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056A -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056A
KR20170041056A KR1020150140519A KR20150140519A KR20170041056A KR 20170041056 A KR20170041056 A KR 20170041056A KR 1020150140519 A KR1020150140519 A KR 1020150140519A KR 20150140519 A KR20150140519 A KR 20150140519A KR 20170041056 A KR20170041056 A KR 2017004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moving
bracke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수
전대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4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056A/ko
Publication of KR2017004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축부(50)와, 상기 축부(5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케이블(10)을 고정하는 고정금구(60)와, 상기 축부(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속재(30)를 고정하는 이동금구(70)와, 상기 이동금구(70)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금구(70)를 상기 축부(50) 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이동금구(70)에 고정된 접속재(30)를 상기 고정금구(60)에 고정된 케이블(10)에 삽입되게 이동시키는 핸들부(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연체 노출에 따른 고장 문제를 방지하고, 단면적이 큰 케이블의 접속시에도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전력용 케이블을 접속재로 연결시 접속재를 케이블의 외주면에 끼워 접속점의 중앙에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용 케이블은 전기적인 경로의 방향에 따라서 분기 또는 직선으로 접속되어 선로를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전력용 케이블의 연결은 접속재가 수행하는데, 케이블과 케이블의 연결을 위해서는 약 32개의 공정이 필요하며 모두 8개의 공구 및 재료가 필요하다.
그런데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각각의 공정은 모두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절연체의 손상, 이물질 유입 등은 접속재 부분의 절연파괴로 인한 고장 발생을 야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정밀한 재단작업과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분의 양측 케이블(10,20)은 도체부(11)까지 피박이 된 상태로 케이블(10,20)의 차폐층 끝 부분에서는 전기력선의 밀도가 다른 부분보다 증가해서 전기적인 스트레스가 가중되므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서 절연체(13)와 반도전 차폐층(15) 위에 접속재(30)를 설치한다.
그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양측 케이블(10,20) 중 어느 한 케이블(10)에 접속재(30)를 삽입한 다음 도체부(11)의 연결점 즉, 접속재(30)의 슬리브(31) 압축부분 중앙지점에 케이블(10)의 도체부(11)가 설치되도록 접속재(30)를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한 방법은 접속자의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 시공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접속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경우 절연체 노출에 따른 고장의 개연성이 크고, 단면적이 큰 케이블(325㎟,600㎟) 접속시에는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점 등으로 부적합한 시공과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용 케이블의 접속점에 설치하는 접속재를 접속점의 중앙에 정확하게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과도한 인력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적당한 시공성을 가지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금구와, 상기 축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속재를 고정하는 이동금구와, 상기 이동금구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금구를 상기 축부 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이동금구에 고정된 접속재를 상기 고정금구에 고정된 케이블에 삽입되게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금구와, 상기 제1고정금구의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금구와의 사이에 케이블 삽입부를 형성하는 제2고정금구와, 하단은 상기 제2고정금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고정금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의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고정금구와 상기 제2고정금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케이블 삽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금구는 'C'자형이며 두 개의 판이 상호 회전되어 상기 'C'자형의 벌어짐 각도가 조정되는 홀더부와, 상기 두 개의 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판을 밀착시켜 상기 홀더부가 벌어진 각도를 고정하는 누름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축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기어를 밀어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회전시키는 조작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금구 및 상기 이동금구에서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접속재와 닿는 부분은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금구를 상기 축부 상에서 이동시 상기 접속재가 상기 케이블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점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부에 눈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접속재가 삽입되지 않는 측의 상기 케이블 외피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재가 삽입되지 않는 측의 케이블 외피에 고정금구를 설치하고 이동금구를 접속재 측에 설치하여 이동금구를 축부 상에서 이동시켜 접속재를 이동시킴에 의해 접속재가 케이블에 삽입되어 접속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접속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될 수 있는 고장 문제를 방지하고, 단면적이 큰 케이블의 접속시에도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여 적합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며,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케이블 연결 작업이 가능하므로 과도한 인력으로 인한 비용문제 작업자의 안전사고 문제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두 개의 전력용 케이블을 접속재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두 개의 전력용 케이블을 접속재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로, 홀더부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로, 홀더부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레버로 잠긴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금구가 축부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접속재를 케이블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는, 첫째 케이블과 연결시 접속재의 이동이 쉽고 원활하고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 케이블이 접속재 내부의 슬리브 압축부분 중앙지점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50), 고정금구(60), 이동금구(70), 핸들부(80)를 포함한다.
