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651A -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651A
KR20210118651A KR1020200035182A KR20200035182A KR20210118651A KR 20210118651 A KR20210118651 A KR 20210118651A KR 1020200035182 A KR1020200035182 A KR 1020200035182A KR 20200035182 A KR20200035182 A KR 20200035182A KR 20210118651 A KR20210118651 A KR 2021011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b
content
user terminal
object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028B1 (ko
Inventor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웨어
Priority to KR102020003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DEVICE INDEPENDENT RE-GRAB BASED INTEGRATED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수집한 그랩코드들을 임시 보관하고 서버로 로그인하는 시점에서 해당 그랩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리그랩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유/무선 네트워크(인터넷) 및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및 창작 활동을 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content)를 이용하고 있다.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는 동영상(영화, 드라마 등), 소설, 음악 등과 같이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문화 상품들뿐 아니라 특정 프로그램이나 다수의 컨텐츠들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자체 제작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 및 블로그(blog)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 웹사이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산되는 다수의 컨텐츠들은 높은 문화 파급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단순한 네트워크 사용자들만의 볼거리 역할에 그치고 있다.
현재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미디어) 산업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컨텐츠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문화 산업에서 장르간 차이가 없어지는 컨버전스(Convergence)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컨텐츠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블로그)내에서만 활용되거나, 단순 게시물로서 그 생명력을 마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출처 및 종류의 컨텐츠들을 확보하여, 높은 품질의 통합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통해, 사용자 창작의 통합 컨텐츠를 통한 수익 창출 모델 및 긍정적인 컨텐츠의 재창작을 유도할 수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또는 방법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가져와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그랩(grab) 장치 및 시스템의 구축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마케팅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직접 QR 코드를 촬영하여 읽어 들인 후 해당 QR 코드와 연결된 웹페이지에 방문해야만 해당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는 불편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9977 (2017.04.1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수집한 그랩코드들을 임시 보관하고 서버로 로그인하는 시점에서 해당 그랩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리그랩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한 그랩코드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영수증, 포인트, 번호표, 쿠폰 및 이벤트 쿠폰, 전자 상품권(기프티콘) 등의 각종 서비스에 관한 컨텐츠를 수집, 분류 및 관리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수집 및 분류를 통해 관련 컨텐츠들로 묶인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은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코드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으로 상기 그랩 객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른 전자영수증이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영수증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번호표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번호표가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번호표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품권(혹은 기프티콘)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상품권 쿠폰이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상품권 쿠폰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이벤트 쿠폰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이벤트 쿠폰이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이벤트 쿠폰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독 확인증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구독증이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 구독증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그랩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을 서비스 종류와 재화 가치와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타입, 순서, 시간, 장소 및 이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에 따라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인드 객체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의 공통 속성을 해당 바인드 객체의 대표 속성으로 결정하고 해당 컨텐츠 객체들의 속성값을 기초로 상기 대표 속성의 속성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은 상기 리그랩 연산을 통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가 추가 연동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연동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추가 연동에 따른 컨텐츠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는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하는 컨텐츠 객체 결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하는 그랩 객체 생성부, 상기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그랩 객체 공유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하는 그랩코드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하는 리그랩 연산 수행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한 그랩코드를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영수증, 포인트, 번호표, 쿠폰 및 이벤트 쿠폰, 전자 상품권(기프티콘) 등의 각종 서비스에 관한 컨텐츠를 수집, 분류 및 관리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자동 수집 및 분류를 통해 관련 컨텐츠들로 묶인 통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랩 객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수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라 그랩 객체를 리그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연동에 따른 리그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자신의 계정과 연동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QR 코드를 읽어 들이는 QR 코드 리더기, NFC 통신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광 발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펄스를 읽어 들이는 조도센서 모듈,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 방식에 대응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앱 등을 실행시킬 수 있고, 각 방식에 의해 수집된 정보들을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된 정보 유형에 따라 분류하거나, 특정 형식으로의 변환 등의 전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와의 연동을 원활히 처리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이 검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수집한 그랩코드들과 연결된 그랩 객체들을 리그랩(re-grab)하여 클라우드 공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통합 컨텐츠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15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cloud storage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저장공간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15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각종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15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의 데이터베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와 독립된 장치로서 독립된 제어 루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토리지(15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관된 사용자 계정 별로 독립된 저장 공간을 할당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저장 공간으로의 접근을 위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인증된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저장 공간으로의 독립적인 접근이 가능하지만, 다른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저장 공간으로의 접근은 제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컨텐츠 객체 결정부(310), 그랩 객체 생성부(320), 그랩 객체 공유부(330), 그랩코드 검출부(340),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객체 결정부(310)는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객체는 실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내용을 