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484A -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484A
KR20170043484A KR1020170008239A KR20170008239A KR20170043484A KR 20170043484 A KR20170043484 A KR 20170043484A KR 1020170008239 A KR1020170008239 A KR 1020170008239A KR 20170008239 A KR20170008239 A KR 20170008239A KR 20170043484 A KR20170043484 A KR 2017004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dose
extrac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신호철
유헌승
신동철
강민석
배정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3484A/ko
Publication of KR2017004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염 치료 또는 개선용, 또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함량의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유효성분을 투여함으로써 관절염 치료 및 개선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부작용이 증대되지 않으면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용량을 투여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고함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이 증대되지 않는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IMPROVING ARTHRITIS COMPRISING HIGH AMOUNT OF AN ACTIVE INGREDIENT DERIVED FROM HERBAL SUBSTANCES}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개선용, 및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고함량에서 관절염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고 염증 조절에 매우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이란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이다. 관절은 뼈와 뼈 사이가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골, 관절낭, 활막, 인대, 힘줄,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관절염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관절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으로 대표되며, 주요 증상으로는 관절 통증이 있으며, 붓거나 열감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퇴행성관절염 자체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확실한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주요 증상의 완화를 위한 진통 및 항염 작용을 가진 많은 약물들이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은 만성질환이므로 장기간 부작용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필요한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경우 용량상관적으로 소화기 및 심혈관계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사용량과 기간이 제한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으나, 약리기전과 부작용 기전이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아직까지 확실한 소득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항염, 진통, 관절보호 및 면역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 NSAIDs가 작용 기전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 1 및 2의 억제 효과에 의해 위장장애를 유발하기 때문에 임상용량이 제한되고 있는 반면,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은 이러한 부작용이 경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효의 평가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는 ACR 20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에 의해 확립된 증상 개선도 20%의 환자)의 환자수가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200mg 복용군, Celecoxib 100mg 복용군에 대하여 각각 29명/87명 (33.3%), 29명/87명 (33.3%) 동일한 류마티스 관절염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위장관계 부작용의 측면에서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복용군이 18명/91명 (19.8%)로 Celecoxib 100mg 복용군 10명/92명 (10.9%)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위장관계 부작용이 수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우수한 효과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 측면에서 개선할 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특정 용량으로 포함한 조성물에서 부작용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약효는 특이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3707호
Song YW et al. Clinical Therapeutic, 2007; 29(5) : 862-873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 및 관절 보호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위장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감소된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의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치료 및 개선용, 또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 용량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것으로써, 진통 및 항염을 비롯한 관절염 치료 및 개선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투여 용량별 크로톤 오일 유도 급성 염증 모델에서 항염효과 지속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의 투여 용량별 아라키돈산 유도 급성 염증 모델에서 항염효과 지속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의 투여 용량별 아세트산 유도 통증 모델에서 진통 효과의 지속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의 투여 용량별 페닐-p-벤조퀴논 유도 통증 모델에서 진통 효과의 지속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대조군 대비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경구 투여 용량별 유발되는 위궤양의 정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령선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수풀 속의 음습한 땅에서 자라는 으아리 및 동속근연 식물의 뿌리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경엽, 수염 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썰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사지관절통, 관절의 운동장애, 수족마비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질병에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요, 슬, 각이 냉통하여 땅을 잘 딛지 못하는 경우를 치료하는 신령한 약이라 하여 널리 이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으아리 및 동속근연식물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크레마틴(clematin) 등의 플라바논 글리코사이드(flavanone glycosides)를 비롯하여 크레몬타노사이드 A(clemontanoside A), 크레몬타노사이드 B(clenontanoside B), 크레몬사노사이드 C(clemontanoside C), 크레마토사이드 S(clematoside S) 등의 사포닌류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당류(glucose), 스테롤(sterol)류 등이 알려져 있다.
