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509B1 -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509B1
KR102371509B1 KR1020200073647A KR20200073647A KR102371509B1 KR 102371509 B1 KR102371509 B1 KR 102371509B1 KR 1020200073647 A KR1020200073647 A KR 1020200073647A KR 20200073647 A KR20200073647 A KR 20200073647A KR 102371509 B1 KR102371509 B1 KR 10237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emollient
polyol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011A (ko
Inventor
서그림
김재영
황성진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20007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5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2층의 액상을 교반 시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겔상으로 성상이 변화하여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세정 후 보습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WO PHASE CLEANSING GEL COSMETIC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액상 상태의 2층상 제형을 흔들어 점도를 생성하며 투명성을 유지하는 겔로 성상이 변하면서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물로만 완전히 씻어낼 수 있는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성인 인구의 대부분은 얼굴 피부가 건성 및 지성 부위를 모두 갖는 복합성 형태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오늘날 시장에는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클렌징 제품이 결여되어 있다.
지나치게 지성인 것으로 여겨지는 부위뿐만 아니라, 건성 부위를 갖는 얼굴 피부로서 정의되는 복합성 피부는 클렌징 제품 선택에서 커다란 딜레마를 나타내어 왔다. 일반적으로, 지성 피부를 갖는 개개인은 클렌징 제품 선택에 있어서 에몰리언트가 적은 클렌징워터나 클렌징티슈 등을 사용하고 세정 후 잔여감이 전혀 없는 사용감을 선호한다. 이에 반해 건성 피부를 잦는 개개인은 클렌징 오일 등 에몰리언트가 많은 종류를 선호하며 세정 후에 보습감 등 같은 잔여감이 어느 정도 있는 사용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복합성 피부나 수분이 부족해서 지성으로 피부가 변화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많은 개개인들은 제형적으로 클렌징겔과 클렌징 밀크가 피부에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클렌징겔과 클렌징밀크는 메이크업을 제거하는 능력이 다른 제품군들에 비해 비교적 약하여 복합성 피부를 가진 오늘 날 대부분의 성인들은 상기의 클렌징 제품 중 우선순위를 두거나 부분적으로 만족하는 종류와 제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쁜 생활에서 클렌징을 포함한 스킨케어 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오늘날 소비자들은 2차 세안을 하지 않는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클렌징 제품을 지속적으로 찾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9956호에서는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여 2층상을 형성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제품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63179호에서는 극성오일, 비극성오일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제1층,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층 및 폴리올, 정제수 및 카보머를 포함하는 제3층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면서 2차 세안이 불필요한 클렌징 겔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몰리언트와 보습 성분의 2가지의 투명한 상을 손으로 교반할 시 투명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점성의 겔로 성상이 변하여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물로 완전히 씻어낼 수 있으며 세정 후 보습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는, 폴리올, 에몰리언트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다이올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에몰리언트는 에스테르계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높은 종류로 성상이 어느 정도 경도가 있는 왁스형태를 갖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올레스-10, 폴리솔베이트 60, 및 폴리솔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 5 내지 15 중량%, 계면활성제 20 내지 30 중량%, 에몰리언트 40 내지 6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65 내지 75℃에서 폴리올에 계면활성제와 에몰리언트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5분 내지 10분간 용해시키는 제1 단계; 65 내지 75℃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을 호모믹서( Homo mixer)로 유화하는 제2 단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0℃ 내지 50℃까지 냉각시킨 후 방부제와 색소를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용해하는 제3 단계; 및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시킨 후 용기에 충전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에몰리언트의 함유로 피부 위의 메이크업이 완벽하게 클렌징되고 외상이 물로 이루어져 2차 세안 없이 물로만 세정을 끝낼 수 있으며 세정 후 건조함이 없이 보습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의 2층상 타입의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있는 겔 성상의 형성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손으로 교반 시 성상이 변하는 가시적인 흥미를 부여해줄 수 있고 제형적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교반 전후로 투명도를 유지하여 다른 제형들과 더욱 차별된다. 