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919A -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919A
KR20090017919A KR1020070082443A KR20070082443A KR20090017919A KR 20090017919 A KR20090017919 A KR 20090017919A KR 1020070082443 A KR1020070082443 A KR 1020070082443A KR 20070082443 A KR20070082443 A KR 20070082443A KR 20090017919 A KR20090017919 A KR 2009001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sensitivity
reception
broadcast
location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919A/ko
Publication of KR2009001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방송채널에 대한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체크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된 수신감도가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방송표시모드 화면을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하는 모드 변경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 변경부에 의해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로부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인 방송 시청 가능지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하여 방송 시청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감도 저하로 방송시청이 어려운 경우, 주변 위치별 수신 감도 데이터에 기초한 최적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방송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방송신호 수신감도, 위치별 수신감도 데이터, 임계값, 모드 변경.

Description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POSITION OFFER, AND BROADCASING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방송신호의 최적 수신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별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데이터를 근거로 전파 수신율이 가장 좋은 위치를 검색 제공하여 원활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위치 검색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신기를 통해 야외나 이동 중에도 방송시청이 가능한 DMB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DMB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DMB와 위성DMB로 구분된다. 상기 DMB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방식에 따라 DMB 방송국 또는 위성 DMB 방송국에서 송출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DMB 수신기로서의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 예컨대, DMB폰, DMB-PDA, PMP, 휴대용 컴퓨터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DMB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상기 DMB 서비스는 어느 한 장소에서 DBM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보다 이동하면서 시청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그런데 장소 이동을 하는 경우 전파 수신율이 일정하게 수신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한 장소에서는 전파 수신율의 수신감도가 양호하여 정상적으로 DMB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지만, 이동한 장소가 약전계에 속한 경우, 전파 수신율의 수신감도가 불량하게 되고, 따라서 DMB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와 같은 수신감도가 불량인 지역, 즉 약전계에서 DMB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방송 수신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전파 수신감도에 따라 단말장치에 표시된 안테나 바(Bar)의 갯수가 줄어들고 아울러 "신호가 미약합니다'와 같이 전파 수신상태가 좋지 않음을 표시하게 된다(도 1참조).
이때 사용자는 현재 수신 상태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어느 장소에서 DMB 프로그램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파 수신상태가 더 좋은 장소로 가려고 하는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는다. 즉 어느 장소가 전파 수신상태가 좋은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전파 수신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그 상태 그대로 DBM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위치에 계속 머물려 있게 되고 DMB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이 전파 수신감도가 좋지 않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별 수신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파 수신율이 가장 좋은 위치를 검색,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하는 수신 위치 검색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현재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체크부; 상기 수신감도가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수신감도체크부에 의해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전달받고, 그 중 가장 수신감도가 큰 위치정보를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현재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체크부; 상기 체크된 수신감도가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방송표시모드 화면을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하는 모드 변경부; 그리고, 상기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로부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인 방송 시청 가능지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하여 방송 시청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DB화 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DB화 한 제1저장영역과, 상기 수신감도 체크와 상기 모드 변경시 출력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저장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1저장영역을 액세스하여 신호 미약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방송표시모드 화면에서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될 때에는 상기 제2저장영역을 액세스하여 모드변경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에는,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의 수신전파 세기가 숫자와 신호 바(signal bar)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고, 상기 모드 변경시 출력되는 메시지도 함께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가 둘 이상인 경우, 그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거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수신위치 검색장치를 구비하고, 방송 시청이 불가한 경우, 상기 수신위치 검색장치에 의해 검색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장소에서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는 방송단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현재 수신중인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수신감도가 미리 설정된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주변 위치별로 방송신호의 수신 감도를 검색한 후 최적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현재 표시되는 방송시청화면을 수신위치 검색화면으로 화면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수신위치 검색화면에서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표시/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면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화면모드 변경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수신위치 검색화면에서의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는 수신감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신호 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가 둘 이상인 경우, 그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 중, 방송신호의 수신감도가 약해져서 정상적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주변 위치별로 각각 체크된 수신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이 가능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을 계속하여 시청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휴대 가능한 방송단말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방송신호 수신감도 저하로 인해 방송시청이 불가한 경우, 현재 위치 대비 주변 위치의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 중에서 최적의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갖 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송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방송단말장치에 위치별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수신위치를 제공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타 제품에 대한 제품 경쟁력 우위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위치 검색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위치 검색 장치가 구비된 방송단말장치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방송단말장치(100)의 전체구성을 살펴보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0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는 DMB 신호를 예로 든다.
