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196A -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196A
KR20170043196A KR1020150142613A KR20150142613A KR20170043196A KR 20170043196 A KR20170043196 A KR 20170043196A KR 1020150142613 A KR1020150142613 A KR 1020150142613A KR 20150142613 A KR20150142613 A KR 20150142613A KR 20170043196 A KR20170043196 A KR 2017004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homo sapiens
stem
stem cel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526B1 (ko
Inventor
김영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4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26B1/ko
Priority to PCT/KR2015/011467 priority patent/WO2016072660A1/ko
Publication of KR2017004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은, 배양액에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액을 제거한 후 줄기세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를 등장성 캐리어 액체에 분산시켜 상기 줄기세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캐리어 액체를 제거하고 상기 줄기세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의 수와 목표농도를 고려한 양의 저장성 증량제에 상기 줄기세포를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량제 내의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와; 세포막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줄기세포 추출물 중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만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RAPEUTIC AGENT FOR ALOPECIA CONTAINING STEM CELL CONSTITUENT EX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이용한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미분화 세포로,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줄기세포 중 성체 줄기세포는 지방, 골수, 재대혈 또는 태반 등과 같은 부위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배아 줄기세포에 비해 윤리적 문제가 적고, 사용자 본인의 세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도 적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를 바로 주입하는 형식은 면역거부반응 등의 이유로 본인의 것에 제한된다. 그래서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방법 대신에 줄기세포를 배양할 때 얻어진 배양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줄기세포 배양에 의한 배양액에는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 등과 같은 줄기세포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탈모는 생리적 측면을 요인으로 하는 신체의 내적인 요인과 외부환경에 의한 외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외적인 요인으로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긴장으로 혈액의 순환이 원만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혈관의 위축에 따른 영양공급의 부족과 오염된 환경에 의한 탈모, 두피의 건조에 의한 탈모 등이 있으며, 생리적 측면을 요인으로 하는 신체의 내적인 요인으로는 남성호르몬(androgen)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과 테스토스테론을 DHT (dihydrotestosterone)로 변환 시켜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5-알파 환원효소 (5-alpha reductase)의 활성증가 등이 주요 요인이다. 이 외에도 모낭에 살고 있는 털 진드기인 모낭충도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혈관 확장제, 모발의 구성성분과 같은 영양성분 공급, 모근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원의 공급, 모낭충을 죽이기 위한 살균제, 과잉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한 세정제 및 피지분비 억제제, 두피의 건조를 막기 위한 보습제 등이 탈모 방지제 및 육모제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탈모 방지제 및 육모제의 경우 화학적 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오히려 두피에 자극을 주거나, 모근의 영양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443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줄기세포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이를 탈모치료제의 성분으로 하여 효능이 우수하며 인체에 안전한 탈모치료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은, 배양액에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액을 제거한 후 줄기세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를 등장성 캐리어 액체에 분산시켜 상기 줄기세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캐리어 액체를 제거하고 상기 줄기세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의 수와 목표농도를 고려한 양의 저장성 증량제에 상기 줄기세포를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량제 내의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와; 세포막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줄기세포 추출물 중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만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은,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 이후에 세포막 잔여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포막 잔여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는 초음파 파쇄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는 복수 회의 단위 파쇄가 휴지시간을 사이에 두고 간헐적으로 수행되는데, 상기 단위 파쇄는 2초 내지 7초이며, 상기 휴지시간은 3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성 증량제는 증류수, 물 및 0.45% 이하의 식염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캐리어 액체는 생리식염수, PBS(phosphate buffer saline), 하트만 솔루션(hartmann solution) 및 하트만 덱스(hartmann glucos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은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탈모 예방 및 육모 촉진 기능이 있는 탈모치료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a는 파쇄 전 줄기세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파쇄 후 줄기세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파쇄 전 줄기세포의 상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3b는 파쇄 후 줄기세포의 상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두피 변화 제 1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4a는 사용 전, 도 4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2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5a는 사용 전, 도 5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3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6a는 사용 전, 도 6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4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7a는 사용 전, 도 7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의 순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준비된 줄기세포를 배지 내에서 배양한다(S1). 여기서 줄기세포는 인체의 지방, 골수, 재대혈 또는 태반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되는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성체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이다.
