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592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592B1
KR100651592B1 KR1020060003209A KR20060003209A KR100651592B1 KR 100651592 B1 KR100651592 B1 KR 100651592B1 KR 1020060003209 A KR1020060003209 A KR 1020060003209A KR 20060003209 A KR20060003209 A KR 20060003209A KR 100651592 B1 KR100651592 B1 KR 10065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mb
output
uni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안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0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알림장치는 DMB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모듈과;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DMB 모듈과 카메라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한 독립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믹싱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단말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의 출력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MB, 전방감지, 알림.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 A STATE OF THE FRONT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중 영상 처리부(130)내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멀티미디어의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한 국제적인 표준안이다. 이 규격에서 방송수신과 데이터 전송의 방식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규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비디오 방송을 위 해 엠펙-4 데이터를 함께 송신한다.
종래의 TV나 라디오는 별개의 수신장치를 통해 재생하였으나, DMB 수신기에서는 수신되는 TV 서비스나 라디오 서비스에 오디오, 비디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DMB 수신기의 기술개발과 보급은 급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더구나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함은 물론 무선 통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새로운 신규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DMB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예를 고찰해 보면, 사용자는 정지된 상태에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지만, 이동하면서 DMB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하면서 DMB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라면 사용자의 정신이 수신방송 시청에 몰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중 전방 주시가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이는 DMB 방송 뿐만 아니라 일반 텔레비젼 방송 혹은 동영상 재생 시청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무수한 신규수용가 창출될 것으로 예측되는 DMB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혹은 기존의 방송 수신 혹은 동영상 재생 시청이 가능한 단말기 사용자들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방송의 시청 혹은 동영상 시청모드에서 전방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사용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DMB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 시청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방송 수신 혹은 동영상 시청모드에서 전방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전방 물체감지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전방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전방의 상태를 경보음 혹은 경보 메세지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의 상태를 문자로 표시 출력하거나, 전방의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장치는,
DMB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모듈과;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DMB 모듈과 카메라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한 독립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믹싱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단말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의 출력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송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시청 모드에서 전방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음 혹은 화면으로 통보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대표적인 단말기로서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중 영상 처리부(130)내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크게 DMB 방송을 수신처리하기 위한 DMB모듈(100)과 이동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폰 모듈을 포함한다.
DMB모듈(100)을 구성하는 튜너(105)는 안테나(ANT1)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중 제어부(155)에 의해 선택되어진 특정 채널의 RF신호만을 튜닝하여 출력한다. 이 러한 튜너(105)는 기본적으로 주파수 변환기능을 가진다.
DMB모듈(100)내의 DMB 프로세서(110)는 튜너(105)에서 출력되는 DMB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DMB 프로세서(110)는 튜너(105)를 통해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DMB 신호에서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 및 제어데이터를 분리하여 채널별로 디코딩 수행한다. 채널별로 디코딩된 DMB 신호는 버퍼메모리인 메모리 1(115)에 저장된다.
DMB모듈(100)내의 코덱(120)은 DMB 프로세서(110)에서 분리되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를 MPEG 규격의 신호로 디코딩하여 각각 서로 다른 채널로 출력한다. 즉,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후술할 폰 모듈의 오디오 처리부(150)로 출력하고, 디코딩된 영상신호는 후술할 영상처리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코덱(120)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 2(125)는 디코딩되는 오디오 신호와 영상신호가 저장되는데 이용된다.
영상처리부(130)는 제어부(155)의 제어에 따라 상기 DMB모듈(100)내의 코덱(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카메라부(16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한 독립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믹싱 처리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제어부(155)의 제어에 따라 DMB 영상과 카메라 출력영상을 선택 출력하기 위한 영상 선택부(131)와, 상기 카메라(165) 출력영상을 축소하기 위한 스케일러(133)와, 상기 제어부(15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선택부(131)와 상기 스케일러(133)의 출력을 믹싱 (mixing)하기 위한 믹싱부(135)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에서 표시부(135)는 영상 처리부(130)의 출력 영상, 즉 주화면과 부화면이 믹싱된 영상 혹은 DMB 출력 영상을 표시하여 준다.
