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395A -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395A
KR20120107395A KR1020110025062A KR20110025062A KR20120107395A KR 20120107395 A KR20120107395 A KR 20120107395A KR 1020110025062 A KR1020110025062 A KR 1020110025062A KR 20110025062 A KR20110025062 A KR 20110025062A KR 20120107395 A KR20120107395 A KR 2012010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ultimedia
digital
advertisement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병준
Original Assignee
지병준
(주) 재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준, (주) 재미디지털 filed Critical 지병준
Priority to KR102011002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395A/ko
Publication of KR2012010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직접 재작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분할화면 형태의 한 화면에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 및 검출하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수신 후 이를 재생하는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과,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환경의 제공 및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사용자가 작성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두 콘텐츠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서 분할 화면 형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콘텐츠 동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Bidirectional advertisement system using user mobile phone for digital multimedia billboard and advertis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직접 재작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분할화면 형태의 한 화면에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S(Digital Signage : 이하 ‘디지털 사이니지’라 함)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공항이나 호텔, 병원 등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장치이다. 부연 설명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존의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의 기능에 더하여 주요 기능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나 관리플랫폼까지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패널(LCD패널, PDP패널, LED패널 등) 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는 각종 건물의 엘리베이터, 지하철 역사, 전동차 내, 버스 내부, 대학교, 은행, 편의점, 할인점, 쇼핑몰 등 일반 대중이 왕래하는 동선 상에는 대부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가 다양한 콘텐츠(광고콘텐츠 등)의 전달 매체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콘텐츠 공급 및 현재 작동 상태를 피드백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통상의 운영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운영되는 사무실이나 건물에서 서버 및 소프트웨어(or 관리플랫폼, 예를 들어 윈도우 운영체제)를 구입하여 광고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 1의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11~14)가 건물 내의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어 인트라넷(20) 및 허브(30)를 통해 관리자 서버(40)에 연결되며, 관리자 서버(40)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11~14)의 운영, 광고편집, 스케줄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를 디지털 사이니지(11~14)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시스템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고콘텐츠를 표시하여 이를 해당 건물을 출입하는 내방객들에 의해 시각적으로 확인되게 하는 것에 주기능이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서버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주된 관리 기능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광고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편의점, 쇼핑몰, 대학교, 지하철 내부, 버스 내부 등 실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최근에는 지하철 역사나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그 이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색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형태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 역시도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일방적으로 광고콘텐츠를 제공받는 형태일 뿐이다.
즉, 이동통신 기술 및 통신 단말기(스마트폰 등)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트위터 등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콘텐츠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디지털 사이니지의 운영 방식도 그 사용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광고콘텐츠에 참여할 수 있고,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참여도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성향을 분석하고 이를 광고 전략에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운영을 웹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운영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유무선 연동방식으로 서비스 하고, 이 과정에서 유무선 연동 커뮤니티 구축과 모바일 쿠폰 시스템을 개발 적용하여 광고 전달력을 높이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자신이 직접 재작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하나의 화면에 분할화면 형태로 함께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분석되어 마케팅 데이터로 가공되고, 이렇게 가공된 마케팅 데이터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회사에 미래의 마케팅 자료로 제공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상품 광고의 활용 및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 및 검출하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수신 후 이를 재생하는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과,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환경의 제공 및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사용자가 작성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두 콘텐츠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서 분할 화면 형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콘텐츠 동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PC 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근거리 통신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및 그 해당 상품에 대한 마케팅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마케팅 자료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동기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 동기화부의 동기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는 그 출력화면에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코드판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상기 코드판독부에 의한 상기 고유식별코드 판독시 해당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제공사의 웹사이트로 자동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중 일부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디지털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 및 디지털 수신기에 각각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는 각각의 디지털 수신기별로 그에 연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을 개별 그룹 단위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접속되어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 접속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을 원격 제어하는 그룹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룹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 또는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쿠폰 발급을 위해 모바일 쿠폰 발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스케줄 관리를 위한 광고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콘텐츠 관리부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재생시간 편성표를 작성하는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 