배지는 줄기세포 배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및 Keratinocyte-SFM (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지에는 FBS(Fetal Bovine Serum), human serum, penicillin 및 streptomyc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첨가될 수 있으며, 필요할 때에는 추가로 비타민, 아미노산, 지질 또는 성장인자와 같은 영양분을 더 추가할 수 있다. FBS 또는 human serum은 각각 5 내지 20%, penicillin 또는 streptomycin는 각각 0.1 내지 5%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비율은 FBS 또는 human serum은 각각 8 내지 15%, penicillin 또는 streptomycin는 각각 0.5 내지 2% 이다.
배지의 배양 환경은 70 내지 95%의 습도, 20 내지 50의 온도 및 1~20% CO2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환경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에서는 계대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지가 담긴 플레이트에 줄기세포가 성장하여 80 내지 90%의 밀도를 가지면 플레이트에서 줄기세포를 일부 수득하여 다른 배지가 담긴 플레이트로 옮겨서 다시 줄기세포의 성장이 이루어지게 한다. 초대배양을 할 때 혈액을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계대배양을 하면서 상기 혈액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줄기세포를 얻기 위해 배지를 제거한다(S2). 줄기세포의 배양은 계대배양 단계가 이루어질 때마다 큰 플레이트(plate)로 옮겨 사용할 수 있으며 지름이 10cm 이상의 플레이트에 계대배양이 되면 배지를 제거하여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cm 플레이트보다 작은 플레이트에서도 상기 줄기세포를 수득할 수 있지만 작은 플레이트에서는 줄기세포가 배양되는 양이 적기 때문에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수득할 수 없다. 따라서 10cm 이상의 플레이트에서 줄기세포를 얻는 것이 작업 효율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플레이트 내의 배지를 제거한 후 trypsin/EDTA를 첨가하여 분리한다. 줄기세포는 플레이트 내에 긴 막대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여기에 trypsin/EDTA를 첨가할 경우 줄기세포의 단백질 결합을 끊어 줄기세포가 플레이트에서 떨어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에서 떨어진 줄기세포는 긴 막대형상에서 동그란 형상으로 말리게 된다. trypsin/EDTA는 단백질의 결합을 끊을 뿐만 아니라 세포를 괴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플레이트에 첨가한 다음 2~3방울 남기고 trypsin/EDTA를 플레이트에서 제거한 후 줄기세포만을 획득한다. trypsin/EDTA의 농도는 0.1 내지 0.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rypsin/EDTA 대신 스크래퍼로 긁어서 직접 회수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에서 분리된 줄기세포를 trypsin/EDTA를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하게 얻기 위해 생리식염수 또는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이용하여 여러 번 워싱한다.
다음으로, 줄기세포를 등장성 캐리어 액체에 분산시켜 삼투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줄기세포의 수를 카운팅한다(S3). 등장성 캐리어 액체는 생리식염수, PBS(phosphate buffer saline)와 같은 버퍼(buffe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뿐만 아니라 링거액으로 사용되는 하트만 솔루션(hartmann solution) 및 하트만 덱스(hartmann glucose) 등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캐리어 액체가 사용 가능하다.
배양된 줄기세포를 플레이트에서 분리한 후, 파쇄가 가능하도록 줄기세포에 등장성 캐리어 액체를 첨가한 후, 줄기세포가 파쇄 가능하도록 유동되면 줄기세포를 파쇄한다.
다음으로, 등장성 캐리어 액체를 제거한 후 저장성 증량제를 첨가하여 줄기기세포를 분산시킨다(S4). 저장성 증량제는 캐리어 액체처럼 등장성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물, 증류수와 같이 줄기세포에 비해 삼투압이 낮은 용액을 사용한다. 이들을 사용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줄기세포가 팽창한다. 줄기세포를 처리하는 프로세스상의 조건에 따라서 줄기세포를 오래 방치해 두어야 하는 경우 0.45% 이하의 식염수 등과 같이 물 또는 증류수보다 염분의 양이 많은 저장성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성 증량제는 줄기세포에 비해 삼투압이 낮기 때문에 줄기세포에 증량제를 첨가할 경우 줄기세포는 증량제를 흡수하여 부풀게 되고 세포막이 얇아진다. 증량제는 종류에 따라서 30초 내지 2분정도 방치하여 줄기세포를 충분히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량제에는 1ml 당 줄기세포의 수가 104 내지 107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저장성 증량제 내의 줄기세포를 파쇄한다(S5). 줄기세포의 파쇄는 대체로 초음파 파쇄기(sonicate)에 의해 수행되며, 대량의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diz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초음파 등의 파쇄 에너지가 줄기세포에 가해지면 이미 세포막이 충분히 팽창해 있으므로 줄기세포는 용이하게 파쇄된다. 그러므로 적은 에너지로 단시간 내 효과적인 세포막 파쇄가 가능하며, 세포 내부의 성장인자 등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적합한 초음파의 강도는 통상의 세포파쇄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은 5 내지 20 kHz 정도로도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줄기세포의 파쇄과정은 복수 회의 단위 파쇄가 휴지시간을 사이에 두고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휴지시간을 사이에 두지 않고 연속적으로 줄기세포를 파쇄할 경우 파쇄 열에 의해 줄기세포가 손상될 수 있다. 