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290A -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290A
KR20130020290A KR1020110082833A KR20110082833A KR20130020290A KR 20130020290 A KR20130020290 A KR 20130020290A KR 1020110082833 A KR1020110082833 A KR 1020110082833A KR 20110082833 A KR20110082833 A KR 20110082833A KR 20130020290 A KR20130020290 A KR 2013002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열
설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8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290A/ko
Publication of KR2013002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한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으로 이동이 빈번한 단말에서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는 컨텐츠를 공유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허브 등을 통하여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에 제한되거나, 사전에 단말에 ID를 수동으로 등록하거나, 인증서버를 통하여 ID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에 한정되어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였다. 즉,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단말을 선택하기 위해 별도로 단말을 등록하거나 미디어 허브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 1 선행 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11-0012220호에는 “이어보기 정보 공유기능을 갖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아 재생하며 이어보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한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보기 가능한 후보 단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 공유 서버로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부,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부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후보 단말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후보 단말 표시부를 포함하되,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 재생 단말이 접속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인 컨텐츠 재생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가 위치정보를 매핑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라우터(300)와 접속할 수 있으며, 라우터(300)의 각 포트는 네트워크(4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집으로 인입되어, 제 1 주소(410) 및 제 2 주소(420)에 해당하는 각 단말들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이 제 1 주소(410)에 해당하는 라우터(300)의 소정의 포트와 연결되어 네트워크(40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제 4 단말(140), 제 5 단말(150) 및 제 6 단말(160)이 제 2 주소(420)에 해당하는 라우터(300)의 소정의 포트와 연결되어 네트워크(400)에 접속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 받으면, 사용자 단말(100)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여,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10)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컨텐츠 공유 요청을 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 1 단말(110)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한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 즉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및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IPTV, 인터넷 TV,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210), 위치정보 추출부(230) 및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를 포함한다.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라우터(300)와 동일한 라우터(300)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위치정보 추출부(230)가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는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210), 위치정보 저장부(220), 위치정보 추출부(230),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 공유 대상 단말 정보 수신부(260), 공유 알림 신호 전송부(270) 및 재생 정보 제공부(280)를 포함한다.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정보 저장부(220)는 라우터(300)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위치정보 저장부(220)는 라우터(300)의 포트번호와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매핑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 설치된 사용자의 설치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라우터(300)와 동일한 라우터(300)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위치정보 저장부(220)에 의해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라우터(300)의 포트번호와 매핑된 사용자의 위치정보인 설치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주소는 라우터(300)의 포트가 연결된 집, 아파트 등 건물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추출된 설치 주소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라우터(300)의 포트번호와 동일한 라우터(300)의 포트번호로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설치 주소가 라우터(300)의 복수 개의 포트번호와 매핑된 경우,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위치정보 저장부(220)에 의해 생성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된 설치 주소와 매핑된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추출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도 추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설치 주소에서 라우터(300)의 복수 개의 포트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설치 주소와 매핑된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그 설치 주소에서 접속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 단말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는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즉,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는 위치정보 추출부(230)로부터 추출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의해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는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의 전원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상태 정보는 단말의 전원이 ON/OFF 상태에 대한 정보이며,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이다. 이로써,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250)는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 중 전원이 ON 되어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 대상 단말 정보 수신부(260)는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 중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공유 대상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 중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면, 공유 대상 단말 정보 수신부(260)는 공유 대상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유 알림 신호 전송부(270)는 공유 대상 단말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공유 알림 신호 전송부(270)는 공유 대상 단말로 공유 알림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공유 대상 단말은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재생 정보 제공부(280)는 공유 대상 단말로부터 공유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공유 대상 단말로 컨텐츠의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제공한다.
즉, 공유 대상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면,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공유 대상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공유 대상 단말은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서버(500)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공유 가능한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중에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집 이외의 장소에서도 번거로운 절차 없이 간편하게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위치정보를 매핑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위치정보를 매핑하는 테이블은 라우터, 라우터의 포트번호 및 설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터 1’에 대한 매핑 테이블은 ‘라우터 1’의 각 포트번호와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인 설치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트 1’은 ‘집주소 1’, ‘포트 2’는 ‘집주소 2’, ‘포트 3’은 ‘집주소 1’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위치정보 추출부(230)로부터 추출된 설치 주소가 라우터(300)의 복수 개의 포트번호와 매핑되는 경우,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된 설치 주소와 매핑된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추출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의 포트번호가 ‘라우터 1’의 ‘포트 1’인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 1’의 ‘포트 1’과 매핑된 ‘집주소 1’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집주소 1’은 ‘라우터 1’의 ‘포트 1’뿐만 아니라, ‘포트 3’과도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정보 추출부(230)는 ‘집주소 1’과 매핑된 ‘포트 1’ 및 ‘포트 3’에 접속된 모든 사용자 단말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5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500)은 컨텐츠 공유 요청부(510), 후보 단말 정보 수신부(530) 및 후보 단말 표시부(550)를 포함한다.
컨텐츠 공유 요청부(510)는 컨텐츠 공유 서버(600)로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공유 서버(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후보 단말 정보 수신부(530)는 컨텐츠 공유 서버(600)로부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수신한다.
여기서, 후보 단말의 리스트는 컨텐츠 재생 단말(500)이 접속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후보 단말 표시부(550)는 수신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후보 단말 표시부(550)는 컨텐츠 재생 단말(500)의 화면으로 수신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단말(500)은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요청하되,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보 단말의 리스트 중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 가능한 단말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 1 사용자 단말(170)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610), 제 1 사용자 단말(170)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620).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추출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170)로 전송한다(S630).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 중 제 1 사용자 단말(170)에 의해 선별된 공유 대상 단말인 제 2 사용자 단말(18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S640).
이후,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 2 사용자 단말(180)로 공유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S650), 제 2 사용자 단말(180)이 공유 대상 단말로 선택되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제 2 사용자 단말(180)로부터 공유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S660), 제 2 사용자 단말(180)로 컨텐츠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전송한다(S670). 이로써, 제 2 사용자 단말(180)은 수신된 재생 정보에 따라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500)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사용자 단말(502)이 제 2 사용자 단말(504)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 서버(600)는 제 1 사용자 단말(502)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710), 제 1 사용자 단말(502)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며(S720),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한 후보 단말 리스트를 제 1 사용자 단말(502)로 전송한다(S730).
제 1 사용자 단말(502)는 후보 단말 리스트 중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 단말인 제 2 사용자 단말(504)에 대한 단말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600)로 전송한다(S740).
이후, 컨텐츠 공유 서버(600)는 제 2 사용자 단말(504)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요청하고(S750), 제 2 사용자 단말(504)은 재생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600)로 전송한다(S760).
컨텐츠 공유 서버(600)는 제 2 사용자 단말(504)로부터 수신된 재생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502)로 전송한다(S770).
이로써, 제 1 사용자 단말(502)은 수신된 재생 정보에 따라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504)는 컨텐츠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 재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는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는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램 모듈는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는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는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는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는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컨텐츠 제공 서버
210: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 220: 위치정보 저장부
230: 위치정보 추출부 250: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
260: 공유 대상 단말 정보 수신부 270: 공유 알림 신호 전송부
280: 재생 정보 제공부 300: 라우터
400: 네트워크 500: 컨텐츠 재생 단말
510: 컨텐츠 공유 요청부 530: 후보 단말 정보 수신부
550: 후보 단말 표시부 600: 컨텐츠 공유 서버

