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99B1 -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99B1
KR102042599B1 KR1020130003271A KR20130003271A KR102042599B1 KR 102042599 B1 KR102042599 B1 KR 102042599B1 KR 1020130003271 A KR1020130003271 A KR 1020130003271A KR 20130003271 A KR20130003271 A KR 20130003271A KR 102042599 B1 KR102042599 B1 KR 10204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terminal
receiving device
distributed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248A (ko
Inventor
손정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0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Description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Method for providing distributed broadcasting servic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영화, 음악, 게임, 증권, 미디어, 뉴스 등),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솔루션(solution) 및 소프트웨어(software)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채팅 서비스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기술의 발달로 그 종류가 더욱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N 스크린(N-Screen) 서비스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기기에서 연속적으로 서비스하는 기술 또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정에서 TV로 보던 영화나 방송을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으로 이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어 보기 서비스는 물론이며 TV를 시청하면서 그와 관련된 추가 정보들도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만, 기존 모바일 TV 서비스의 경우 실시간 방송을 전송하기 위해 방송 센터에서 각 단말로 방송신호를 직접 송출하는데, 단말기 숫자가 늘어나 방송 센터에 동시 접속자가 늘어나면 서버 증설 등에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단말에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단말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부하 및 무선 네트워크 구간에서의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다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및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고,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제1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다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기능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방송 센터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단말에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시 접속자의 증가로 인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송 수신 장치 중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단말에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방송 신호와 단말에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구간에서의 트래픽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이동을 인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재선택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분산 방송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센터(110), 방송 수신 장치(120), 분산 방송 관리 장치(130), 단말(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송 센터(110)는 사용자에게 실시간 TV(linear TV) 서비스 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장치(또는 서버)를 의미한다. 여기서, 서비스 사업자는 관세나 계약을 기반으로 고객이나 다른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퍼레이터를 의미하며, 서비스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도 운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는 또 다른 서비스 사업자의 고객이 될 수도 있으며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간 TV(Linear TV)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단말 장치로의 연속적인 스트림 플로우에서의 텔레비전 서비스를 의미하고, 사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간적인 순서를 제어할 수 없다. 콘텐츠는 하나의 서비스에 사용된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등과 같은 소재를 의미하며,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장치(120)는 방송 센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방송 센터(11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TV 혹은 콘텐츠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는 방송 센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40)에게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12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하는 장치(또는 서버)를 의미한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130)는 원활하게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120)의 위치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2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140)은 방송 센터(11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TV 혹은 콘텐츠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종단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즉, 방송 센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방송 수신 장치(120) 및/또는 단말(14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주변장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탑박스(set-top box), OTT(Over-The-Top) TV, 스마트 TV 등과 같은 TV 셋, 모니터, VoIP 터미널 또는 오디오 비주얼 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네트워크(150)는 방송 수신 장치(120), 분산 방송 관리 장치(130) 및 단말(14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방송 통신망,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WLAN(Wireless LAN)(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120)와 단말(140) 간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인접 자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는 실시간 TV 서비스의 경우 실시간 방송을 전송하기 위해 방송 센터에서 각 단말로 방송신호를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방송 센터에 접속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의 숫자가 늘어나면, 늘어난 단말의 숫자에 비례하여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데 부하가 가중되게 된다. 결국, 방송 센터에 동시 접속자가 늘어나면 방송 센터의 서버 증설 등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3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센터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STB)에 전송하는 실시간 방송신호(IPTV 방송 신호, 이하 '주 방송 신호'라고 한다.)와 함께 사용자 단말을 위한 추가 방송 신호를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수신 장치(STB)는 방송 센터에서 전송되는 주 방송 신호는 처리하여 출력하나, 단말로부터 추가 방송 신호의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방송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추가 방송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바로 폐기할 수 있다.