휴지시간은 줄기세포와 증량제가 냉각되게 하며, 그 동안 파쇄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미경을 통해 줄기세포가 전부 파쇄된 것을 확인하면 파쇄를 종료한다. 과도한 파쇄는 세포막뿐만 아니라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까지 파괴시킬 우려가 있다. 각 단위파쇄는 파쇄효율과 과열방지를 고려하여 2 내지 7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지시간은 3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파쇄 단계로부터 최종적으로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을 분리하여 얻는다(S6). 상기 S5 단계에서 얻어지는 저장성 증량제와 줄기세포 파쇄 혼합물에는 줄기세포 내용물인 다양한 성장인자, 세포활성물질과 함께 세포막 잔여물이 존재한다. 그 중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에 필요한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은 수득하고, 필요하지 않은 세포막 잔여물은 제거한다.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면역거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파괴된 세포막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막 잔여물의 제거는 필터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주로 원심분리를 이용한다. 원심분리는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에 비해 크기가 큰 세포막 잔여물을 하부에 가라앉게 하여 상부의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만을 회수 가능하다.
원심분리는 800 내지 1500G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0G보다 낮을 경우에는 세포막 잔여물이 가라앉지 않아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1500G보다 높을 경우에는 세포막 잔여물뿐만 아니라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이 함께 가라앉아 수득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을 분석해본 결과 표 1과 같이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을 포함한 959가지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1은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 성분 분석표를 나타낸 표이다.
No. 성분
1 filamin-A isoform 2 [Homo sapiens]
2 myosin-9 [Homo sapiens]
3 talin-1 [Homo sapiens]
4 filamin-C isoform b [Homo sapiens]
5 filamin-B isoform 4 [Homo sapiens]
6 alpha-actinin-1 isoform c [Homo sapiens]
7 vinculin isoform meta-VCL [Homo sapiens]
8 alpha-actinin-4 [Homo sapiens]
9 78 kDa glucose-regulated protein precursor [Homo sapiens]
10 annexin A6 isoform 2 [Homo sapiens]
11 pyruvate kinase isozymes M1/M2 isoform f [Homo sapiens]
12 spectrin alpha chain, brain isoform 3 [Homo sapiens]
13 clathrin heavy chain 1 [Homo sapiens]
14 calreticulin precursor [Homo sapiens]
15 protein disulfide-isomerase precursor [Homo sapiens]
16 elongation factor 2 [Homo sapiens]
17 annexin A2 isoform 2 [Homo sapiens]
18 protein disulfide-isomerase A3 precursor [Homo sapiens]
19 endoplasmin precursor [Homo sapiens]
20 heat shock cognate 71 kDa protein isoform 2 [Homo sapiens]
21 actin, cytoplasmic 2 [Homo sapiens]
22 alpha-enolase isoform 1 [Homo sapiens]
23 annexin A5 [Homo sapiens]
24 plectin isoform 1b [Homo sapiens]
25 collagen alpha-1(XII) chain short isoform precursor [Homo sapiens]
26 protein disulfide-isomerase A4 precursor [Homo sapiens]
27 ribosome-binding protein 1 [Homo sapiens]
28 ubiquitin-like modifier-activating enzyme 1 [Homo sapiens]
29 fructose-bisphosphate aldolase A [Homo sapiens]
30 thioredoxin reductase 1, cytoplasmic isoform 3 [Homo sapiens]
31 early endosome antigen 1 [Homo sapiens]
32 collagen alpha-1(XII) chain long isoform precursor [Homo sapiens]
33 plastin-3 isoform 1 [Homo sapiens]
34 rab GDP dissociation inhibitor beta isoform 2 [Homo sapiens]
35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Homo sapiens]
36 importin-5 [Homo sapiens]
37 gelsolin isoform c [Homo sapiens]
38 heat shock protein HSP 90-alpha isoform 2 [Homo sapiens]
39 moesin [Homo sapiens]
40 phosphoglycerate kinase 1 [Homo sapiens]
중략
957 family with sequence similarity 49, member A
958 nucleolar complex protein 2 homolog [Homo sapiens]
959 UDP-GalNAc:beta-1,3-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 1
그러나 줄기세포 파쇄 이전의 배양액에서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제한된 수의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수가 확인되었다.
