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321A -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321A
KR20170067321A KR1020150173852A KR20150173852A KR20170067321A KR 20170067321 A KR20170067321 A KR 20170067321A KR 1020150173852 A KR1020150173852 A KR 1020150173852A KR 20150173852 A KR20150173852 A KR 20150173852A KR 20170067321 A KR20170067321 A KR 20170067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leansing
solid type
present
gel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김정일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7321A/ko
Publication of KR20170067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 용기; 및 충전 용기에 충전된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반투명한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지며, 유효 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은 스틱 용기 등에 단단함이 유지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이 충전된 형태로서 클렌징 시 바로 얼굴에 사용이 가능한 워시오프 타입으로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오일/왁스 제형에 비해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CLEANSING PRODUCT OF SOLID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형타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탄화소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오일 겔화제를 적절히 배합한 반투명한 고형타입으로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우수하며 제품을 따로 덜어서 사용하지 않고 바로 클렌징 부위에 사용이 가능한 워시오프 타입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특징을 지닌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클렌징을 목적으로 한 화장료는 제형상으로 크림상, 유액상, 액상, 젤상, 고형상 등의 제품이 있고 사용 방법에 따라 워시오프와 티슈오프로 구분된다. 클렌징 후 물로 세안하여 씻어내는 타입을 워시오프라 하며 티슈로 닦아내는 타입을 티슈오프라 한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크림과 같은 티슈오프 타입은 제형 내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오일 성분으로 클렌징을 하게 된다. 이러한 티슈오프 타입은 워시오프 타입에 비해 클렌징력이 미흡하고 티슈로 닦아낸 후 다시 비누나 폼클렌징으로 이중 세안을 해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 클렌징 제품 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은 클렌징 오일로 오일과 계면활성제로 클렌징을 하기 때문에 클렌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클렌징 후 바로 물로 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로 바로 씻어낼 수 있는 원리는 클렌징 후 세안 시 물이 닿으면 피부의 이물질과 오일이 내상이 되고 물이 외상이 되는 O/W 에멀젼이 되어 세안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러한 O/W 에멀젼이 되기 때문에 물이 닿자마자 불투명 해지는 현상이 생기며 주로 고체상 보다는 액상으로 존재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고형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워시 오프 타입의 대표적인 클렌징 오일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는 펌프 용기로 사용 시 내용물의 손실이 발생하며 제품을 손에 덜어낸 후 얼굴에 제품을 발랐을 때 점도가 낮아 바로 흘러내리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지니고 있다.
둘째, 종래의 고형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립스틱과 같은 오일/왁스 제형으로 왁스로 인해 사용시 발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일에 왁스가 용해되어 있어 클렌징력도 다소 미흡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7727호는 오일/왁스 제형으로 발림성이 우수하지만 제품을 스틱용기에 충진하여 바로 클렌징 하기에는 제형이 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크림용기에 충진한 후 따로 제품을 덜어내어 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에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클렌징력이 우수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최대화한 클렌징 제품을 개발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77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1144호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고형타입의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티슈오프나 워시오프 클렌징 제품의 특징을 고려하여, 탄화소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실리콘 오일, 오일 겔화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배합하여 반투명한 고형타입의 클렌징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러한 클렌징 제품은 따로 덜어내어 사용하지 않고 바로 제품을 얼굴에 바를 수 있고 워시오프 타입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우수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반투명하고, 고형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탄화소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 5.0내지 20.0중량%, 탄화소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50.0내지 90.0중량%, 오일 겔화제 1.0 내지 70.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80 ~ 150℃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충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렌징 시 제품을 따로 덜어내어 얼굴에 취하여 손으로 문지르는 클렌징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제품을 바로 얼굴에 문지르면서 클렌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물로 씻어낼 수 있는 워시오프 타입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기존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에 비해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실시예2)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기존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비교예1)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고형 타입(solid type)의 제형을 가지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지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으로서, 충전 용기와,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4형태에 따라서, 상기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이하, "클렌징 조성물"로 약칭한다.)은 반투명하고, 고형의 제형을 가지며, 비이온계면활성제, 용매로서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서 상기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상기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제품, 및 상기 클렌징 제품의 제조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클렌징 시 사용 편의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우선적 과제로 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외관의 차별성, 발림성 및 클렌징력 등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위하여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여 기존 오일/왁스 고형 타입 제품에 비해 발림성을 향상시켰다. 고형 타입의 제형만을 위해서라면 왁스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왁스를 오일과 혼합하여 냉각시키면, 미세한 3차원 결정 구조를 이루면서 높은 경도(Hardness)를 지닌 고형 타입의 제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왁스를 사용하는 경우, 고형 타입의 제형을 가질 수는 있으나, 이는 불투명해진다. 