동기화 재생시 화면 분할 유형 설정 기능,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시 콘텐츠의 전체 폼 및 스토리 삽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저장되는 광고콘텐츠 저장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전송되어 재생되는 광고콘텐츠 재생단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접속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되는 사용자 콘텐츠 전송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전송하는 콘텐츠 동기화 전송단계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 화면 형태로 재생하는 복합 콘텐츠 분할화면 재생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콘텐츠 전송단계는,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전송하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수신한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운영을 웹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운영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유무선 연동방식으로 서비스 하고, 이 과정에서 유무선 연동 커뮤니티 구축과 모바일 쿠폰 시스템을 개발 적용하여 광고 전달력을 높이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필요시 자신이 직접 재작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하나의 화면에 분할화면 형태로 함께 재생시켜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내용을 전달하는 등 사용자 개인의 광고 매체로도 활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분석되어 마케팅 정보로 가공되고, 이렇게 가공된 마케팅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회사에 미래의 마케팅 자료로 제공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상품 광고의 활용 및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DS 광고 운영 방식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의 개념을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에서 디지털 영상광고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c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리스트가 관리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서 스케줄 관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의 모니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마케팅 자료의 데이터 출력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g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의 모니터를 통한 디지털 수신기의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원격제어를 위한 디지털 수신기의 설정 및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의 관리자가 긴급 공지 사항을 입력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매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의 개념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100 : 이하 “광고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10),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 사용자 단말기(140), 콘텐츠 동기화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하나 이상 저장하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가 데이터베이스 서버(110)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서버(110)의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검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전송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10),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 사용자 단말기(141,143), 콘텐츠 동기화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100)은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 디지털 수신기(160), 그룹관리자 단말기(142,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하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1),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관리, 제어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데이터베이스(113),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의 정보를 저장한 광고 콘텐츠사 데이터베이스(114). 디지털 수신기의 관리 제어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 디지털 수신기 데이터베이스(115), 그리고 마케팅 자료가 저장되는 마케팅 자료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케팅 자료 데이터베이스(112)가 저장하는 마케팅 자료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마케팅 자료 분석부(121)에서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10)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교환하며, 또한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 및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신호 및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데이터 송수신부(125), 광고 콘텐츠 관리부(123), 콘텐츠 동기화부(124), 마케팅 자료 분석부(121), 디지털 수신기 모니터링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25)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 및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신호 및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망이 TCP/IP 프로토콜에 기반한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통신망은 TCP/IP 프로토콜에 기반한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광고 콘텐츠 관리부(123)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1)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하거나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광고 콘텐츠를 검출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25)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광고 콘텐츠 관리부(123)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을 통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방송 일정,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 콘텐츠의 동기화 재생 시 화면 분할 유형 설정 등 사전 스케줄의 설정 및 관리,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시 콘텐츠의 폼 선택 및 스토리 삽입 기능을 위한 툴을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도 5(a)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리스트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 또는 디지털 수신기(160)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관리자 단말기(170)의 모니터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 또는 디지털 수신기(160)의 그룹 관리자(170)가 각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유형, 등록일시, 사용횟수, 재생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도, 도 5(b)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가 서버의 모니터를 통해 콘텐츠를 폴더 단위로 등록 및 추가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끝으로 도 5(c)는 디지털 수신기(160)의 그룹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42)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1)를 통한 콘텐츠 등록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 또는 그룹관리자 단말기(170)의 모니터를 통해 콘텐츠의 구성, 화면 분할 유형 선택, 방송편성표의 작성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b)는 방송편성표가 사용자 단말기(143)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동기화부(124)는 동기화 프로그램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콘텐츠 동기화부(124)는 사용자 단말기(143 or 141)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입력되는 콘텐츠 정보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하여 하나의 화면에 분할된 형태로 재생되게 한다. 여기서, 동기화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만 구비되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및 사용자 단말기(141,143)의 데이터 신호 간 동기화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서 이루어져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로 전송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른 형태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이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접속한 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 간 동기화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일 수도 있다.