하기 표 2는 줄기세포 배양액 성분 분석표를 나타낸 표이다.
No. 성분
1 alpha-2-macroglobulin precursor [Homo sapiens]
2 fibronectin isoform 1 preproprotein [Homo sapiens]
3 gelsolin isoform c [Homo sapiens]
4 actin, cytoplasmic 2 [Homo sapiens]
5 hemoglobin subunit beta [Homo sapiens]
6 collagen alpha-2(I) chain precursor [Homo sapiens]
7 collagen alpha-1(I) chain preproprotein [Homo sapiens]
8 inter-alpha-trypsin inhibitor heavy chain H2 [Homo sapiens]
9 serum albumin preproprotein [Homo sapiens]
10 complement C3 precursor [Homo sapiens]
11 annexin A2 isoform 2 [Homo sapiens]
12 apolipoprotein B-100 precursor [Homo sapiens]
13 thrombospondin-1 precursor [Homo sapiens]
14 vitamin D-binding protein isoform 3 precursor [Homo sapiens]
15 collagen alpha-1(VI) chain precursor [Homo sapiens]
16 hemoglobin subunit alpha [Homo sapiens]
17 plasminogen isoform 1 precursor [Homo sapiens]
18 cartilage oligomeric matrix protein precursor [Homo sapiens]
19 tetranectin precursor [Homo sapiens]
20 SPARC precursor [Homo sapiens]
21 complement C4-B-like preproprotein [Homo sapiens]
22 periostin isoform 4 [Homo sapiens]
23 antithrombin-III precursor [Homo sapiens]
24 serotransferrin precursor [Homo sapiens]
25 fibulin-1 isoform D precursor [Homo sapiens]
중략
404 protein spire homolog 2 [Homo sapiens]
405 chromosome 9 open reading frame 172 [Homo sapiens]
406 PREDICTED: hypothetical protein LOC100510554 [Homo sapien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줄기세포 파쇄를 통한 성분추출물은 줄기세포 배양액에 비해 현저히 많은 성장인자와 세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외에도 배양액과 본 성분추출물은 다음 표에서 대비되는 바와 같은 차이를 가진다.
하기 표 3은 줄기세포 배양액과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의 비교한 표이다.
줄기세포 배양액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추출물
성장인자 및
세포 활성 물질
개수

406개

959개
항생제 배양시 항생제 다량투여 배지성분 제거로 항생제가 존재하지 않음
소혈청 배양시 소혈청을 영양분으로 사용함 배지성분 제거로 인해 소혈청이 제거됨
보존제 배지성분 함유로 인해 보존제를 투여해야 함 보존제가 필요하지 않음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에는 배양할 때 필요한 소혈청, 항생제 및 보존제 등의 첨가제가 대량 함유되어 있어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줄기세포가 아닌 줄기세포를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줄기세포를 바로 신체에 주입하는 경우보다 줄기세포 성분의 함유량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양액은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종류가 제한적이며,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농도가 낮은데 반해, 본 발명의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은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종류가 풍부하며 농도를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다.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은 상기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얻는 단계(S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줄기세포 성분추출물 중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가지는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이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을 가지는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이 있다. 특히, 줄기세포 추출물 중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이 높은 특성을 가지므로 걸러내어 이를 탈모치료제로 사용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탈모치료제에 포함되는 줄기세포 추출물의 분자량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줄기세포 추출물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탈모치료제의 실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분자량이 2000인 성분을 걸러내어 제조한 탈모치료제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분자량이 5000인 성분을 걸러내어 제조한 탈모치료제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분자량이 8000인 성분을 걸러내어 제조한 탈모치료제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탈모치료제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분자량이 9000인 성분을 걸러내어 제조한 탈모치료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두피 변화 제 1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4a는 사용 전, 도 4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2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5a는 사용 전, 도 5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3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6a는 사용 전, 도 6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탈모치료제 사용유무에 따른 모발 변화 제 3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도 7a는 사용 전, 도 7b는 사용 후의 사진이다.
