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620A - 고로 공장 - Google Patents

고로 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620A
KR20170042620A KR1020177005682A KR20177005682A KR20170042620A KR 20170042620 A KR20170042620 A KR 20170042620A KR 1020177005682 A KR1020177005682 A KR 1020177005682A KR 20177005682 A KR20177005682 A KR 20177005682A KR 20170042620 A KR20170042620 A KR 20170042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ast furnace
cleaning
turbin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오넬 하우스머
Original Assignee
풀 부르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부르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풀 부르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04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6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using top gas in the blast furnac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7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he top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8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clean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40Gas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to be recirculated or used in other metallurgical processes
    • C21B2100/44Removing particles, e.g. by scrubbing, dedu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22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capturing or storin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 Y02P10/265
    • Y02P10/2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2) 및 고로(2)용 장입 장치(3)를 갖는 고로 공장(1, 1a-1c)에 관한 것이다. 세정 가스를 장입 장치에 제공하는 경제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ㆍ장입 장치(3)로 세정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6, 42);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dust)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7);
ㆍ상기 세정 장치(7)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어, 가스를 압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즐(6,42)로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 및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를 구동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8);을 포함하는 고로 공장(1, 1a-1c)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로 공장{BLAST FURNACE PLANT}
본 발명은 고로 공장, 고로 공장용 가스 재순환 장치 및 고로 공장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고로의 장입은 로 상부에 원료를 저장하고 이러한 물질을 로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 장입 설비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원료는 저장고에서 칭량되고, 스킵 카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배치모드에서 로의 상부 장입 설비로 전달되며, 상기 상부 장입 설비에서 중간 호퍼에 저장된다.
장입 물질(버든)을 로(furnace) 내부로 분포시키기 위해, 상부 장입 설비는 로의 노목(throat) 상에 그리고, 물질 호퍼의 아래에 배치된 회전식 장입 장치를 포함한다. 회전식 장입 장치는 고정 하우징 및 장입 분배기를 갖는 서스펜션 로터를 포함하며, 서스펜션 로터는 고정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어, 로의 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서스펜션 로터 및 고정 하우징은 회전식 장입 장치의 메인 케이싱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캐이싱에는, 서스펜션 로터를 구동하고 장입 분배기를 회전하기 위한 기구가 배치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밀폐형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하우징 및 서스펜션 로터가 협력하는 동안, 서스펜션 로터의 회전식 장착 및 이동부(서스펜션 로터)와 고정부(하우징) 사이의 작동 동작은 환형 갭이 필요하다. 사용 중, 로의 가스는 이러한 환형 갭을 통해 메인 케이싱을 통과할 수 있다.
매우 많은 더스트를 갖는 로 가스가 회전형 장입 장치의 메인 케이싱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케이싱을 질소로 채운다는 것이 알려진 바 있다. 효율적 결과를 위해, 이러한 질소의 흐름은 메인 케이싱 내의 압력 상태가 로 내부의 압력보다 크도록 충분히 많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100 내지 1000 Nm3/h의 범위의 유속이 메인 케이싱 내에 (고로 상부 압력과 비교했을 때) 약간의 과압력, 예를 들어, 0.1 bar까지를 형성하도록 주입된다. 하지만, 질소의 소비가 커 운행 경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질소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서는, 더스트 입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메인 케이싱에 주입하기 전 압축함으로써, 고로로부터 나온 탑 가스를 재순환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상대적 유속에서 요구된 과압력을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컴프레서는 3 내지 30 kW로 높은 전력 소비를 갖는다. 그 결과, 취득 및 운영비가 매우 높다. 또한, 이러한 컴프레서의 유지보수는 비용이 많이 든다.
LU 73 752는 고로 가스에 실린 입자의 처리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배기가스의 일부가 최종 세척의 상류지점에서 메인 유로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부분은 로의 조절 챔버 및 저장 호퍼로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저전력의 컴프레서 블록에 의해 세척되고 가압 된다.
