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344A -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344A
KR20170040344A KR1020177006495A KR20177006495A KR20170040344A KR 20170040344 A KR20170040344 A KR 20170040344A KR 1020177006495 A KR1020177006495 A KR 1020177006495A KR 20177006495 A KR20177006495 A KR 20177006495A KR 20170040344 A KR20170040344 A KR 2017004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asurement data
rotor
measuring means
ro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코너스
피오나 라오다
Original Assignee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4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185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erecting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58Arrangements for fixing wind-engaging parts to a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03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1Wind dir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100)에 로터 블레이드(2)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터 블레이드(2)는 허브에 로터 블레이드(2)를 고정하기 위한 블레이드 루트(4),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떨어져 있는 블레이드 팁(6) 및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블레이드 팁(6)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크레인을 이용해서 로터 블레이드(2)를 끌어올리는 단계, 끌어올리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20, 22, 26, 38, 30)을 이용해서 로터 블레이드(2)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단계, 및 끌어올리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 및/또는 로터 블레이드(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INSTALLING A ROTOR BLADE ON A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에 부품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에 부품들, 특히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설비에 부품들, 특히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또는 설치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측정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 기반의 상태 및 위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하나의, 대개 3개의 로터 블레이드를 가진 로터가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평축형 풍력 발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로터 블레이드는 이 경우 해당하는 허브에 고정된다. 풍력 발전 설비를 구축하는 방법은, 로터 허브와 로터 블레이드를 별도로, 즉 차례로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요컨대 각각의 로터 블레이드는 이미 설치된 또는 적어도 사전 설치된 허브에 고정된다. 상기 방법은 따라서 블레이드의 제거를 포함해서 블레이드의 교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부품들, 특히 1톤 이상의 중량을 갖는 무거운 부품들, 예를 들어 제너레이터, 나셀, 기계 지지부 또는 허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점에서 풍력 발전 설비에서의 설치는, 설치할 해당 부품까지 조립된 풍력 발전 설비에서의 설치에 관련된다.
여기에서 전제되는 로터 블레이드의 수평 설치 시 로터 블레이드는 지면의 설치 장소에 준비된다. 이는 물론 예를 들어 저하대 트럭 상에서의 준비도 포함한다. 이는, 크레인 케이블에 로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로터 블레이드를 안내하기 위해 또는 적어도 로터 블레이드를 안내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터 블레이드에 다른 가이드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로터 블레이드는 크레인에 의해 끌어 올려지고, 상기 로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blade root)는, 상기 로터 블레이드가 허브에 수용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 위치에서 허브에 안내된다.
이를 위해 크레인 조작자는 공개된 방식으로 블레이드를 끌어올린 후에, 적절한 높이로 이동시켜 허브를 향해 이동시킨다. 간단히 말해서,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 로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가 허브를 향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로터 블레이드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 블레이드 트래버스(rotor blade traverse)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 경우 비교적 많은 수작업이 또한 요구된다. 대개 크레인은 수동으로 조작되고, 이를 위해 무선 기기 또는 이와 같은 것을 통해 지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허브에 대한 로터 블레이드의 고정 및 사전 배치는 수동으로 조정되어 실시된다. 이 경우 수동 실시는, 기계 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유사한 예는 지면으로부터 윈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가이드 케이블의 사용이다.
이러한 로터 블레이드의 무게는 오늘날 수 톤이 나갈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의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는 50m 이상이다. 허브 높이도 오늘날 대부분 100m를 넘으며, 예를 들어 150m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의 조정은 기본적으로 시각적 검출에 의해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와 방향을 기초로 실시된다. 숙련된 조립 직원은 로터 블레이드의 높이와 방향을 파악하여 리프팅과 정렬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허브를 향한 블레이드 루트의 정확한 위치 설정 시에 블레이드 허브에 체류하는 서비스 직원은 수신호에 의해 또는 무선 기기를 이용해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지상에 있는 크레인 조작자 또는 설치 직원에게 무선으로 적절한 신호 또는 지시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제는, 이러한 조립이 양호한 날씨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은 특히 폭풍이나 시야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가능하다. 또한, 중등도의 안개가 끼어 있다면, 목표로 하는 허브와 100 내지 150m의 설치 높이로 인해 로터 블레이드의 식별은 커녕 로터 블레이드의 정렬도 할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더 높이 위치한 지역에 설치 시에는 낮게 깔려 있는 구름도 여기에 포함된다.
풍속이 더 약할 때라도 폭풍 시에는 유사한 문제가 나타난다. 로터 블레이드가 예를 들어 지면에 있는 인장 윈치(pulling winch)에 의해 충분히 강하게 지지됨으로써 로터 블레이드의 설치가 기본적으로 가능할 정도로 풍속이 약하다 하더라도, 높이에 따른 바람의 심한 변동은 이러한 조립 과정을 상당히 어렵게 한다. 지면에서의 풍속, 심지어 수 미터 높이에서의 풍속은, 지면 위 100 또는 150m 높이에서의 풍속보다 훨씬 약하다는 사실이 고려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기상 조건이 적절히 양호할 때에만, 이러한 블레이드 설치가 실시된다. 시야를 악화시킬 수도 있는 강풍과 짙은 안개 또는 폭우가 있는 지역에서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들의 설치를 위한 충분한 기상 조건을 찾는 것은 점점 어려워진다. 따라서 블레이드 설치를 가급적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상 조건이 허용하는 즉시, 블레이드 설치는 최상의 상태로 준비된다.