축부(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부(50)는 접속재(30)를 케이블(10)과 직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준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접속재(30)는 두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직선접속재이며, 케이블의 단면적에 따라 그 규격은 선택 가능하다.
축부(50) 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톱니(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50) 상에는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접속점으로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구비된다.
고정금구(60)는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축부(5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금구(60)는 접속재(30)가 삽입되지 않는 측의 케이블(10) 외피에 설치하여 이동금구(70)가 축부(50) 상에서 이동하면서 접속재(30)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금구(60)는 제1고정금구(61), 제2고정금구(63), 가이드 로드(65,66,67), 잠금부(69)를 포함한다.
제1고정금구(6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이며 볼트 등을 이용하여 축부(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금구(63)는 제1고정금구(61)의 하부로 배치되고 제1고정금구(61)와의 사이에 케이블 삽입부(68)를 형성한다. 케이블 삽입부(68)에 케이블(10)이 삽입되고 제1고정금구(61)와 제2고정금구(6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케이블(10)이 고정된다.
케이블 삽입부(68)를 형성하는 제1고정금구(61)의 저면과 제2고정금구(63)의 상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케이블(10)을 고정하기 용이하게 한다.
가이드 로드(65,66,67)는 제2고정금구(63)가 제1고정금구(61)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로드(65,66,67)는 봉 형상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다. 가이드 로드(65,66,67)는 하단이 제2고정금구(63)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1고정금구(61)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에 각각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제2고정금구(63)의 하부로 제3고정금구(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고정금구(64)는 가이드 로드(65,66,67)의 하단을 지지하여 제2고정금구(63)의 제1고정금구(61)로의 방향 이동을 가이드 로드(65,66,67)가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부(69)는 가이드 로드(65,66,67)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69)는 중간에 배치된 가이드 로드(66)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다. 잠금부(69)는 작업자가 파지하고 회전함에 의해 제1고정금구(61)와 제2고정금구(6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케이블 삽입부(68)에 삽입되는 케이블(10)을 고정할 수 있다.
제2고정금구(63)가 제1고정금구(6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중간에 배치된 가이드 로드(66)의 하단이 제2고정금구(63)에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부(69)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에 가이드 로드(66)의 상단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부(69)를 회전함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이동금구(70)는 접속재(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축부(5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금구(70)는 핸들부(80)를 조작하여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외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10)에 이동시킴으로써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접속점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접속점의 중앙에 위치함은 접속재(30)의 슬리브(31) 중앙 부분에 케이블(10)의 도체부(11) 단부가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도 1 참조).
이동금구(70)는 접속재(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동금구(70)는 홀더부(71)와 누름레버(73)를 포함한다.
홀더부(71)는 접속재(30)의 외경을 감싸 지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71)는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축부(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된다. 홀더부(71)는 하부가 'C'자형이며, 두 개의 판(71a,71b)이 상호 회전되어 'C'자형의 벌어짐 각도가 조정된다. 'C'자형이 벌어진 상태에서 접속재(30)를 'C'자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누름레버(73)는 홀더부(71)를 형성하는 두 개의 판(71a,71b)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두 개의 판(71a,71b)을 밀착시켜 홀더부(71)가 벌어진 각도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판(71a,71b)을 관통하여 회전핀(74)이 구비되고 회전핀(74)의 일단부에 누름레버(73)가 회전핀(74)과 연결된 힌지핀(7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핀(74)의 타단부에는 고정캡(76)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누름레버(73)가 힌지핀(75)과 고정캡(7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홀더부(71)가 벌어진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핸들부(80)는 이동금구(70)를 축부(50) 상에서 이동시켜 이동금구(70)에 고정된 접속재(30)를 고정금구(60)에 고정된 케이블(10)의 외면에 삽입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핸들부(80)는 이동금구(7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어(81)와 조작봉(83)을 포함한다.
