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851A -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851A
KR20170042851A KR1020150141948A KR20150141948A KR20170042851A KR 20170042851 A KR20170042851 A KR 20170042851A KR 1020150141948 A KR1020150141948 A KR 1020150141948A KR 20150141948 A KR20150141948 A KR 20150141948A KR 20170042851 A KR20170042851 A KR 2017004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erfume
perfume composition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851A/ko
Publication of KR2017004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한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지며, 유효 성분으로서 향료,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스틱 용기에 사용이 가능한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는 고형의 제형으로서,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국소부위에 소량의 향수를 발라주어도 충분한 향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사용 시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며, 외관이 투명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Description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ERFUME COMPOSITION OF SOLID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투명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고형의 제형을 가져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수(Perfume)는 한 가지 성분이 아니라 다양한 향을 지닌 여러 가지 성분들의 조화로 이루어진다. 향수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서로 다른 향을 지닌 두 개 이상의 향료들이 밸런스를 이루면서 새로운 향을 나타내는 어코드(Accord)이다. 나머지 하나는 시간에 따라 미묘하게 변화되는 향을 나타내는 노트(Note)이다.
또한, 상기 노트(Note)는 향료들의 휘발성에 따라 크게 탑 노트(Top note), 미들 노트(Middle note) 및 베이스 노트(Base note)로 나뉜다. 탑 노트는 휘발성이 높은 향료로서, 이는 향수의 첫 번째 인상을 주는 역할을 하며 과일 향, 시트러스 향 및 그린 향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미들 노트는 휘발성이 중간정도의 성질을 가진 향료로서, 이는 탑 노트가 사라진 후 나타나는 향이며 향기에 풍부한 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들 노트는 향수의 기본적인 틀을 결정해주며 자스민, 장미 등의 플로랄 노트와 스파이시 노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베이스 노트는 휘발성이 가장 낮은 향료로서, 이는 향의 기초를 이루어 오랫동안 향이 지속되는 역할을 하며 동물성, 우디 및 바닐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향수는 위와 같은 어코드와 노트의 두 가지 구성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진다. 또한, 향수는 향료의 부향률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 향수는, 일반적으로 부향률에 따라 15wt% 이상의 높은 향료 농도(부향률)의 퍼퓸(Perfume), 약 9 ~ 12wt%의 향료 농도를 가지는 오 드 빠팡(Eau de Parfum), 약 6 ~ 8wt%의 향료 농도를 가지는 오 드 뚜알렛(Eau de Toilette), 약 3 ~ 5%의 향료 농도를 가지는 오 드 코롱(Eau de Cologne), 그리고 3wt% 이하의 낮은 향료 농도를 가지는 샤워 코롱(Shower Cologne)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향수에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기능성 향을 적용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321호에는 스모크 향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3956호에는 사과나무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182호에는 야래(夜來) 향나무에서 추출한 아래 향 추출물을 첨가한 향수가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행특허문헌들을 포함한 종래의 향수 조성물은 액상 타입의 제형을 가지며, 이는 주로 스포이드(spuit)나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피부 등에 사용된다. 또한, 향수 조성물은 향료와 용매를 포함하되, 액상 타입의 제형을 위해 상기 용매로는 대부분의 경우 알코올을 사용하고 있다. 알코올은 빨리 휘발하면서 날카롭고 상쾌한 탑 노트를 느끼게 해주며, 이는 또한 피부에 신선한 베이스 노트를 남겨주는 역할을 하여 향수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향수 조성물은 액상 타입의 제형을 가짐으로 인해, 충전 용기(향수 용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타입의 향수 제품은, 적어도 수밀성이 요구되는 밀폐 용기에 충전 및 보관되어야 하고, 이러한 용기는 피부 등에 스포이드(spuit)나 스프레이(spray) 방식으로 적용하기 위해 정밀하고 복잡한 분사 구조(펌핑 구조 등)를 필요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용기에 충전된 향수 제품은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하고, 사용 및 휴대 시에는 적어도 용기의 개폐 조작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사용 후에는 누액이 발생되지 않도록 용기 뚜껑을 주의 깊게 밀폐시켜야 한다.
