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960A - 다기능 낚시찌 - Google Patents

다기능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960A
KR20170044960A KR1020150144708A KR20150144708A KR20170044960A KR 20170044960 A KR20170044960 A KR 20170044960A KR 1020150144708 A KR1020150144708 A KR 1020150144708A KR 20150144708 A KR20150144708 A KR 20150144708A KR 20170044960 A KR20170044960 A KR 2017004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shing
hole
buoyancy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407B1 (ko
Inventor
우동현
Original Assignee
우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현 filed Critical 우동현
Priority to KR102015014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4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팅 비거리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됨에 있어, 일단부에는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을 따라 유동하며, 수면에서 부상하는 일자형의 막대찌; 및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찌와 낚시바늘 사이에 위치하며, 수면 아래로 침강하는 구멍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낚시찌{Multifunction float}
본 발명은 다기능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스팅 비거리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레저 중 하나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취향에 따른 다양한 장르의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민물낚시나 바다낚시 모두에 흔히 사용되는 낚시찌는 낚시를 함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낚시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까지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 지의 여부를 판별케 한다. 또한, 바닥의 생김새나 수초의 유무도 판별할 수 있고, 물 흐름의 여부, 방향, 속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낚시찌는 어신을 알려주는 역할이 주된 기능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채비를 멀리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며, 더욱이 종류에 따라서는 채비와 미끼가 원하는 수심에 머물도록 하는 기능, 복잡한 조류에 동조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낚시찌는 그 종류가 다양해서 대상어와 구사하는 기법에 따라 사용법 또한 달라지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갯바위에서나 방파제에서는 벵에돔 낚시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벵에돔은 수중여가 발달한 갯바위뿐만 아니라 테트라포트가 적층된 방파제에서도 접할 수 있어 많은 매니아층이 벵에돔 낚시를 즐기고 있다.
벵에돔 낚시는 찌낚시가 주류를 이룰 뿐만 아니라 감성돔과 함께 바다 찌낚시의 묘미를 한껏 누릴 수 있는 대표 어종으로, 입질이 매우 예민하고 다양한 수심층에서 유영하기 때문에 낚시하기에 까다로운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벵에돔 낚시는 주로 전문 낚시인에 의해 이루어지며, 예민한 입질을 극복하기 위해 저부력의 찌를 바탕으로 다양한 채비가 운용된다.
도1은 일반적인 벵에돔 낚시 채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릴 찌낚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벵에돔 낚시 채비는,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에 3m~4m 가량의 목줄을 직결 연결한 상태에서 원줄에는 저부력(통상 5B이하)의 구멍찌를 결속시키고 목줄에는 바늘을 사이에 두고 봉돌을 가감하여 부력을 조절한다. 보통 벵에돔은 입질이 매우 예민해 낚시찌의 부력으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면 미끼 바늘을 바로 뱉어 버리므로 제로(0) 부력 또는 그와 유사한 부력을 가지는 찌를 사용한다.
도1의 (a)에 예시된 채비는 중량이 어느 정도 나가는 구멍찌를 사용할 수 있어 원거리 캐스팅이 용이하고, 전유동 또는 반유동의 채비 전환이 간단하므로 다양한 수심층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멍찌 채비는 낚시 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전천후로 사용 가능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채비로의 가변이 가능해 주로 전문 낚시인들에게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멍찌 채비는 캐스팅 후 채비 정렬이 완료되면 구멍찌의 대부분이 수면에 잠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잔물결이나 잔파도가 발생하면 구멍찌 전체가 수시로 수면에 잠겨 어신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벵에돔은 활성도가 좋지 않을 때에 예민한 입질로 미끼를 살짝 따먹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초보자가 구멍찌를 보고 어신을 파악하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민장대 찌낚시에서 흔히 사용되는 벵에돔 낚시 채비는,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에 1m~1.5m 가량의 목줄을 소형도래로 연결한 상태에서 원줄에는 저부력(통상 5B이하)의 소형막대찌(목줄찌)나 소형고추찌를 고정시키고 목줄에는 바늘을 사이에 두고 봉돌을 가감하여 부력을 조절한다.
도1의 (b)에 예시된 채비는 구멍찌가 아닌 저부력의 막대찌를 사용함으로써 어신의 파악이 용이하고, 갯바위나 방파제에 인접한 일정 수심층을 반유동 채비로 쉽게 공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막대찌 채비는 간단한 구성과 더불어 벵에돔의 예민한 입질에 따른 어신의 파악이 용이해 주로 초보자들에게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막대찌 채비는 캐스팅이 원활하지 않아 원거리 공략이 어렵고 전유동으로 다양한 수심층을 탐색할 수 없어 조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2가지 채비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구멍찌 채비에서 목줄의 일정 위치에 저부력의 소형막대찌(목줄찌)나 발포찌를 고정시키는 반유동 채비를 사용함으로써 원거리 캐스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밑밥에 부상하는 벵에돔의 어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소형막대찌(목줄찌)나 발포찌는 목줄에 고정된 상태, 즉 수심 3m~4m 가량의 반유동 채비만 가능하므로 전체 수심층을 탐색하기 위한 전유동 채비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벵에돔과 같이 밑밥에 부상하거나 상층을 유영하는 어종을 제외한 중하층을 유영하는 어종, 특히 바닥층을 유영하는 감성돔과 같은 어종은 공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364793 B1 KR 20-0370603 Y1 KR 20-0476223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 캐스팅이 용이함은 물론 원거리에서의 어신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전체 수심층을 탐색할 수 있는 전유동 채비가 가능한 다기능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다기능 낚시찌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을 따라 유동하며, 수면에서 부상하는 일자형의 막대찌; 및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찌와 낚시바늘 사이에 위치하며, 수면 아래로 침강하는 구멍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부는 상기 막대찌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대찌에는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는 부력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대찌에는 상기 부력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부력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막대찌는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대찌는 낚시찌에 대한 표준 부력 단위에 기초하여 '000' 내지 '5B' 사이의 부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찌의 일단부에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에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날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원거리 캐스팅을 위해 중량이나 부피가 큰 구멍찌를 사용하면서도 입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어신을 파악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목줄찌의 역할을 수행하는 저부력의 막대찌를 구멍찌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출렁이는 수면이나 원거리에서도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예민한 어신 파악을 위한 저부력의 막대찌를 사용할 수 있어 대상어로 하여금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예민한 입질에 따른 어신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넷째, 목줄에서부터 원줄까지 완전 전유동 채비가 가능하므로 전체 수심층을 고루 탐색하여 특정 대상어의 유영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수심층에서 다양한 어종들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다.