본 제형은 손으로 교반 후에 30분 내로 완벽히 2층상으로 재분리되어 연속적 사용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2층상 타입의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에몰리언트, 계면활성제 및 잔량의 물(정제수)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1,2-헥산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폴리올이 5 중량% 미만이면 2층상이 구현 가능성이 감소하여 일반적인 에멀션 타입의 유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감이 뻑뻑해질 수 있다. 15 중량%를 초과하면 3층상으로 분리 될 수 있고 손으로 교반 시 겔 상이 구현될 가능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높은 종류로 성상이 어느 정도 경도가 있는 왁스 형태를 갖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올레스-10,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80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가 20 중량% 미만이면 손으로 교반 시 겔의 점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완전한 상변화로 보기 힘들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30 중량%를 초과하면 교반해서 사용 후 2층상으로의 재분리가 잘 되지 않고 사용감이 뻑뻑하여 클렌징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몰리언트는 에스테르계 중 에스테르기가 많거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거나 탄화수소체인의 길이가 짧은 종류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옥틸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에몰리언트가 40 중량% 미만이면 메이크업의 클렌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손으로 교반 시 겔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6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클렌징이 불편할 수 있고 교반할 때 겔 성상 자체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1) 6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75℃에서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5분 이상 충분히 용해시킨다(제1 단계).
2) 65 내지 75℃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5분 이상 균일하게 유화시킨다(제2 단계).
3)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까지 냉각시킨 후 방부제 및 색소를 투입한다(제3 단계).
4) 상기 용해물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시킨 후 용기에 충전한다(제4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향, 방부제, pH 조절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비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라이콜에 올레스-10와 에몰리언트를 투입하여 75℃에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75℃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혼합 상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유화시켰다. 마지막으로 45℃까지 고르게 교반하면서 냉각한 후 방부제와 색소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30℃에서 용기에 충전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올레스-1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50.00 - - - - - -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 50.00 - - - - -
트라이에틸헥사노인 - - 50.00 - - - -
옥틸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 - - - 50.00 - - -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 - - - 50.00 - -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 - - - 50.00 -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 - - - - - - 50.00
CI 42053 0.01 0.01 0.01 0.01 0.01 0.01 0.01
PHENOXYETHANOL 0.30 0.30 0.30 0.30 0.30 0.30 0.30
<실험예 1> 사용성 평가
20 내지 30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샘플을 얼굴에 사용하게 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세정력, 보습감 등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함 - 5, 우수함 - 4, 보통 - 3, 나쁨 - 2, 매우 나쁨 - 1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발림성 3.2 4.6 4.7 2.7 3.8 1.2 3.6
마무리감 2.7 3.8 4.8 1.9 4.1 1.8 2.4
세정력 4.3 4.0 4.8 2.9 4.7 1.5 2.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가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쉽게 펴 발라지면서 세정 효과가 우수하고 건조하지 않고 잔여감 없는 마무리 사용성을 갖는 특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과 실시예 3은 발림성, 마무리감, 세정력 모두 보통 이상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나, 각각 마무리감과 발림성 부분에서 실시예 2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실시예 1은 세정력은 우수하지만 발림성과 마무리감이 다소 낮았다. 실시예 6은 발림성은 우수했지만 세정력과 마무리감이 다소 낮았다. 비교예 2는 세 항목 모두 보통 미만의 점수를 받았으며 비교예 3은 세 항목에서 모두 최저 점수를 받았다.