마케팅 자료 분석부(121)는 사용자 단말기(141,14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축적하고,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및 그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마케팅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마케팅 자료 분석부(121)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은 해당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로 제공되고,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의 관리자는 이렇게 제공되는 자사 광고 콘텐츠 및 상품, 서비스 등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을 통해 추후 마케팅 계획에 사용하게 된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 또는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의 모니터를 통해 마케팅 자료의 데이터들이 출력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현재 날씨에 따른 구매 성향 분석, 남녀 성별에 따른 제품 구입 또는 선호도 등의 성향 분석, 연령별의 각 제품별 구매 성향 분석 등 다양한 마케팅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어 각 광고 콘텐츠 사의 담당자를 들이 이를 활용하여 미래의 광고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1) 또는 그룹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2)를 통해 마케팅 자료의 데이터들이 출력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고콘텐츠 서비스사의 마케팅 담당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케팅 자료 분석부(121)의 마케팅 데이터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및 광고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모두에게 제공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이를 미래의 마케팅 계획 수립에 활용하고 사용자는 이를 상품 구매 및 광고 콘텐츠 이용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디지털 수신기 모니터링부(122)는 디지털 수신기(160)들의 설정 상태 및 작동 상태 등을 원거리에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160) 및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는 동일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되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어화면을 통해 디지털 수신기(160)들의 설정 및 작동 상태를 확인하면서 디지털 수신기(160)의 이상 작동 시 이를 통합상황실에서 즉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상 상황일 경우에는 통합상황실에서 그 즉시 디지털 수신기(160)의 작동을 정상화 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하면, 도 8a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를 통해 디지털 수신기(160)의 등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8b는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를 통해 디지털 수신기(160)들의 그룹 목록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c는 디지털 수신기(160)들의 그룹 관리자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표시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8d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 또는 디지털 수신기들의 그룹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42)에 디지털 수신기(160)의 제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8e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가 서버의 모니터에 표시된 그리드/맵 기준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그룹을 확인 후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f는 도 8e에서 특정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그룹이 선택됨에 따라, 해당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그룹이 그리드/맵 기준의 화면으로 표시되고, 이를 통해 특정 위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이 선택되면 해당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어 확인 및 제어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g는 도 8f의 표시화면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그룹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42)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d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모니터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그룹 관리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42)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원격제어를 위한 설정 및 관리화면이 표시된 상태들을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3을 돌아가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은 인터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접속되며, 이때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은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등록되어 그 인증 시에만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대한 접속이 허용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은 데이터 송수신부(133), 데이터 저장부(134), 디스플레이부(131), 스피커(135), 근거리 통신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33)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와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34)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동기화 프로그램 그리고 각종 데이터 및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41)아 그룹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142)에서 근거리 통신모듈(141a)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31)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만을 재생하거나,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이동통신 단말기(141,142)로부터 입력된 영상 정보가 동기화되어 서로 분할된 형태로 함께 표시되는 화면을 재생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한 다양한 신호 입력이 용이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스피커(135)는 광고 콘텐츠의 음향, 음성 등 소리신호를 재생한다.
마지막으로 근거리 통신모듈(132)은 이동통신단말기(141,142)와 근거리에서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모듈(132)은 블루투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돌아가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1) 또는 그룹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14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과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1)를 기준으로 그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41)는 데이터 송수신부(141e), 데이터 저장부(141f), 디스플레이부(141b), 송수화부(141c), 근거리 통신모듈(141a), 코드 판독부(14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41e)는 디지털 영상광고장치(130)와 다양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기능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41f)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전송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41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 의한 확인 또는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141)의 필요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의 재생 기능을 한다.