참고적으로 DMB모듈(100)내의 튜너는 위성방송 수신용 튜너와 지상파 방송 수신용 튜너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폰모듈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면, RF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45)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145)는 모뎀 및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30)의 출력영상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DMB 시청모드에서 부화면 표시선택이 있으면, 제어부(155)는 DMB 영상을 주화면으로, 그리고 전방의 카메라 출력 영상을 부화면으로 믹싱 출력되도록 시스템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145)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4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50)는 DMB 시청모드에서 상기 코덱(120)에서 출력되는 DMB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각종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들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카메라부(165)는 전방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처리부(130)로 출력하며, 전방감지센서(170)는 사정거리내에 위치하하는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5)로 출력한다. 이러한 전방감지센서(170)는 카메라부(165)와 병행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전방감지센서(170)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거리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키입력부(175)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각 키 누름시 그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55)로 출력하여 준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전방상태 알림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DMB 시청모드에서 전방감시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놓은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 사용자는 DMB 시청모드(S1단계)를 통해 지상파 혹은 위성방송을 시청한다. 이와 같이 DMB 시청모드에서 사용자가 전방감시모드를 설정하였기에 제어부(155)는 전방감지센서(170)를 구동(S2단계)시킨다. 전방감지센서(170)의 구동에 의해서 제어부(155)는 전방 물체가 위치하는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5)는 DMB 시청모드에서 전방감지센서(170)를 구동시키고 전방 물체에 의해 되돌아오는 신호를 통해 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검사(S3단계)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소정 거리 전방에 물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제어부(155)는 전방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S4단계)하여 준다. 이러한 경우 전방의 상태는 경보음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경보 메세지 형태 혹은 문자 메세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의 상태를 시청각 데이터로 통보받은 단말기 사용자는 전방을 응시함으로서 안전하게 전방의 물체를 회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방상태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부(165)를 이용하여 전방상태를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방감시모드 설정시 카메라부(16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사용자는 DMB 시청모드(S10단계)를 통해 지상파 혹은 위성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MB 시청모드에서 만약 사용자가 전방감시모드를 설정하였다면, 즉 부화면 표시를 선택(S11단계)하였다면 제어부(155)는 상기 DMB 모듈(100)과 카메라부(165)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믹싱 처리되도록 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130)내의 영상 선택부(131)와 믹싱부(135)는 제어부(155)로부터 주화면과 부화면의 믹싱처리 요구가 있으면 영상 선택부(131)는 DMB 영상을 선택 출력하고, 믹싱부(135)는 스케일러(133)를 통해 화면 축소된 카메라 출력 영상을 DMB 영상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주화면 우측 상단)에 오버레이하여 표시영상으로 출력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부를 2분할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부(130)의 동작에 의해 표시부(135)상에는 DMB 영상인 주화면과 카메라부(165)의 출력영상인 부화면이 함께 표시(S12단계)됨으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전방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DMB 영상과 전방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단말기 사용자는 DMB 영상의 시청중에도 자연스럽게 전방을 응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전방의 물체를 회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DMB 시청모드에서 전방감지센서(170)에 의해 전방물체가 감지될 경우 카메라부(165)의 출력영상이 DMB 출력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전방감지센서에 의해 전방물체가 감지될 경우 카메라부(165)의 출력영상만이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시청모드에서 전방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음 혹은 화면으로 통보하여 주기 때문에,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DMB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별다른 변형없이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 시청이 가능한 단말기들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방송 수신 시청 혹은 동영상 재생시청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수신 혹은 동영상 시청모드에서 전방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전방 물체감지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전방의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상태를 경보음 혹은 음성 경보 메세지 형태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상태를 문자로 표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상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표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수신 방송 혹은 동영상과 동시 출력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장치에 있어서,
    DMB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모듈과;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DMB 모듈과 카메라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한 독립된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믹싱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전방감지센서와;
    단말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의 출력영상을 제어하되, DMB 시청모드에서 전방물체 감지시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영상을 표시 출력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DMB 시청모드에서 전방물체 감지시 상기 카메라부의 출력영상을 DMB 출력영상과 함께 표시 출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DMB 영상과 카메라 출력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부와;
    상기 카메라 출력영상을 축소하기 위한 스케일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선택부와 상기 스케일러의 출력을 믹싱하기 위한 믹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장치.
KR1020060003209A 2006-01-11 2006-01-1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KR10065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09A KR100651592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09A KR100651592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592B1 true KR100651592B1 (ko) 2006-11-30

Family

ID=3771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209A KR100651592B1 (ko) 2006-01-11 2006-01-1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49B1 (ko) 2006-03-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영상과 디지털 방송 영상을 동시 캡쳐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49B1 (ko) 2006-03-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영상과 디지털 방송 영상을 동시 캡쳐하는 디지털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7760239B2 (en) 2006-03-22 2010-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camera image and digital broadcasting image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80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55631B2 (en) Multichannel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DMB-enabled mobile phone
US20100013997A1 (en)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US20090122079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method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89444B1 (ko)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20080072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103539A (ja) 制御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515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방상태 알림방법 및 장치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404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문자 메시지 처리방법
JP4623389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システム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0856253B1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JP2007306366A (ja) リモコン装置
KR101276833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619414B1 (ko) 채널 선택 방법
KR100685096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76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표시방법
JP452817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KR100783104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60916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컨텐츠 이용방법
JP200502691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