상기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되는 DMB 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 체크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수신감도는 전체 수신 에너지와 신호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신감도를 체크한다. 즉 상기 전체 수신에너지에서 신호에너지를 차감하면 노이즈(Noise)에 해당하는 강도가 계산되고, 그러면 신호대 잡음률(SNR:signal-to-noise ratio)(dB)를 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SNR를 '1dB-100dB'의 범위로 제공하고, 이하에서는 방송신호 수신감도로 칭해 설명하고, 또 그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미리 설정 된 임계값 이하로 나타나면 방송신호의 수신이 불량함을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임계값은 60dB로 지정한다. 즉 60dB 이하로 되면 방송 시청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파 수신감도는 그래픽 사용자 인퍼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가 지원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102)에 의해 현재 장소에서의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되면 '신호가 미약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현재 방송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있는 방송표시모드 화면을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하는 모드 변경부(104)가 구비된다.
상기 모드 변경부(104)에 의해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되면, 변경시 '최적 수신감도 지역을 검색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고, 또 신호의 수신감도는 숫자/신호 바 형태로 표시된다. 또 상기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에서는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102)에 의해 실시간으로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데이터를 상기 숫자/신호 바 형태로 표시하면서 그 값을 후술하는 저장부(106)의 제 1저장영역(106a)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06)는 상기 제1저장영역(106a)과 함께 제2저장영역(106b)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저장영역(106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2저장영역(106b)은 상기 모드 변경 및 주변 위치 방송신호 수신감도 체크시, 그리고 최적의 수신위치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메시지가 저장된다. 상기 메시지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것과 같이, '신호가 미약합니다', '최적 수신감도 지역을 검색합니다', 가까운 위치 에 수신감도 최적의 장소가 있습니다', '현재 위치에서 **방향으로 **미터 전방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에서는 DMB 안테나를 뽑게 되면 DBM 방송의 시청이 가능합니다' 등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인 수신감도체크부(102), 모드변경부(104), 저장부(106)를 제어하며, 상기 저장된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데이터 중에서 임계값 이상이 있는지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따라 최적의 수신위치정보가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8)가 구비된다. 즉 제어부(108)는 방송신호 시청 불가인 지역에서 주변에 시청 가능 지역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치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의 방송단말장치(100)에는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채널 선택, 볼륨 조절, 저장명령어 등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키 버튼들이 배열된 사용자 입력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한 DMB 채널이 선택되면, 그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채널의 신호를 선택 복조하여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역다중화부(114)로 출력하는 DMB 튜너(112)가 구비된다. 상기 역다중화부(114)는 수신된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역다중화 하여 부호화 영상 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를 비디오 복원부(116), 오디오복원부(118)로 각각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디오 복원부(116)는 수신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MPEG-4 디코딩하여 부호화 영상을 디코딩하고 신호처리하여 표시부(120),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에 수신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오디오 복원부(118)는 수신된 부 호화 음성 데이터를 MPEG-4 디코딩하여 스피커(122)를 통하여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이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수신 위치를 검색/제공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위치 제공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와 같이 구성된 방송단말장치(즉 DMB 방송 휴대용 장치)(100)가 동작하면(S200), 제어부(108)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입력부(110)에 배열된 채널 선택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채널 선택 버튼 조작에 의해 소정 방송 채널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채널 선택 신호는 DMB 튜너(112)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DMB 튜너(112)는 상기 채널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의 DMB 프로그램을 수신 복조하여 부호화 영상/음성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DMB 튜너(112)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는 역다중화부(114)에 의해 부호화 영상 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며, 비디오 복원부(116)와 오디오 복원부(118)를 통해 해당 영상정보는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음성정보는 스피커(122)를 통해 출력한다(S202).
