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381A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381A
KR20030094381A KR10-2003-7014442A KR20037014442A KR20030094381A KR 20030094381 A KR20030094381 A KR 20030094381A KR 20037014442 A KR20037014442 A KR 20037014442A KR 20030094381 A KR20030094381 A KR 2003009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list
data
transmiss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다노리야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7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택 등에 설치된 전자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알맞은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 서버(8)는 네트워크(6)를 통한 휴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를 인증하고, 네트워크(6)를 통하여, 유저 집에 설정되어 있는 고정 단말(3)에 대해, 콘텐츠 리스트를 요구하고, 그에 응하여 고정 단말(3)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네트워크(6)를 통하여, 유저 집에 설정되어 있는 고정 단말(3)에 대해, 휴대 단말(1)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에 응하여 고정 단말(3)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전화기, 핸드헬드 컴퓨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헤드폰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RECEPTION APPARATUS}
예를 들면, 자택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나 하드 디스크 레코더 등에 축적된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 AV 데이터, 그 밖의 임의의 디지털 데이터(이하, 콘텐츠 데이터라고 기술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외출처에서 이용하고 싶은 경우,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를 리무버블 미디어(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나 핸드 헬드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에 카피하고, 그것들을 외출처로 휴대해 간다. 또는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를 첨부한 전자 메일을 외출처에서 수신 가능한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미리 송신하는 방법, 소정의 서버에 미리 업로드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외출처에서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를 리무버블 미디어나 휴대 기기에 카피하는 것은 귀찮고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가 아닌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잘못하여 리무버블 미디어나 휴대 기기에 카피하여 버린 경우, 리무버블 미디어의 휴대를 잊어버린 경우 등에는 외출처에서 소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를 첨부한 전자 메일을 미리 송신하여 두는 방법은 첨부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 제한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외출처에서 음성 데이터나 AV 데이터와 같은 큰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정의 서버에 미리 업로드하는 방법은 리무버블 미디어나 휴대 기기에 콘텐츠 데이터를 카피하는것 보다도 더욱 그 처리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택 등에 설치된 전자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이용하는 경우에 이용하기 알맞은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휴대 단말(1)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고정 단말(3)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데이터 전송 서버(8)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택 등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임의의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수단과,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수단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휴대 단말인 것으로 할 수 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회선, 인터넷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방송 신호의 대역(帶域)을 이용하여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송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축적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축적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취득 수단이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적응하도록 포맷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포맷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축적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축적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과,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적응하도록 포맷 변환하는 변환 스텝과, 포맷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회선, 인터넷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방송 신호의 대역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송 방법은 리스트 및 콘텐츠 데이터중의 적어도 한쪽의 전송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의 유저에 대한 과금액(課金額)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또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적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수단과,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리스트 작성 수단이 작성한 리스트, 및 판독 수단이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콘텐츠 데이터는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적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스텝과,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작성된 리스트를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스텝과,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판독 스텝의 처리로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스텝을 포함하고, 콘텐츠 데이터는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스텝과,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작성된 리스트를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스텝과,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판독 스텝의 처리로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스텝을 포함하고, 콘텐츠 데이터는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접속되고,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이 전송 장치에 요구되고,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의 표시가 제어된다. 또한,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가 선택되고,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이 전송 장치에 요구되고,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고 재생된다.
본 발명의 전송 장치 및 방법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장치로부터의 액세스가 접수되고,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축적 장치가 특정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축적 장치에 접속된다. 또한,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가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되고, 취득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가 수신 장치에 송신되고,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취득된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 장치에 적응하도록 포맷 변환되고, 포맷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 장치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축적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이 허가되고,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가 작성되고,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작성된 리스트가 전송 장치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콘텐츠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에 공급된다.
