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772A -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772A
KR20200136772A KR1020190062784A KR20190062784A KR20200136772A KR 20200136772 A KR20200136772 A KR 20200136772A KR 1020190062784 A KR1020190062784 A KR 1020190062784A KR 20190062784 A KR20190062784 A KR 20190062784A KR 20200136772 A KR20200136772 A KR 20200136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
grab
integrated content
content processing
bind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276B1 (ko
Inventor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to KR102019006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 객체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각각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 및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간 공유 및 재통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BIND-BASED INTEGRATE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간 공유 및 재통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유/무선 네트워크(인터넷) 및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및 창작 활동을 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content)를 이용하고 있다.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는 동영상(영화, 드라마 등), 소설, 음악 등과 같이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문화 상품들뿐 아니라 특정 프로그램이나 다수의 컨텐츠가 해당될 수 있으며, 현재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자체 제작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 및 블로그(blog)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웹 사이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UCC란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의미하며, 일반 사용자들이 상업적 목적이 아닌 개인적 목적으로 제작하여 게시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가리킬 수 있다. UCC의 대표적인 예로는 게시판의 글, 댓글, 블로그 사진(포스트), 동영상, 그림(작화), 음악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생산하여 네트워크 상에 게시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산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은 높은 문화 파급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단순한 네트워크 사용자들만의 볼거리 역할에 그치고 있다. 인터넷의 사용자들이 활발한 개인 미디어 활동으로 말미암아 과거에는 컨텐츠 사업자들이 생산하는 컨텐츠를 인터넷 사용자들이 단순히 이용하는데 그쳤으나, 현재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주체가 되어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미디어) 산업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문화 산업에서 장르간 차이가 없어지는 컨버전스(Convergence)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컨텐츠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블로그)내에서만 활용되거나, 단순 게시물로서 그 생명력을 마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확보하여, 높은 품질의 통합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통해, 사용자 창작의 통합 컨텐츠를 통한 수익 창출 모델 및 긍정적인 컨텐츠의 재창작을 유도할 수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또는 방법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7 (2017.04.12)호는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를 가진 사업자에게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사업자 들 간의 콘텐츠를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써 복합 콘텐츠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9816 (2006.07.06)호는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을 통합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7 (2017.04.1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9816 (2006.07.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간 공유 및 재통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퍼머링크를 통해 관련 컨텐츠들로 바인드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내부/외부 링크 태그를 통해,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함으로써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각각의 컨텐츠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공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 객체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각각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 및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랩 객체 수신부는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그랩 객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수신한 그랩 객체는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랩 객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퍼머링크를 통해 상기 통합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퍼머링크가 부여된 바인드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상기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외부 링크 태그가 부여된 그랩 객체를 상기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리그랩하는 경우 상기 리그랩 객체에 대하여 항상 상기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부는 상기 바인드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상기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부는 상기 재조합의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바인드 객체에 대해서 바인드를 해제하는 언바인드 또는 다시 바인드하는 리바인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바인드 객체에 플랫폼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상기 퍼머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바인드(Bind)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간 공유 및 재통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컨텐츠 소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는 퍼머링크를 통해 관련 컨텐츠들로 바인드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는 통합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내부/외부 링크 태그를 통해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함으로써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각각의 컨텐츠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공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통해 생성 및 제공되는 그랩 객체, 바인더블 객체, 바인드 객체 및 통합 컨텐츠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 사용자 단말(120) 및 클라우드(130)를 포함한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의 수신, 바인더블 객체의 생성 또는 바인드 객체의 생성 등의 요청을 받아 그랩 객체의 수신, 바인더블 객체의 생성 또는 바인드 객체의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랩(grab)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가져오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고, 바인드(bind)는 그랩(grab)을 통해 가져온 컨텐츠로 구성되는 그랩 객체를 통합하여 하나로 묶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인드(bind)를 통해 개별 컨텐츠를 수집하여 하나의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클라우드(130) 내외부로부터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그랩하여 수신하고, 그랩 객체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며,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여 퍼머링크(perma-link)를 통해 외부의 다른 사용자 단말(120)에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인터넷 상의 다양한 종류의 무수히 많은 컨텐츠들을 가져와서(그랩) 사용자의 기호, 니즈 또는 필요에 따라 바인드 객체로 통합하여(바인드) 통합 컨텐츠로 관리할 수 있으며, 퍼머링크를 통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자간 주고받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와 연결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에 그랩 객체의 수신, 바인더블 객체의 생성 또는 바인드 객체의 생성 등의 요청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사용자 계정을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에 그랩 또는 바인드의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13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cloud strage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상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클라우드(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클라우드(130)상에서 