기어(81)는 원통 형상의 기어이며, 축부(50)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톱니(51)에 맞물린다. 조작봉(83)은 기어(8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이동하면서 기어(81)를 밀어 톱니(51)와 맞물리도록 회전시킨다.
기어(81)가 축부(50) 상의 톱니(51)와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이동금구(70)가 축부(50)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81)는 제1축(85)에 의해 조작봉(83)과 연결된다. 제1축(85)은 조작봉(83) 및 기어(81)를 이동금구(70)에 지지함과 동시에 기어(81)가 축부(50) 상의 톱니(5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지지한다.
조작봉(83)에 판형상의 밀판(71a,71b)이 구비된다. 밀판(71a,71b)은 조작봉(83)의 전후 이동시 기어(81)의 이를 밀어 톱니(51)와 맞물리도록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밀판(71a,71b)은 일단이 제2축(87)에 의해 조작봉(83)과 연결되며 타단은 기어(81)의 이와 맞물리도록 된다.
즉, 제1축(85)에 의해 조작봉(83)과 연결되고 톱니(51)와 맞물리는 기어(81)와 제2축(87)에 의해 조작봉(83)과 연결되어 조작봉(83)의 전후 이동시 기어(81)를 밀어주는 밀판(71a,71b)이 상호 작용하여 기어(81)가 톱니(51)와 맞물리면서 축부(5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조작봉(83)은 작업자가 파지하고 이동금구(70)의 축부(50) 상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다.
고정금구(60) 및 이동금구(70)는 스틸 재질로 구성하며, 고정금구(60) 및 이동금구(70)에서 케이블(10) 및 접속재(30)와 닿는 부분은 케이블(10) 외피 및 접속재(30)가 손상되지 않도록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에 접속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접속재(30)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10)을 준비한다. 접속재(30)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10)의 접속부분은 도체부까지 피박이 된 상태이다.
도체부까지 피박이 된 상태의 케이블(10)이 준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접속부분을 접속재(30)에 일부 미리 끼운 상태에서 접속재(30)가 삽입되지 않은 측의 케이블(10) 외피에 고정금구(60)를 설치하고 접속재(30)에 이동금구(70)를 설치한다.
고정금구(60)는 잠금부(69)를 회전시켜 제2고정금구(63)가 제1고정금구(61)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한 상태에서 제1고정금구(61)와 제2고정금구(63) 사이의 케이블 삽입부(68)에 케이블(10)을 관통하게 위치시킨 다음, 잠금부(69)를 회전시켜 제2고정금구(63)를 제1고정금구(61)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케이블 삽입부(68)에 위치된 케이블(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금구(61)와 제2고정금구(63)의 대향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케이블(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조작봉(83)을 뒤로 젖혀 밀판(71a,71b)이 기어(81)와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고 이동금구(70)를 접속재(30)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접속재(30)를 'C'자형으로 벌어진 홀더부(71) 내부에 위치시키고 홀더부(71)가 접속재(30)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누름레버(73)를 젖혀 홀더부(71)가 접속재(30)를 지지한 상태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봉(83)을 화살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조작봉(83)을 반복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면, 밀판(71a,71b)의 일단이 조작봉(83)을 따라 전후 이동하면서 기어(81)를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기어(81)가 축부(50) 상의 톱니(51)와 맞물리고 이동금구(70)가 축부(50) 상에서 고정금구(6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외면에 삽입된 상태로 케이블(10)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접속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축부(50) 상에 눈금(53)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눈금(53)을 확인하면서 조작봉(83)의 전후 이동을 조작하면, 접속재(30)가 케이블(10)의 접속점에 정확하게 위치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케이블(10)이 접속재(30) 내부의 슬리브 압축부분 중앙지점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접속재(30)를 일측 케이블(10)에 삽입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일측 케이블(10)과 연결할 타측 케이블을 준비하여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재(30)를 타측 케이블에 삽입하여 두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된다.
