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977A -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77A
KR20170039977A KR1020150139245A KR20150139245A KR20170039977A KR 20170039977 A KR20170039977 A KR 20170039977A KR 1020150139245 A KR1020150139245 A KR 1020150139245A KR 20150139245 A KR20150139245 A KR 20150139245A KR 20170039977 A KR20170039977 A KR 20170039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platform
management unit
man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곤
Original Assignee
(주)모바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바일플러스 filed Critical (주)모바일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3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977A/ko
Publication of KR2017003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가진 사업자에게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들 간의 콘텐츠를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써 복합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Platform System For Intergrated Operation Of Contents Hub}
본 발명은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가진 사업자에게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들 간의 콘텐츠를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써 복합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PC 기반에서 휴대 단말 기반으로 앱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콘텐츠 기반으로 소셜 커머스, 여행, 모바일 티케팅 서비스 등이 관광 상품과 연계된 서비스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텐츠 기반 서비스는 콘텐츠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카테고리마다 운영자가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앱을 통해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므로 서비스 이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비스는 콘텐츠의 공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운영해야 하므로 플랫폼 관리에 따른 관리 비용이 중복적으로 발생하고 서비스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사업자에게 독립적인 플랫폼을 분양하여 독립적인 사업을 보장하면서 사업자 사이의 콘텐츠를 수집해서 서로 공유하여 복합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은 사업자에게 분양될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부와 분양된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매핑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콘텐츠 통합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를 사업자 별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공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랫폼 관리부는 요청된 사업자에게 특정 플랫폼을 할당하는 플랫폼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된 플랫폼을 상기 사업자에게 분양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분양관리모듈과 상기 분양된 플랫폼의 설정을 제어하는 플랫폼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는 분양된 플랫폼의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모듈과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분류모듈과 분류된 콘텐츠를 플랫폼에 맞게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콘텐츠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유 관리부는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색 인터페이스 모듈과 검색된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공유를 제공하는 공유 관리모듈 및 공유된 컨텐츠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관리하는 수익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내 관광 어플리케이션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플랫폼만 제공되고 모든 콘텐츠 공유기능을 통한 개별 플랫폼 운영 및 단계적 수익을 보장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생성된 앱 또는 모바일 앱으로부터 생성된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분양, 통합, 공유를 일원화하여 통합적을 관리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을 통해 국내 관광 티켓 결제를 통한 수익 창출은 물론 한류 관광 티켓팅 판매 대행을 물론 관광, 한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업종 제휴를 통한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이용하는 관광객 입장에서도 통합적인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은 분양, 통합, 공유의 반복적 과정을 거쳐 생산된 복합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분양은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사업자들에게 플랫폼을 분양하여, 직접 운영하는 권한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고, 통합은 콘텐츠 성격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통합된 플랫폽에서 개별 사업자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들 끼리 공동 홍보 마케팅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공유는 다른 사업자의 콘텐츠를 가져오기(공유)를 통해 연계 마케팅을 수행하거나 사업자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해서 새롭게 타겟팅된 쇼핑판매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은 사업자에게 분양될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부와 분양된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매핑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콘텐츠 통합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를 사업자 별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공유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관리부는 요청된 사업자에게 특정 플랫폼을 할당하는 플랫폼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된 플랫폼을 상기 사업자에게 분양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분양관리모듈과 상기 분양된 플랫폼의 설정을 제어하는 플랫폼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할당모듈은 통합적으로 구축된 플랫폼 네트워크 중 사업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하나의 플랫폼을 지정하여 할당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분양관리모듈은 할당된 플랫폼의 정보(IP 주소, 사양 등)를 세팅하고 상기 사업자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분양조건에 따라 분양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 제어모듈은 분양될 플랫폼의 설정이나 사양에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각 플랫폼의 제어 권한은 분양받은 사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는 분양된 플랫폼의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모듈과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분류모듈과 분류된 콘텐츠를 플랫폼에 맞게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콘텐츠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테고리는 도 1과 같이 호텔, 콘도, 패키지 상품, 교통, 주차, 쿠폰, 맛집, 날씨, 여행, 이벤트 등 컨텐츠를 공통적으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는 소그룹을 의미하고, 컨텐츠의 키워드 기반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양된 사업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더 콘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유저로부터 등록된 콘텐츠도 통합 관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텐츠 통합 관리부를 통해 수집된 콘텐츠가 카테고리 별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통합적인 콘텐츠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공유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를 통해 등록 저장된 콘텐츠를 사업자에게 내보내기, 가져오기 등의 기능을 통해 공유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 관리부는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색 인터페이스 모듈과 검색된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공유를 제공하는 공유 관리모듈 및 공유된 컨텐츠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관리하는 수익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플랫폼을 분양받은 사업자는 콘텐츠 공유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가져와서 자신의 플랫폼에 원하는 형태로 개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콘텐츠는 공유되어 활용될 수 있으며 각 사업자가 자유롭게 플랫폼에 개시하여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콘텐츠의 자유로운 사용은 보장되지만 마케팅을 통한 수익이 발생할 경우 원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허브 운용자와 수익을 배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수익관리모듈이 수익을 배분하여 정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플랫폼은 분양받은 사업자는 콘텐츠는 공유하지만 독립적인 플랫폼의 운영이 가능하고 사업자가 제공하는 상품(티케팅, 예매 또는 예약 포함) 결제를 통해 개별적인 수익확보가 가능하다.
콘텐츠 공유를 통해 쇼핑, 티켓, 상품 기획, 홍보, 지역 산업, 위치기반 정보 등 모든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소셜커머스, 여행, 모바일 서비스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플랫폼 통합 관리를 통해 중복적인 플랫폼 구축을 통한 중복 설비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관광, 한류 등 특정 목적을 타겟팅한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플랫폼 관리부 20 : 통합 콘텐츠 관리부
30 : 공유 관리부