또한, 오일/왁스 제형에서는 오일과 왁스의 상용성이 좋지 않을 경우, 오일이 제품 표면에 출현하는 스웨팅(Sweating)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제품의 외관이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일과 왁스의 최적 조합을 선정해야 하는데, 이는 그지 쉽지 않으며, 최적 조합을 통해 스웨팅(Sweating) 현상을 해결하더라도 피부 발림성 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겔화제를 오일에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하면 오일/왁스 제형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3차원 결정 구조를 이루면서 높은 경도를 지닌 고형 타입의 제형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일 겔화제는 오일/왁스 제형에서 나타나는 스웨팅(Sweating)과 같은 현상이 없고, 피부 발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반투명한 제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발림성이 우수하고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고형 타입의 제형을 위해, 왁스의 사용을 배제하고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오일 겔화제는 오일의 종류에 따라 제형의 경도 및 투명도 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및 오일 겔화제를 혼합함에 있어, 적어도 오일 겔화제의 함량을 최적화하면, 제형의 경도 및 투명도는 물론 피부 발림성 등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형"은 적어도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온은 인위적인 열을 가하거나 빼지 않은 실온으로서, 이는 계절 및/또는 지역에 따라 20℃ 내지 40℃, 또는 15℃내지 35℃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형은, 구체적으로 60℃ 이하의 온도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고형은 연필 경도, 연필 경도 이상의 딱딱한 경도, 및 연결 경도 이하의 경도를 가지는 고형 상태는 물론, 젤 상태 및 겔 상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고형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상온에서 흐르지 않음)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은 적어도 사용 시에는 유동성을 가지지 않고, 고형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워시오프가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클렌징력과 워시오프 타입의 특징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2개 이상 복수의 조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클렌징력과 워시오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오일은 당업계에서 오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헥실테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오일은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5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예를 들어 발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의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상대적으로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낮아져 고형화 및/또는 반투명도 등이 미미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오일은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오일 겔화제는, 적어도 오일을 겔화시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을 고형 타입으로 제형화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겔화제는 향료와 오일을 고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오일 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으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고형 타입의 제형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겔화제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높으면, 고형 타입의 제형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피부 발림성 등이 다소 미미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오일 겔화제는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클렌징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색소, 방부제, 천연 추출물, 산화 안정화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들은 고형화 및 투명도 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클렌징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각각 0.001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되거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각각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제1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제2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나열한 바와 같은 오일과 오일 겔화제의 종류를 선택하여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용해시킨다. 이때, 혼합 용해 시, 오일과 오일 겔화제의 종류에 따라 80 ~ 150℃의 온도 범위에서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혼합 용해 시의 온도는 90 ~ 13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다. 그리고 계면활성제투입 후, 약 5분 내지 10분이 경과한 후에,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시킨다. 이때,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용기에 충전한 후에는, 예를 들어 상온에서 냉각하거나,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고형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실제 제품에 적용되는 충전 용기이거나, 성형을 위한 성형 용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제품은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렌징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이다.
상기 충전 용기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충전(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용기는, 예를 들어 원통형 및 다각통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스틱형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충전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회전력이나 가압력 등에 의해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문구 용품으로서 통상의 딱풀이라 불리는 접착 제품과 같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충전(수용)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회전력에 의해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제품의 제조방법은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제품의 제조방법으로서, (a)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충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스틱형 용기에 충전(수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는 고형의 제형으로서, 제품을 바로 얼굴에 적용하여 클렌징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사용 시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스틱형 용기 등과 같이 구조가 간단한 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 제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는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내지 2]
먼저, 교반기가 달린 혼합조에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을 넣은 다음, 여기에 오일 겔화제를 투입하고 약 120℃에서 충분히 교반,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투입 후, 약 5분이 경과한 후에 용기에 바로 충전시킨 다음 냉각시켜 각 실시예들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실시예들에 따라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은 클렌징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한 것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오일 겔화제 대신에 왁스(세레신 왁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본 비교예에 따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 클렌징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용매
(오일)
세틸 에칠헥사노에이트
21.8
(To 100)
27.8
(To 100)
31.8
(To 100)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15 30
미네랄 오일
5 10 15



오일
겔화제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50 30 -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 2 -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 2 -
왁스 세레신 왁스
- - 10
비이온
계면활성제
소르베스30 테트라올레이트
10 10 10
피이지-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3 3 3
향료
0.2 0.2 0.2
위와 같이 제조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소비자 만족도 및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 2과 비교예 1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 시편은 고형 타입의 제형이다.
