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870A -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 Google Patents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870A
KR20170042870A KR1020150142003A KR20150142003A KR20170042870A KR 20170042870 A KR20170042870 A KR 20170042870A KR 1020150142003 A KR1020150142003 A KR 1020150142003A KR 20150142003 A KR20150142003 A KR 20150142003A KR 20170042870 A KR20170042870 A KR 2017004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etration
intruding
ground
head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946B1 (ko
Inventor
권기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에는 지면에 관입 가능하도록 첨단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몸통의 외면 일측에 관입체고리부가 마련된 관입체와, 일단부에는 상기 관입체와 연결되는 관입체연결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모루가 설치된 원통형의 관입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관입체연결부는, 상기 관입체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내측에 상기 관입체의 삽입 범위를 제한하는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DETACHABLE PENETRATION APPARATUS FOR SAND GROUND}
본 발명은 관입체가 큰 인발저항력을 가지도록 해 모래지반에서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입체는 그 일단이 지반에 박히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타단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버텨주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때 이러한 관입체는 일측 끝부분에 마련되고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첨단부(尖端部)와, 타측에 해머 등에 의해 타격되는 머리부 및 케이블 등을 걸 수 있는 관입체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관입체에서 그 머리부가 되는 부분이 망치나 해머 등으로 타격되고, 첨단부가 지반에 관입되어 고정된 후, 관입체의 고리에 장력이 발생되는 로프나 케이블이 연결됨으로써 그 타단에 작용하는 인발력을 버텨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입체는 해상 보트를 정박시키거나, 튜브 등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인명 구조수단 등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모래지반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으로는 모래지반의 특수성 때문에 사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모래는 입자가 커 그 밀도가 낮고, 입자들이 서로 단단히 결합되지 못해 관입체가 쉽게 뽑히기 때문이다.
즉, 관입체는 단단한 지반에서는 해머나 망치 등으로 박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힘을 버틸 수 있으나, 모래지반에서는 그에 작용되는 인발력을 버티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인발저항력을 확보하기 어려워, 관입체가 뽑히는 일이 잦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인발저항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수평토압에 관한 개념을 설명한다. 이때 인발저항력은 케이블(20)에 의해 당겨지는 힘, 즉 인발력을 버티는 힘을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평토압(F)은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수평토압(F)의 크기에 비례해서 관입체(10)의 인발저항력이 발현되므로, 지표면 부근에서 발현되는 인발저항력은 작고, 깊이가 증가할수록 인발저항력은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길이가 긴 관입체를 사용하여 모래지반에서 관입체의 인발저항력을 높일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관입체의 형상이 커지고 그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은 무게와 크기를 가지는 관입체가 모래지반 등 큰 수평토압을 가지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큰 인발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341호(2015.02.27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10-0608502호(2006.07.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모래지반에서도 높은 인발저항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로 관입체를 지반 아래 깊게 관입시키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부에는 지면에 관입 가능하도록 첨단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몸통의 외면 일측에 관입체고리부가 마련된 관입체와, 일단부에는 상기 관입체와 연결되는 관입체연결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모루가 설치된 원통형의 관입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관입체연결부는, 상기 관입체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내측에 상기 관입체의 삽입 범위를 제한하는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관입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외측면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입체연결부에는, 상기 관입체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막음부에 이격하여 마련되는 걸림편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관입체연결부에는, 상기 관입체가 상기 관입체연결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입체고리부가 끼워질 수 있게 하는 수직홈과, 상기 관입보조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관입체와 상기 관입보조체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관입체가 지면 아래 깊숙히 관입되도록 하여 높은 인발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 때문에 모래지반 뿐만 아니라 눈(snow) 이 쌓인 곳이나 연약지반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관입보조체는 회수하여 반복 사용 가능하므로 판매단위 묶음이 되는 분리형 관입기구의 전체적인 무게와 부피가 감소하여 향상된 사용성을 가진다.
머리부 직경이 작은 일반적인 관입체에도 관입보조체를 사용할 수 있어, 폭넓게 적용가능하다. 즉, 머리부 직경이 크거나 길이가 긴 관입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지표면에 관입체의 머리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아 해변 등의 환경에서 머리부의 지표면 돌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관입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체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관입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관입체의 회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일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체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체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관입보조체(200)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명명칭은 크게 관입체(100)과 관입보조체(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관입체(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관입체(100)는 지면 아래로 관입되어 땅 속에 박혀, 그와 연결되는 케이블(20)에 작용하는 장력을 버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입체(100)에는 첨단부(100a)와, 머리부(100b)가 형성되고, 체결홀(110a)이 마련된 관입체고리부(110)와, 돌출편(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입체(100)을 이루는 각 부분들을 설명한다.