본 발명을 적응한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서버(8)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해, 유저가 외출처로 후대하고 간 휴대 단말(1)이나 외출처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6)에 액세스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2)로, 유저 집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3), 하드 디스크 레코더(HDREC)(4),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DVCR)(5) 등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중의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저가 외출처로 후대하여 가는 휴대 단말(1)은 무선 기지국, 및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액세스하고, 유저 집으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의뢰한다. 또한, 휴대 단말(1)은 위성(10) 또는 방송 타워(11)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한다(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가 인코드된 음성 데이터인 경우, 디코드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휴대 단말(1)은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전화기, 핸드헬드 컴퓨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헤드폰 플레이어 등의 기존의 전자 기기에 상술한 기능을 부가하여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유저가 외출처에서 이용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2)는 휴대 단말(1)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액세스하고, 유저 집으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의뢰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는 위성(10) 또는 방송 타워(11)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1)과 퍼스널 컴퓨터(2)중의 휴대 단말(1)에 관해서만 언급하지만, 휴대 단말(1)에 관한 설명은 퍼스널 컴퓨터(2)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유저 집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3)는 내장하는 TV 튜너 카드 등의 기능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수신하고, 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2 방식 등에 의해 인코드하고,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퍼스널 컴퓨터(3)가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에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 등의 인코드된 AV 데이터 외에,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4) 및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는 각각,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이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2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인코드하고,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당연하지만, 퍼스널 컴퓨터(3) 내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는 인코드하여 기록한 AV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디코드하고, 대응하는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 내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는 항상, 네트워크(6)에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6)를 통한 데이터 전송 서버(8)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이하, 콘텐츠 리스트라고 기술한다)를 작성하고,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공급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 내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는 네트워크(6)를 통한 데이터 전송 서버(8)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외출처의 유저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이하, 유저 집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3) 내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를 단지 고정 단말(3)이라고 기술한다. 또한, 고정 단말(3)이 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상술한 퍼스널 컴퓨터(3) 내지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5)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고정 단말(3)과 데이터 전송 서버(8)를 접속하는 네트워크(6)중, 고정 단말(3)과 고정 단말(3)이 접속하는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까지의 회선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CATV(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 WLL(Wireless Local Loop) 등의 브로드 밴드 회선 또는 내로우 밴드 회선을 적용한다.
무선 기지국(7)은 외이어레스로 접속되는 휴대 단말(1)로부터의 통신을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중계한다.
데이터 전송 서버(8)는 네트워크(6)를 통한 휴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를인증하고, 네트워크(6)를 통하여, 유저 집에 설정되어 있는 고정 단말(3)에 대해, 콘텐츠 리스트를 요구하고, 그에 응하여 고정 단말(3)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네트워크(6)를 통하여, 유저 집에 설정되어 있는 고정 단말(3)에 대해, 휴대 단말(1)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에 응하여 고정 단말(3)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공급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송출 장치(9)는 위성(10)을 이용하는 방송망 또는 방송 타워(11)를 이용하는 지상파 방송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 리스트나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 단말(1)만을 대상으로 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전송의 개요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유저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회원 등록 정보로서, 적어도 자기의 성명, 주소, 시스템의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계좌 정보, 사용하는 휴대 단말(1)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기기 ID 등), 네트워크(6)에서 고정 단말(3)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등)를 데이터 전송 서버(8)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해 미리 통지할 필요가 있다. 회원 등록 정보는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에서, 휴대 단말(1)이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액세스하면, 데이터 전송 서버(8)는 휴대 단말(1)의 액세스에 수반하여 송신된 기기 ID에 의거하여 휴대단말(1)의 유저를 특정한다.
스텝 S2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스텝 S1에서 특정한 유저의 고정 단말(3)에 접속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고정 단말(3)은 스텝 S3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하고,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스텝 S4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고정 단말(3)로부터 공급된 콘텐츠 리스트를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스텝 S5에서, 송출 장치(9)에 의해, 콘텐츠 리스트가 위성(10)을 통하여 휴대 단말(1) 앞으로 송신된다.
스텝 S6에서, 휴대 단말(1)은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를 유저에게 제시하고 선택을 촉구한다. 이 촉구에 대응하여 유저가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1)은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하는 정보를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스텝 S7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고정 단말(3)에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고정 단말(3)은 스텝 S8에서,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하고,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스텝 S9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는 고정 단말(3)로부터 공급된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 단말(1)에서 처리하기 쉬운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스텝 S10에서, 송출 장치(9)에 의해, 포맷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가 위성(10)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는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으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1)만이 이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 데이터 전송 서버(8)는 휴대 단말(1)의 유저에 대한 과금(課金)의 정보를 생성하고 기억한다.