시간이 촉박한 상태에서 이러한 설치는 물론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설치 품질에도, 즉 결함 없는 설치에도 문제가 된다.
본 출원에 관한 우선권 주장 출원 시 독일 특허청에 의해 간행물 DE 10 2009 056 245 A1호가 조사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보다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 로터 블레이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해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적어도 지금까지 공개된 것에 대해 대안적인 해결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이 제안된다. 계속해서 상기 방법은 특히 로터 블레이드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방법 단계들 및 필요한 설치 수단은 적절하게 다른 부품들의 설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 나셀, 허브, 예컨대 로터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로터 허브 및 기계 지지부가 여기에 포함된다. 풍력 발전 설비가 구축된 경우에, 로터 블레이드일 수도 있는 부품이 풍력 발전 설비에 설치된다. 어떠한 경우든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조립된 타워를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구축된 풍력 발전 설비에 설치되고, 부품은 타워에 또는 타워의 상부에 설치된다. 설치는 조립도 포함하고,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조립에 관한 것이다. 설치에 관한 모든 청구항, 실시예 및 설명들은 조립에 관한 청구항, 실시예 및 설명이기도 하다.
제안된 방법은 풍력 발전 설비가 완전히 구축되는 즉시 적어도 하나의 로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로터 블레이드는 허브에, 즉 로터 허브에 고정하기 위한 블레이드 루트와 블레이드 팁, 즉 로터 블레이드 팁 및 블레이드 루트와 블레이드 팁 사이의 길이방향 축을 포함한다. 다른 부품들도 방향 설정을 위해 규정될 수 있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다. 제너레이터, 나셀, 허브 및 기계 지지부를 위해 바람직하게 제너레이터의 회전축이 길이방향 축으로서 선택된다. 로터 블레이드가 아닌 다른 부품들을 위해 전방 고정점과 후방 고정점이 블레이드 루트 또는 블레이드 팁을 대신할 수 있다.
전술한 로터 블레이드를 위해 하기 방법 단계들이 제안된다. 먼저, 크레인을 이용해서 로터 블레이드가 끌어 올려진다. 로터 블레이드가 끌어 올려지는 동안,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에 관한 측정 데이터 및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방향에 관한 측정 데이터가 입수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이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측정 데이터는 모니터링 스테이션 또는 제어장치에 전송된다.
모니터링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수신된 측정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고, 이것은 디스플레이에 로터 블레이드의 상태와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장치는 자동으로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제어 작동을 일으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가 블레이드가 고정되어야 하는 로터 허브를 향하지 않는 것이 측정되면, 해당 액추에이터가 상기 로터 블레이드를 직접 저지할 수 있고, 이는 계속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정렬 및 위치 설정에 관한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의 입수에 의해 의도대로 로터 블레이드의 정렬과 위치 설정을 대체하고 보완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써 적어도,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이 기본적으로 현기증을 유발하는 높이에서도 크레인에서 부동 상태로 시각적 접촉 없이 정렬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야가 양호하지 않은 상태에서 로터 블레이드의 설치가 실시될 수 있다. 이로써 해가 질 무렵에 로터 블레이드의 설치도 개선되거나 가능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입수하기 위해, 측정 기록 장치가 로터 블레이드에 배치되거나, 또는 설치되어야 하는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에 배치된다. 이러한 측정 센서는 하기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높이 위치.
-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
- 수평 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정렬.
-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회전 위치.
- 온도, 특히 요컨대 주변 온도.
- 측정 기록 장치 영역의 풍속 또는 풍력.
- 측정 기록 장치 영역의 풍향.
측정 기록 장치는 이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 수단의 값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제어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평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정 기록 장치는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측정 수단은 측정 센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기록 장치는 특히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로터 블레이드에 대략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측정 기록 장치는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대략 중심 영역에, 또한 바람직하게 크레인을 이용한 고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 트래버스 또는 다른 트래버스의 사용 시, 즉 로터 블레이드가 로터 블레이드 트래버스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측정 기록 장치는 로터 블레이드 트래버스 또는 다른 트래버스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기에 다른 측정 수단들 또는 다른 측정 수단들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거기에서 입수된 측정 데이터에 의해 직접 로터 블레이드에서 또는 로터 블레이드의 근처에서 로터 블레이드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위치와 방향이 처리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의 높이 위치의 검출은,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특히 크레인 또는 크레인 조작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상기 검출은 중앙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고 그리고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로터 블레이드의 설치 과정을 조정하는 책임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측정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센서는 공기압 또는 공기압 감소에 의해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바닥과의 원격 측정과 같은 다른 변형예도 고려된다.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의 검출은,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파악하고 경우에 따라서 대응 조치를 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평 평면에서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축 및 로터 블레이드 자체의 방향의 검출은, 특히, 블레이드 루트가 고정되어야 하는 허브를 향해 블레이드 루트를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는 설치할 다른 부품의 고정 플랜지는, 부품이 설치되어야 하는 해당 플랜지를 향해 정렬된다. 따라서 수평 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이러한 정렬은 기본 방향들 중 하나의 기본 방향과 관련한 방향 또는 이들 사이에서 정렬과 관련된다. 수평 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정렬이란, 길이방향 축의 수평 정렬이 바람직하지만, 4개의 기본 방향과 관련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정렬로 파악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길이방향 축 자체가 수평으로 정렬되지 않고 및/또는 수평 평면에 놓이지 않는다.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회전 위치는,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로터 블레이드를 로터 허브로 정렬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로터 블레이드를 바람에 따라 작용면이 바람에 가급적 노출되지 않도록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특히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의 검출 및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들의 회전 위치의 검출은, 기울기 센서, 특히 소위 X-Y-기울기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수평 평면에서의 정렬을 위해 바람직하게 위성 나침반이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3개의 모든 각도, 즉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 수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정렬 및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회전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 이 경우에 요컨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이러한 측정 기록 장치에 의한 온도 검출은, 특히 대략 결빙점 주변의 동절기 기상 상황에서 중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지면 위 100m의 온도와 지면의 온도는 상이할 수 있다. 특히 결빙점 근처에서 이는 결빙 위험을 야기할 수 있고, 지면에서의 온도 거동으로는 이러한 결빙을 거의 판단할 수 없고, 반대로도 그러하다.