Claims (4)

  1. 사업자에게 분양될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부와;
    분양된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매핑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콘텐츠 통합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를 사업자 별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공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관리부는
    요청된 사업자에게 특정 플랫폼을 할당하는 플랫폼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된 플랫폼을 상기 사업자에게 분양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분양관리모듈과;
    상기 분양된 플랫폼의 설정을 제어하는 플랫폼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통합 관리부는
    분양된 플랫폼의 사업자가 가진 콘텐츠를 등록하는 콘텐츠 등록모듈과;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분류모듈과;
    분류된 콘텐츠를 플랫폼에 맞게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콘텐츠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관리부는
    등록된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색 인터페이스 모듈과 검색된 콘텐츠 중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공유를 제공하는 공유 관리모듈 및 공유된 컨텐츠에 대한 수익을 배분하여 관리하는 수익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KR1020150139245A 2015-10-02 2015-10-02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KR20170039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45A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5-10-02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45A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5-10-02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77A true KR20170039977A (ko) 2017-04-12

Family

ID=5858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245A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5-10-02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9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72A (ko)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웹웨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KR20200137319A (ko)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웹웨어 그랩 기반의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18651A (ko)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웹웨어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23598A (ko)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웹웨어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개인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772A (ko)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웹웨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KR20200137319A (ko)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웹웨어 그랩 기반의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18651A (ko)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웹웨어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23598A (ko)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웹웨어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개인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54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llocate unmanned aircraft systems
US10373219B2 (en) Capacity exchange for the open content delivery network
KR101753745B1 (ko) 다중 광고 영역의 재임대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KR20170039977A (ko)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US200600478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LAN and WLAN access to e-commerce sites via Client Server Proxy
US9830569B2 (en) Security assessment using service provider digital asset information
CN103998897A (zh) 一种对兴趣点、服务路径投递、审计领域表现和销售进行地理编码的方法和装置
KR20180124299A (ko) 묶음 단위 배송 처리 시스템
US96849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of internet access services in a guest facility
Schreieck et al. Modularization of digital services for urban transportation
KR20220066881A (ko)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102222298A (zh) 一种可无限扩充的票务分销系统以及方法
KR102225704B1 (ko)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내국인 연계 기반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48597A (ko)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i Napoli et al. Using negotiation for parking selection in smart cities
KR101513814B1 (ko) 공간 오브젝트 근접 산출 방법 및 장치
KR20180065634A (ko) 해외 현지여행업체와 국내여행사간의 실시간 여행정보 플랫폼
KR20140121941A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69248B1 (ko) 객실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123645A1 (en) Unified network of disparate display networks
KR102514471B1 (ko) 분양 대행 서비스 관리 시스템
Lozzi et al. On-Demand Logistics: Solutions, Barriers, and Enablers. Sustainability 2022, 14, 9465
KR20110094770A (ko) 인터넷을 통한 토탈 여행 관리 서비스 시스템
CN111507654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147014B1 (ko) 유저 위치 기반 화장품 방문 판매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