천화분은 '과루근' 또는 '백약'이라고도 하며 다년생의 덩굴성 초본인 하눌타리, 노랑하눌타리의 뿌리를 가을에 캐내 깨끗이 씻은 후 외피를 깍아내고 적당한 길이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소갈증을 멈추게 하고 각종 종기, 치루 유선염 등에 유효하며 배농, 소종, 해독, 해열작용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천화분의 성분으로는 단백질류인 트리코산틴(trichosanthin)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그외 아미노산 성분으로서 아르기닌(arginine), 시트룰린(citrull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지방산으로서 팔미틴산(palmit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브리오놀산(bryonolic acid), 4-히드록시-벤조인산(4-hydroxy-benzoic acid) 및 알파-스피나스테롤(a-spinasterol) 등의 스테놀류가 밝혀진 바 있다
하고초는 꿀풀 및 동속근연식물의 과수로서 여름에 과수가 반쯤 시들면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한방에서는 만성적인 종기, 두창, 급성 유선염 및 임파선 결핵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징가(아랫배에 담음이나 어혈로 생긴 덩어리)를 파괴하며 각기를 제거하고 온몸이 저리고 마비되는 것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하고초의 성분으로는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우르솔린산(ursolic acid) 등의 사포닌류와 카로틴(carotine), 비타민C(vitamine C), 비타민 K(vitamine K), 탄닌(tannin), 카페인산(caffeic acid), 클로르제닌산(chlorogenic acid) 등이 알려져 있고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이 존재하는 것도 밝혀져 있다.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추출방법, 예컨대, 물 또는 물 및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령선, 천화분 또는 하고초의 생약 각각을,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생약 중량의 5 내지 10배의 물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4 내지 6시간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 다시 각각의 잔사에 생약 중량의 5 내지 10배의 물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용액을 가하고 가온하여 1 내지 2회 재추출 후 여과한 다음 이전의 여액과 혼합하고 농축한다. 여액 중에 함유된 불필요한 단백질, 다당류 및 지방산 등의 불순물을 부틸알콜 또는 프로필알콜 등의 수포화 저급 알코올로 정제한 후 얻어진 알콜용매 분획을 60 내지 70℃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 중에 잔존하는 저급 알콜 용매를 제거한다. 농축 후 얻어진 복합 생약 추출물은 추출물 총량의 25 내지 50 배의 물로 2 내지 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분말상태의 엑기스를 얻는다.
다만, 복합 생약 추출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3707호로 개시된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과립제 또는 캅셀제의 단일투여 제제일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유동화제, 활택제, 안정화제, 충진제, 코팅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과 유당, 전분 및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복합 생약 추출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특정 복합 실리케이트, 크로스포비돈 및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붕해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캅셀제는 상기 정제, 산제 등을 연질 또는 경질 캅셀에 충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로서 관절염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일일 투여 용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투여 제형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일투여제제 내에,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이 200mg 내지 400㎎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00㎎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200mg, 300mg 또는 400mg 용량을 포함하는 단일제형의 정제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300mg 용량을 포함하는 정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정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200mg 함량의 정제는 1일 3회, 300mg 함량의 정제 및 400mg 함량의 정제는 1일 2회 경구투여가 가능하다. 특히, 300mg 용량을 포함하는 정제는 고함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아침, 저녁으로 각 1회씩의 경구투여만으로도 약물의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관절 보호"란, 관절의 연골 퇴화, 또는 연골 손상, 염증이나 통증이 있는 근육이나 관절 조직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연골 재생 또는 연골을 유지하거나, 관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절에 통증 및 염증을 유발하여 이와 같은 관절 보호가 요구되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관절증, 통풍 관절염, 골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소아 관절염, 급성 관절통증, 퇴행성 관절질환, 견관절주위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반응성 관절염, 관절증, 외상성 관절성피진, 경피증,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위축성 다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스틸 증후군, 펠티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급성 뇌척수염, 윤활낭염, 척주관협착증, 힘줄염, 섬유근육통, 만성 발 및 발목 통증, 발꿈치돌기 증후군, 신경통, 발허리통증, 발허리발가락 교합, 강직성 척추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질환, 급성 관절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및 이의 조합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관절 보호가 요구되는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로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200mg 내지 400mg, 구체적으로는 300mg 용량으로 포함하는 단일투여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단일투여 제제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과립제, 캅셀제 등일 수 있다. 