다음에, 도 3은 휴대 단말(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휴대 단말(1)로 될 수 있는 전자 기기(휴대 전화기, PHS 전화기, 핸드헬드 컴퓨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헤드폰 플레이어 등)가 본래 갖고 있는 기능(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통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적절히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1)을 구성하는 제어부(21)는 기록 매체(22)로부터 판독하는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조작 입력부(23)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1)의 전체를 제어한다. 기록 매체(22)에는 제어부(21)가 실행하는 제어용 프로그램 외에, 기기 ID가 기록되어 있다. 휴대 단말(1)의 외측에 마련되는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23)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고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송신부(24)는 무선 기지국(7) 및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접속하여 각종의 요구를 송신한다. 수신부(25)는 위성(10)이나 방송 타워(11)로부터 휴대 단말(1)만을 대상으로 하여 송신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버스(30)를 통하여 기억부(26)에 공급한다. 즉, 송신되는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는 휴대 단말(1)만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부(25)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록매체(22)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ID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기억부(26)는 수신부(25)에서 복호된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한다. 디코드부(27)는 기억부(26)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제어 버스(30)를 통하여, 얻어지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29)에 공급하고,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28)에 공급한다.
음성 출력부(28)는 디코드부(27)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부(29)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서, 기억부(26)에 기억된 콘텐츠 리스트를 판독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9)는 디코드부(27)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에, 도 4는 고정 단말(3)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고정 단말(3)로 될 수 있는 전자 기기(상술한 퍼스널 컴퓨터, 하드 디스크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가 본래 갖고 있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TV 튜너 등)는 적절히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고정 단말(3)을 구성하는 제어부(41)는 기록 매체(42)로부터 판독하는 제어용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고정 단말(1)의 전체를 제어한다. 기록 매체(42)에는 제어부(41)가 실행하는 제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입력부(43)는 TV 튜너(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AV 데이터를 접수하고,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인코드부(44)에 공급한다. 인코드부(44)는 입력부(43)로부터의 AV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예를 들면, MPEG2 방식)으로 인코드하고, 얻어지는 인코드된 AV 데이터(이하, 부호화 데이터라고 기술한다)를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기록 재생부(45)에 출력한다.
기록 재생부(45)는 인코드부(44)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DB)(46)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재생부(45)는 제어부(41)가 지정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46)로부터 판독하고,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디코드부(47) 또는 통신부(49)에 공급한다. 기록 미디어를 내장하는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46)는 부호화 데이터를 기억한다.
디코드부(47)는 기록 재생부(45)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AV 데이터를 복원하고,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출력부(48)에 공급한다. 출력부(48)는 디코드부(47)로부터의 AV 데이터를 모니터(도시 생략) 등에 출력한다.
통신부(49)는 휴대 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하여 송신되는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제어부(41)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49)는 리스트 작성부(50)가 작성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49)는 기록 재생부(45)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리스트 작성부(50)는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46)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 데이터의 리스트인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하고, 제어 버스(51)를 통하여 통신부(49)에 출력한다.
다음에, 도 5는 데이터 전송 서버(8)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 서버(8)를 구성하는 제어부(61)는 기록 매체(62)로부터 판독하는 제어용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의 전체를 제어한다. 기록 매체(62)에는 제어부(61)가 실행하는 제어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통신부(63)는 네트워크(6)를 통한 휴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의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 버스(68)를 통하여 인증부(65)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63)는 네트워크(6)를 통한 휴대 단말(1)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 버스(68)를 통하여 제어부(61)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63)는 제어부(61)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고정 단말(3)에 접속하고,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 단말(3)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콘텐츠 리스트를 송출부(66)에 공급하고, 콘텐츠 데이터(부호화 데이터)를 포맷 변환부(67)에 공급한다.
과금 정보 관리부(64)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회원 등록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생기는 휴대 단말(1)의 유저에 대한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과금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기입 기간의 서버에 접속하고, 과금 정보에 의거하여 결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인증부(65)는 통신부(63)로부터 입력되는 휴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의 요구에 대응하여, 액세스의 요구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으로부터 휴대 단말(1)의 유저(즉, 과금의 대상자), 접속하는 고정 단말(3)을 특정한다.