대략 100 내지 150m 범위와 같은 상당한 높이에서, 지면에서와 완전히 다를 수 있는 로터 블레이드의 영역의 풍속 또는 풍량의 경우에도 상황은 비슷하다. 풍속은 이 경우 특히 지면에서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로터 블레이드에서의 측정 기록에 의해 로터 블레이드의 영역의 주변 조건에 관한 더 양호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풍향 측정의 경우에도 상황은 유사하다. 높은 고도에서는 풍향도 지면에서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터 블레이드가 이미 대략 허브 높이로 들어 올려진 경우에, 로터 블레이드의 영역 내 상태들은 지면에서보다 더 중요하다.
다른 실시예는, 블레이드 팁 및/또는 블레이드 루트에 연결된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입수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측정 센서는 힘 센서, 특히 인장력 센서일 수 있고, 상기 센서는 거기에서 블레이드 루트와 가이드 케이블 사이의 힘 또는 인장력 혹은 블레이드 팁과 다른 가이드 케이블 사이의 힘 또는 인장력을 검출한다. 특히 지면에 있는 각각의 가이드 케이블이 윈치에 연결되고 거기에서 소정의 응력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경우에, 힘 센서 또는 인장력 센서는 블레이드 루트와 가이드 케이블 또는 윈치 사이의 해당 인장력을 기록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블레이드 팁과 가이드 케이블 또는 윈치 사이의 해당 인장력이 기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이동이 검출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의 안내도 이러한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이러한 가이드 케이블에서 센서들에 의해, 길이방향 축의 큰 기울기를 갖는 로터 블레이드의 경우에 낮게 걸려 있는 위치에서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 오히려 느슨해지는지 여부, 또는 높이 걸려 있는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에서 거기에 고정된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지는지 여부가 더 양호하게 판단될 수 있다.
측정 탭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러한 힘 센서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에서의 힘이 추적될 수 있다. 이로써 설치의 모니터링이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센서들, 즉 특히 블레이드 중앙에 고정된 측정 기록 장치 및 가이드 케이블 또는 유사한 위치에 배치된 힘 센서는 규격화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4 내지 20mA의 측정 신호 출력부를 가진 출력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개된 기기를 이용한 후속 처리가 간단해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표준화된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무선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범용성이 달성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복수의 장소, 위치 및/또는 기기에서 동시에 결정과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상의 책임자 및 크레인 조작자는 상황에 대한 동일한 화면을 받을 수 있다. 동시에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장치에, 예를 들어 특히 가이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윈치에 전송될 수 있다. 적절한 리프팅 트래버스의 이용 시 이러한 직접적인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제어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측정 데이터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는 모니터링 스테이션에서 평가되고, 그것에 따라서 로터 블레이드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로터 블레이드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들의 측정값들은 공통의 노드점(node point)에, 특히 공통의 무선 전송 수단에 안내된다. 특히 GPS-나침반이라고도 할 수 있는 위성 나침반, X-Y-기울기 센서 및 높이 센서의 값들이 상기 공통의 노드에, 즉 특히 무선 전송 수단에, 예를 들어 유선으로 4 내지 20mA로 규격화된 전류 신호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인장력 센서 또는 힘 센서의 값들이 거기로 전송될 수 있고, 이 경우 블레이드 팁과 블레이드 루트에 있는 센서들과의 원거리로 인해 무선 전송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의 중앙에, 즉 구조적 중앙에 또는 구조적 중심에 배치된 측정 기록 장치는 이러한 무선 전송 노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입수된 데이터가 번들(bundle)로 무선 전송 노드로부터 해당하는 수신 노드에 전송되도록 추가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 노드는 바람직하게 지면에 고정된 모니터링 스테이션에 배치된다. 거기에서, 데이터 및 그것의 일부를 다른 기기, 특히 랩톱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WLAN을 통한 추가 전송 및/또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블레이드 루트 및 블레이드 팁 또는 다른 부품들의 적절한 고정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케이블이 고정되어 지면을 향해 아래로 안내되고, 전송된 및/또는 평가된 측정 데이터에 의존해서 기울기 및/또는 수평 평면에서의 정렬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 케이블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 데이터는 가이드 케이블을 제어하기 위한 윈치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윈치는 이러한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작동된다. 이를 위해 해당 데이터는 윈치에서 또는 먼저 중앙 평가 유닛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특히 현재 위치와 목표로 하는 위치 사이의 편차의 계산과 같은 평가가 고려된다. 높이에 관한 데이터 및 로터 블레이드의 방향은 윈치의 적절한 제어를 야기할 수 있다. 풍향 또는 풍속은 이 경우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더 강할 때 각각의 윈치는, 블레이드를 바람에 더 강하게 고정하거나 적어도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로터 블레이드에 더 많은 힘을 가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이 더 약할 때 상응하게 더 작은 인장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위치 및/또는 방향이 모니터링 스테이션에서 그래픽으로 표시되고 및/또는 풍력, 풍향 및/또는 온도와 같은 경계 조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바람직하다. 