둘째, 종래의 향수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 타입의 제형을 위해 용매로서 대부분의 경우 알코올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알코올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은 자극적일 수 있으며, 향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향수의 사용 시 호흡할 때, 향수 조성물에 포함된 알코올이 코 및/또는 입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개인적 취향에 따라 자극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알코올과 향료는 모두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향의 지속력이 낮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3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39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182호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자극적이 않고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 등을 높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피부 발림성이 우수한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하고, 고형이며,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향료;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향료 10 내지 50 중량%; 용매로서의 오일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 0.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향료 15 내지 35 중량%; 용매로서의 오일 3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80 ~ 150℃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향료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적이 않고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 등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외관을 가져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피부 발림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고형 타입(solid type)의 제형을 가지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지는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고형 타입의 향수 제품으로서, 충전 용기와,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향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수 제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4형태에 따라서, 상기 고형 타입의 향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이하, "향수 조성물"로 약칭한다.)은 투명하고, 고형의 제형을 가지며, 유효 성분으로서 향기를 발산하는 향료, 상기 향료의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을 포함한다. 그리고 용매로서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향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수 제품, 및 상기 향수 제품의 제조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향의 지속성과 비자극성, 그리고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우선적 과제로 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외관의 투명성, 제형 안정성 및 피부 발림성 등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향료의 용매로서 알코올 대신에 오일을 용매로 사용하여, 알코올로부터 수반되는 코나 입의 자극을 최소화하고, 피부 등에 도포 시 향의 휘발성을 낮추어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유지되는 향의 지속성을 갖게 하였다. 또한,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여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갖게 하여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즉, 고형 타입은 액상 타입보다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특성과, 사용 및 휴대의 편의성에서 유리함을 고려하여, 상기 오일 겔화제를 통해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갖게 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투명성을 갖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생활용품이나 화장품 등의 제품에서,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제품은 맑고 깨끗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형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위해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였다.
한편, 고형 타입의 제형만을 위해서라면 왁스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왁스를 오일과 혼합하여 냉각시키면, 미세한 3차원 결정 구조를 이루면서 높은 경도(Hardness)를 지닌 고형 타입의 제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왁스를 사용하는 경우,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질 수는 있으나, 이는 불투명해진다. 또한, 오일/왁스 제형에서는 오일과 왁스의 상용성이 좋지 않을 경우, 오일이 제품 표면에 출현하는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제품의 외관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일과 왁스의 최적 조합을 선정해야 하는데, 이는 그지 쉽지 않으며, 최적 조합을 통해 스웨팅(Sweating) 현상을 해결하더라도 향취 특성 및 피부 발림성 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겔화제를 오일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하면 오일/왁스 제형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3차원 결정 구조를 이루면서 높은 경도를 지닌 고형 타입의 제형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일 겔화제는 오일/왁스 제형에서 나타나는 스웨팅(Sweating)과 같은 현상이 없고, 제형 안정성 및 피부 발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투명한 제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위해, 왁스의 사용을 배제하고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오일 겔화제는 향료 및 오일의 종류에 따라 제형의 경도 및 투명도 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향료, 오일 및 오일 겔화제를 혼합함에 있어, 적어도 오일 겔화제의 함량을 최적화하면, 제형의 경도 및 투명도는 물론 피부 발림성 등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투명"은 일반인들이 육안 관찰을 통해 투명하다고 느낄 수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서, 투명은 완전 투명 및 반투명의 의미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서의 투명은 광투과율 측정방법으로 측정 시,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가시광선이 직선상에서 예를 들어 60% 이상, 예를 들어 70%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 또는 예를 들어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투과율(투명도)은 높을수록 좋으므로 상한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광투과율(투명도)의 상한치는, 예를 들어 향료, 오일 및/또는 오일 겔화제의 종류 및/또는 함량 등에 따라 100%, 98% 또는 95%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투명은 완전한 무색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투명도(광투과율)을 가지는 경우라면 유색을 가져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형"은 적어도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온은 인위적인 열을 가하거나 빼지 않은 실온으로서, 이는 계절 및/또는 지역에 따라 20℃ 내지 40℃, 또는 15℃내지 3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형은, 구체적으로 60℃ 이하의 온도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고형은 연필 경도, 연필 경도 이상의 딱딱한 경도, 및 연결 경도 이하의 경도를 가지는 고형 상태는 물론, 젤 상태 및 겔 상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고형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상온에서 흐르지 않음)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적어도 사용 시에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고, 고형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향료는 향기를 발산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향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코드(Accord)와 노트(Note)에 준하여 2개 이상 복수의 조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향료는 피부에 적용 시 은은하고 오랫동안 향을 지속하기 위하여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향료의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오일은 당업계에서 