또한, 인증부(65)의 인증에 관해, 지문 인증이나 Pin code 입력을 이용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1)을 조작하고 있는 인물이 정규의 유저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송출부(66)는 통신부(63)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휴대 단말(1)만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또한, 송출부(66)는 포맷 변환부(67)로부터의 포맷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부호화 데이터)를 휴대 단말(1)만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포맷 변환부(67)는 통신부(63)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 데이터(부호화 데이터)를 휴대 단말(1)에서 처리하기 쉬운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출부(6)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데이터가 MPEG2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보다 전송하기 쉬운 MPEG4로 포맷 변환하거나, 콘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휴대 단말(1)에서 디코드 가능한 포맷(예를 들면, MP3 포맷, ATRAC3 포맷 등)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 재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한다.
다음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에서, 휴대 단말(1)의 송신부(24)는 제어부(21)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하여 무선 기지국(7) 및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접속하고,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ID를 포함한 액세스의 요구를 송신한다.
휴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에 대응하여, 스텝 S31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의 통신부(63)는 수신한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기기 ID를 인증부(65)에출력한다. 인증부(65)는 과금 정보 관리부(64)가 보존하는 해당 시스템 이용 회원의 회원 등록 정보를 검색하고, 휴대 단말(1)로부터 송신된 기기 ID에 대응하는 유저, 유저 집의 고정 단말(3)의 IP 어드레스 등을 특정한다. 스텝 S32에서, 통신부(63)는 제어부(6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고정 단말(3)에 접속하고, 콘텐츠 리스트의 송신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는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의 요구원(要求元)의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의한 접속에 대해, 스텝 S41에서, 고정 단말(3)의 통신부(49)는 휴대 단말(1)의 기기 ID 등의 요구원의 정보에 의거하여 접속의 가부를 판단한 후, 접속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 송신의 요구를 제어부(41)에 출력한다. 리스트 작성부(50)는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46)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하고, 통신부(49)에 출력한다. 통신부(49)는 리스트 작성부(50)로부터의 콘텐츠 리스트를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스텝 S33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의 통신부(63)는 고정 단말(3)로부터의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송출부(66)에 공급한다. 송출부(66)는 콘텐츠 리스트의 송신처인 휴대 단말(1)의 기기 ID를 인증부(65)로부터 취득하고, 기기 ID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암호화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이 이후, 송출 장치(9)에 의해, 고정 단말(3)의 콘텐츠 리스트가, 휴대 단말(1)만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위성(10) 또는 방송 타워(11)를 이용하는 전파 신호로서 송신된다.
스텝 S22에서, 휴대 단말(1)의 수신부(25)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자기의 기기 ID를 이용하여 복호하여 표시부(29)에 출력한다. 표시부(29)는 제어부(21)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콘텐츠 리스트와, 유저에게 선택을 촉구하는 통지를 표시한다. 이 표시를 본 유저가, 조작 입력부(23)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싶은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 조작 정보가 제어부(21)에 출력된다. 송신부(24)는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하는 정보를 무선 기지국(7) 및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스텝 S34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의 통신부(63)는 제어부(6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6)를 통하여 고정 단말(3)에 접속하고, 이동 단말(1)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를 요구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스텝 S42에서, 고정 단말(3)의 통신부(49)는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 송신의 요구를 제어부(41)에 출력한다. 기록 재생부(45)는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46)로부터, 요구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통신부(49)에 출력한다. 통신부(49)는 기록 재생부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를 네트워크(6)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송신한다(업로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단말(1)의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35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의 통신부(63)는 고정 단말(3)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포맷 변환부(67)에 출력한다. 포맷 변환부(67)는 휴대 단말(1)에서 처리하기 쉬운 포맷으로 변환하고 송출부(6)에 출력한다. 스텝 S36에서, 송출부(66)는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1)의 기기 ID를이용하여 포맷 변환한 콘텐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송출 장치(9)에 출력한다. 이 이후, 송출 장치(9)에 의해, 고정 단말(3)로부터된 콘텐츠 데이터가, 휴대 단말(1)만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위성(10) 또는 방송 타워(11)를 이용하는 전파 신호로서 송신된다.