WO 2010124980에서는 고로에 버든을 공급하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여기서, 고로 탑 가스의 일부는 이산화탄소 재순환 과정을 거친다. 탑 가스의 일부는 또한, 부스터 유닛(booster unit) 및 완충 탱크를 통과해 압축되어, 가압된 가스로써 고로의 호퍼 챔버에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다른 고로 공장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다른 고로 공장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다른 고로 공장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며의 네 번째 실시예에 다른 고로 공장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입 장치에 세정가스를 공급하는 경제적 및 친환경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고로 공장, 제10항에 따른 재순환 장치 및 제1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고로 및 고로용 장입 장치를 갖는 고로(BF) 공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입 장치는 원료(즉, 장입 물질)를 고로로 장입하기 위해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이것은 또한, 일시적으로 이러한 원료를 저장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입 장치는 고로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벨레스 탑(bell less top) 장입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로 공장은 세정 가스를 상기 장입 장치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한다. 이것은 가스가 적어도 하우징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둘러싸여 있어,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스를 함유할 수 있는 장입 장치의 일정 부분으로 도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정 가스"의 용어는 로의 탑 가스보다 상당히 적은 양의 고상 입자를 함유하는 가스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반-세정"으로 언급될 수 있는 잔여 더스트 함량을 갖는 가스를 포함한다. "노즐"의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으며, 노즐이 개방된 끝을 갖는 튜브인, 매우 간단한 실시예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가스의 유속, 속도, 압력 등의 특징을 조절하기 위해, 보다 복잡한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BF 공장은 또한, BF 탑 가스라 불리는 고로로부터 나온 가스(즉, BF 노목(throat)로부터의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탑 가스로부터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종래의 배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 장치는 관성집진장치(inertial separator), 섬유질 필터, 습식 세정기 및/또는 전기 집진기와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집진(dust collector) 타입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더스트의 가장 많은 부분을 제거한다. 특히, 상기 세정장치는 잔여 함량이 20 mg/m3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10 mg/m3보다 작게 되도록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는 가스를 압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가스를 공급하는 세정장치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세정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된, 예를 들어 반-세정된)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컴프레서는 종래의 배관형성 방법으로 세정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서는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컴프레서"의 용어는 넓은 의미로 가스를 압축하기에 적합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원심 컴프레서 또는 워터-링(water-ring) 컴프레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2단 또는 다단 컴프레서일 수 있다. 컴프레서는 미리 세정된 가스가 노즐에 제공되기 전에, 상기 가스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로 인해, 장입 장치로 도입되는 세정된 가스의 압력은 하기 고로의 탑 가스의 압력을 초과한다.
또한, BF 공장은 고로로부터 나온 가스, 즉, BF 탑 가스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로로의 연결은 종래의 배관형성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터빈은 일반적으로 고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세정 장치에 연결된다. 특히, 컴프레서에 사용되는 세정 장치는 고로 및 터빈 사이에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빈은 세정 장치로부터 가스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되고, 차례로, BF 탑 가스를 수용한다.
상기 터빈은 원칙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터빈은 고로로부터 나온 가스를 수용하고, 가스팽창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빈이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를 구동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고로로부터 나온 가스의 팽창에 의해 형성된 터빈의 엔탈피가 장입 장치로 주입된 이후의 세정된 가스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된 컴프레서로 옮겨진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가스의 부피팽창이 또 다른 가스의 부피 수축을 일으킨다. 터빈이 컴프레서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에너지의 중간 전환,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이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환에 동반되는 필연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하게, 본 발명은 어떠한 세정 가스의 외부 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며, 컴프레서를 구동하기 위한 추가적 에너지 공급이 없다. 사용되는 세정 가스는 고로로부터 받은 탑 가스로, "저가"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컴프레서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차례로 고로로부터 나온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터빈 에너지로부터 얻어진다. 효과면에서, 압축은 고로로부터 나온 열 에너지에 의해 유발된다. 하지만, 상기 열 에너지의 양은 고로의 총 열 에너지와 비교했을 때 무시할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셉은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컴프레서의 에너지는 국부적으로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컴프레서와 같이, 보다 장거리로 전달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제로, 본 발명은 BF 장입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세정된 탑 가스를 압축하기 위해 터보차저와 같은 장치의 사용에 의존한다. 상기 터보차저는 (가능한 다른 세정 및 압축 레벨로)세정된 탑 가스를 컴프레서 및 터빈 면상에 공급된다. 하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압축 및 세정된 탑 가스는 장입 장치의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메인 케이싱, 호퍼 및 밸브 액추에이터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다.
터빈을 빠져나가는 팽창된 가스는 일반적으로 고 함량의 가연 성분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가열기구를 공급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 등을 형성하기 위해 또 다른 터빈을 구동시키는 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공장 가스 네트워크로 피드백될 수 있다.