오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헥실테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오일은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1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예를 들어 향료의 분산성 및/또는 휘발성 등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상대적으로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낮아져 고형화 및/또는 투명도 등이 미미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오일은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오일 겔화제는, 적어도 오일을 겔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을 고형 타입으로 제형화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겔화제는 향료와 오일을 고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오일 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5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고형 타입의 제형 및 투명도의 동시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고형 타입의 제형 및 투명도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향기 특성 및/또는 피부 발림성 등이 다소 미미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오일 겔화제는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광투과율 60% 이상의 투명으로서, 향료 10 내지 50 중량%, 오일 10 내지 50 중량%, 및 오일 겔화제 0.5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투명한 외관을 확보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스틱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이 가능한 단단함을 유지하면서, 국소부위에 소량을 발라주어도 충분한 향기를 발산하면서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와 함께, 제형 안정성은 물론 피부 발림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광투과율 70% 이상의 투명으로서, 향료 15 내지 35 중량%, 오일 30 내지 50 중량%, 및 오일 겔화제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상기 제1구현예에 따른 조성보다 더욱 향상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향수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색소, 방부제, 천연 추출물, 산화 안정화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들은 고형화 및 투명도 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각각 0.0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되거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각각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제1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에 향료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제2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나열한 바와 같은 오일과 오일 겔화제의 종류를 선택하여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용해시킨다. 이때, 혼합 용해 시, 오일과 오일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80 ~ 15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혼합 용해 시의 온도는 90 ~ 13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향료를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다. 그리고 향료 투입 후, 약 30초 내지 2분이 경과한 후에, 향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킨다. 이때, 상기 향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한 후에는, 예를 들어 상온에서 냉각하거나,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고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실제 제품에 적용되는 충전 용기이거나, 성형을 위한 성형 용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제품은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향수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향수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이다.
상기 충전 용기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충전(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용기는, 예를 들어 원통형 및 다각통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스틱형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충전된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회전력이나 가압력 등에 의해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문구 용품으로서 통상의 딱풀이라 불리는 접착 제품과 같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충전(수용)된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회전력에 의해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제품의 제조방법은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향수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수 제품의 제조방법으로서, (a)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향료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충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스틱형 용기에 충전(수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는 고형의 제형으로서, 국소부위에 소량의 향수를 발라주어도 충분한 향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사용 시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며, 외관이 투명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다.
또한, 충전 용기로는 액상 타입과 같이 스포이드(spuit)나 스프레이(spray) 방식의 정밀하고 복잡한 분사 구조(펌핑 구조 등)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틱형 용기 등과 같이 구조가 간단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 제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는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내지 3]
먼저, 교반기가 달린 혼합조에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을 넣은 다음, 여기에 오일 겔화제를 투입하고 약 120℃에서 충분히 교반,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향료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향료 투입 후, 약 1분이 경과한 후에 용기에 바로 충전시킨 다음 냉각시켜 각 실시예들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실시예들에 따라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은 향수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한 것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오일 겔화제 대신에 왁스(세레신 왁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본 비교예에 따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2]
기존의 액상 타입 제형을 위해, 하기 [표 1]에 보인 함량으로 에탄올에 향료를 투입하여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한 것을 본 비교예에 따른 시편으로 하였다.
< 향수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용매
(오일)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To 100)
59
(To 100)
34.4
(To 100)
55
(To 100)
-
옥틸도데칸올
10 10 10 10 -
용매
(알코올)
에탄올 - - - - 80
(To 100)


오일
겔화제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30 - 30 - -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20 - - - -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 3 0.3 - -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 3 0.3 - -
왁스 세레신 왁스
- - - 10 -
향료
25 25 25 25 20
위와 같이 제조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투명도, 소비자 만족도 및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 3과 비교예 1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은 고형 타입의 제형이고, 비교예 2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은 일반적인 액상 타입의 제형이다.
실험예 1 : 투명도 평가
상기 각 실시예(1 ~ 3) 및 비교예(1 ~ 2)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육안 관찰을 통해 투명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상기 각 실시예(1 ~ 3) 및 비교예(1 ~ 2)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 ~ 3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2는 비교예 1 ~ 2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사진은 각 향수 조성물이 용기에 충전된 모습이다.