상술한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를 이용한 접속재 연결방법은 접속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지 않아 절연체 노출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면적이 큰 케이블(325㎟,600㎟) 접속시에도 접속재의 이동이 원활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고 시공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20: 케이블 11: 도체부
13: 절연체 15: 반도전 차폐층
30: 접속재 31: 슬리브
50: 축부 51: 톱니
53: 눈금 60: 고정금구
61: 제1고정금구 63: 제2고정금구
65,66,67: 가이드 로드 69: 잠금부
70: 이동금구 71: 홀더부
71a,71b: 판 73: 누름레버
80: 핸들부 81: 기어
83: 조작봉 85: 제1축
87: 제2축 89: 밀판

Claims (7)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축부;
    상기 축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금구;
    상기 축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속재를 고정하는 이동금구; 및
    상기 이동금구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금구를 상기 축부 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이동금구에 고정된 접속재를 상기 고정금구에 고정된 케이블에 삽입되게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금구;
    상기 제1고정금구의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금구와의 사이에 케이블 삽입부를 형성하는 제2고정금구;
    하단은 상기 제2고정금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제1고정금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에 각각 관통되는 다수의 가이드 로드;
    상기 가이드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고정금구와 상기 제2고정금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케이블 삽입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금구는
    'C'자형이며 두 개의 판이 상호 회전되어 상기 'C'자형의 벌어짐 각도가 조정되는 홀더부와
    상기 두 개의 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판을 밀착시켜 상기 홀더부가 벌어진 각도를 고정하는 누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축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기어를 밀어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회전시키는 조작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 및 상기 이동금구에서 상기 케이블 및 상기 접속재와 닿는 부분은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금구를 상기 축부 상에서 이동시 상기 접속재가 상기 케이블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점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부에 눈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접속재가 삽입되지 않는 측의 상기 케이블 외피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KR1020150140519A 2015-10-06 2015-10-06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KR20170041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9A KR20170041056A (ko) 2015-10-06 2015-10-06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19A KR20170041056A (ko) 2015-10-06 2015-10-06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056A true KR20170041056A (ko) 2017-04-14

Family

ID=5857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19A KR20170041056A (ko) 2015-10-06 2015-10-06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0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008A (ko) * 2018-08-16 2020-02-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KR20210146780A (ko) 2020-05-27 2021-12-06 최대규 고압 케이블 접속재 접속장치 및 결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008A (ko) * 2018-08-16 2020-02-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중간 접속용 슬리브 부재 장착장치
KR20210146780A (ko) 2020-05-27 2021-12-06 최대규 고압 케이블 접속재 접속장치 및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21B1 (ko) 전선용 절연피복 박리장치
US10107963B2 (en) Coat removing method of coated optical fiber
US7698801B2 (en) Wire-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wire-processing device
KR20170041056A (ko) 케이블 접속용 접속재 이동장치
SE507262C2 (sv) Dragavlastning samt verktyg för applicering därav
US20050050722A1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processing machine
CN111225768B (zh) 用于电缆处理的导体定位夹具
JP2015225861A (ja) 圧着ツール及び圧着ダイ
KR102089726B1 (ko) 와이어 홀더 스트레이트닝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정리 공법
US7810230B2 (en) Sealing member fitting apparatus
JP2010533360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の動力プレスのための工具
ES2683892T3 (es) Dispositivo eléctrico de conexión con un medio de retención para posicionar un resorte de contacto en un estado de base
KR20080105419A (ko) 대경 와이어링의 인장력 테스트 지그장치
US6901647B2 (en) Automated connection of connectors to cables and method
JP2023005077A (ja) き電線束合金具取付け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き電線の束合方法
JP2011066952A (ja) 接地端子装置
EP2790191B1 (en) Electrical wire holding bar conveying device
KR101629572B1 (ko)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US20170214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whip
JP6011646B2 (ja) 電力ケーブルの芯線露出装置、および、電力ケーブルの芯線露出方法
DE102012007298B4 (de) Vorrichtung zum höhenverstellbaren Abhäng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DE390269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manteln von isolierten leitungen, insbesondere abgeschirmten koaxialleitungen
KR100899094B1 (ko) 소경 와이어링의 인장력 테스트 지그장치
US20160072245A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rimping of end fittings onto a cable
US6859987B2 (en) Positioning a connector for crimping a ferrule onto a 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