추가 방송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STB)에 접속한 단말에 전달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의미한다. 즉, 추가 방송 신호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주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단말에 출력하기에 적합한 화질/음질을 가지는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STB)가 수신하는 주 방송 신호가 HD(High Definition) 신호인 경우, HD 신호를 그대로 단말에 전송하게 되면, 열악한 단말의 성능에 따라 방송 신호의 처리 용량이 초과하게 되고, 결국 수신한 방송 신호를 원활히 출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신한 방송 신호를 폐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STB)의 위치 정보와 방송 센터에서 전송되는 추가 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 및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즉 단말의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STB)는 고정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STB)의 IP 대역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STB)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번호 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1) 먼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분산 방송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2)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특정 지점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TV 신호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현재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유효한 방송 수신 장치(STB)의 접속 주소를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STB의 접속 주소는 방송 수신 장치(STB)에 할당된 IP 주소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해당 방송 수신 장치(STB)의 인증키(authentication key)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STB)의 인증키는 추가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단말이 유효한 지 여부를 방송 수신 장치(STB)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각 방송 수신 장치(STB) 별로 설정된 고유의 키를 의미한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의 일례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셀 정보인 RF 전파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이동 통신망에 포함된 네트워크 노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위치 측정 방식의 일례로 단말 내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GPS 측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과 위치 측위에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내에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 단말은 분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STB)의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STB)에 접속하여 추가 방송 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STB)의 IP 주소를 통해 STB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단말이 방송 수신 장치(STB)가 연결된 게이트웨이(G/W: Gateway) 또는 유무선 라우터(router)의 IP 주소를 통해 접근하게 되면 G/W 또는 라우터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방식으로 할당되는 여러 장치 중에서 지정된 고정 IP로 할당되어 있는 방송 수신 장치(STB)로 데이터 포워딩(forwarding)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이 방송 수신 장치(STB)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STB)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 수신 장치(STB)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로부터 추가 방송 신호의 전송을 요청 받은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추가 방송 신호를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요청한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산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STB)의 숫자만큼 더 많은 동시 접속자를 커버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에 제공하는 추가 방송 신호를 주 방송 신호와 구분함으로써, 무선 구간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단말에 최적화된 화질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앞서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혹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S401). 여기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각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센터에서 전송되는 추가 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 즉 방송 수신 장치가 유효한지 여부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분산 방송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3).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자체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로부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고(S405), 선택한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407). 여기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유효한 방송 수신 장치 중에서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를 이용해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한다(S409).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4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앞서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혹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즉 단말의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S501).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분산 방송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503). 여기서, 단말이 자체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로부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505). 여기서, 단말의 식별자의 일례로, 단말의 가입자 번호(예를 들어, 전화 번호) 및/또는 단말 기기의 MAC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와 인증 과정은 별개로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말은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또는 단말 기기의 MAC 주소를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가 단말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해당 단말에 인증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의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산 방송 관리 장치가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고(S507), 선택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509). 여기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이용해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수신한 인증키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한다(S511).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키가 방송 수신 장치에 저장(혹은 등록)된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다(S513).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키와 방송 수신 장치에 등록된 인증키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해당 단말에 인증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의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를 재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 수신 장치가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말의 인증에 성공한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51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앞서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혹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S601).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분산 방송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03). 여기서, 단말이 자체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로부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를 선택하고(S605), 선택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607). 여기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 및/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의 주소 정보를 이용해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에 전송한다(S609).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611).
이후,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주기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이동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를 재선택하고(S613), 선택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615).
한편, 단말이 자체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단말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이동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를 재선택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이동을 인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재선택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이동 전 단말 주변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1, 방송 수신 장치 2, 방송 수신 장치 3 중에 단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1을 선택하고, 방송 수신 장치 1의 주소를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단말이 이동하게 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현재 단말 주변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2, 방송 수신 장치 4, 방송 수신 장치 5 중에 단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2를 재선택하고, 방송 수신 장치 2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반면, 단말이 이동하더라도 단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에 새로운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이동 전 단말 주변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1, 방송 수신 장치 2, 방송 수신 장치 3 중에 단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2를 선택하고, 방송 수신 장치 1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단말이 이동성(mobility)로 인하여 단말이 이동하게 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현재 단말 주변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 2, 방송 수신 장치 4, 방송 수신 장치 5 중에 단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여전히 방송 수신 장치 2이므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에 새로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단말은 계속하여 방송 수신 장치 2로부터 추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의 주소 정보를 이용해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에 전송한다(S617).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619).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앞서 도 3 내지 도 5 또는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혹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도 3 내지 도 5 또는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S801).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단말은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분산 방송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803). 여기서, 단말이 자체적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로부터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방송 수신 장치 중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후보 방송 수신 장치들을 선택하고(S805), 선택한 후보 방송 수신 장치들의 주소 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S807). 여기서,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후보 방송 수신 장치들의 주소 정보 및/또는 후보 방송 수신 장치들의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분산 방송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며, 각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 및/또는 인증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수신 장치에서 단말로 실시간 방송 신호를 송출하던 중 더 이상 송출이 불가하거나 혹은 다른 방송 수신 장치와 단말 간의 무선 채널 상태가 보다 양호할 때 단말은 다른 방송 수신 장치로 즉시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우선 순위(priority)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는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에 포함된 방송 수신 장치 중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는 순서를 의미한다. 또한,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는 해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우선 순위가 아닌 단말이 제일 먼저 접속을 시도해야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혹은 제일 먼저 접속을 시도해야 하는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의 주소를 이용해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에 전송한다(S809).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811).