특히 블레이드 정렬의 3개의 각도, 요컨대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 수평 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정렬 및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가 그래픽으로 적절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블레이드의 실제 현재 위치와 방향의 모니터링 및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는 통신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가능한 재조정을 직접 정량적으로 검출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온도, 풍향 및 풍력과 같은 경계 조건들은 숫자로 또는 그래픽으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풍향은 바람직하게 수평 평면에서 로터 블레이드의 정렬과 관련해서, 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해 목표로 하는 길이방향 축의 정렬에 대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장력 센서에 의해 기록된 힘은 각각 수치로 또는 그래픽으로, 예를 들어 막대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막대그래프로의 표시 또는 다른 유사한 표시는 특히, 요컨대 블레이드 루트 및 블레이드 팁에서 2개의 힘의 대조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보완적으로 색상으로 주의사항을 표시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더 큰 힘 또는 심한 기울기는 빨간색 또는 다른 신호 색상에 의해 강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로써 측정 데이터는 크레인에, 지면으로 및/또는 제어장치에, 예를 들어 방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치에 전송된다. 크레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윈치가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특히 로터 블레이드에 직접 배치된 측정 기록 장치 및/또는 측정 수단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의 제안된 입수에 의해 제어부 또는 제어부의 부분의 신뢰성 있는 자동화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가 제공된다. 기울기 또는 수평 평면에서의 정렬은 예를 들어 직접, 2개의 가이드 케이블을 제어하는 케이블 윈치의 적절한 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블레이드의 기울기처럼 다른 방향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적절한 높이로의 로터 블레이드의 리프팅도 이로써 자동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측정 기록 장치 및/또는 측정 수단은 로터 블레이드에 또는 다른 부품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은 분리 가능성에 의해 각각의 블레이드마다 다시 사용될 수 있다. 고정은 분리 가능한 접착, 나사 결합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석션 컵(suction cup)의 이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는 크레인을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상응하게 자동화된 분리 장치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부품, 특히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설치 장치도 제안된다. 이러한 설치 장치는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을 리프팅하기 위한 그리고 끌어올리기 위한 크레인,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측정 기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테이션에 및/또는 로터 블레이드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준비된다. 특히 이러한 설치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된다. 그러한 점에서 개별 측정 수단과 평가 유닛 및 전송 유닛의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의 개별 실시예들의 설명이 참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기록 장치는 하기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을 포함한다.
-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고 공기압 센서로서 형성되며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로서 형성되며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로서 형성되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고 GPS-수신기로서 형성되며 수평 평면에서 로터 블레이드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로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팁 또는 다른 부품의 제 1 고정점에 연결된 측정 수단, 특히 인장력 센서.
- 로터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 또는 다른 부품의 제 2 고정점에 연결된 측정 수단, 특히 인장력 센서.
바람직하게는 또한 평가, 표시, 및/또는 다른 표시부 및/또는 제어장치로의 측정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평가 장치가 제공된다. 설치 장치를 위한 중앙 유닛일 수 있는 이러한 평가 장치에 의해 측정 데이터는 중앙에서 처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전달은 제어를 위한 고려 또는 직접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또한, 정보의 일부만을 전달하는 것이 고려되고, 이를 위해 특히 제어장치에 직접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달하거나, 제어 유닛이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측정 데이터를 추가로 편집하거나 평가하는 것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 무선 전송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로터 블레이드로부터 수신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예컨대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의도대로 무선 전송이 제공되고, 이러한 무선 전송은 전송할 데이터를 번들링(bundling)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는 이로써 간단해질 수 있다. 무선 전송은 따라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에서 전송할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다수의 센서에 의해 번들링되어 함께 전송된다. 상응하게 데이터는 수신 장치에서 다시 분리되고 및/또는 전달된다.
청구항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설치 장치는 로터 블레이드의 및/또는 다른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성 기반의 상태 및 위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청구항 제 16 항에 따른,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된다. 상기 장치는 위성 기반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센서, 로터 블레이드의 또는 다른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에 의해 점유된 상태 및/또는 위치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로터 블레이드에 또는 다른 부품에 대한 고정을 위해 준비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설치 시에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현재 상태 및/또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설치를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하기 위해 및/또는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설치를 위한 설치 장치(1)에서 이용하기 위해 준비된다. 로터 블레이드 또는 다른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는 위치 데이터 및/또는 상태 데이터의 검출, 전송 및/또는 처리를 위한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예시적으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된다.