먼저, 첨단부(100a)는 관입체(100)가 지면(G)에 관입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첨단부(100a)는 환봉형의 몸통으로부터 단부로 가면서 완만하게 지름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관입체(100)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머리부(100b)는 관입체(100)에서 일반적으로 해머나 망치 등으로 직접 타격되거나, 타격에 의한 충격을 몸통을 통해 전달하는 부위를 칭한다. 이러한 머리부(100b)는 충격을 견디기 용이하도록 속이 꽉찬 철제환봉 형상으로 되고, 그 단부가 판판하게 될 수 있다.
다음, 관입체고리부(110)는 관입체(100)의 머리부(100b)가 위치하는 타단 근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20)과 체결되기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된다.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고리에 케이블(20)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관입체고리부(110)는 관입체(100)와 큰 결합력을 가지도록 용접되거나, 관입체(100)의 몸통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입체고리부(110)에는 체결홀(110a)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체결홀(110a)은 관입체고리부(110)과 마찬가지로 케이블(20)과 체결되기 위한 수단인데, 케이블(20)과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관입체고리부(110)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케이블(20)이 빠질 우려가 있으나, 체결홀(110a)은 이러한 개방부를 가지지 않아 케이블(20)과 더욱 공고히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홀(110a)와 관입체고리부(110)는 케이블(20)의 종류나 그에 작용하는 장력, 즉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다음, 돌출편(120)은 관입체(100)가 후술할 관입보조체(200)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돌출편(120)은 관입체(100)의 관입체고리부(110)가 위치하는 타단에 마련되는데, 머리부(100b)와 함께 상측으로 판판한 면을 형성하며 머리부(100b)의 외주면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입보조체(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관입보조체(200)는 관입체(100)를 지면(G) 아래 깊숙히 관입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관입보조체(200)는 원통형의 몸통을 가지는데, 이러한 몸통의 양단에는 크게 관입체연결부(210)와, 모루(22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입보조체(200)를 이루는 상세한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모루(220)는 관입체(100)의 머리부(100b)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입보조체(200)에서 해머나 망치 등으로 직접 타격되는 부위를 칭한다. 이러한 모루(220)는 충격을 견디기 용이하도록, 강철소재로 되어,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그 단부가 판판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관입체연결부(210)는 관입보조체(200)와 관입체(100)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입체연결부(210)는 중공부(210a)와, 막음부(211)와, 걸림편(212)을 포함한다.
중공부(210a)는 관입체(100)가 관입보조체(200)에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중공부(210a)는 관입보조체(200)의 몸통이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자연히 형성될 수 있으나, 관입보조체(200)의 몸통이 환봉 형상으로 속이 꽉 차게 제작되는 경우에는, 그 일단이 오목하게 절삭되어 들어간 방식으로 중공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막음부(211)는 관입보조체(200)에 삽입된 관입체(100)의 삽입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막음부(211)는 중공부(210a)의 길이범위를 결정하며, 관입보조체(200)의 몸통 내측에 원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입체(100)가 막음부(211)에 걸려 더 이상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하게 하는 방식이다.
또 이러한 막음부(211)는, 관입보조체(200)를 해머 등으로 타격시 발생하는 충격을 관입체(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해머나 망치, 기타 타격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후술할 모루(220)로부터 막음부(211)로, 다시 막음부(211)에서 머리부(100b)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다음, 걸림편(212)은 관입체(100)와 관입보조체(200)가 서로 결합될 때 이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걸림편(212)는 그 단면이 돌출편(120)이 형성된 관입체(100)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막음부(211)에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편(212)의 단면이 관입체(100)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함은, 걸림편(212)에 의해 형성되는 미끄럼홈(212a)과 중공부(210a)가 관입체(100)의 머리부(100b) 및 돌출편(120)과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입체연결부(210)와 관입체(100)의 결합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결합시에는, 관입체(100)에 마련된 머리부(100b)와 돌출편(120)을 관입보조체(200)의 관입체연결부(210)에 마련된 중공부(210a)에 삽입시킨다. 이때, 걸림편(212)에는 미끄럼홈(212a)이 마련되어 관입체(100)의 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관입체(100)의 단부가 관입체연결부(210) 내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그리고 다음으로 관입체(100)의 단부가 막음부(211)에 맞닿게 되면 관입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관입체(100)와 관입보조체(200)는 상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해체시에는, 관입체(100)의 돌출편(120)을 미끄럼홈(212a)이 형성된 위치에 맞추고, 관입체(100)를 미끄럼홈(212a)과 중공부(210a)를 따라 빼내는 과정에 의해 관입체(100)와 관입보조체(200)가 상호 해체된다. 이러한 결합 및 해제방식은 관입체(100)와 관입보조체(200)가 서로 결합된 채로 휴대될 때 유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관입체(10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F)의 분포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관입체(100)의 회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기존에 비하여 큰 인발저항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간략히 살펴본다.