상기 도 4, 도 5, 도 6, 도 7을 각각 비교해 보면, 도 4a, 5a, 6a, 7a에 비해 도 4b, 5b, 6b, 7b의 경우 모발이 성장했음을 알 수 있으므로, 탈모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분자량에 따른 줄기세포 성분 특성의 차이가 있으며,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줄기세포에서 유효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물질 중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만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2. 배양액에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액을 제거한 후 줄기세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를 등장성 캐리어 액체에 분산시켜 상기 줄기세포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상기 캐리어 액체를 제거하고 상기 줄기세포를 얻는 단계와;
    상기 줄기세포의 수와 목표농도를 고려한 양의 저장성 증량제에 상기 줄기세포를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량제 내의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와;
    세포막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줄기세포 추출물 중 분자량이 3000 내지 7000의 성분만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막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는 초음파 파쇄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단계는 복수 회의 단위 파쇄가 휴지시간을 사이에 두고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파쇄는 2초 내지 7초이며, 상기 휴지시간은 3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성 증량제는 증류수, 물 및 0.45% 이하의 식염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액체는 생리식염수, PBS(phosphate buffer saline), 하트만 솔루션(hartmann solution) 및 하트만 덱스(hartmann glucos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KR1020150142613A 2014-11-07 2015-10-13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KR10178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13A KR101781526B1 (ko) 2015-10-13 2015-10-13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PCT/KR2015/011467 WO2016072660A1 (ko) 2014-11-07 2015-10-28 줄기세포 성분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13A KR101781526B1 (ko) 2015-10-13 2015-10-13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196A true KR20170043196A (ko) 2017-04-21
KR101781526B1 KR101781526B1 (ko) 2017-09-26

Family

ID=5870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13A KR101781526B1 (ko) 2014-11-07 2015-10-13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147A1 (ja) * 2018-07-04 2020-01-09 正典 佐伯 幹細胞濾液製剤及びその調製方法
EP3756677A4 (en) * 2018-02-23 2021-10-20 Meis Technology Inc. THERAPEUTIC AGENT FOR ERECTILE DYS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964B1 (ko) 2018-10-02 2020-05-18 주식회사 스템온 유도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모발 재생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6677A4 (en) * 2018-02-23 2021-10-20 Meis Technology Inc. THERAPEUTIC AGENT FOR ERECTILE DYSFUNCTION
WO2020009147A1 (ja) * 2018-07-04 2020-01-09 正典 佐伯 幹細胞濾液製剤及びその調製方法
JPWO2020009147A1 (ja) * 2018-07-04 2021-03-11 正典 佐伯 幹細胞濾液製剤及びその調製方法
TWI823964B (zh) * 2018-07-04 2023-12-01 佐伯正典 幹細胞濾液製劑及其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26B1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672B1 (ko) 줄기세포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성분추출물 제조방법
Harris Stem cell banking for regenerative and personalized medicine
Schnabel et al. Platelet rich plasma (PRP) enhances anabolic gene expression patterns in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tendons
JP6889118B2 (ja) 高純度コラーゲン粒子の製造及びその使用
KR102258565B1 (ko) 세절 연골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60937A1 (en) Rapid allograft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JP2022502032A (ja) 誘導されたエキソソームを含む皮膚再生及び創傷治癒用組成物
KR101781526B1 (ko)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ATE539145T1 (de) Verfahren zum erhalt von mesenchymalen stammzellen
CN111826340A (zh) 一种抗皮肤衰老的鹿茸干细胞外泌体的制备方法及其应用
Brown et al. Ammonium–chloride–potassium lysing buffer treatment of fully differentiated cells increases cell purity and resulting neotissue functional properties
JP2017524654A (ja) 育毛を刺激する小サイズの幹細胞の能力および当該幹細胞の使用
CN113527467A (zh) 鲟鱼鱼皮胶原多肽提取方法、应用、化妆品原料及其制备方法
Zocchi et al. New perspectives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surgery: the bioactive composite therapies (BACTs)
CN103446029A (zh) 一种美容护肤品用脐带胎盘干细胞技术
WO2014178438A1 (ja) 毛髪再生用の細胞製剤
KR20170014537A (ko) 줄기세포 성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치료제 제조방법
KR101881281B1 (ko) 줄기세포의 유효성분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KR20240021226A (ko) 조직 추출물 및 관련 방법
WO201905592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ARTICULATE AND RECONSTITUTED TISSUES
EA201190109A1 (ru) Изолированные популяции моноцитов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применения
US11760976B2 (en) Stem cells and decellularization of tissue matrix from cord tissue
KR20160055016A (ko) 줄기세포 성분추출물 제조방법
WO2016072660A1 (ko) 줄기세포 성분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모치료제 제조방법
KR20170014539A (ko) 줄기세포 성분 추출물을 포함한 의료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