송수화부(141c)는 이동통신 단말기(141)를 이용한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모듈(141a)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근거리 통신모듈(132)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코드 판독부(141d)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화면의 고유식별코드를 판독하는 기능을 한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을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광고 콘텐츠는 고유식별코드를 화면에 포함하는 형태로 재생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41)가 그 코드 판독부(141d)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고유식별코드를 판독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콘텐츠 서비스사의 웹사이트로 링크되어 접속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화면에 포함되는 고유식별코드로는 바코드, 큐알코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10a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의 관리자 또는 디지털 수신기(160)의 그룹 관리자가 사전에 정해진 스케줄 이외에 긴급한 공지 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모니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작성된 긴급 공지 사항은 데이터 신호로써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은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소정 영역에 긴급 공지 사항을 분할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관리를 위해 이동 중인 다른 관리자들이 이렇게 표시되는 긴급 공지 사항을 확인하게 된다.
도 10b는 디지털 수신기(160)의 그룹 관리자가 사전에 정해진 스케줄 이외에 긴급한 공지 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42)의 화면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작성된 긴급 공지 사항은 이동통신 단말기(142)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의 근거리 통신모듈(132)로 전송되어 입력된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1a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PC,143)의 모니터를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PC,143)의 모니터를 보면서 직접 키보드를 통해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고 또한 마우스를 이용하여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편집중인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렇게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이렇게 전송된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하여 디지털 영상광고장치(130)의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소정 영역에 분할 화면 형태로 함께 재생한다.
그리고, 도 11b는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41)의 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를 작성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다음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매체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매체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110)에서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는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에서 특정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S131)에서 사용자 단말기(141)가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전송하며, 단계(S132)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은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로 전송한다. 즉, 단계(S131) 및 단계(S132)는 사용자 단말기(141)가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작성한 콘텐츠 데이터를 그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전송하고, 이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이 이렇게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를 TCP/IP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와 달리 단계(S133)은 사용자 단말기(141)가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TCP/IP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직접 전송하는 방식을 예시한 것이다.
이어서 단계(S140)에서 멀티미이더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전송된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동기화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130)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에 분할되어 동시 표시된다.
이어서 단계 (S150)에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는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에 마케팅 자료를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S160)에서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150)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서 제공된 마케팅 자료를 기준으로 모바일 쿠폰을 발급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에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단계(170)에서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120)가 모바일 쿠폰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사용자가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자신이 직접 재작한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하나의 화면에 분할화면 형태로 재생시켜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내용을 전달하는 등 사용자 개인의 광고 매체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운영을 웹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운영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유무선 연동방식으로 서비스 하고, 이 과정에서 유무선 연동 커뮤니티 구축과 모바일 쿠폰 시스템을 개발 적용하여 광고 전달력을 높이고 사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TV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분석되어 마케팅 정보로 가공되고, 이렇게 가공된 마케팅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회사에 미래의 마케팅 자료로 제공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상품 광고의 활용 및 상품 구매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광고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 서버
111: 광고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12: 마케팅자료 데이터베이스
113: 디지털 영상광고장치 데이터베이스
114: 광고 콘텐츠사 데이터베이스
115: 디지털 수신디 데이터베이스
120: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
121: 마케팅 자료 분석부 122: 모니터링부
123: 광고 콘텐츠 관리부 124: 콘텐츠 동기화부
125: 데이터 송수신부 130: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131: 디스플레이부 132: 근거리 통신모듈
133: 데이터 송수신부 134: 데이터 저장부
135: 스피커 140: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
141a: 근거리 통신모듈 141b: 디스플레이부
141c: 송수화부 141d: 코드판독부
141e: 데이터 송수신부 141f: 데이터 저장부
142: 관리자 이동통신 단말기 143: 사용자 PC
150: 광고 콘텐츠 서비스사 서버 151: 모바일 쿠폰 발급부
160: 디지털 수신기 170: 그룹관리자 단말기

Claims (12)

  1.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저장 및 검출하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수신 후 이를 재생하는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환경의 제공 및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에 사용자가 작성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두 콘텐츠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서 분할 화면 형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콘텐츠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PC 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동시에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근거리 통신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및 그 해당 상품에 대한 마케팅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마케팅 자료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동기화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 동기화부의 동기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는 그 출력화면에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코드판독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상기 코드판독부에 의한 상기 고유식별코드 판독시 해당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제공사의 웹사이트로 자동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 중 일부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디지털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 및 디지털 수신기에 각각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는 각각의 디지털 수신기별로 그에 연결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을 개별 그룹 단위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접속되어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 접속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을 원격 제어하는 그룹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유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 또는 상기 디지털 수신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콘텐츠 서비스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쿠폰 발급을 위해 모바일 쿠폰 발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스케줄 관리를 위한 광고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콘텐츠 관리부는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의 재생시간 편성표를 작성하는 기능,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 동기화 재생시 화면 분할 유형 설정 기능,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작성시 콘텐츠의 전체 폼 및 스토리 삽입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11.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저장되는 광고콘텐츠 저장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가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전송되어 재생되는 광고콘텐츠 재생단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접속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되는 사용자 콘텐츠 전송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에 전송하는 콘텐츠 동기화 전송단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와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분할 화면 형태로 재생하는 복합 콘텐츠 분할화면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콘텐츠 전송단계는,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전송하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패널이 수신한 사용자의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광고콘텐츠 통합운영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방법.