스텝 S23에서, 휴대 단말(1)의 수신부(25)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자기의 기기 ID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디코드부(27)에 공급한다. 이 이후, 디코드부(27), 음성 출력부(28) 및 표시부(29)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된다. 즉, 디코드부(27)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디코드되고, 얻어진 영상 신호는 표시부(29)에 의해 표시되고, 음성 신호가 음성 출력부(28)에 의해 음성이 나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의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37에서, 데이터 전송 서버(8)의 과금 정보 관리부(64)는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대가로서 휴대 단말(1)의 유저에게 과금하는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과금 정보로서 기억한다. 이 과금 정보와 회원 등록 정보의 계좌 정보에 의거하여 각 유저에 대한 결제가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서버(8)의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의 설명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는 자택의 고정 단말(3)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임의의 장소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해당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외출처에서 휴대 단말(1)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서버(8)에 접속하고, 데이터 전송 서버(8)를 통하여 고정 단말(3)에 대해,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과 같은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과 같은 것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가 방송 신호에 중첩되고, 위성(10)을 통하여 휴대 단말(1)에 송신되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서버(8)와 휴대 단말(1)의 사이가 브로드 밴드형의 네트워크(70)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방송 신호에 중첩시키지 않고, 직접, 데이터 전송 서버(8)로부터 브로드 밴드형의 네트워크(70) 등을 통하여 휴대 단말(1)에 콘텐츠 리스트나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1), 고정 단말(3), 데이터 전송 서버(8)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에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킴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퍼스널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71)를 내장하고 있다. CPU(71)에는 버스(7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7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5)에는 유저가 조작 커맨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마우스,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76), 합성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출력부(77),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78), 네트워크(6)를 통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79), 및 자기 디스크(81) 내지 반도체 메모리(84)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는 드라이브(80)가 접속되어 있다. 버스(74)에는 ROM(Read Only Memory)(72) 및 RAM(Random Access Memory)(73)이 접속되어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에,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 서버(8)로서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8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8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83)(MD(Mmni Disc)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84)에 격납된 상태로 퍼스널 컴퓨터에 공급되고, 드라이브(80)에 의해 판독되고 기억부(78)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스톨되어 있다. 기억부(78)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조작 입력부(76)에 입력되는 유저로부터의 커맨드에 대응하는 CPU(71)의 지령에 의해, 기억부(78)로부터 RAM(73)에 로드되어 실행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에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이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장소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는 수신 장치에 대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장소에 위치하는 수신 장치에 대해, 전송 장치를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5)

  1.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중,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수단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휴대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회선, 인터넷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방송 신호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중,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상기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상기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6.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중,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용의 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상기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상기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7.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중,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상기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1의 요구 스텝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리스트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처리 스텝과,
    상기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유저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전송 장치에 요구하는 제 2의 요구 스텝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8.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축적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축적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적응하도록 포맷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포맷 변환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9. 축적 장치가 축적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장치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축적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축적 장치에 접속하는 접속 스텝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유저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축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적응하도록 포맷 변환하는 변환 스텝과,
    상기 포맷 변환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회선, 인터넷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방송 신호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중의 적어도 한쪽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유저에 대한 과금액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3.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수단과,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리스트 작성 수단이 작성한 상기 리스트, 및 상기 판독 수단이 판독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장치.
  14.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장치의 축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스텝과,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리스트를 상기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스텝과,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상기 판독 스텝의 처리로 판독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방법.