다섯째, 구멍찌가 저부력의 수중찌로 사용되므로 간편하게 채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수면층에서 바닥층까지 서서히 탐색이 가능하므로 손쉬운 전유동 채비를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는 대상어에 대한 조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초보자는 보다 쉽게 릴 찌낚시를 즐기면서 다양한 어종을 쉽게 공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벵에돔 낚시 채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에서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낚시찌는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것으로서,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막대찌(200)와 구멍찌(400)를 포함한다. 이때, 수면에 채비 정렬시 구멍찌(400)는 막대찌(200)의 아래에 위치해 수면층에서 바닥층까지 서서히 가라앉는 잠김찌 또는 수중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막대찌(200)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수면에서 부상하며, 일단부에는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가이드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을 따라 유동한다. 즉, 상기 막대찌(200)는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적어도 일부가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막대찌(200)는 일반적인 목줄찌와 같이 저부력으로 이루어져 대상어가 입질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자형으로 길게 이루어져 원거리에서도 어신의 파악을 용이하도록 하며,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원색의 눈에 잘띄는 색상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막대찌(200)의 타단부에는 케미꽂이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미꽂이는 케미라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어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미꽂이는 고무재질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케미라이트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막대찌(200)의 타단부에는 배터리에 의해 발광하는 LED가 구비된 전자케미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2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막대찌(200)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부(220)는 낚시줄이 막대찌(20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이 꺽여지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도2내지 도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가이드부(220)의 일단부는 상기 막대찌(200)의 일단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20)의 타단부는 상기 막대찌(200)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낚시줄이 자연스럽게 수면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막대찌(200)가 수면에 안착시 채비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예민한 입질에도 막대찌(200)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막대찌(200)에는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는 부력구(240)가 형성되어 바닷물에 대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막대찌(200)에는 상기 부력구(24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부력구(240)가 일체로 결합된 막대찌(200)의 부력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막대찌(200)는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게 되어 어신에 의해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막대찌(200)는 낚시찌의 일반적인 표준 부력 단위에 기초하여 '000' 내지 '5B' 사이의 부력을 가지며, 특히 벵에돔과 같이 입질이 예민한 어종의 경우 제로 계열이나 G 계열을 사용하여 대상어가 느끼는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낚시찌에 대한 일반적인 표준 부력 단위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멍찌(40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면 아래로 침강하며,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찌(400)는 통상의 구멍찌(400)와 같이 타원형의 구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막대찌(200)와 낚시바늘(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잠수찌 또는 수중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멍찌(400)는 바닷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데, 특히 저부력을 가짐으로써 수면 아래로 서서히 가라앉게 되어 전유동 채비시 전체 수심층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멍찌(400)는 원거리 투척, 즉 캐스팅이 용이하도록 중량과 부피가 어느정도 나가도록 형성되고, 막대찌(200)의 색상과는 대비되는 명시성이 높은 색상이 도포되어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구멍찌(4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환되어 조류에 따라 침강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조류에 더욱 잘 유동할 수 있는 형태로 체적을 변형시켜 약한 조류에서도 채비를 쉽게 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를 탐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멍찌(400)의 일단부에는 함몰홈(4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몰홈(420)에 상기 막대찌(200)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캐스팅된다. 즉, 캐스팅 과정에서 구멍찌(400)와 막대찌(200)가 뭉쳐져 투척되므로 캐스팅이 용이해짐은 물론 특히 원거리 캐스팅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구멍찌(400)와 막대찌(20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캐스팅되면 채비의 엉킴과 막대찌(200)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멍찌(400)의 함몰홈(420)에 막대찌(200)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캐스팅되므로 엉킴 및 막대찌(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구멍찌(400)의 함몰홈(420)에 막대찌(200)의 일단부가 수용될 때 낚시줄이 함몰홈(420)의 내벽에 끼거나 하지 않고 상기 막대찌(200)의 가이드부(220)에 의해 낚시줄이 정렬된 상태로 캐스팅되므로 채비가 엉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5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술한 막대찌(200)의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날개부(26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4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막대찌(200)의 일단부가 상기 함몰홈(4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캐스팅시 막대찌(200)의 무게중심이 함몰홈(420)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캐스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막대찌(200)의 날개부(260)는 채비 정렬시 막대찌(200)가 수면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부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류 특성에 따라 막대찌(200)가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날개 간의 간격이나 형상을 변형시켜 제품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 범위를 다양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도6에 의해 동작 특성이 설명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캐스팅 후 채비가 정렬되면 구멍찌(400)는 수면 아래로 침강하게 되고, 막대찌(200)는 수면에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멍찌(400)는 저부력의 잠수찌 또는 수중찌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수면 아래로 서서히 하강하면서 수면층에서부터 바닥층까지 탐색하게 된다. 이에, 미끼가 달린 바늘(미도시)이 조류에 유동하며 전체 수심층에서 다양한 어종에 노출되어 입질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막대찌(200)의 가이드부(220)에 의해 낚시줄이 상기 막대찌(20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통과하므로 자연스러운 채비 흘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목줄찌와 같은 저부력의 막대찌(200)가 대상어가 느끼는 이물감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반응하게 되므로 예민한 입질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원거리 캐스팅을 위해 중량이나 부피가 큰 구멍찌를 사용하면서도 입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어신을 파악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목줄찌의 역할을 수행하는 저부력의 막대찌를 구멍찌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출렁이는 수면이나 원거리에서도 어신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예민한 어신 파악을 위한 저부력의 막대찌를 사용할 수 있어 대상어로 하여금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예민한 입질에 따른 어신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넷째, 목줄에서부터 원줄까지 완전 전유동 채비가 가능하므로 전체 수심층을 고루 탐색하여 특정 대상어의 유영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수심층에서 다양한 어종들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다.
다섯째, 구멍찌가 저부력의 수중찌로 사용되므로 간편하게 채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수면층에서 바닥층까지 서서히 탐색이 가능하므로 손쉬운 전유동 채비를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는 대상어에 대한 조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초보자는 보다 쉽게 릴 찌낚시를 즐기면서 다양한 어종을 쉽게 공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막대찌
220: 가이드부
240: 부력구
260: 날개부
400: 구멍찌
410: 관통홀
420: 함몰홈