이와 같이 선택 채널에 대해 안테나(101)를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이를 시청하게 된다(S204).
이때, 수신감도체크부(102)는 상기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되는 현재 방송채널에 대한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한다(S206). 상기 방송신호 수신 감도는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다. 즉 아래의 알고리즘은 수신감도를 계산해내는 실제 코드이다.
[수신감도 계산 알고리즘]
Figure 112007059244713-PAT00001
상기 수신감도체크부(102)는 상기 수신감도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108)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전달받은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확인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지를 판단한다(S208).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60dB 이하이면 방송시청이 어려운 상태이고, 60dB이상이면 DMB 방송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08)에 의해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인 60dB 이하로 체크되면 방송 시청이 어렵고, 따라서, 상기 제어부(108)는 저장부(106)의 제2저장영역(106b)을 액세스하여 '최적 수신감도 지역을 찾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08)는 모드변경 부(104)를 제어하여 방송표시모드 화면을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한다(S21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방송단말장치(100)의 위치가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102)는 현재 위치/조건에서의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상기 체크된 방송신호 수신감도는 제어부(108)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08)는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의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숫자 및 신호 바 형태로 표시하면서, 각각의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데이터를 저장부(106)의 제 1저장영역(106a)에 저장한다(S212).
그와 같이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저장되는 시간에는 일단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제 1저장영역(106a)에 저장된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중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60dB) 이상의 값이 있는가를 검색한다(S214).
그래서 상기 검색결과 상기 임계값 이상의 값이 존재하면(S216의 예), 상기 제어부(108)는 방송 시청 가능 지역이 주변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 예컨대 '가까운 위치에 수신감도 최적의 장소가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그 위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방향으로 **미터 전방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는 '현재 위치에서는 DMB 안테나를 뽑게 되면 DBM 방송의 시청이 가능합니다'와 같이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안내된 위치정보에 따라 그 위치로 장소 이동하여 방송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검색결과 상기 임계값 이상의 값이 존재하면(S216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08)는 '신호가 미약합니다'와 같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후 제222단계에서 방송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제202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방송채널이 변경되지 않으면, DMB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종료된다.
한편 상기 방송신호 수신감도 중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값이 복수개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감도 중에서 가장 수신감도가 큰 장소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감도 중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장소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수신감도가 큰 장소의 위치정보 또는 가장 가까운 장소의 위치정보는 병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더 넓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원활한 방송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복수 개라 할지라도, 검색된 복수 개의 모든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방송 시청을 하고자 하는 장소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4a 내지 도 4e는 방송단말장치의 표시부에 수신위치의 안내 과정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 예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방송단말장치에서 정상적으로 DMB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예다.