  15.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용의 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장치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리스트 작성 스텝과,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리스트를 상기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스텝과,
    상기 전송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축적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상기 판독 스텝의 처리로 판독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송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상기 전송 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03-7014442A 2001-05-08 2002-05-08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30094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6850A JP2002334031A (ja) 2001-05-08 2001-05-08 受信装置および方法、転送装置および方法、蓄積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1-00136850 2001-05-08
PCT/JP2002/004478 WO2002091191A1 (fr) 2001-05-08 2002-05-08 Recep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381A true KR20030094381A (ko) 2003-12-11

Family

ID=1898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442A KR20030094381A (ko) 2001-05-08 2002-05-08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14556A1 (ko)
EP (1) EP1387281A1 (ko)
JP (1) JP2002334031A (ko)
KR (1) KR20030094381A (ko)
CN (1) CN1524231A (ko)
WO (1) WO2002091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0462A1 (en) * 2002-12-05 2004-06-10 Antti Forstadius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rich calls
JP2004309795A (ja) 2003-04-07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音楽提供システム
US8559795B2 (en) 2004-06-21 2013-10-15 Cisco Technology Inc. Mobile personal video recorder
KR100654437B1 (ko) * 2004-08-14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25385B1 (ko) 2004-08-14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643282B1 (ko) 2004-11-0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JP4862200B2 (ja) * 2004-12-27 2012-01-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US20060257123A1 (en) * 2005-05-13 2006-11-16 Horozov Tzvetan T System and a method for recording a broadcast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KR100728004B1 (ko) * 2005-10-1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72392B1 (ko) * 2006-02-0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tv 채널을 이용한 콘텐트 처리 방법 및그 장치
KR100793581B1 (ko) 2006-08-29 2008-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601515B2 (en) 2006-12-28 2013-12-03 Motorola Mobility Llc On screen alert to indicate status of remote recording
US20080171562A1 (en) * 2007-01-16 2008-07-17 Age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to access and download data from a mobile device using a cellular network
GB0703695D0 (en) * 2007-02-26 2007-04-04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A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JP5011092B2 (ja) * 2007-12-27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
US9886434B2 (en) 2008-01-03 2018-02-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rogram information
US9111302B2 (en) * 2008-01-31 2015-08-18 Phm Associates Limite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retail organization
WO2009137498A1 (en) 2008-05-06 2009-11-12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content between devices
US8560730B2 (en) * 2008-05-30 2013-10-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nsfer of contact data to a navigation device
US9197413B1 (en) * 2013-02-06 2015-11-24 Rockwell Collins, Inc. Hybrid secur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3950A (en) * 1995-06-30 1997-12-30 Interm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untry specific frequency allocation
US6823225B1 (en) * 1997-02-12 2004-11-23 Im Networks, Inc.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playing audio information
US6014569A (en) * 1997-03-05 2000-01-11 At&T Corp. Mobile interactive radio
US6035281A (en) * 1997-06-16 2000-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ultiparty billing for Web access
US6480711B1 (en) * 1998-09-15 2002-11-12 Nms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ver the internet
JP2000311125A (ja) * 1999-04-28 2000-11-07 Hitachi Ltd 連携補助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連携補助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490432B1 (en) * 2000-09-21 2002-12-03 Command Audio Corporation Distributed media on-demand information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1191A1 (fr) 2002-11-14
EP1387281A1 (en) 2004-02-04
JP2002334031A (ja) 2002-11-22
CN1524231A (zh) 2004-08-25
US20040214556A1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4381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및 축적 장치, 축적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070044132A1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US74839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istributing content by querying for a selected device ID from at least two identified device IDs
CN101682743B (zh) 内容分发装置、内容分发方法、程序及内容分发系统
US20090165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nd control of multimedia content information across multimedia processing devices
US20060051055A1 (en) Content remote watching system, server apparatus for content remote watching,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content remote watching, content remote watch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6129724A1 (ja) 予約録画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録画装置および動画コンテンツ処理方法
US20070150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WO1999009718A1 (fr) Emetteur de donnees, proce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et procede de transfert de l'emetteur de donnees
JP2009543522A (ja) グローバルインタラクティブプログラムガイド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デバイス。
US88692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subscriber content
KR20080073443A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방법
EP1965317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7567793B1 (en) Inform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ethod
JP4935385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101974434B1 (ko)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JP2004096394A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テレビ受信装置及び携帯端末
EP1370082A2 (en) Broadcast receiv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JPH11146378A (ja) 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1448310B1 (ko) Iptv 중계 방법 및 장치
JP200204464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集合体及び媒体
US20080168522A1 (en) Broadcast communication converter system and method
US939233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authorized programming between a receiving device and a mobile device
JP2003319363A (ja) テレビジョン放送録画代行サービスサーバ装置
JPH08181965A (ja) 電子レンタ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