장입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분배 슈트를 위해 고정 하우징 및 서스펜션 로터를 갖는 메인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로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세정 가스를 메인 케이싱으로 도입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메인 케이싱은 분배 설비의 일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인 케이싱은 중앙 수직형 채널을 가지며, 상기 채널을 통해, 원료가 채널의 하단에서 분배 슈트로 중력 급유된다. 상기 슈트는 일반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슈트가 장착된 서스펜션 로터 상에서 서스펜션 로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메인 케이싱은 전형적으로 로터를 회전시키고 슈트를 기울이기 위한 기어 성분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메인 케이싱 내에서 과압을 형성하기 위해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노즐 장치는 고정 하우징 및 서스펜션 로터 사이의 갭을 가로질러 흐르는 커튼 같은 가스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갭을 차단할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WO 2013/013972 A2에 개시된 바 있다.
또한, 고전적으로, 장입 장치는 원료를 고로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호퍼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로 가스를 도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이 배치된다. 상기 호퍼는 원료를 고로에 예를 들어, 상술된 분배 슈트에 의해, 분배시키기 전에 원료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호퍼는 일반적으로 메인 케이싱 상에 위치된다. 보통은, 다수의 호퍼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호퍼가 상기 메인 케이싱 상에 수직하게 분포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측면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당업계에서, 질소 가스 또는 반-세정 BF 가스가 제1차 및 제2차 압력 평형을 위해 이러한 호퍼로 도입된다는 것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해, 컴프레서로부터 나온 세정 및 압축된 가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가스를 메인 케이싱으로 도입하는 것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질소에 대한 비용을 절약하는 또 다른 긍정적 효과를 갖는다. 호퍼 내부의 가스는 추가적으로 질소가 더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스의 발열량은 변화하지 않는다(N2의 존재의 의해 감소되지 않는다).
메인 케이싱 내에서 압축 및 세정된 가스의 도입은 주로 호퍼가 비어있을 때 요구되기 때문에, 호퍼 내에서 압축 및 세정된 가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이지만, 순차적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요구된 부피가 상당히 클 수 있으며, 이것은 컴프레서 및 소퍼 사이 라인에 있는 중간 버퍼 내에 압축 및 세정된 가스를 저장하는 데 이로울 수 있다.
압축된 세정 가스는 호퍼 아래 위치하며, 호퍼 배출구에 있는 다우징 밸브 및 실링 밸브를 포함하는, 소위 "밸브 액추에이터 유닛"이라고 불리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탑 가스 세정 장치는 BF 공장의 공지된 구성 요소이다. 전형적으로, BF를 빠져나오는 탑 가스의 양을 고려했을 때, 단지 그것들 중 일부만 장입 장치에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가스 세정은 종래의 BF 로의 가스 세정 장치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 장치는 순차적으로 가스를 세정하기 위해, 제1 세정 단계 및 제2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세정 단계는 건식 세정 단계 일 수 있고, 제2 세정 단계는 습식 세정 단계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각각이 건식 분리기 및 습식 분리기로써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 장치의 형태는 특히, 종래에 공지되었으며, 매우 효과적으로 더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순도가 다른 가스, 즉, 서로 다른 정도로 세정된 가스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2 단계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하기에 서술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또한, TRT 터빈(탑 가스 회수 터빈)의 존재하에서, 다른 순도(및 이에 따른 압력)으로 세정된 가스가 컴프레서 및 터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프레서 및/또는 터빈은 세정 가스, 즉, 제2 세정 단계로부터 나온 가스 또는 제1 세정 단계나 세정 장치의 다른 중간 위치로부터 나온, 부분 세정된 가스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BF 공장이 TRT를 포함할 때, 컴프레서 및 터빈 모두는 세정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TRT가 없는 경우, 컴프레서가 세정 가스를 공급받는 반면, 터빈은 바람직하게는, 반-세정 가스를 공급받는다.
실시예에 따라, 터빈은 세정 장치의 중간 세정 단계(예를 들어, 세정기의 중간 단계 이후)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된다. 즉, 터빈을 세정 장치에 연결하는 배관은 제2 세정 단계를 우회한다. 이것은 가스가 터빈에 하기 2가지 방법으로 공급되도록 영향을 준다.