도 1은 풍력 발전 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모니터링 스테이션과 함께 설치 장치에서 사용되는 센서들 및 이들 사이의 통신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평가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한, 로터 블레이드의 방향과 상태의 가능한 표시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타워(102)와 나셀(104)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 설비(100)를 도시한다. 나셀(104)에 3개의 로터 블레이드(108)와 스피너(110)를 가진 로터(106)가 배치된다. 로터(106)는 풍력에 의해 작동 시 회전 운동하고, 이로 인해 나셀(104) 내의 제너레이터를 구동한다.
도 2는 설치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로터 허브에 대한 설치를 위해 이미 리프트(lift)된 로터 블레이드(2)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로터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걸려 있고,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정렬이다. 로터 블레이드는 또한 블레이드 루트(4)와 블레이드 팁(6)을 갖고, 이들은 여기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로터 블레이드(2)의 중앙 영역(8)에서 로터 블레이드(2)는 2개의 고정점(10)에 걸려 있고, 실질적으로 크레인 케이블(12)에 걸려 있다.
로터 블레이드(2)를 지면(18)으로부터 특히 로터 블레이드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레이드 팁(6)에 제 1 가이드 케이블(14)이 배치되고, 블레이드 루트(14)에 제 2 가이드 케이블(16)이 배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케이블(14 또는 16)은 힘 센서(20 또는 22)를 포함한다. 제 1 힘 센서(20) 또는 제 2 힘 센서(22)에 의해 제 1 가이드 케이블(14) 또는 제 2 가이드 케이블(16)과 블레이드 팁(6) 또는 블레이드 루트(4) 사이의 인장력이 각각 기록될 수 있다.
로터 블레이드(2)의 중앙 영역(8)에 센서 스테이션(24)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 스테이션은 이 경우 측정 기록 장치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센서 스테이션은 측정 수단으로서 GPS-나침반(26), X-Y-기울기 센서(28) 및 높이 센서(30)를 포함한다.
GPS-나침반(26)은 수평 평면에서 로터 블레이드(2)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간단히 말해서 즉, 4개의 기본 방향과 관련해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X-Y-기울기 센서(28)는 로터 블레이드 또는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 또는 작은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28)를 기준으로 보면 이는 2개의 회전 좌표이고, 상기 좌표들은 특히 서로 수직이다. GPS-나침반(26)과 함께 이로써 로터 블레이드의 방향 각도가 특히 3개의 데카르트 좌표와 관련해서 검출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도 4에 따른 디스플레이(50)에서 방향 도안을 제시하고, 상기 도안은 상기 3개의 기울기 또는 회전축 x, y 및 z를 나타낸다.
센서 스테이션(24)의 과제는 또한, 2개의 힘 센서(20, 22)의 값들을 수신하는 것이다. 2개의 힘 센서(20, 22)는 이를 위해 각각 무선 송수신기(21 또는 23)를 갖는다. 도 3은 이에 관한 구조를 도시하고, 도 2는 힘 센서들(20 또는 22)과 센서 스테이션(24) 사이의 간격을 설명한다.
센서 스테이션(24)은 또한 지면(18)에 배치된 지상 스테이션(32)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로터 블레이드(2) 및 센서 스테이션(24)은 지면(18) 위에 예를 들어 150m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센서 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상기 센서 스테이션은 또한 무선 송수신기(34)를 포함한다. 기능으로 인해 수집 무선 송수신기라고도 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3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GPS-나침반(26), X-Y-기울기 센서(28) 및 높이 센서(30)로부터 유선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러한 3개의 센서는 복수의 데이터를, 예를 들어 각각 4 내지 20mA의 신호를 통해, 무선 송수신기(34)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21, 23)는 자체적으로 정보를 무선 송수신기(34)에 전송한다. 무선 송수신기(34)는 이로써 5개의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경우 적어도 기울기 센서(28)는 2개의 값에 관한 데이터, 즉 블레이드 축의 기울기 및 블레이드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따라서 무선 송수신기(34)에서 먼저 수신되고, 경우에 따라서 사전 처리되지만, 어느 경우든 다른 무선 연결을 통해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 전송된다. 모니터링 스테이션(32')은 도 2에 따른 지상 스테이션(32)에 해당할 수 있다.
모니터링 스테이션(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기(36)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기본 무선 송수신기(36)라고 할 수 있고, 우선적으로 센서 스테이션(24)의 무선 송수신기(34)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모니터링 스테이션(32')의 기본 무선 전송기(36)는, 무선 전송 시 문제가 있다면, 센서 스테이션(24)으로 신호들을, 예컨대 오류 신호들 또는 다른 프로토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서 입력-출력 모듈(38)에 유선으로 데이터의 추가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입력-출력 모듈은 데이터의 추가 처리 및 분배를 실행할 수 있다. SPS-모듈(40), 즉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제어부를 가진 모듈에 의해 조작 필드(42)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선택의 전송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일부는 네트워크 모듈(44)에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44)은 특히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다른 단말기, 예를 들어 랩톱, 표면 소자 또는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따른 구조는 3개의 전송 방식, 요컨대 유선 전송(46), WLAN에 의한 전송(47) 및 무선이지만 공개된 WLAN 기술과 다른, 무선에 의한 전송(48)을 이용한다. WLAN에 의한 전송(47)은 특히 상징적으로 도시된 단말기(49)로 이루어진다.
도 4의 디스플레이(50)는 방향 도안 외에 특히 도달할 높이, 예를 들어 136m를 가리키는 풍력 발전 설비 도안을 제시한다. 풍력 발전 설비 도안 외에 2개의 막대그래프가 있고, 상기 그래프들은 도 2에 따른 제 1 힘 센서(20) 또는 제 2 힘 센서(22)의 기록된 힘을 막대로 설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측정된 값을 숫자로서 제시한다.