<실험예 2> 보습 효과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보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건성 피부를 가진 2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1회 사용 전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상박에 각각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정 사각형의 제품 적용 부위를 만든 후, 2주간 도포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샘플을 피부에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보습 효과 정도를 스킨 코네오메타(skin corneometer; C+K courage, 독일)과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사용 전 24.23 25.10 23.00 23.54 24.67 25.02 23.94
사용 후 27.19 29.72 31.02 27.63 32.23 31.03 25.44
개선율(%) 12.22 18.41 34.87 17.37 30.64 24.02 6.27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2와 실시예 3이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몰리언트 종류에 따라 극성이나 분자량과 구조적인 차이로 인하여 세정 후의 보습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예 3은 비교적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우수하진 않지만, 일정 수준의 보습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두 사용 전 보다 사용 후에 수분량이 증가했으며 실시예 4가 최저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화장료들에 대하여 4℃, 45℃, 50℃ 및 4℃-45℃ 사이클(Cycle)의 항온조 및 실온에서 1주일, 1개월 및 3개월을 단위로 하여 장기 보전 안정성을 하기 표 5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상태 유지 O
불안정
침전 및 분리 X
보전온도 보전기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4℃ 1주일 O O O O O
1개월 O O O X O
3개월 X O O O X O
45℃ 1주일 O O O O O O O
1개월 O O O O O O O
3개월 O O O O O O O
50℃ 1주일 O O O O O O O
1개월 O O O O O O O
3개월 O O O O O O O
4℃-45℃사이클 1주일 O O O O O
1개월 O O O X O
3개월 X O O O X O
실온 1주일 O O O O O
1개월 O O O O
3개월 X O O O X O
상기 표 5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3, 4 및 비교예 2는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상온, 4℃, 사이클에서 손으로 교반 후 완벽한 재분리가 되지 않아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에몰리언트가 적절하게 조성된 실시예 2, 3, 4 및 비교예 2는 장기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올, 계면활성제 및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아이올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에몰리언트는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다이-C12-13알킬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올레스-10, 폴리솔베이트 60 및 폴리솔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 5 내지 15 중량%, 계면활성제 20 내지 30 중량%, 에몰리언트 40 내지 6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65 내지 75℃에서 폴리올에 계면활성제와 에몰리언트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5분 내지 10분간 용해시키는 제1 단계;
    65 내지 75℃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을 호모믹서( Homo mixer)로 유화하는 제2 단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0℃ 내지 50℃까지 냉각시킨 후 방부제와 색소를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용해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용해물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시킨 후 용기에 충전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 5 내지 15 중량%, 계면활성제 20 내지 30 중량%, 에몰리언트 40 내지 6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아이올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에몰리언트는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올레스-10, 폴리솔베이트 60 및 폴리솔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3647A 2020-06-17 2020-06-17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47A KR102371509B1 (ko) 2020-06-17 2020-06-17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47A KR102371509B1 (ko) 2020-06-17 2020-06-17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011A KR20210156011A (ko) 2021-12-24
KR102371509B1 true KR102371509B1 (ko) 2022-03-08

Family

ID=7917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47A KR102371509B1 (ko) 2020-06-17 2020-06-17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5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0797A (ja) 2016-04-08 2019-04-18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高含量のオイルを安定化したナノエマルジョン化粧料組成物
KR102063179B1 (ko) 2018-11-09 2020-01-08 주식회사 피코스텍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011A (ko) * 2004-03-24 2005-09-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 2019-06-18 2020-12-2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0797A (ja) 2016-04-08 2019-04-18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高含量のオイルを安定化したナノエマルジョン化粧料組成物
KR102063179B1 (ko) 2018-11-09 2020-01-08 주식회사 피코스텍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011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625A (en) Lamella type singl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il-base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he same
CN112057406A (zh) 一种双连续相净彻卸妆油及其制备方法
US11904039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up removal comprising water-soluble surfactant and oil-soluble surfactant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5462691A (en) Skin cleansing agent
CN107737028A (zh) 一种温和的三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JPH06219923A (ja) 透明液状組成物
WO2024083001A1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102371509B1 (ko) 2층상 클렌징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7163B2 (ko)
KR100741959B1 (ko) 유/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도포시 상전이 성질을갖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JP2007297300A (ja) 整髪用乳化組成物
JP3508243B2 (ja) クレンジング料
CN114555041A (zh) 多层清洁组合物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228463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S61171407A (ja) 乳化型化粧料
KR102608660B1 (ko) 이중연속상 클렌징 조성물
KR102152288B1 (ko)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475B1 (ko) 현탁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H01102012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