첫 번째 방법으로, 가스 내에 잔여 더스트가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잔여 더스트는 제2 세정 단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즉, 가스는 반-세정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특히, 제1 세정 단계가 (사이클론과 같은)건식 분리기 및 제2 세정 단계가 습식 분리기일 경우, 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어, 100 내지 200℃) 및 보다 높은 압력으로 인해 가스의 엔탈피는 일반적으로 보다 높다. 터빈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계적 작업은 온도에 대한 선형 함수이기 때문에, 터빈의 유효성은 매우 향상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가스 내 잔여 더스트는 예를 들어, 표면 위 및 이동부 사이에 안착 되거나, 또는 마모를 일으킴으로써 터빈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세정 장치가 제1 세정 단계 및 터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습식 세정 단계인 제2 세정 단계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가스의 엔탈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제2 세정 단계를 통과한 후 가스를 재가열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선택은 가스가 통과하는 열 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고로는 많은 양의 초과 열을 생성하며, 상기 열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 교환기가 제2 세정 단계 및 터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 교환기는 고로로부터의 열을 사용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작동하는 동안, 가스는 제2 세정 단계로부터 열 교환기로, 열 교환기로부터 터빈으로 흐른다. 상기 열 교환기는 가스를 가열하고 상기 가스의 엔탈피를 상승시킨다. 상기 열 교환기의 열 소스는 고로이다. 상기 열 교환기는 따라서, 고로 인접한 곳 또는 고로 그 자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로에서부터 열 교환기로 고온의 탑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배관이 제공될 수 있다.
터빈에 공급되는 가스의 온도는 터빈의 효율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반면, 컴프레셔에 대해서는 매우 작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냉각 가스가 컴프레서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서는 제2 세정 단계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스는 더스트가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컴프레서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의 요구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냉각 압축된 세정 가스는 메인 케이싱의 냉각 목적에서 이로운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정량의 수분은 압축된 가스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터빈 및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기어가 복수의 컴프레서를 하나의 터빈에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터빈을 복수의 컴프레서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빈 및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는 공동 회전을 위해, 즉, 터빈의 1회전이 컴프레서의 1회전에 대응하는 경우에, 공통 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터빈을 컴프레서에 연결하는 복잡한 전달 요소가 필요하지 않은 점에서 이로울 수 있다. 종래의 터보차저가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기어는 터빈 및 컴프레서 사이의 기어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이 컴프레서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하거나 컴프레서가 터빈보다 높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터빈의 회전축이 컴프레서의 회전축과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함께 작동하는 톱니바퀴를 갖는 기어가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로 및 고로용 장입 장치를 갖는 고로 공장을 위한 가스 재순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 재순환 장치는 세정 가스를 장입 장치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상기 고로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세정 장치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고, 가스를 압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 및 상기 고로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고 상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를 구동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포함한다. 상기 모든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고로 공장을 참조하여 상술되었다.
본 발명의 가스 재순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로 공장의 실시예와 대응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로 및 고로용 장입 장치를 갖는 고로 공장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고로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를 제거하는 세정 장치, 상기 세정 장치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상기 가스를 압축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 상기 장입 장치로 세정 가스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상기 고로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상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를 구동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로 공장의 실시예와 대응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로 공장(1)의 모식도를 보여준다. 장입 설비(3)는 고로(2)의 상부에 위치한다. 장입 설비(3)의 상부에서, 원료가 원료물질 호퍼(5) 내에 놓여진다. 여기로부터, 원료는 메인 케이싱(4)의 하부 면에 매달려있는 회전식 슈트(4.1)에 의해 고로로 장입된다. 상기 메인 케이싱(4)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및 서스펜션 로터에 의해 형성된다(미도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로터의 회전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두 요소 사이에 갭이 있으며, 상기 갭은 작지만 가스 및 입자의 메인 케이싱(4)으로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슈트(4.1)는 상기 로터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려있으며, 이에, 상기 슈트는 수평축 둘레에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로터는 또한, 상기 슈트(4.1)가 상기 로의 축 둘레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로(2)로부터 나온 더스트가 많은 가스가 메인 케이싱(4)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압의 세정된 가스가 적어도 하나의 노즐(6)에 의해 기어 하우징으로 주입된다. 이로 인해, 로의 가스는 적어도 메인 케이싱에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상기 과정의 세부사항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노즐(6)이 하우징의 2개의 이동부 사이의 갭을 막은 세정 가스 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및/또는 내부에 과압을 형성하기 위해 가스가 단지 하나 이상의 노즐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세정가스는 기술될 재순환 장치(30) 수단에 의해 얻어진다. 고온의 탑 가스가 제1 배관(11)를 통해 고로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탑 가스는 매우 더스트가 많으며, 따라서 2단계 세정을 수행하는 세정 장치(7)로 공급된다. 제1 배관(11)은 집진기(7.1)(또는 대안적으로, 싸이클론)에 연결되며, 상기 집진기는 그 다음, 제2 배관(12)에 의해 세정기(7.3) 및 데미스터(demister)(7.4)를 포함하는 습식 분리기(7.2)로 연결된다. 두 세정 단계 이후, 가스는 잔여 더스트, 예를 들어, 20 mg/m3이하로 있는 잔여 더스트를 갖는다. BF 탑 가스의 세정은 당업계에게 공지된 것이며, 세정 장치(7)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설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재순환 장치의 형태는 세정 장치(7)의 TRT(top gas recovery turbine) 하류의 존재에 의존되거나 의존되지 않을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TRT 터빈은 자체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세정된 탑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반면, 팽창된 탑 가스는 공장 네트워크로 되돌아가 연소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가스는 34로 나타내어진 TRT 터빈과 연결된 세정 가스 배관(32)에서 세정 장치(7)을 빠져나갔다.
