세서(AP)는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에 전송할 수 있다(S34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수신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S350).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재배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수신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내부에 구비되는 그래픽 메모리에 차례로 저장하고, 이후, 디스플레이 구간에,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유효 효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재배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S360). 유효 이미지 데이터는 유효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들에 대한 유효 화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유효 표시 영역에 영상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부분 업데이트 동작 시 시스템 프로세서(AP)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의 동작 방법은 도 15의 디스플레이 동작이 수행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스크린 정보(SINFO)를 기초로 유효 표시 영역 중 업데이트될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시스템 프로세서(AP)는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 다시 말해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를 메모리의 대응하는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S430). 이후, 시스템 프로세서(AP)는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 및 업데이트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로 전송할 수 있다. 업데이트 위치 정보는, 유효 표시 영역 상의 업데이트 되는 유효 화소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수신된 유효 화소 데이터, 즉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를 기초로, 업데이트 위치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유효 화소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메모리 상의 저장 영역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업데이트 위치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 화소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기입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는 그래픽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하여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하고(S460),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S470).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적용된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시스템(20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600, AP), 디스프레이 구동 회로(2100, DDI), 디스플레이 패널(2200),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300), 터치 스크린(2400) 및 이미지 프로세서(2500)를 포함할 수 있다.
AP(260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 또는 명령어를 기반으로 DDI(210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2300)를 제어할 수 있다. AP(2600)는 그래픽 카드, 시스템 온 칩(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AP(26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0)의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DDI(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500)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500)는 DDI(2100)에 제공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터치 스크린 제어기(230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500)는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프로세서(2500)는 AP(26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DDI(2100)는 AP(26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200)을 구동할 수 있다. DDI(2100)는 AP(2600) 또는 이미지 프로세서(2500)로부터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유효 화소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2200)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0)은 비직사각형의 스크린, 즉 유효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유효 표시 영역을 통해 DDI(2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제어기(2500)는 터치 스크린(2400)에 연결되어, 터치 스크린(2400)으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AP(260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400)은 디스플레이 패널(2200)과 서로 겹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2400)은 디스플레이 패널(2200)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400)의 형상은 디스플렝 패널(2200)의 유효 표시 영역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DDI(210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2500)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공유할 수 있으며, DDI(210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2500)는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3000)은 MIPI 인터페이스를 사용 또는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예컨대 이동 전화기, PDA, PMP, 또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30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10), 이미지 센서(3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4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15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도 2의 200)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10)에 구현된 CSI 호스트(3112)는 카메라 시리얼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CSI))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3140)의 CSI 장치(3141)와 시리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상기 CSI 호스트(3112)에는 광 디시리얼라이저가 구현될 수 있고, CSI 장치(3141)에는 광 시리얼라이저가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10)에 구현된 DSI 호스트(3111)는 디스플레이 시리얼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DSI))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150)의 DSI 장치(3151)와 시리얼 통신할 수 있다. DSI 호스트(3111)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프로세서(도 1의 100)일 수 있다. 이때, DSI 호스트(3111)는 디스플레이 장치(3150)의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고 상기 유효 화소 데이터를 DSI(3151)에 전송할 수 있다. 화소 데이터들 중 실제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인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고 전송함으로써, DSI 호스트(3111)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 지연(latency)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DSI 호스트(3111)의 전체적인 퍼포먼스가 향상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30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110)와 통신할 수 있는 RF 칩(3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3100)의 PHY(3113)와 RF 칩(3160)의 PHY(3161)는 MIPI DigRF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전자 시스템(3000)은 GPS(3120), 스토리지(3170), 마이크(3180), DRAM(3185) 및 스피커(31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시스템(3000)은 Wimax(3230), WLAN(3220) 및 UWB(3210)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0)는 디스플레이 패널(4010), 패키지(4040) 및 지지부(40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10)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40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4020)에는 이미지(4050)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린(40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도 19에는 스크린(4020)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크린(4020)의 형상은 비직사각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4020)의 형상은, 링 형, 타원형, N각형(N은 3 이상의 정수), 플랫 타이어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10)은 패키지(4040)에 탑재될 수 있으며, 패키지(4040)는 지지부(4030)와 결합될 수 있다. 패키지(4040)는 지지부(4030)를 통하여 특정 대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4030)는 손목 밴드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40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스크린(4020)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들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고 전송하며, 실제로 이용되지 않는 화소 데이터들은 데이터 처리하거나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4000)의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10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100a, 100b: 시스템 프로세서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300a, 300b: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400: 디스플레이 패널
410: 유효 표시 영역

Claims (10)