Claims (18)

  1.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수신부,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한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는 상기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해당 사용자의 위치정보인 설치 주소를 매핑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공유 대상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공유 대상 단말 정보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상 단말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공유 알림 신호 전송부,
    상기 공유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공유 대상 단말로 상기 컨텐츠의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제공하는 재생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는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매핑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인 설치 주소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설치 주소가 상기 라우터의 복수 개의 포트번호와 매핑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는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설치 주소와 매핑된 상기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도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단말 정보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공유 가능한 후보 단말의 전원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컨텐츠의 이어보기 재생 정보도 수신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10.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이어보기 가능한 후보 단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d) 상기 이어보기 가능한 후보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별된 공유 대상 단말로 이어보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유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이어보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공유 대상 단말로 상기 이어보기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에 접속된 모든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매핑하는 테이블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설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매핑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상기 라우터의 복수 개의 포트번호와 매핑되는 경우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와 매핑된 상기 라우터의 포트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라우터의 포트번호와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도 추출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이어보기 가능한 후보 단말의 전원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보기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7.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어보기를 수행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서버로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부,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부터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후보 단말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후보 단말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는 상기 컨텐츠 재생 단말이 접속된 라우터와 동일 라우터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인 컨텐츠 재생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이어보기 재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재생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
KR1020110082833A 2011-08-19 2011-08-19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30020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33A KR20130020290A (ko) 2011-08-19 2011-08-19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33A KR20130020290A (ko) 2011-08-19 2011-08-19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290A true KR20130020290A (ko) 2013-02-27

Family

ID=4789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833A KR20130020290A (ko) 2011-08-19 2011-08-19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0147B (zh) 经由第二显示设备共享因特网资源或内容url的方法和装置
US9591042B2 (en) In-house location based services
US8806577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device server
CA2824365C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US10172116B2 (en) Messaging abstraction in a mobile device server
US86215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vailable IPTV devices on a network
US201503413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Communication
US11507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information
KR20130041600A (ko) 이종 플랫폼 단말 간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56393B2 (en) Recording option for advertised programs
US101718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ternet assets or content URLs via a second display device
KR101445260B1 (ko) 콘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단말, 서버 및 방법
US10211938B2 (en) Local channels anywhere
KR102190785B1 (ko) 연동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셋탑박스, 서버 그리고 모바일 단말
KR20130020290A (ko) 위치정보 기반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US20120124616A1 (en) Mobile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80921B1 (ko) 아이피티브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977346B1 (ko) Iptv 기반의 컨텐츠 선물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810635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KR20130078033A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24997A1 (en) Video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2042599B1 (ko)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30091405A (ko) 시청자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JP6408325B2 (ja) 通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870782B1 (ko)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