세정된 탑 가스의 일부는 제3 배관(13)을 통해 배관(32)으로부터 터빈(8)으로 공급됨을 이해될 것이다. 팽창된 가스는 제4 배관를 통해 상기 터빈(8)을 빠져나오며, 이로 인해, 상기 가스는 TRT(34)의 가스 네트워크(36) 하류로 되돌아간다.
상기 네트워크(36)에 도달한 가스는 여전히 많은 함량의 가연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스의 에너지함량은 연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터빈(8)은 전달 유닛(10)에 의해 컴프레서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전달 유닛(10)은 간단하게는 컴프레서(9)를 터빈(8)에 연결하는 공통 축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터보차저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달 유닛(10)은 보다 복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8) 및 컴프레서(9) 등에 대해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형성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서(9)는 세정 가스 배관(32)으로부터 형성된 제5 배관(15)에 의해 세정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컴프레서에서 세정 가스의 사용은 유지보수의 이유로 바람직한 반면, 하기에 추가로 서술된 바와 같이, 낮은 순도/정화도의 탑 가스의 사용도 가능하다. 가스는 압축되고 노즐(6)에 끝단이 있는 제6 배관(16)를 통해 컴프레서(9)를 빠져나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컴프레서(9)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는 오직 상기 터빈(8)에 공급되는 압력으로부터 얻어진다. 이때, 상기 터빈은 고로(2) 내 탑 가스의 에너지에 의해 가압한다. 따라서, 가스 재순환 장치(30)는 외부의 에너지 또는 외부의 가스 공급 없이 작동한다.
TRT를 갖는 BF 공장에서, 탑 가스 압력은 TRT 장치를 통해 주로 통제된다.
세정 장치에서 탑 가스를 보다 상류로 보냄으로써, 고압이되 단지 부분적으로 세정된 탑 가스를 얻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혼합선(15.1)은 (부분적으로 세정된)탑 가스를 컴프레서(9)에 공급하기 위한 대안적인 배관 가능성을 나타낸다.
컴프레서(9)로 이어지는 상기 배관(15.1)은 상기 배관의 타단에 제1 세정 단계(7.1)의 배출구(15.2) 및 데미스터(7.3) 중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터빈(8)으로부터 이어진 제3 배관(13)은 세정 장치(7)의 추가 상류, 예를 들어, 제1 세정 단계(7.1) 이후, 또는 데미스터(7.3) 이후 연결될 수 있다. 부분/반 세정된 탑 가스를 사용한 경우, 터빈 또는 컴프레서로 이어지는 배관에 예를 들어, 도 1에서 15.5로 도시된, 작은 세정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대안적 가스 재순화 장치(30a)를 갖는 고로 공장(1a)의 두 번째 실시예를 보여준다.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바, 재서술되지 않을 것이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세정 가스 배관(32)에서 압력강하를 일으키는 TRT가 없다. 터빈(8)은 따라서, 제1 세정 단계(7.1) 및 제2 세정 단계(7.2) 사이의 연결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배관(13.1)을 통해 운반된 반 세정된 가스에 의해 구동된다. 13.2는 선택적 작은 가스 세정 유닛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시 혼합선(15.1)은 부분적으로 세정된 탑 가스를 컴프레서에 공급하기 위한 대안적 배관 옵션을 나타내며, 상기 배관 옵션은 15.3 또는 15.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미스터(7.3) 또는 배관의 배출구로 향할 수 있다. 참고 부호 15.5는 선택적 작은 세정 유닛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고로 공장(1b)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고로 공장은 제10 배관(40)이 컴프레서로부터 발생되고, 끝단이 세정 가스를 하나 이상의 원료물질 호퍼(5)로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42)에 있는 점에서,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상이한 가스 재순환 장치(30b)를 포함한다.