각각의 제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예컨대 200mg 함량의 정제는 1일 3회, 300mg 함량의 정제 및 400mg 함량의 정제는 1일 2회 경구투여할 수 있다. 특히, 300mg 용량을 포함하는 정제는 고함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아침, 저녁으로 각 1회씩의 경구투여만으로도 약물의 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키트(kit), 또는 관절 보호용 키트 형 제품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키트 형 제품은 상기 제제와 동시에 또는 투여 후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질환에 효과가 있는 다른 제제를 복용하도록 설명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이 필요하거나, 또는 관절 보호 효과가 필요한 인간 환자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제제를 치료학적으로 또는 예방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관절염 또는 관절 보호가 요구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들에 있어 사용한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한국등록특허 제10-0483707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복합 생약 추출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300mg 함유한 정제
- 단위투여당 조성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성분 단위 조성
(mg)
단위 조성
(mg)
단위 조성
(mg)
단위 조성
(mg)
복합 생약 추출물 300 200 400 200
미결정셀룰로오스 55 36.5 73 113
옥수수전분 - - - 50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75 50 100 -
글리콜산전분나트륨 - - - 25
경질무수규산 6 4 8 10
폴리비닐피롤리돈 10 6.5 13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5 3.5 7 2
기본 코팅기제 (황색) 22 15 30 30
Total 473 315.5 631 430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단위조성량 당 50mg), 경질무수규산(Aerosil200), 폴리비닐피롤리돈(K-30)을 혼합하여 습식과립화하고,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단위조성량 당 25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후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의 코어를 얻었다. 상기 코어을 기본 코팅기제를 분산액에 분산시킨 액으로 코팅하여 300mg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200mg 함유한 정제
복합 생약 추출물,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경질무수규산, 폴리비닐피롤리돈,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기본 코팅기제를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단위투여당 조성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200mg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400mg 함유한 정제
복합 생약 추출물,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경질무수규산, 폴리비닐피롤리돈,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기본 코팅기제를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단위투여당 조성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400mg 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200mg 함유한 정제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 미결정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글리콜산전분나트륨, 경질무수규산을 혼합하고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활택한 후 타정하여 정제의 코어를 얻었다. 상기 코어를 기본 코팅기제를 분산액으로 분산시킨 액으로 코팅하여 200mg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300mg 함유한 조성물의 흐름성 확인
실시예 1의 정제와 복합 생약 추출물의 벌크 밀도 및 탭 밀도를 측정하고 Carr index 및 Hausner ratio를 계산하였다.
복합 생약 추출물 실시예 1
벌크밀도 (Bulk density, g/ml) 0.514 0.500
탭 밀도 (Tapped density, g/ml) 0.807 0.425
Carr index 33% 15%
Hausner ratio 1.50 1.18
흐름성은 상기 표 2의 carr index 및 Haunser ratio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Carr index Hausner ratio
매우좋음(Excellent) 10이하 1.00-1.11
좋음(Good) 11-15 1.12-1.18
다소좋음(Fair) 16-20 1.9-1.25
보통((passable) 21-25 1.26-1.34
나쁨(Poor) 26-31 1.35-1.45
매우나쁨(Very poor) 32-37 1.46-1.59
매우매우나쁨(Very, very poor) 38초과 1.60초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은 흐름성이 매우 나쁜 반면에,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단일정제인 실시예 1의 경우 좋음과 다소 좋음 또는 보통으로 흐름성이 매우 개선되었다.
실험예 2. 위령선, 천화분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300mg 함유한 조성물의 붕해속도 확인
실시예 1의 정제와 상업적으로 발매된 조인스 200mg 정제를 대한약전의 붕해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복합 생약 추출물 함유량 정제모양, Size
(장축X단축X높이,mm)
붕해 시간
실시예 1 300mg 타원형
(14.4 X 7.7 X 5.6)
18분 이내
조인스 200mg정 200mg 타원형
(14.5X 7.7 X 5.0)
25분 이내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정제는 상업적으로 발매된 조인스 200mg 정제보다 복합 생약 추출물(활성성분)의 함유량이 1.5배나 더 많으나 정제 붕해 시간은 오히려 빠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 속방형 제제임을 알 수 있고, 크기도 200mg 정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실험예 3. 크로톤 오일 유도 급성 염증 모델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용량별로 투여할 시에 시간에 따른 항염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Institute of Cancer Research) 마우스에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단일 제형(200mg/kg, 300mg/kg, 400mg/kg)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2시간, 3시간 및 6시간 후 2.5% 크로톤 오일(croton oil) 0.025㎖를 우측 귀에 골고루 발라 염증을 유도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0.5%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MC)를 사용하였다.