풍력 발전 설비 도안 위에 상태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상태 디스플레이 옆에는 센서를 보정할 가능성이 위치하며, 이는 보정 필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보정은 특히 공기압 센서를 위해 고려될 수 있고, 상기 센서는 또한 추가로 다른 측정 수단으로서 센서 스테이션(24)에 배치되거나 센서 스테이션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특히 기상에 따른 기압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보정 또는 검정은, 로터 블레이드가 아직 리프트되지 않고 여전히 실제로 지면에 있는 경우에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또는 검정은 설치 장소의 높이 위치와 관련해서도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이로 인해 필수적일 수 있다.
방향 도안 아래에 3개의 좌표 x, y 및 z의 방향의 구체적인 값들이 해당하는 그래프에 의해 세부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그래프들은 각각의 각도를 정확히 명시한 아날로그 표시 및 디지털 표시를 제공한다. 이는, 수평 평면에서 길이방향 축의 정렬을 나타내는 Z-각도-디스플레이, 로터 블레이드의 기울기 또는 로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X-각도-디스플레이 및, 로터 블레이드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Y-각도-디스플레이이다.
또한, 로터 블레이드 장착을 위한 조립 보조 수단이 제안된다. 이로써, 시야가 자유롭지 않은 상태에서도 로터 블레이드를 높이 들어올려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로터 블레이드의 상태 및 위치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측정 데이터에 기반한다.
위성 나침반 및 X-Y-기울기 센서로 로터 블레이드의 3개의 모든 회전각, 요컨대 특히 3개의 모든 가능한 데카르트 회전각이 결정된다. 높이 결정, 특히 로터 블레이드의 수직 위치는 공기압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측정 탭이라고도 할 수 있는 힘 센서에 의해 가이드 케이블에서의 힘이 추적될 수 있다. 특히 센서 스테이션(24) 내의 무선 송수신기(34)에 유선 접속되는 센서들은, 예를 들어 4 내지 20mA의 측정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 송수신기(34) 또는 수신 무선 송수신기(34)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 스테이션(24)은 추가로 공기압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의 값들은 높이 정보에 의해 또는 직접 공기 압력 값으로서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가이드 케이블(14 또는 16)의 힘 센서(20 또는 22)는 무선 전송에 의해 값들을 센서 스테이션(24)에 전송한다. 거기로부터 모든 측정값들이, 도 3의 경우에 6개의 측정값 또는 6개의 측정 신호가 추가 무선 전송으로 지상 스테이션(32) 또는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 전송된다. 거기에서 측정값들은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제어부에서 평가되어 조작 필드에 디스플레이된다.
WLAN-전송 모듈(47)에 의해 설명되는 WLAN 및 FTP-서버를 통해 데이터가 지상 스테이션(32) 또는 모니터링 스테이션(32')으로부터 추가로 전송된다. 이때 예를 들어 랩톱 또는 다른 WLAN 가능 기기, 특히 정규 인터넷 브라우저로 지상 스테이션(32) 또는 모니터링 스테이션(32')의 조작 필드(42) 상에서와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다른 지상 직원도 설치 과정의 진행을 추적할 수 있다.

Claims (17)

  1. 풍력 발전 설비(100)에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2)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은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 즉
    - 크레인을 이용해서 상기 부품(2)을 끌어올리는 단계,
    - 끌어올리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20, 22, 26, 38, 30)을 이용해서 상기 부품(2)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단계, 및
    - 끌어올리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 및/또는 상기 부품(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설비(100)의 부품은 로터 블레이드(2)로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블레이드(2)는
    - 허브에 상기 로터 블레이드(2)를 고정하기 위한 블레이드 루트(4),
    - 상기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떨어져 있는 블레이드 팁(6)
    을 포함하고,
    - 상기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팁(6)을 향해 길이방향 축이 연장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입수하기 위해 측정 수단(20, 22, 26, 38, 3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수단(20, 22, 26, 38, 30)이 상기 부품(2)에 또는 상기 부품의 근처에 배치되고,
    - 상기 부품(2)의 높이 위치
    -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
    - 수평 평면에서의 길이방향 축의 정렬,
    -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부품(2)의 회전 위치,
    - 온도,
    - 측정 수단의 영역의 풍속 또는 풍력, 및
    - 측정 수단의 영역의 풍향
    을 포함하는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측정 센서에 의해 입수되고, 상기 측정 센서는,
    - 부품의 전방 고정점에 연결된 측정 센서(20, 22),
    - 부품의 후방 고정점에 연결된 측정 센서(20, 22),
    - 상기 로터 블레이드(2)의 블레이드 팁(6)에 연결된 측정 센서(20, 22), 및
    - 상기 로터 블레이드(2)의 블레이드 루트(4)에 연결된 측정 센서(20, 22)
    를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되고,
    상기 측정 센서는 각각 인장력 센서 또는 다른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서 평가되고, 상기 평가에 따라서 부품(2)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전방 고정점 또는 상기 블레이드 루트(4)에 그리고 상기 부품의 후방 고정점 또는 상기 블레이드 팁(6)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케이블(14, 16)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케이블은 지면(18)을 향해 아래로 안내되며, 전송된 및/또는 평가된 측정 데이터에 의존해서 기울기 및/또는 수평 평면에서의 정렬이 상기 가이드 케이블(14, 16)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이 상기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서 그래픽으로 표시되고 및/또는 예컨대 풍력, 풍향 및/또는 온도와 같은 경계 조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는 상기 크레인에, 지면(18)으로 및/또는 제어장치에, 예를 들어 상기 부품(2)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윈치는 전송된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자동으로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풍력 발전 설비(100)에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2)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1)로서, 상기 부품은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장치(1)는,