이것은 호퍼 내 압력 평형을 가능하게 하며, 한편, 상기 압력 평형은 질소 가스 주입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도 1의 제6 배관(16)으로부터 발생된 제10 배관(40)을 갖는 것 및 세정 가스를 호퍼(5) 및 메인 케이싱(4)으로 동시에 주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압축된 세정 가스가 바람직하게는 버터 호퍼(44)에 저장됨을 알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배관은 버퍼 호퍼로부터 물질의 배출 및 호퍼로부터 계량을 조절하는 밸브 액추에이터 유닛(46)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재순환 장치(30c)를 갖는 고로 공장(1c)의 제4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에서 단순하게 도시된 구성 요소는 도 1에서 보여준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이를 다시 서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는 제3 배관(13)이 열 교환기(24)로 이어지는 것이다. 제11 배관(21) 또한 열 교환기(24)로 이어진다. 상기 배관(21)은 고로로부터 발생되고, 고온의 탑 가스를 열 교환기(24)로 안내한다. 여기서, 고온의 가스는 제3 배관(13)에서 세정된 가스를 가열하고, 이로 인해, 엔탈피 및 압력이 증가한다. 터빈(8)의 효율은 따라서 상당히 향상된다.

Claims (11)

  1. ㆍ장입 장치(3)로 세정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6, 42);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dust)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7);
    ㆍ상기 세정 장치(7)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어, 가스를 압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즐(6,42)로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 및
    ㆍ상기 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를 구동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8);을 포함하는 고로(2) 및 고로(2)용 장입 장치(3)를 갖는 고로 공장(1, 1a-1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장치(3)는
    이동 가능한 분배 슈트(4.1)를 위해 고정 하우징 및 서스펜션 로터를 갖는 메인 케이싱(4)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로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즐(6)은 세정 가스를 상기 메인 케이싱(4)으로 도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장치(3)는
    원료가 고로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호퍼(5)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즐(42)은 가스를 상기 호퍼(5)로 도입하기 위해 배치된 것은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장치(7)는
    순차적으로 가스를 세정하기 위해 제1 세정 단계(7.1) 및 제2 세정 단계(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8) 및/또는 컴프레서(9)는
    상기 제2 세정 단계(7.2)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8) 및/또는 컴프레서(9)는
    제1 세정 단계(7.1) 또는 세정 장치의 또 다른 중간 단계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 세정 유닛(15.5)은
    제1 세정 단계(7.1) 또는 중간 단계 및 상기 터빈(8) 사이에, 각각의 압축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8. 제5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24)는
    상기 고로(2)로부터 열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 세정 단계(7.2) 및 상기 터빈(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빈(8)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는
    공동 회전을 위해 공통 축(10)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공장.
  10. ㆍ장입장치(3)로 세정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6);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dust)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7);
    ㆍ상기 세정 장치(7)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어, 가스를 압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즐(6,42)로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 및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를 구동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8);을 포함하는 고로(2) 및 고로(2)용 장입 장치(3)를 갖는 고로 고장(1, 1a-1c) 용 가스 재순환 장치(30, 30a-30c).
  11.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로부터 더스트(dust)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 세정 장치(7);
    ㆍ상기 세정 장치(7)로부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어, 가스를 압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즐(6,42)로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
    세정 가스를 상기 장입 장치(3)로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4); 및
    ㆍ고로(2)로부터 가스를 수용해 가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프레서(9)를 구동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8);을 포함하는 고로(2) 및 고로(2)용 장입 장치(3)를 갖는 고로 공장(1, 1a-1c) 의 작동방법.