4시간 경과 후 좌측과 우측 귀 부종을 측정하여 발염율(%) 및 음성 대조군 대비 염증 억제율(relif rate, %)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 AUElast : 누적항염율(Area under the Edema relief rate-time curve from time zero to the last measured Edema relief rate;
** Emax : 최대염증억제율(Maximum observed Edema relief rate)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마우스에 200mg/kg 내지 400mg/kg 투여하였을 경우, 각 약물의 염증 억제율은 1시간 이후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다만, 1시간째 최대 항염 효과는 200mg/kg 대비 300mg/kg 이상에 그 효과가 상승한 반면, 400mg/kg 이상에서는 초기 항염 효과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효의 효과가 최고임을 반영하는 Emax의 수치에서 300mg/kg 용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투여 용량으로 환산한 Dose normalized Emax/Dose에서도 그 효과가 증대되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누적 약효 효과를 나타내는 수치인 AUElast로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6시간째 누적 효과를 용량별 반응으로 환산한 결과, 각 용량에서 각각 0.20, 0.28, 0.25로서, 항염 누적 효과 역시 300mg/kg 용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00mg/kg 용량의 6시간째 항염 효과와 200mg/kg 용량의 1시간째 항염 효과가 유사한 수준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300mg/kg 용량에서 초기 높은 약효를 나타냄과 동시와 200mg/kg 용량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6배인 6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험예 4. 아라키돈산 유도 급성 염증 모델에서의 염증 억제 효과
본 실험에서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용량별로 투여할 시에 시간에 따른 항염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마우스에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단일 제형(200mg/kg, 300mg/kg, 400mg/kg)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2시간, 3시간 및 6시간 후 2.5% 아라키돈산(Arachidonic aicd) 0.025㎖를 우측 귀에 골고루 발라 염증을 유도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0.5%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MC)를 사용하였다.
4시간 경과 후 좌측과 우측 귀 부종을 측정하여 발염율(%) 및 음성 대조군 대비 염증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단일 제형을 200mg/kg 내지 400mg/kg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경우, 200mg/kg 용량에서는 초기 1시간째 항염율이 20%이고, 3시간째 그 효과가 10% 미만으로 낮아졌으나, 300mg/kg 및 400mg/kg 용량에서는 동일하게 3시간 시점에서도 항염율이 20%에 근접한 채로 유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6시간까지의 누적 염증 억제율을 평가한 결과, 용량 환산된 누적 항염율 AUElast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0mg/kg 용량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300mg/kg 용량에서 가장 약효가 지속되는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그 약효의 수준이 가장 높은 효율로서 발휘되는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최적의 약효 용량이 300mg/kg 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5. 아세트산 유도 통증 모델에서 진통 효과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해당 용량만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용량에 따른 진통 효과를 평가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마우스에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200mg/kg 및 300mg/kg을 kg당 10ml의 부피로 경구 투여하고 1시간, 2시간, 3시간 및 6시간 후 아세트산(Acetic acid)을 복강 내 투여하여 통증을 유발하였다. 아세트산에 의해 유도되는 통증에 대해 복강 내 투여 후 5분에서 10분 사이의 writhing 횟수를 측정하여 음성 대조군(vehicle) 대비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의 통증 억제율(pain relife rate, %)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Pain relief rate (%) 시간 (hr)
1hr 2hr 3hr 6hr
200mg/kg 30.30±39.28 40.26±40.61 43.94±37.00 64.94±29.42
300mg/kg 63.64±41.16 49.35±30.09 62.34±17.74 63.64±33.20
Ref) Vehicle Writhing (횟수): 11±3.29
도 3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 1시간 시점에서 300mg/kg 용량의 진통 효과가 200mg/kg 용량의 진통 효과 대비 2배 이상 높았으며, 300mg/kg 용량에서는 초기 진통 효과가 6시간까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200mg/kg 용량에서는 초기 충분하지 못한 효과를 나타내며 충분한 진통 효과(50% 이상의 경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6시간 이상의 기다림이 필요하였다.