  1. 비직사각형의 유효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비직사각형의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또는 수직 라인별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의 시작 위치 및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배열되는 화소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직사각형의 상기 유효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개수의 유효 화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수평 라인 또는 적어도 두 수직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표시될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하여 메모리에 기입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의 적어도 하나의 행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열에 상기 유효 표시 영역의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라인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수직 라인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화소수 단위로 정렬시키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입되는 화소 데이터의 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화소 데이터의 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직사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적으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표시 영역 중 업데이트될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데이터 및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10. 유효 표시 영역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대한 스크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크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효 표시 영역에 표시될 유효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패킹하고, 패킹된 상기 유효 화소 데이터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유효 화소 데이터를 언패킹함으로써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유효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50144743A 2015-10-16 2015-10-1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3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43A KR102437567B1 (ko) 2015-10-16 2015-10-1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5/290,265 US10262623B2 (en) 2015-10-16 2016-10-11 Methods of operating application processors and display systems with display regions having non-rectangular sha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43A KR102437567B1 (ko) 2015-10-16 2015-10-1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970A true KR20170044970A (ko) 2017-04-26
KR102437567B1 KR102437567B1 (ko) 2022-08-29

Family

ID=5852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743A KR102437567B1 (ko) 2015-10-16 2015-10-16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62623B2 (ko)
KR (1) KR102437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51B1 (ko) * 2017-09-06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133935A1 (en) * 2017-12-05 2021-05-0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636392B2 (en) * 2018-05-02 2020-04-28 Apple Inc. Electronic display partial image frame update systems and methods
WO2023028885A1 (zh) * 2021-08-31 2023-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和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994B1 (ko) * 2005-04-07 201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파 평면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11343B1 (ko) * 2005-12-29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09261A (ko) * 2013-03-05 2014-09-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000072A (ko) * 2013-06-21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생성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
KR20150057841A (ko) * 2013-11-20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026473A4 (ko) 1973-07-13 1976-06-30
JPH086532A (ja) 1994-06-20 1996-01-12 Hitachi Ltd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H0834324A (ja) 1994-07-25 1996-02-06 Yunibaasu Auto Kk 自動車等の円形展示回転テーブル
US6894706B1 (en) 1998-09-18 2005-05-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resolution detection
AU2003900746A0 (en) 2003-02-17 2003-03-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NPS041)
US8001455B2 (en) * 2004-10-14 2011-08-16 Daktronics, Inc. Translation table
USD518966S1 (en) 2004-10-15 2006-04-18 Thomas Ray Sakaguchi Frame having a round display hole displaying an impression and a rectangular display hole for displaying a picture
KR20060037694A (ko) 2004-10-28 2006-05-03 이재영 유체가이드형 골프클럽
JP4860488B2 (ja) 2007-01-04 2012-01-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
CN100498448C (zh) 2007-07-23 2009-06-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边框信号线路的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01763215A (zh) 2009-12-10 2010-06-30 英华达股份有限公司 操作移动终端界面的方法以及触控式移动终端
US8704814B2 (en) 2010-08-05 2014-04-22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717391B2 (en) 2010-11-19 2014-05-06 Apple Inc. User interface pipe scalers with active regions
US20130137493A1 (en) 2011-11-30 2013-05-30 F-Secure Corporarion Tagging Method
CN102647512A (zh) 2012-03-21 2012-08-22 广州市凡拓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空间信息全方位的展示方法
US9727113B2 (en) 2013-08-08 2017-08-08 Linear Algebra Technologies Limited Low power computational imaging
KR102344730B1 (ko) * 2014-12-26 2021-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994B1 (ko) * 2005-04-07 201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파 평면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11343B1 (ko) * 2005-12-29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09261A (ko) * 2013-03-05 2014-09-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000072A (ko) * 2013-06-21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생성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
KR20150057841A (ko) * 2013-11-20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567B1 (ko) 2022-08-29
US20170110085A1 (en) 2017-04-20
US10262623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492B2 (en) Display driv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2211123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동작방법
US10199005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configured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stabilize channel amplifier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50138212A1 (en) Display driver ic and method of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096303B2 (en) Host and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74710B1 (ko)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60109934A1 (en) Display driver circuit including high power/low power interfaces and display system
US9947282B2 (en) Gate driver, display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135451B1 (ko)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버,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37567B1 (ko)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501824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セッサと、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261962B1 (ko)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102254671B1 (ko)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TWI651699B (zh) 顯示驅動器積體電路(ic)、其操作方法以及包含上述的裝置
CN112419973A (zh) 数据补偿电路、显示装置和电子装置
US11315462B2 (en) Dual source drivers, display devic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81528A (ko)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KR2021002879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CN220553283U (zh) 显示系统
US20220374127A1 (en) Electronic device recognizing touch and performing display
US20230107140A1 (en)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control methods for same
KR100978814B1 (ko) 단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멀티 3d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가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55666B2 (en) Content refresh on a display with hybrid refresh mode
CN111798778A (zh) 执行静态图像检测的显示装置和操作该显示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