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242A -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242A
KR20170043242A KR1020150142735A KR20150142735A KR20170043242A KR 20170043242 A KR20170043242 A KR 20170043242A KR 1020150142735 A KR1020150142735 A KR 1020150142735A KR 20150142735 A KR20150142735 A KR 20150142735A KR 20170043242 A KR20170043242 A KR 2017004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layback apparatus
media playback
ser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434B1 (ko
Inventor
박주기
박승언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4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아이디 변환부 및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이어보기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과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SERVER, USER DEVICE AND MEDIA PLAY DEVICE FOR PROVIDING CONTINUOUS PLAY SERVICE}
본 발명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IPTV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에서도 IPTV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4302호에는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다만, 모바일 단말에서 구매한 IPTV 콘텐츠는 모바일 단말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동일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즐기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IPTV용 및 모바일 단말용의 IPTV 콘텐츠를 각각 구매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구매한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단말, 예를 들어, IP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IPTV로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한 명령을 내림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PTV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대해 시청 시간을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아이디 변환부; 및 상기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제공 판단부 및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유효성이 판단되고,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가 전송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대한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은,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는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제 1 콘텐츠 아이디로부터 변환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및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에서 구매한 콘텐츠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단말, 예를 들어, IPTV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IPTV로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한 명령을 내림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PTV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대해 시청 시간을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 여부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로 콘텐츠 재생을 요청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로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큐알(QR) 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큐알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대응하는 번호(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이어보기 서비스 가입 번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콘텐츠의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선택한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구매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콘텐츠를 시청한 후,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콘텐츠의 시청이 이루어진 후, 다시 사용자 단말(110)에서 콘텐츠의 시청을 이어가고자 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에서 변환된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10)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3G, 4G, 5G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일반적인 PC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10)과 미디어 재생 장치(130) 간의 콘텐츠 운용관리 및 편성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유효성의 판단을 통해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해상도가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로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온 상태인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이어보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오프인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에러(error)로 처리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해상도가 콘텐츠의 해상도와 동일한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해상도와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에러로 처리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제 1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콘텐츠를 1차 시청 후,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2차 시청을 하고, 사용자 단말(110)에서 다시 3차 시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콘텐츠가 종료된 시점부터 사용자 단말(110)에서 해당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재생 정보는 재생 종료 시점 또는 콘텐츠가 종료된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미디어 재생 장치(130) 간의 콘텐츠에 대한 매핑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장치로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포함하는 재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대한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및 유휴(Idle)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일 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등과 같이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TV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5)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와 연동되어 작동하며, 디스플레이에 재생중인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입력부(210), 서비스 제공 판단부(220), 전송부(230) 및 재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로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큐알 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큐알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력부(2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대응하는 번호(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이어보기 서비스 가입 번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판단부(220)는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재생부(24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240)에서 콘텐츠가 1차로 재생되고,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콘텐츠가 2차로 재생되고, 재생부(240)에서 3차로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재생부(24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콘텐츠가 종료된 시점부터,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면,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가 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에서 판단 결과, 이어보기가 불가능한 콘텐츠인 경우(S321), 사용자 단말(110)은 이어보기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판단 결과, 이어보기가 가능한 콘텐츠인 경우(S322),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S330).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QR 코드로 확인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QR 코드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S341),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S350). 또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QR 코드로 확인이 가능한 경우(S342),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36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로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큐알 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신부(510), 유효성 판단부(520), 아이디 변환부(530), 상태 확인부(540) 및 전송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며,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고,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과 미디어 재생 장치(130)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5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5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부(5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 판단부(5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이디 변환부(53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디 변환부(53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 1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아이디 변환부(5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해상도가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 변환부(530)는 수신부(5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제 1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전송부(540)는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540)는 수신부(5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아이디 변환부(53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에서 제 1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된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전송부(540)는 상태 확인부(55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를 확인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태 확인부(550)는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태 확인부(55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로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확인부(550)는 상태 확인 메시지의 수신 결과를 통해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확인부(550)는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 1 콘텐츠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61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621), 이어보기 서비스를 미제공하고(S670),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S622),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S63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S670),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경우(S632),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64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S670),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S642), 콘텐츠의 해상도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 가능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S650).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콘텐츠의 해상도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가 가능하지 않는 경우(S65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S670), 콘텐츠의 해상도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가 가능한 경우(S652),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S66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 여부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로 콘텐츠 재생을 요청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를 검출하고(S710),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를 상태 확인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상태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가 온(On) 상태인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30).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온이 아닌 경우(S73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S760),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온인 경우(S732),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유휴(Idle) 상태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S740).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S74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S760),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S742),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S75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수신부(810) 및 재생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810)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대한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81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및 유휴(Idle)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부(82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82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시점부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91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 대한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 판단은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이며,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는 예를 들어,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및 유휴(Idle)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콘텐츠 아이디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제 1 콘텐츠 아이디로부터 변환되고,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및 제 1 콘텐츠 아이디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보기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과 미디어 재생 장치(130)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10 내지 S9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및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면(S1001),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 이 때,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03).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04),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05),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S1006),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해상도가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007),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S1008).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가 상태 확인 메시지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하면(S1009),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 상태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1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수신한 상태 확인 메시지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를 확인하고(S1011),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S1012). 미디어 재생 장치(130)는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35)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1013).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1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11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사용자 단말(110)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고,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 1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해상도가 미디어 재생 장치(130)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1140에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이어보기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과 미디어 재생 장치(130)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피 주소로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장치(130)가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미디어 재생 장치(130)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30)의 아이디,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산하는 단계,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제 1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110)로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는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10 내지 S11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130: 미디어 재생 장치
135: 디스플레이 장치
210: 입력부
220: 서비스 제공 판단부
230: 전송부
510: 수신부
520: 유효성 판단부
530: 아이디 변환부
540: 상태 확인부
550: 전송부
810: 수신부
820: 재생부