실험예 6. 페닐 -p- 벤조퀴논 유도 통증 모델에서 진통 효과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해당 용량만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용량에 따른 진통 효과를 평가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마우스에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200mg/kg, 300mg/kg, 400mg/kg을 kg당 10ml의 부피로 경구 투여하고, 1시간, 2시간, 3시간 및 6시간 후 페닐-p-벤조퀴논(PQ)을 복강 내 투여하여 통증을 유발하였다. PQ에 의해 유도되는 통증에 대해 복강 내 투여 후 5분에서 10분 사이의 writhing 횟수를 측정하여 음성 대조군 대비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의 통증 억제율(inhibition ratw, %)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시간 (hr) 200mg/kg 300mg/kg
Inhibition rate (%) Inhibition rate (%)
0 0.00 0.00
1 23.30 38.40
2 32.20 38.40
6 5.70 26.90
AUElast 101.13 186.15
AUElast/Dose 0.51 0.62
Emax 32.00 38.40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을 200mg/kg 내지 300mg/kg 투여하였을 경우, 300mg/kg 용량에서는 초기 1시간째 높은 진통 효과가 6시간까지 연장되는 반면, 200mg/kg 용량에서는 2시간 시점에서 최대의 진통 효과를 나타낸 후 효과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였다. 이는 표 8에 나타낸 진통의 누적 효과(AUElast) 및 이를 용량으로 환산한 결과(AUElast/Dose)에서도 진통 효과가 300mg/kg 용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위장장애 부작용 개선 정도 평가
위궤양 유발시험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SD rat(6주령 male, 오리엔트바이오 사)을 이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시험 전일 저녁부터 시험일 오전까지 야간 공복(Overnight fasting)을 실시하여 시험 동물의 위장을 포함한 소화기계 내의 음식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 당일 오전 9시에 시험물질인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을 라브라졸 5 % 수용액에 현탁한 후, 각각 200mg/kg, 300mg/kg, 400mg/kg 용량으로 gavage를 사용하여 경구 경로로 1차 투여하였다. 1시간 후인 오전 10시에 Diclofenac을 4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여 위궤양을 유발하였다. 1차 약물 투여 후 5시간 후인 오후 2시경에 200mg/kg 투여군에 다시 약물을 동일 용량 투여하였고, 이로부터 5시간 후인 오후 7시에 모든 용량 투여군에 해당하는 각각의 동일 용량을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군 및 투여 간격은 하기 표 9에 기재된 바와 같다. Normal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절식만 진행한 군을 의미하며, Diclofenac에 의해 위궤양이 유발된 군과의 위궤양 병변을 차이를 보이고자 하였다.
Figure pat00003
Normal(N): 무처리군;
Diclofenac(Dicf): 디클로페낙 처리군;
200 t.i.d 및 200 b.i.d.: 복합생약추출물 200mg/kg 처리군;
300 b.i.d.: 복합생약추출물 300mg/kg 처리군;
400 b.i.d.: 복합생약추출물 400mg/kg 처리군.
(*, p < 0.05; **, p < 0.01 versus diclofenac-treated group by Non-parametric test followed by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E of n = 8.
다음날 오전 9시에 모든 군의 개체에 대해 부검을 실시하여 위궤양을 평가하였다. 위궤양의 평가는 참고문헌 (L. Laine et al., Gastroenterology 1988; 94: 1254-1262)을 참조하여 하기 표 10에 따라 위장 조직 병변을 점수화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점수 상태
0 정상 점막
1 충혈된 점막 또는 3개까지의 작은 패치(patch)
2 4~10개의 작은 패치
3 10개 초과의 작은 패치 또는 3개까지의 중간-크기의 패치
4 4~10개의 중간-크기의 패치
5 6개 초과의 중간-크기의 패치 또는 3개까지의 큰 패치
6 4~6개의 큰 패치
7 7~10개의 큰 패치
8 10개 초과의 큰 패치 또는 광범위한 괴저성 구역 (necrotic zones)
“중간-크기”는 2-4mm의 across이고, “큰-”은 4mm 초과의 across임.
Ratio 200 t.i.d. 200 b.i.d. 400 b.i.d.