먼저, 도시된 지면(G)은 관입체(100)이 관입되는 곳을 말하는데, 이는 모래지반, 연약지반, 자갈밭 등이 될 수 있다. 즉, 밀도가 높거나 단단한 지반 뿐만 아니라 밀도가 낮거나 무른 환경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평토압(F)은 지면 아래 관입된 관입체(100)에 작용하는 힘을 말하는데, 이러한 수평토압(F)은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관입체(100)는 이러한 수평토압(F)의 크기에 비례해서 인발저항력이 발현되는데, 이 때문에 모래 지표면 부근에서 발현되는 인발저항력은 작고, 깊이가 증가할수록 인발저항력은 증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는 관입체(100)가 관입보조체(200)의 활용을 통해 기존보다 훨씬 깊숙히 박힐 수 있게 한다.
결합된 관입체(100)와 관입보조체(200)에서, 모루(220)를 해머나 망치 등으로 타격함으로써 그 충격이 관입보조체(200)로부터 관입체(100)로, 다시 관입체(100)의 첨단부(100a)로부터 지면(G)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그로써 관입체(100)가 지면(G)에 깊숙히 관입되는 방식이다.
이때, 관입체(100)에는 기존에 비하여 지면(G) 하부에 깊숙히 위치함으로써, 큰 수평토압(F)이 작용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관입체(100)가 큰 인발저항력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이때, 지면(G) 아래 깊숙히 관입체(100)가 위치하게 되었다면, 관입보조체(200)를 상술한 결합방식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회전시켜 취출위치를 맞춘 후 빼내는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관입보조체(200)를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관입보조체(200)는 상기한 방식으로 회수될 수 있음으로 해서, 하나만으로 다수개의 관입체(100)를 지면(G) 아래 깊숙히 박아 넣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관입체(100) 역시 지면(G) 아래 깊숙히 박힌 상태에서 쉽게 회수가능하다.
이는 지반(G)의 특성에서 기인하는데, 모래지반의 경우 상부 모래를 일부 걷어내면 수평토압이 급격히 감소하고 그에 따라 인발저항력 역시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입체(100)는 지반에 관입되었다가 이후 인력에 의해 다시 쉽게 회수될 수 있어, 일시적인 고정수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이유로 관입체(100)는, 수거 과정에서 관입체(100)의 머리부(100b)가 지표면에 노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적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의 일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는, 지면(G) 하부에 깊숙히 관입체(100)을 관입시켜 요트(Y) 또는 튜브(T) 등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지면(G)는 모래지반으로 될 수 있는데, 관입체(100)가 지면(G) 하부에 깊숙히 위치하며 높은 인발저항력을 가지게 됨으로 해서 물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머리부(100b)가 돌출되어 있지 않아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체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는 제1실시예와 다른 결합방식에 의해 관입체(300)와 관입보조체(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관입체(300)에는 별도로 관입체(100)의 돌출편(120)과 같은 체결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관입체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관입보조체(400)에 설명하기로 한다. 관입보조체(400)의 관입체연결부(410)에는 수직홈(412)과 체결홈(413)과 중공부(41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막음부(411)는 각각 제1실시예의 막음부(211)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공부(410a)는 제1실시예의 중공부(210a)와 달리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관입체고리부(310)가 관입체(30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게 위함이다. 관입체고리부(310)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방식이기에 그러하다.