< 투명도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투명도
투명 약간 투명 투명 불투명 투명
상기 [표 2]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고형 타입의 제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오일 겔화제를 사용한 실시예 1 ~ 3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한 비교예 1보다 높은 투명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3을 대비해보면, 오일 겔화제의 함량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즉, 투명도에서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2의 순서로서,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투명한 제형을 가졌다.
실험예 2: 고객 관능 테스트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시험자 성인 20 ~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각 평가 항목에 대해서 절대평가를 진행하게 하였다.
이때, 일반적인 향수 사용법에 따라 피시험자들에게 소량의 향수를 손목이나 목 부위에 적용하게 하고 향취(자극성 포함), 피부 발림성 및 외관 선호도를 평가 항목으로 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아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로 평가하게 한 다음, 피시험자들의 점수를 종합하여 그 평균값을 각 평가 항목별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 매우 만족 : 5점
- 만족 : 4점
- 보통 : 3점
- 나쁨 : 2점
- 매우 나쁨 : 1점
< 고객 관능 테스트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향취(자극성)
4.5 4.4 4.6 4.3 3.8
피부 발림성
4.2 4.0 4.3 3.7 4.3
외관 선호도
4.5 4.4 4.5 3.6 4.0
상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이 비교예들에 따른 시편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소비자 만족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3을 대비해보면, 오일 겔화제의 함량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가 달라지며 실시예 3,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순서의 소비자 만족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향취(자극성), 피부 발림성 및 외관 선호도의 종합적인 소비자 만족도(고객 만족도)에 있어서, 향료의 함량 25 중량%에서 오일의 함량은 44.4 중량%이고 오일 겔화제의 함량은 30.6 중량%로서 적정 조성된 실시예 3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평가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제형 안정성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온도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15℃, 0℃, 25℃ 및 45℃의 항온조에 각 시편을 4주간 보관한 후, 분리 현상(불투명해지거나 응집물이 관찰)이나 Sweating 형상을 육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분리 현상이나 Sweating 형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양호", 발생된 경우에는 "미흡"으로 평가하였다.
<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 >
시 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0℃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2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40℃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 고형 타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 1, 그리고 액상 타입의 비교예 2는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이 모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용매로서의 오일을 사용하면서 향료와 오일을 오일 겔화제를 이용하여 고형화시킨 경우, 향이 은은하게 오랫동안 지속되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지면서 자극적이지 않고,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투명한 외관을 지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형 안정성은 물론 피부 발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스틱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기에 충전, 보관할 수 있어,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투명하고, 고형이며,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고,
    향료;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향료 10 내지 50 중량%;
    용매로서의 오일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 0.5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은,
    향료 15 내지 35 중량%;
    용매로서의 오일 3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이고,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80 ~ 150℃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향료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41948A 2015-10-12 2015-10-12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48A KR20170042851A (ko) 2015-10-12 2015-10-12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48A KR20170042851A (ko) 2015-10-12 2015-10-12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851A true KR20170042851A (ko) 2017-04-20

Family

ID=5870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948A KR20170042851A (ko) 2015-10-12 2015-10-12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2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452A (en) Cosmetic stick
CN101238203B (zh) 香味和芳香组合物
ES2894947T3 (es) Mezcla de lípidos de octildodecanol y aceite de colza hidrogenado
AU693008B2 (en) Anhydrous delivery vehicle for cosmetic ingredients
CA2776337C (en) Stabilized glycerin-in-oil emulsions
US6432391B1 (en) Transparent scent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KR102008935B1 (ko)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JP3657148B2 (ja) 透明化粧料
US20060165645A1 (en) Lipid preparation, particularly cosmetic preparation
TWI733678B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KR20180131338A (ko)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JP2010510283A (ja) 少なくとも1種の非プロトン性炭化水素をベースとする揮発性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CN109966184A (zh) 一种悬浮油珠卸妆水及其制备方法
EP2687587A1 (en) Fragrance compositions
KR101272740B1 (ko) 립플럼핑 효과를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S6111204B2 (ko)
KR20170042851A (ko) 고형 타입의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2904A (ko) 고형 타입의 향수 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2002060330A (ja) 香り付きの透明な固形化粧料
JP7155943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スプレー製剤
JP5306159B2 (ja) 香料組成物における精神高揚効果の付与方法
EP3119478B1 (fr) Dispositif consommable anhydre destine a la preparation extemporanee d&#39;une composition cosmetique monodose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ayma Make It Up: The Essential Guide to DIY Makeup and Skin Care
KR20170067321A (ko)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