각종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요청받은 바인드 객체의 생성을 클라우드(13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30)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30)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 바인드 객체 및 통합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적어도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클라우드(13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그랩 객체 수신부(31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이미지, 영상, 웹페이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그랩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가져오기(그랩) 요청에 따라서 가져온 해당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클라우드(130)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그랩 객체를 수신하고, 클라우드(130) 내부로부터 수신한 그랩 객체는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입력된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의 특정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에 따라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에 대한 그랩 요청이 수신되면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퍼머링크(Perma-Link, PL)를 통해 통합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퍼머링크가 부여된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서 생성된 바인드 객체로 구성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에 퍼머링크를 통해 제공한 경우에, 다른 사용자가 해당 퍼머링크를 통해 해당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해당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에 대해 그랩 요청을 하면, 그랩 객체 수신부(310)는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간 퍼머링크를 통해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그랩 객체로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컨텐츠의 추가 또는 제거의 임의 편집을 수행하여 다른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각각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그랩 객체 수신부(310)를 통해 그랩 객체가 사용자 계정으로 수신됨과 동시에 해당 그랩 객체의 출처를 검출하여 내부 링크 태그(Internal-Link, IL) 또는 외부 링크 태그(External-Link, EL)를 결정하고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간 공유되는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사용자가 편집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에서도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할 수 있어 저작권의 문제가 없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컨텐츠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130)의 외부로 결정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해당 그랩 객체에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특정 컨텐츠의 출처가 클라우드(130)의 내부로 결정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계정에서 특정 컨텐츠를 그랩 요청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대해 내부 또는 외부 링크를 부여하여 바인드 가능한 객체인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랩 객체에 출처를 표시하고 비로소 바인드가 가능한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경우 바인드 객체는 항상 클라우드(130) 내부에서 그랩되기 때문에 해당 바인드 객체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외부 링크 태그가 부여된 그랩 객체를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리그랩하는 경우 리그랩 객체에 대하여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그랩(regrab)은 클라우드(130)의 외부나 내부에서 그랩(grab)되어진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다시 그랩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클라우드(130) 외부에서 그랩되어 클라우드(130)의 내부의 특정 사용자 계정에 그랩 객체로서 수신된 특정 컨텐츠를 리그랩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해 기존에 부여된 외부 링크 태그와 함께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클라우드(130) 내부에서 그랩한 특정 컨텐츠에 대해 외부 링크 태그 이외에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는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객체를 리그랩하는 경우 해당 그랩 객체에 대해서 해당 컨텐츠의 클라우드 외부의 원 출처로 연결되는 외부 링크 태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내부의 그랩 출처로 연결되는 내부 링크 태그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진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는 바인드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인드 객체는 다양한 컨텐츠들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로 묶인 컨텐츠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바인드 객체를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그랩 객체 수신부(310)가 특정 퍼머링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특정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통합 컨텐츠에서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추가하거나 제외하여 새로운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인드 객체에 대해서 바인드를 해제하는 언바인드(unbind)를 수행하거나 해제된 바인드를 다시 바인드하는 리바인드(rebind)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는 특정 바인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조합하기 위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특정 바인드 객체를 언바인드하여 특정 바인더블 객체를 제거하거나 또는 추가하고, 리바인드하여 재구성된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는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머링크(permanent link)는 인터넷상 블로그나 게시판 등에 올려진 컨텐츠에 어느 경우에나 연결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의 불변 주소에 해당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바인드 객체에 통합 컨텐츠 처리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어디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개의 퍼머링크를 부여하여 하나의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에 상기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퍼머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는 문자메시지, E-mail 또는 기타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계되어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인 퍼머링크를 부여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퍼머링크를 통해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수신하여 그랩할 수 있고, 이경우,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그랩 객체 수신부(31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그랩 객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이 과정에서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후,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수신된 그랩 객체에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를 통해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로 생성하고,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를 통해 해당 바인더블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를 통합하여 새로운 바인드 객체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경우에 있어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해당 통합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순서에 따라 이를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재정렬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하고,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게 하여 인터넷 상의 무수한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 및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340)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그랩 객체 수신부(31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 및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간 제어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그랩 객체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3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각각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20).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330)를 통해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340)를 통해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를 부여하고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40).