이후, 단말은 수신하는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을 주기적으로 판단한다(S813). 구체적으로, 단말은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세기, 오류율 등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임계치 이상(혹은 초과)인 경우에 단말은 기존의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1)로부터 계속하여 추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S815 단계 이후의 과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임계치 미만(혹은 이하)인 경우를 가정한다.
단말이 판단한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혹은 이하)인 경우, 단말은 추가 방송 신호를 요청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를 재선택한다(S815).
앞서 도 7의 (a)의 경우를 다시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단말의 이동 전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로 방송 수신 장치 1 내지 방송 수신 장치 3의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 1로부터 추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방송 수신 장치 1로부터 전송되는 추가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임계치 미만(혹은 이하)이라고 판단되면, 단말은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에 포함된 방송 수신 장치 2 또는 방송 수신 장치 3을 재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에 우선 순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 2 및 방송 수신 장치 3 중 우선 순위가 높은 방송 수신 장치를 먼저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후보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에 우선 순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방송 수신 장치 2 및 방송 수신 장치 3 중에서 임의로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한 단말은 재선택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의 주소를 이용해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에 전송한다(S817).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방송 수신 장치 2)는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주 방송 신호 및 추가 방송 신호 중 추가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에 전송한다(S819).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분산 방송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송수신부(101), 제어부(102) 및 저장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01)는 방송 수신 장치 및/또는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3)는 분산 방송 관리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0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3)는 제어부(102)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송수신부(101) 및 저장부(103)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도 1 내지 도 9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11), 저장부(112), 입력부(113), 출력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단말은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11)는 분산 방송 관리 장치 및/또는 방송 수신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신호를 통해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송수신부(111)는 GPS 신호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추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12)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12)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2)는 제어부(115)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13)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입력부(113)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3)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4)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114)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출력부(114)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터치 스크린), 출력부(114)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출력부(114)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출력부(114)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115)로 전송된다. 이로써, 제어부(115)는 출력부(114)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15)는 송수신부(111), 저장부(112), 입력부(113) 및 출력부(114)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도 1 내지 도 9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안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방송 센터 120: 방송 수신 장치
130: 분산 방송 관리 장치 140: 단말
150: 네트워크 101: 송수신부
102: 제어부 103: 저장부
111: 송수신부 112: 저장부
113: 입력부 114: 출력부
115: 제어부

Claims (24)

  1.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상기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단계;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상기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다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2.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고,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상기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인지 인증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인증키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장치.
  17.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및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고,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단말.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가입자 번호 및 상기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단말.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산 방송 관리 장치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다른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23.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에 분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는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선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
    상기 단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기능;
    상기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기능; 및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제1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4. 방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하여 단말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방송 신호 수신을 요청하기 위한 분산 방송 요청 메시지를 분산 방송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
    상기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변경된 단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재선택하는 기능;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재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에 접속하여 제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전송되는 제2 방송 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03271A 2013-01-11 2013-01-11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204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71A KR102042599B1 (ko) 2013-01-11 2013-01-11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71A KR102042599B1 (ko) 2013-01-11 2013-01-11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248A KR20140091248A (ko) 2014-07-21
KR102042599B1 true KR102042599B1 (ko) 2019-11-08

Family

ID=5173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71A KR102042599B1 (ko) 2013-01-11 2013-01-11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919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KR101273909B1 (ko) * 2008-10-28 2013-06-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효율적 연결을 위한 추천 시스템, 추천 방법, 서비스 서버,종단 단말기, 연결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297164B1 (ko) * 2008-10-28 2013-08-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종단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컨텐츠 중계 방법, 저장 매체, 어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248A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43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device handover
US10327148B2 (en) Method and system providing local data breakout within mobility networks
US9912999B2 (en) System for managing media services
US10750123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integrated femtocell and residential gateway device
US10341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application services
US201601741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nfiguration
US999268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dapting operations of a communication device
US11507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US20150201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channel
US20180014083A1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Via Public Wi-Fi Network
JP2015529043A (ja) デジタル放送tvネットワーク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
US20200404558A1 (en) Digital Media Delivery
US10368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authent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2042599B1 (ko)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600948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locally
KR10114675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서 서비스 신호 수신 장치
KR20130020290A (ko)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