    - 상기 부품(2)을 리프팅(lifting)하기 위한 그리고 끌어올리기 위한 크레인,
    - 상기 부품(2)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기록 장치(24)
    를 포함하고,
    - 상기 측정 기록 장치(24)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스테이션(32)에 및/또는 상기 부품(2)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 설비(100)의 부품은 로터 블레이드(2)로서 형성되고, 상기 로터 블레이드(2)는,
    - 허브에 상기 로터 블레이드(2)를 고정하기 위한 블레이드 루트(4),
    - 상기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떨어져 있는 블레이드 팁(6), 및
    - 상기 블레이드 루트(4)로부터 상기 블레이드 팁(6)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되는 것인 설치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 기록 장치(24)는 측정 수단(20, 22, 26, 38, 30)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수단은,
    - 상기 부품(2)에 고정되고 공기압 센서로서 형성되며 상기 부품(2)의 높이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상기 부품(2)에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28)로서 형성되며 상기 부품(2)의 길이방향 축의 기울기(x)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상기 부품에 고정되고 기울기 센서(28)로서 형성되며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부품(2)의 회전 위치(y)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 상기 부품(2)에 고정되고 GPS 수신기로서 형성되며 수평 평면(z)에서 상기 부품(2)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 수단 및/또는
    - 상기 로터 블레이드(2)의 상기 블레이드 팁(6)에 연결된 측정 수단, 특히 인장력 센서(20), 및
    - 상기 로터 블레이드(2)의 상기 블레이드 루트(4)에 연결된 측정 수단, 특히 인장력 센서(22)
    를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가, 표시 및/또는 다른 표시부 및/또는 제어장치로의 측정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평가 장치(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블레이드(2)로부터 수신 장치(36)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3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장치.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설치 장치로서,
    - 상기 부품(2)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성 기반의 상태 및 위치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설치 장치.
  17. 풍력 발전 설비의 부품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
    - 부품(2)에 고정되도록 준비되며 위성 기반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센서,
    - 상기 부품(2)의 상태 및/또는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 부품에 의해 점유된 상태 및/또는 위치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77006495A 2014-08-12 2015-08-03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KR20170040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5969.5A DE102014215969A1 (de) 2014-08-12 2014-08-12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s Rotorblattes an einer Windenergieanlage
DE102014215969.5 2014-08-12
PCT/EP2015/067843 WO2016023781A1 (de) 2014-08-12 2015-08-03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s rotorblattes an einer windenergie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344A true KR20170040344A (ko) 2017-04-12

Family

ID=5376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495A KR20170040344A (ko) 2014-08-12 2015-08-03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676326B2 (ko)
EP (1) EP3180284B1 (ko)
JP (1) JP6445679B2 (ko)
KR (1) KR20170040344A (ko)
CN (1) CN106573764B (ko)
AR (1) AR101494A1 (ko)
BR (1) BR112017002653A2 (ko)
CA (1) CA2956875C (ko)
DE (1) DE102014215969A1 (ko)
DK (1) DK3180284T3 (ko)
TW (1) TWI658205B (ko)
UY (1) UY36267A (ko)
WO (1) WO2016023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70B1 (ko) * 2015-03-26 2016-10-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미소 중력 케이블 구동 장치
US20180163703A1 (en) * 2015-07-21 2018-06-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Tower positioning system
ES2735881T3 (es) * 2016-07-01 2019-12-20 Vsl Int Ag Método para montar un aerogenerador en una torre
EP3500513A1 (en) * 2016-10-20 2019-06-26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wind turbine components
DE102016012723A1 (de) * 2016-10-24 2018-04-26 Liebherr-Werk Ehingen Gmbh Verfahren zum Heben einer Last
DK3507230T3 (da) * 2016-11-03 2023-08-07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Løfteanordning til vindmøllekomponenter
WO2018228810A1 (en) * 2017-06-12 2018-12-20 Siemens Wind Power A/S Wind turbine lifting arrangement
WO2019086672A1 (en) 2017-11-03 2019-05-09 ETH Zürich System for handling an object to be displaced by two influencers
CN109973304B (zh) * 2017-12-28 2020-04-28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的转子转动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0092298B (zh) * 2018-01-31 2020-12-11 新疆金风科技股份有限公司 吊装控制系统、方法及装置
JP7091931B2 (ja) * 2018-08-20 2022-06-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屋内クレーンの自動運転装置及び自動運転方法
DE102018126728A1 (de) * 2018-10-26 2020-04-30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r Montage eines Windenergieanlagen-Rotorblattes