도 4a와 같은 화면모드에서 DMB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도중,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위치에 따라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수신감도가 약해지면, 도 4b와 같이 표시부에 '신호가 미약합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화면 출력된다. 이때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수신감도를 나타내는 신호 바의 갯수가 현저하게 줄어듬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4b의 화면모드는 다시 도 4c와 같이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된다. 상기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에는 최초에 '최적 수신감도 지역을 검색합니다.'의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에서는 제어부(108)가 현재 장소 대비 주변 위치별 방송신호 수신감도 데이터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그 값을 저장부의 제 1저장영역(106a)에 저장하게 된다. 즉 방송단말장치(100)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실시간으로 임의의 위치에 대한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표시되고 저장된다. 상기 표시상태의 예는, 도 4d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어느 한 장소의 수신감도 값이 소정 시간동안 표시된 후 저장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 그 장소의 수신감도 값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저장된 수신감도 값을 참조하여 주위에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위치가 있는 경우, 도 4e와 같이 방송단말장치(100)의 표시부(120)에 '가까운 위치에 수신감도 최적의 장소가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구체적으 로 '현재 위치에서 **방향으로 **미터 전방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와 같이 시청 가능한 위치를 상세하게 알려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한 위치정보에 따라 그 장소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시청이 어려운 경우, 화면모드 변경없이 현재 방송신호를 재생하고 있는 화면 모드에서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체크하면서, 그 수신감도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서 숫자/신호 바 형태로 표시/저장하고, 이후 최적의 장소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팝업 메뉴형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방송단말장치에서 수신감도가 기준값 이하일 때 메시지가 화면표시되고 있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위치 검색 장치가 구비된 방송단말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위치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 위치 제공시에 화면 모드가 변경되면서 아울러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방송단말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안테나 102 : 수신감도 체크부
104 : 모드 변경부 106 : 저장부
108 : 제어부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표시부

Claims (13)

  1. 현재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체크부; 그리고,
    상기 수신감도가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수신감도체크부에 의해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전달받고, 그 중 가장 수신감도가 큰 장소의 위치정보를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2. 현재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수신감도체크부;
    상기 체크된 수신감도가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방송표시모드 화면을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하는 모드 변경부; 그리고,
    상기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수신감도 체크부로부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인 방송 시청 가능지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하여 방송 시청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DB화 한 제1저장영역과,
    상기 수신감도 체크와 상기 모드 변경시 출력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저 장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1저장영역을 액세스하여 신호 미약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방송표시모드 화면에서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으로 변경 표시될 때에는 상기 제2저장영역을 액세스하여 모드변경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위치 검색모드 화면에는,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의 수신전파 세기가 숫자와 신호 바(signal bar)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고, 상기 모드 변경시 출력되는 메시지도 함께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가 둘 이상인 경우, 그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가 둘 이상인 경우,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수신위치 검색장치를 구비하고,
    방송 시청이 불가한 경우, 상기 수신위치 검색장치에 의해 검색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장소에서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도록 최적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송단말장치.
  9. 현재 수신중인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감도가 미리 설정된 방송시청 가능한 임계값 이하이면, 주변 위치별로 방송신호의 수신 감도를 검색한 후 최적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감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현재 표시되는 방송시청화면을 수신위치 검색화면으로 화면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수신위치 검색화면에서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를 표시/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화면모드 변경에 관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위치 검색화면에서의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는 수신감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신호 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위치별 수신감도가 둘 이상인 경우, 그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위치 제공방법.
KR1020070082443A 2007-08-16 2007-08-16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KR20090017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43A KR20090017919A (ko) 2007-08-16 2007-08-16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443A KR20090017919A (ko) 2007-08-16 2007-08-16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919A true KR20090017919A (ko) 2009-02-19

Family

ID=4068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443A KR20090017919A (ko) 2007-08-16 2007-08-16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248A (ko)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248A (ko) * 2013-01-11 2014-07-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분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구성 방법
US8737916B2 (en)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KR101358224B1 (ko)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KR101174659B1 (ko)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JP2006311249A (ja) 放送受信機、放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受信チャンネル切り替え方法
CN10300234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KR101345662B1 (ko)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689444B1 (ko)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82753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adio channel
KR100752854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2687525B (zh) 操作音引导装置及操作音引导方法
KR20090017919A (ko) 수신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방송단말장치
KR1006404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문자 메시지 처리방법
EP242888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of display screen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0823040B1 (ko) 멀티태스킹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WO2008048051A1 (en) Dmb receiver for changing service frequency
KR100737096B1 (ko) Dmb 수신기에서 채널 탐색 방법
KR100783104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90031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Broadcasting Program as a Background Image,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6515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KR100685096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39128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