KR1020110025062A 2011-03-21 2011-03-21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20107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62A KR20120107395A (ko) 2011-03-21 2011-03-21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62A KR20120107395A (ko) 2011-03-21 2011-03-21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95A true KR20120107395A (ko) 2012-10-02

Family

ID=472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62A KR20120107395A (ko) 2011-03-21 2011-03-21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3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751A (zh) * 2015-12-14 2016-10-12 G思玛特有限公司 利用移动设备的显示屏驱动系统及方法
KR2017004324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101982327B1 (ko) * 2018-02-12 2019-05-28 정용진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KR101987772B1 (ko) * 2018-05-02 2019-06-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글라스의 영상 다중 송출시스템
KR2020002138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큐버 인터렉티브 사이니지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인덱싱 플랫폼 시스템
US20240064353A1 (en) * 2021-04-27 2024-02-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dia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242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케이티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CN106020751A (zh) * 2015-12-14 2016-10-12 G思玛特有限公司 利用移动设备的显示屏驱动系统及方法
CN106020751B (zh) * 2015-12-14 2017-10-31 天津中节能智能玻显科技有限公司 利用移动设备的显示屏驱动系统及方法
KR101982327B1 (ko) * 2018-02-12 2019-05-28 정용진 다중 송출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철역사 광고시스템
KR101987772B1 (ko) * 2018-05-02 2019-06-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글라스의 영상 다중 송출시스템
KR20200021382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큐버 인터렉티브 사이니지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인덱싱 플랫폼 시스템
US20240064353A1 (en) * 2021-04-27 2024-02-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dia monito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250B2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34401A1 (en) Personalized content process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dia
KR10198457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0490470C (zh) 控制和应用移动通信终端上的待机画面资源的方法和装置
KR20120107395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광고장치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US2013008019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299955B (zh) 图像装置和服务器
CN104322030B (zh) 用于经由手持装置安排媒体记录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05684023A (zh) 用于事件直播流的消息传递
JP2014238848A (ja) 移動端末の動作方法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CN108111917B (zh) 智能电子导向方法、装置和智能电子导向标识设备
JP2002509066A (ja) エレベータに使用する情報配信システム
CN111405224B (zh) 在线交互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83250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for customizing advertisement messages displayed on signage device
KR20110049976A (ko) Wpan 기술을 이용한 양방향 통합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5091A (ko) 무인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0758A (ko) 인터넷 주문형 광고 시스템
CN114386943A (zh) 智慧场馆运营与管理平台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Mathes et al. Context aware services in an Exhibition Environment-the mEXPRESS approach
CN101237371A (zh) 用楼宇对讲系统作为广告信息载体的传媒方法
JP2017126140A (ja) 学内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20012930A (ko) 인터넷을 통한 맞춤 광고방법 및 광고시스템
US202000925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