CN113454017B (zh) 2018-12-28 2023-07-07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用控制装置处理风力涡轮机部件的方法
FI130196B (en) * 2019-10-04 2023-04-17 Cargotec Finland Oy GRIPPER POSITION CONTROL
EP3845758B1 (en) * 2019-12-31 2023-10-11 Nordex Energy Spain, S.A.U. Blade assembly method on a rotor hub of a wind turbine
EP3865705A1 (de) * 2020-02-11 2021-08-18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azi-mutantriebs der windenergieanlage
EP3957593A1 (en) * 2020-08-19 2022-02-23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Lifting apparatus for a lifting crane
CN112174063B (zh) * 2020-09-23 2022-04-15 中天科技集团海洋工程有限公司 应用于风机吊装的缆风系统
JP2024515632A (ja) 2021-04-12 2024-04-10 ストラクチュアル サービ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レーンオペレータ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607071B (zh) * 2021-08-06 2022-03-29 三峡高科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发电机转子吊装气隙监测与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189A (ja) 1992-01-08 1993-07-27 Hitachi Cable Ltd 障害物の長尺体接近検出装置
CN2273306Y (zh) 1995-08-04 1998-01-28 上海海通港口工索具公司 起重机安全操作监示器
JPH09257904A (ja) * 1996-03-22 1997-10-03 Kumagai Gumi Co Ltd モニター装置
WO2003100249A1 (en) * 2002-05-27 2003-12-04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s of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and mounting said blades on a wind turbine, system and gripping unit for handling a wind turbine blade
CN101375008B (zh) 2006-01-27 2012-03-28 Pp能源有限责任公司 用于抵达位于地面上方的结构的设备
GB2456626B (en) * 2008-12-24 2009-12-23 Inchplate Ltd Winching apparatus and method
JP5246555B2 (ja) * 2009-05-12 2013-07-24 日通商事株式会社 風力発電設備におけるブレードの吊上げ方法とその吊上げ装置
DE102009056245B4 (de) * 2009-12-01 2014-02-20 Aerodyn Engineering Gmbh Windenergieanlage mit Hebevorrichtung
DK177006B1 (en) * 2010-01-19 2010-11-22 Ah Ind Projects Aps Method for controlling orientation of a load suspended in a carrier wire around the wire as well as a player arrangement
DE112010005542T5 (de) * 2010-05-05 2013-03-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hängeseilhalterung für Nabenhub
JP5691676B2 (ja) 2011-03-10 2015-04-0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洋上荷役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洋上浮遊体
US8500400B2 (en) * 2011-09-20 2013-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nent handling system for use in wind turbines and methods of positioning a drive train component
GB201214656D0 (en) 2012-08-16 2012-10-03 W3G Shipping Ltd Offshore structur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EP2738133B1 (en) * 2012-11-30 2017-05-17 Areva Wind GmbH Lifter for handling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3037247U (zh) * 2013-02-04 2013-07-03 李泽金 无线气压测高装置
US9174732B2 (en) * 2013-12-30 2015-11-03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an aerial vehicle between crosswind flight and hover f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0284A1 (de) 2017-06-21
CA2956875A1 (en) 2016-02-18
CN106573764B (zh) 2020-05-08
JP6445679B2 (ja) 2018-12-26
US20170233228A1 (en) 2017-08-17
CA2956875C (en) 2020-01-07
DE102014215969A1 (de) 2016-02-18
DK3180284T3 (da) 2022-09-12
EP3180284B1 (de) 2022-08-24
TWI658205B (zh) 2019-05-01
BR112017002653A2 (pt) 2017-12-12
TW201623790A (zh) 2016-07-01
UY36267A (es) 2016-04-01
WO2016023781A1 (de) 2016-02-18
US10676326B2 (en) 2020-06-09
CN106573764A (zh) 2017-04-19
AR101494A1 (es) 2016-12-21
JP2017524098A (ja)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0344A (ko) 풍력 발전 설비에 로터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106116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position of a burden suspended in a main wire on a crane
CN106946159B (zh) 一种基于北斗/gps精确定位的建筑塔吊自动运行系统及控制方法
US8171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nd turbine inspection
CN102141004A (zh) 用于监视和控制风力涡轮叶片偏转的系统和方法
EP24240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adjusting angle of base station antenna
EP3267189B1 (en) Defect inspection device,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CN102394371B (zh) 一种远程自动监控方位角与下倾角的天线
US8009690B2 (en) Wind turbine data acquisition system
CN110023714A (zh) 用于测量无传动装置的风能设备的定子的测量系统和测量方法
CN114604763B (zh) 用于智能塔吊吊钩导向的电磁定位装置及方法
JP4841478B2 (ja) 自律制御飛行体を用いた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EP3383785B1 (en) Lifting bracket
CN114604772B (zh) 用于任务时态模型的智能塔吊集群协同控制方法及系统
CA3095640C (en) Fodder mixing wagon
JP5501805B2 (ja) 空中撮影装置および空中撮影方法
CN110092298B (zh) 吊装控制系统、方法及装置
CN114572845B (zh) 用于智能塔吊工况检测的智能辅助机器人及其控制方法
CN118110631A (zh) 一种风力发电机组叶轮辅助对接安装系统及方法
CN220568199U (zh) 一种定点雷达波在线测流系统
CN114604762B (zh) 智能塔吊吊臂状况物联网传感监测系统及方法
CN210005556U (zh) 索道风速风向监测报警装置
CN214887492U (zh) 一种风力发电机组的变桨轴承异响检测装置
CN112010167A (zh) 叶片吊具的控制方法及系统
JP2022164404A (ja) 圃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