실험예 1: 고객 관능 테스트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 시편의 소비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시험자 성인 20 ~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각 평가 항목에 대해서 절대평가를 진행하게 하였다.
이때, 일반적인 클렌징 사용법에 따라 피시험자들에게 클렌징 제품을 피부에 바로 적용하게 하고 피부 발림성, 클렌징력 및 전반적인 선호도를 평가 항목으로 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아래의 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로 평가하게 한 다음, 피시험자들의 점수를 종합하여 그 평균값을 각 평가 항목별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평가 기준 >
- 매우 만족 : 5점
- 만족 : 4점
- 보통 : 3점
- 나쁨 : 2점
- 매우 나쁨 : 1점
< 고객 관능 테스트 결과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피부 발림성
4.1 4.4 3.7
클렌징력
4.0 4.2 3.9
외관 선호도
4.0 4.3 3.8
상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 시편이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소비자 만족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2을 대비해보면, 오일 겔화제의 함량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가 달라지며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른 순서의 소비자 만족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피부 발림성 및 클렌징력의 종합적인 소비자 만족도(고객 만족도)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 13중량%에서 오일의 함량은 52.8중량%이고 오일 겔화제의 함량은 34 중량%로서 적정 조성된 실시예 2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평가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제형 안정성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온도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15℃, 0℃, 25℃ 및 45℃의 항온조에 각 시편을 4주간 보관한 후, 분리 현상(불투명해지거나 응집물이 관찰)이나 Sweating 형상을 육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분리 현상이나 Sweating 형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양호", 발생된 경우에는 "미흡"으로 평가하였다.
<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 >
시 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1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0℃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25℃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40℃ 항온조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 고형 타입의 실시예 1 ~ 2과 비교예 1은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이 모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용매로서의 오일을 사용하면서 오일 겔화제를 이용하여 고형화 시킨 경우, 사용성이 매우 편리하고 발림성 및 클렌징력이 우수한 고형 타입의 반투명한 외관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제형 안정성 떠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스틱 형상으로 성형하여 용기에 충전, 보관할 수 있어,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충전 용기; 및
    상기 충전 용기에 충전된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반투명하고, 고형이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탄화소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타입의 클렌징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5 내지 20 중량%;
    용매로서의 오일 5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오일을 겔화시키는 오일 겔화제 1.0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비스-디옥타데실아미드 다이머 디리놀레익 애씨드/에틸렌디아민 코폴리머, 디부틸 에틸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 및 디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형 타입의 클렌징 제품.
  5. 오일과 오일 겔화제를 80 ~ 150℃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충전 용기에 충전하여 고형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제품의 제조방법.
KR1020150173852A 2015-12-08 2015-12-08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7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52A KR20170067321A (ko) 2015-12-08 2015-12-08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52A KR20170067321A (ko) 2015-12-08 2015-12-08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21A true KR20170067321A (ko) 2017-06-16

Family

ID=5927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52A KR20170067321A (ko) 2015-12-08 2015-12-08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7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15A (ko) * 2020-09-23 2022-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15A (ko) * 2020-09-23 2022-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4491B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081144B1 (ko)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3657148B2 (ja) 透明化粧料
TWI667039B (zh) Skin detergent composition
JP4189886B1 (ja)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TWI432219B (zh) 油性液體潔膚用組合物
CN104853740A (zh) 可以用温水除掉的皮肤用打底化妆品
JP6026615B1 (ja) バイコンティニュア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09106621A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20102A (zh) 皮肤清洁剂组合物
JP2010235514A (ja)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CN110494119A (zh) 皮肤清洁剂组合物
JP6994563B2 (ja) 油性化粧料
KR20170067321A (ko)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JP4916568B2 (ja) マスカラ除去剤
JP3881953B2 (ja) 液状油性皮膚洗浄料
EP1000606B1 (en) Weak acid skin cleanser containing an alkali salt of N-acyl-amino acid
JP2021143133A (ja) 油性固形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887854B2 (ja) 固形状クレンジング剤
JPH1192359A (ja) 透明皮膚洗浄料
KR102152288B1 (ko)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1509B1 (ko)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686938B2 (ja) 油性皮膚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