300 b.i.d. 14.3 % ↓ 20.8 % ↓ 6.7 % ↓
도 5 및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Normal 처치군인 정상 동물에서는 위 궤양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반면, Diclofenac 처리 시 확실하게 위궤양이 유발된 것으로 보아 본 실험계는 위궤양 유발 모델로서 적합하였다. 또한, 200mg/kg 용량을 1일 3회 투여군(200 t.i.d.)과 1일 2회 투여군(200 b.i.d.)을 비교한 결과, 1일 3회 투여군에서 약 6% 정도의 위궤양 병변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00mg/kg 용량을 1일 2회 투여 시 200mg/kg 용량을 1일 3회 투여군과 비교하여 볼 때 당업자에게는 예측하기 힘든 결과인 14.3% 위궤양 병변이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400mg/kg 용량으로 증량하여 1일 2회 투여(400 b.i.d)하여도 오히려 위궤양 병변의 정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과로서 해석하기에, 상기 결과는 투여 약물인 복합 생약 추출물이 위 보호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물 자체의 산성 자극(수용액상 pH 4로서 약산성을 나타냄)에 의해 투여 횟수가 많을수록, 투여량이 많을수록 위장관 자극에 의해 약물의 위 보호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투여 용량 및 간격을 고려할 때, 300mg/kg 1일 2회 투여 용법 용량이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를 포함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정제, 과립제 또는 캅셀제의 단일투여 제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이 단일투여 제제 내에 300mg 용량으로 포함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이 1일 2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류마티스 관절염, 척추관절증, 통풍 관절염, 골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소아 관절염, 급성 관절통증, 퇴행성 관절질환, 견관절주위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반응성 관절염, 관절증, 외상성 관절성피진, 경피증,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위축성 다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스틸 증후군, 펠티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급성 뇌척수염, 윤활낭염, 척주관협착증, 힘줄염, 섬유근육통, 만성 발 및 발목 통증, 발꿈치돌기 증후군, 신경통, 발허리통증, 발허리발가락 교합, 강직성 척추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 조성물.
  6. 유효성분으로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정제, 과립제 또는 캅셀제의 단일투여 제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이 단일투여 제제 내에 300mg 용량으로 포함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이 1일 2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008239A 2017-01-17 2017-01-17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70043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239A KR20170043484A (ko) 2017-01-17 2017-01-17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239A KR20170043484A (ko) 2017-01-17 2017-01-17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11 Division 2015-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84A true KR20170043484A (ko) 2017-04-21

Family

ID=5870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239A KR20170043484A (ko) 2017-01-17 2017-01-17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3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842B2 (en) 2019-01-11 2020-11-24 Dong-Eui Universit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neuropathic pain containing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842B2 (en) 2019-01-11 2020-11-24 Dong-Eui Universit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neuropathic pain containing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642A (ko) 쿠커비타신 b의 함량이 감소된 관절염 치료 및 관절 보호용 생약조성물
Musthaba et al. Patented herbal formulations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CN104983844A (zh) 具有粘膜修复功能的组合物配方及其制剂的制备过程
JP7335954B2 (ja) 白頭翁サポニンb4の抗急性痛風性関節炎の医薬における用途
KR20170043484A (ko) 천연물 유래 유효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01129971A (zh) 治疗妇女痛经、月经不调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33544A (zh) 具有抗炎消肿镇痛作用的外用药物组合物制剂与用途
JP2701385B2 (ja) 脳浮腫抑制剤
CN108785681B (zh) 一种兽用的复方解热镇痛抗炎药组合物制剂及其应用
CN108478622B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362382A (zh) 一种治疗复发性口腔溃疡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0652537A (zh) 一种用于治疗面部色斑的外敷制剂
JP2019172596A (ja) 痛風を治療するための薬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1488688B1 (ko) 아세클로페낙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JP7499025B2 (ja) 内服用医薬組成物
JP2941160B2 (ja) 帯状疱疹による苦痛の緩和剤
CN103830435A (zh) 一种治疗痛风的中药组合物
KR20190107308A (ko) 통풍 치료용 약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54345B (zh) 一种治疗痛风及高尿酸血症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法
DE102018102355A1 (de) Arzneimittel zur behandlung von g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7229013B2 (ja) 内服用医薬組成物
CN102133274A (zh) 一种中药组合物
JP7229012B2 (ja) 内服用医薬組成物
KR20190093955A (ko) 통풍 치료용 약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05834A (ko) 통풍 치료용 약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