도 5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제2 사용자의 그랩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내부의 제1 사용자 계정(10)으로부터 그랩 객체G1, 그랩 객체G2, 그랩 객체B1(바인드 객체)을, 클라우드 외부로부터 그랩 객체G3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제2사용자 계정(20)에서 각각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내부 링크 태그(IL) 또는 외부 링크 태그(EL)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생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G1(IL), G2(IL), G3(EL), B1(IL))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B2를 생성할 수 있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바인드 객체B2에 퍼머링크(PL)를 부여하여 외부(50)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130)의 외부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제3 사용자가 퍼머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하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생성된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바인드 객체에 대한 언바인드 또는 리바인드를 통해 해당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하고 새로운 바인드 객체(B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제3 사용자 계정(30)에서 새로운 바인드 객체(B2')를 그랩 객체로 수신하고 내부 링크 태그(IL)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하고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B3)를 생성하여 퍼머링크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바인드 객체의 재구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제3 사용자로부터 제2사용자 계정의 바인드 객체B2에 대한 그랩 요청에 따라 해당 바인드 객체B2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바인드 객체B2에 대해 디바인드를 수행하고 그랩 객체G3를 제외한 G1, G2를 제외하고 제3 사용자 계정에서 G7을, 외부에서 G8 및 G9을 그랩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그랩된 G8을 리그랩하는 과정에서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할 수 있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G3(EL), G7(IL), G8(IL), G9(EL)의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리바인드를 수행하고 새로운 바인드 객체B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를 통해 생성 및 제공되는 그랩 객체, 바인더블 객체, 바인드 객체 및 통합 컨텐츠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a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한 바인드 객체(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바인드 객체(2)에 바인드 객체임을 표시하는 태그(3)를 부여할 수 있다. 도 7b에서,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그랩 객체에 내부 링크 태그(4)를 부여하여 바인더블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b는 바인드 객체(2)에 포함된 내부 링크 태그가 부착된 바인더블 객체에 해당한다. 도 7c는 바인드 객체(2)에 포함된 외부 링크 태그(5)가 부여된 바인더블 객체를 나타낸다. 도 7d는 바인드 객체의 퍼머링크(6)가 부여된 통합 컨텐츠를 보여준다.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10)는 퍼머링크(6)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
110: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120: 사용자 단말
130: 클라우드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그랩 객체 수신부 320: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330: 바인드 객체 생성부 340: 통합 컨텐츠 처리부
350: 제어부

Claims (8)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를 수신하는 그랩 객체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의 출처를 기초로 그랩 객체 각각에 내부 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여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생성하는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바인드 객체 생성부; 및
    상기 바인드 객체에 퍼머링크(perma-link)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한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 객체 수신부는
    클라우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그랩 객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수신한 그랩 객체는 기 생성된 바인드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 객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퍼머링크를 통해 상기 통합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퍼머링크가 부여된 바인드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출처가 클라우드 내부인 경우 내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고 상기 출처가 클라우드 외부인 경우에는 외부 링크 태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블 객체 생성부는
    상기 외부 링크 태그가 부여된 그랩 객체를 상기 클라우드 내부로부터 리그랩하는 경우 상기 리그랩 객체에 대하여 상기 외부 링크 태그와 함께 내부 링크 태그를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부는
    상기 바인드 객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랩 객체로서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바인더블 객체들을 재통합하여 상기 바인드 객체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드 객체 생성부는
    상기 재구성의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바인드 객체에 대해서 바인드를 해제하는 언바인드 또는 다시 바인드하는 리바인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처리부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바인드 객체에 독립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상기 퍼머링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KR1020190062784A 2019-05-28 2019-05-28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KR10225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84A KR102251276B1 (ko) 2019-05-28 2019-05-28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84A KR102251276B1 (ko) 2019-05-28 2019-05-28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72A true KR20200136772A (ko) 2020-12-08
KR102251276B1 KR102251276B1 (ko) 2021-05-12

Family

ID=7377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84A KR102251276B1 (ko) 2019-05-28 2019-05-28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2A1 (ko) * 2021-11-12 2023-05-19 (주)웹웨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02966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웹웨어 사물에 연결된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746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웹웨어 사물에 연결된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16A (ko) 2005-01-03 2006-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3850A (ko) * 2013-01-18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통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44006A (ko) * 2013-06-10 2014-12-18 이용재 통합 데이터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7-04-12 (주)모바일플러스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816A (ko) 2005-01-03 2006-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3850A (ko) * 2013-01-18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통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44006A (ko) * 2013-06-10 2014-12-18 이용재 통합 데이터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7-04-12 (주)모바일플러스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92A1 (ko) * 2021-11-12 2023-05-19 (주)웹웨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02966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웹웨어 사물에 연결된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276B1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152B2 (en) File-level commenting
US11030268B2 (en) Processing tree structure having breadcrumb root node
KR102251276B1 (ko) 바인드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US20140040791A1 (en) Development platform for software as a service (saas) in a multi-tenant environment
US8145727B2 (en) Network accessible media object index
CN102567797A (zh) 用于文档生成的主模板
US20150161119A1 (en) Playlist resolver
US8756100B1 (en) Facilitating purchase of excess items
US20150326620A1 (en) Media presentation in a virtual shared space
CN103631636A (zh) 用于为商业服务器使能多个租用的方法及系统
US11449834B2 (en)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Lypak et al. Formation of a consolidated information resource by means of cloud technologies
CN104572601A (zh) 经由社交媒体的文档修订
JP6371028B1 (ja) コンテンツ流通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Li et al. Cloud Computing and Digital Media
CN103403713B (zh) 文件系统中的文件变体
JP2017510926A (ja) クライアント主導型の応募者追跡システム及び複数のジョブレポートを管理する関連方法
CN116954438A (zh) 一种基于文件底板的门户白板装置
KR100856132B1 (ko) 웹 대상물의 관리 시스템
KR102207663B1 (ko) 그랩 기반의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69683A (ko)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630946B2 (en) Documentation augmentation using role-based user annotations
KR101934907B1 (ko) 마이크로 블로그 포스트 제공 서버, 단말 및 방법
TWI612432B (zh) Html網頁自動生成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系統
KR20230070746A (ko) 사물에 연결된 통합 컨텐츠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