수직홈(412)은 관입체(300)에 마련되는 관입체고리부(310)가 관입보조체(40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수직홈(412)은 관입보조체(400)의 외면 일부에서 중공부(410a)에 이르기까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체결홈(413)은 중공부(410a)를 통해 삽입된 관입체(300)의 회전에 의해 관입체(300)의 상하이동을 막을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때 체결홈(413)에는 체결턱(413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턱(413a)은 관입체(300)의 관입체고리부(31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홈(413)에 안착하도록 함으로써, 상하이동 뿐만 아니라 좌우이동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는 관입체(300)와 관입보조체(400)가 서로 결합된 채로 휴대될 때 유용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G: 지면 F: 수평토압
Y: 요트 T: 튜브
10: 관입체 20: 케이블
100: 관입체 100a: 첨단부
100b: 머리부 110: 관입체고리부
110a: 체결홀 120: 돌출편
200: 관입보조체 210: 관입체연결부
210a: 중공부 211: 막음부
212: 걸림편 212a: 미끄럼홈
220: 모루 300: 관입체
300b: 머리부 310: 관입체고리부
310a: 체결홀 400: 관입보조체
410: 관입체연결부 410a: 중공부
411: 막음부 412: 수직홈
413: 체결홈 413a: 체결턱

Claims (3)

  1. 일단부에는 지면에 관입 가능하도록 첨단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는 관입체고리부가 마련된 관입체와,
    일단부에는 상기 관입체와 연결되는 관입체연결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모루가 설치된 원통형의 관입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관입체연결부는,
    상기 관입체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내측에 상기 관입체의 삽입 범위를 제한하는 막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외측면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관입체연결부에는,
    상기 관입체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막음부에 이격하여 마련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체연결부에는,
    상기 관입체가 상기 관입체연결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입체고리부가 끼워질 수 있게 하는 수직홈과,
    상기 관입보조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관입체와 상기 관입보조체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체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KR1020150142003A 2015-10-12 2015-10-12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KR10238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03A KR102382946B1 (ko) 2015-10-12 2015-10-12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003A KR102382946B1 (ko) 2015-10-12 2015-10-12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870A true KR20170042870A (ko) 2017-04-20
KR102382946B1 KR102382946B1 (ko) 2022-04-04

Family

ID=5870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003A KR102382946B1 (ko) 2015-10-12 2015-10-12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63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인우에코텍 식생매트용 대나무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75A (ja) * 1995-06-22 1997-01-07 Nkk Corp 杭の継手構造
WO1998008733A1 (en) * 1996-08-30 1998-03-05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ás A pile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process for installing it
KR100608502B1 (ko) 2004-02-05 2006-08-03 (주)신성엔지니어링 강관과 팩을 이용한 절토사면의 안정을 위한 앵커링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09565A (ja) * 2008-03-03 2009-09-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杭着脱構造
KR101499341B1 (ko) 2013-09-11 2015-03-05 삼성물산 주식회사 할로우 바를 이용한 소구경 말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75A (ja) * 1995-06-22 1997-01-07 Nkk Corp 杭の継手構造
WO1998008733A1 (en) * 1996-08-30 1998-03-05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ás A pile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process for installing it
KR100608502B1 (ko) 2004-02-05 2006-08-03 (주)신성엔지니어링 강관과 팩을 이용한 절토사면의 안정을 위한 앵커링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09565A (ja) * 2008-03-03 2009-09-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杭着脱構造
KR101499341B1 (ko) 2013-09-11 2015-03-05 삼성물산 주식회사 할로우 바를 이용한 소구경 말뚝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763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인우에코텍 식생매트용 대나무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46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88210A (en) Core taking projectile
US3378967A (en) Marker for underground marking of measuring points
JP5067931B2 (ja) 鋼管杭の先端拡張構造及び鋼管杭の先端拡張施工方法
KR101560382B1 (ko) 오탁방지막용 강관말뚝 앵커
US10557241B2 (en) Piling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N102518132A (zh) 张拉自锁伞型锚及土质边坡加固方法
JP2007132068A (ja) プレート杭
RU2070302C1 (ru)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 грунте
KR20170042870A (ko) 모래지반용 분리형 관입기구
JP4684155B2 (ja) 削孔装置
KR101417434B1 (ko) 긴장재 제거가 가능한 앵커
JP2000178956A (ja) 地盤調査方法
KR101809443B1 (ko) 타격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 분리 및 회수공법
JP4509140B2 (ja) アンカー及びアンカー打ち込み方法
KR102213826B1 (ko) 지반침하 계측장치용 스파이더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지반침하 계측장치
KR101489250B1 (ko) 케이블의 제거가 용이한 어스앵커 어셈블리
JP3052135B2 (ja) 既設杭の引抜き装置
JP2007239444A (ja) 地盤情報を得る調査方法
Halcomb et al. High Strain Dynamic Testing of SPIN FIN™ Piles
EA017789B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бурения сквозь неплотно утрамбованные материалы
JP7295369B1 (ja) 杭把持爪
CN109208603B (zh) 地下抗拉锚杆清除方法
US6288976B1 (en) Seismic geophone coupling system
Lunne et al. Design and testing out of deepwater seabed sampler
KR20220145204A (ko)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