Claims (8)

  1. 낚시줄의 원줄 및 목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거나 낚시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속되는 다기능 낚시찌에 있어서,
    일단부에는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을 따라 유동하며, 수면에서 부상하는 일자형의 막대찌; 및
    상기 낚시줄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막대찌와 낚시바늘 사이에 위치하며, 수면 아래로 침강하는 구멍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부는 상기 막대찌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찌에는 바닷물에 대해 일정 비중을 가지는 부력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찌에는 상기 부력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부력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막대찌는 바닷물과 동일한 비중 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찌는 낚시찌에 대한 표준 부력 단위에 기초하여 '000' 내지 '5B' 사이의 부력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찌의 일단부에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에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찌의 일단부에는 복수개의 날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낚시찌.
KR1020150144708A 2015-10-16 2015-10-16 다기능 낚시찌 KR10177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08A KR101776407B1 (ko) 2015-10-16 2015-10-16 다기능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08A KR101776407B1 (ko) 2015-10-16 2015-10-16 다기능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960A true KR20170044960A (ko) 2017-04-26
KR101776407B1 KR101776407B1 (ko) 2017-09-07

Family

ID=5870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708A KR101776407B1 (ko) 2015-10-16 2015-10-16 다기능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65U (ko) 2019-05-30 2020-12-09 이만수 낚시채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683A (ja) * 2001-02-01 2002-08-13 Tsuriken:Kk 釣り用浮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407B1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US4414772A (en) Top water fishing lure
US20170142947A9 (en) Fish Call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US20150000178A1 (en) Wearable transparent lure for trolling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JP2017104024A (ja) 多機能ウキ
KR101753967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125560B1 (ko) 낚시용 구멍찌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20170022321A (ko) 다기능 막대찌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20160147508A (ko) 다기능 막대찌
CN217884846U (zh) 一种可更换鱼头并可调整自身重量的仿生鱼饵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JP3097645U (ja) ルアー
Olsen Stillwater Fly Fishing: Competition-Inspired Strategies for Everyday Anglers
KR100677935B1 (ko) 무게모멘트 중심과 부력모멘트 중심을 일치시킨 낚시용 찌
KR20230000115A (ko) 밑밥 연동 다기능찌
Modassir Fish species diversity and its potential for angling fishing in Goa–an overview
Arnov Fish Florida Saltwater: Better Than Luck--The Foolproof Guide to Florida Saltwater F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