Claims (19)

  1.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의 제 1 콘텐츠 아이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는 아이디 변환부; 및
    상기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고,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변환부는,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와 대응하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 1 아이디를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 변환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피 주소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피 주소로 상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부는, 상기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부는, 상기 상태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디 변환부는,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
  12.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및 복수의 콘텐츠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제공 판단부; 및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콘텐츠 아이디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유효성이 판단되고,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가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제 2 콘텐츠 아이디로 변환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로 상기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가 전송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로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큐알 코드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대한 유효성 판단에 기초하여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어보기 가능 콘텐츠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유효성 판단은,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는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제 1 콘텐츠 아이디로부터 변환되고,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 및 상기 제 1 콘텐츠 아이디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아이디가 기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가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에 더 기초하여 상기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의 상태는, 온(On) 상태, 오프(Off) 상태 및 유휴(Idle)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KR1020150142735A 2015-10-13 2015-10-13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197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5A KR101974434B1 (ko) 2015-10-13 2015-10-13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735A KR101974434B1 (ko) 2015-10-13 2015-10-13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42A true KR20170043242A (ko) 2017-04-21
KR101974434B1 KR101974434B1 (ko) 2019-05-02

Family

ID=5870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735A KR101974434B1 (ko) 2015-10-13 2015-10-13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4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737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케이티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20210103151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0813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폰과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끊김없는(seamless)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인포테인먼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395A (ko) * 2011-03-21 2012-10-02 지병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40055796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어보기를 제공하는 서버
KR20150056510A (ko) * 2015-04-30 2015-05-26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형 동영상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9975B1 (ko) * 2009-07-30 2015-07-28 주식회사 케이티 이어보기 정보 공유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장치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975B1 (ko) * 2009-07-30 2015-07-28 주식회사 케이티 이어보기 정보 공유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장치및 시스템
KR20120107395A (ko) * 2011-03-21 2012-10-02 지병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40055796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어보기를 제공하는 서버
KR20150056510A (ko) * 2015-04-30 2015-05-26 주식회사 케이티 유무선 연동형 동영상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737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케이티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20210103151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0813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폰과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끊김없는(seamless)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인포테인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434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041B2 (en) System for exchanging media content between a media content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device
US20160227293A1 (en) System for Managing Media Services
TWI429290B (zh) 與一選定使用者共享視聽內容
US9544627B2 (en) System for monetizing resources accessible to a mobile device server
US9118934B2 (en) Integration of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media local area network
KR101748262B1 (ko) 통합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260933B2 (en) Multimedia content redirection method
US9392316B2 (en) Messaging abstraction in a mobile device server
US201700485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subject to viewing restrictions
KR102381333B1 (ko) Iptv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과 이동 단말 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74434B1 (ko)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JP2015529043A (ja) デジタル放送tvネットワーク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
KR20030094381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39975B1 (ko) 이어보기 정보 공유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장치및 시스템
KR101445260B1 (ko)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KR20130093810A (ko) 스트림 변환을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단말로 스트림을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
US10555032B2 (en) Digital video recorder as a content delivery server
JP2023519293A (ja) プログラム再生方法及び装置
KR101546387B1 (ko) 단말들간의 콘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103211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osting a personalized television channel
KR101810635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JP5752550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56510A (ko) 유무선 연동형 동영상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42599B1 (ko)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TW200908639A (en) SIP-based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ternet radio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