KR1020177005682A 2014-08-19 2015-08-18 고로 공장 KR20170042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LU92525 2014-08-19
LU92525A LU92525B1 (en) 2014-08-19 2014-08-19 Blast furnace plant
PCT/EP2015/068969 WO2016026869A1 (en) 2014-08-19 2015-08-18 Blast furnace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620A true KR20170042620A (ko) 2017-04-19

Family

ID=5139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82A KR20170042620A (ko) 2014-08-19 2015-08-18 고로 공장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233839A1 (ko)
EP (1) EP3183370A1 (ko)
JP (1) JP2017530256A (ko)
KR (1) KR20170042620A (ko)
CN (1) CN106574310A (ko)
BR (1) BR112017003155A2 (ko)
LU (1) LU92525B1 (ko)
RU (1) RU2017108966A (ko)
WO (1) WO2016026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100035B1 (en) * 2017-01-25 2018-08-14 Wurth Paul Sa Shaft Furnace Plant With Full Recovery Pressure Equalizing System
LU102438B1 (en) * 2021-01-20 2022-07-20 Wurth Paul Sa Method for operating a blast furnace pla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60426A (fr) * 1960-06-21 1961-05-05 Koppers Co Inc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épurateurs-refroidisseurs pour gaz de haut-fourneau et analogues
LU73752A1 (ko) * 1975-11-06 1976-06-11
JPS57185908A (en) * 1981-05-12 1982-11-16 Kawasaki Steel Corp Equalizing method for top pressure of blast furnace
JPH0426432Y2 (ko) * 1987-07-31 1992-06-25
DE4030332A1 (de) * 1990-06-20 1992-01-09 Zimmermann & Jansen Gmbh Verfahren zur nutzung der energie des von einem hochofen stammenden gichtgases, sowie hochofenanlage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JPH0841512A (ja) * 1994-07-28 1996-02-1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の炉頂装入装置均圧室の均圧・排圧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90427A (ja) * 2003-12-26 2005-07-14 Canon Inc 配列を同定するための変異要素のセット抽出方法
LU91558B1 (en) * 2009-04-28 2010-10-29 Wurth Paul Sa Method for feeding a burden to a blast furnace
LU91604B1 (en) * 2009-09-04 2011-03-07 Wurth Paul Sa Recovery of energy from blast furnace gas in an expansion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4310A (zh) 2017-04-19
RU2017108966A (ru) 2018-09-20
RU2017108966A3 (ko) 2018-11-13
JP2017530256A (ja) 2017-10-12
US20170233839A1 (en) 2017-08-17
EP3183370A1 (en) 2017-06-28
BR112017003155A2 (pt) 2017-11-28
WO2016026869A1 (en) 2016-02-25
LU92525B1 (en)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806B2 (en) Bin system and char recovery unit
CN102203298B (zh) 用于运行熔化还原工艺的方法和装置
CN103764803B (zh) 炉渣排出系统、气化装置以及气化发电装置
CN203672164U (zh) 电石炉净化灰返炉燃烧系统
JP5595581B2 (ja) 石炭ガス化炉用微粉炭供給システム
KR101035729B1 (ko) 미분탄 복합 집진 장치
CN104084095A (zh) 可用于连续生产氟化稀土的振动式流化床反应器及生产方法
KR20170042620A (ko) 고로 공장
CN102689777A (zh) 分段式固体给料泵
CN103196287A (zh) 箱式网链传动炭材烘干机
CN102695808B (zh) 用于还原含有铁矿石的炉料或者用于生产生铁或者液体钢前体的方法和设备
CN204881013U (zh) 芝麻用烘干装置
JP2016108594A (ja) 高炉炉頂装入装置の圧力調整装置
CN205501194U (zh) 低阶煤催化解聚的联合装置
CN101128567A (zh) 湿润原料的干燥装置
CN203302325U (zh) 一种烟草高均匀度添加液态辅料的装置
KR102214435B1 (ko) 스크류 피더 타입의 고압 분체연료 연속 공급장치의 회전식 플러그 분산장치 및 그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CN211552322U (zh) 一种原料干燥系统
EP0022549B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injection de combustibles solides dans un four à cuve
CN209541334U (zh) 一种煤烘干冷却系统
CN209081915U (zh) 高炉bprt节能系统
KR101865806B1 (ko) 고로용 집진 장치 및 방법
KR101942929B1 (ko) 관내 이물질 제거 장치
EP22318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excess gas generated in ironmaking process
CN204663547U (zh) 一种供给液态速凝剂的混凝土喷射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