포함하는 객체에 해당할 수 있고, 실제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고유 링크로 연결되어 해당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텐츠 객체 결정부(310)는 서비스의 종류나 내용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 및 이들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랩 객체 생성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그랩 객체 생성부(320)는 단일 또는 결합된 웹기반의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Web URL 등의 고유한 식별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그랩(grab) 가능한 그랩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랩코드는 컨텐츠 객체와 연관되어 결합되는 고유 식별자에 해당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 단위로 부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랩(grab)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가져오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고, 바인드(bind)는 그랩(grab)을 통해 가져온 컨텐츠를 통합하여 하나로 묶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단말(110)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랩 레포지토리(repository)는 사용자 단말(110)의 저장공간으로서 사용자가 수집한 다양한 그랩 객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다양한 전송 방식을 채택하여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전송 방식에 따라 그랩 객체에 대한 이미지, 링크, 식별코드 등으로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그랩코드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으로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랩코드는 그랩 객체에 관한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랩 객체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로의 접근 가능한 웹 URL에 해당할 수 있다. 그랩코드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유형으로 구현되어 그랩 객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 광펄스, NFC 태그, 비가청음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각 유형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의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QR 코드를 촬영하여야 하고, 광펄스의 경우 조도센서 모듈을 통해 해당 광펄스를 검출하여야 하며, 비가청음파의 경우 마이크 모듈을 통해 비가청음파를 녹음하여야 한다. 각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 및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이나 전용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른 전자영수증이 발급되는 경우 전자영수증에 그랩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번호표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번호표가 발급되는 경우 전자번호표에 그랩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상품권(혹은 기프티콘)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상품권 쿠폰이 발급되는 경우 전자 상품권 쿠폰에 그랩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이벤트 쿠폰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이벤트 쿠폰이 발급되는 경우 전자 이벤트 쿠폰에 그랩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랩 객체 공유부(3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구독 확인증 발급의 완료에 따른 전자 구독증이 발급되는 경우 전자 구독증에 그랩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그랩코드 검출부(340)는 사용자 단말(110)의 접근이 허용되면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특정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이 검출된 경우 그랩코드 검출부(340)는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그랩 객체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랩 객체로부터 그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코드 검출부(340)는 그랩 객체로서 QR 코드가 포함된 이미지에 대해 QR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QR 코드에 대응되는 그랩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랩코드는 특정 웹페이지에 관한 웹 URL에 해당할 수 있다.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는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랩코드와 연관된 그랩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포함할 수 있고,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는 그랩코드를 기초로 그랩 객체에 접근하여 컨텐츠 객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리그랩(re-grab) 연산은 그랩을 통해 생성된 객체를 다시 그랩하는 연산에 해당할 수 있고, 그랩 객체를 그대로 획득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그랩 객체를 분해한 후 재가공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그랩 객체들을 묶어 바인드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는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을 서비스 종류와 재화 가치와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타입, 순서, 시간, 장소 및 이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 결과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는 바인드 객체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의 공통 속성을 해당 바인드 객체의 대표 속성으로 결정하고 해당 컨텐츠 객체들의 속성값을 기초로 대표 속성의 속성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는 리그랩 연산을 통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할 수 있다. 즉,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는 리그랩 대상이 되는 그랩 객체들을 단순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수집 후 일련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분해 및 가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는 사용자가 수집한 그랩 객체들을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의 기준에 따라 분류 및 생성한 바인드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는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가 추가 연동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연동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추가 연동에 따른 컨텐츠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70)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컨텐츠 객체 결정부(310), 그랩 객체 생성부(320), 그랩 객체 공유부(330), 그랩코드 검출부(340),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 및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컨텐츠 객체 결정부(310)를 통해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1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그랩 객체 생성부(3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20).
또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그랩 객체 공유부(330)를 통해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그랩 객체들이 사용자 단말(110)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43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그랩코드 검출부(3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접근이 허용되면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40).
또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리그랩 연산 수행부(350)를 통해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5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리그랩 객체 생성부(360)를 통해 리그랩 연산을 통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60).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랩 객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랩 객체(510)는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530)와 해당 그랩 객체(51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그랩코드(Grab Code)(550)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랩코드(550)는 그랩 객체(510)와 연관되어 생성되고 그랩 객체(510)에 접근 가능한 고유 링크로서 웹 URL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객체(530)는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 또는 서비스로의 접근 가능한 고유 링크(unique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그랩코드(55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유형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코드(550)는 QR 코드(571), NFC 태그(573), 광펄스(575) 및 비가청음파(577)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그랩 객체 공유부(330)를 통해 그랩 객체(510)에 포함된 그랩코드(550)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으로 그랩코드(550)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전송 방식에 대응되는 전용 프로그램이나 전용앱을 실행한 후 그랩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되는 정보는 그랩 객체(510)에 관한 정보 또는 그랩코드(550)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랩 객체(5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530)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고, 컨텐츠 객체(530)는 다양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객체(530)는 그랩 객체(510)에 해당할 수 있고, 그랩 객체(510)는 바인드 객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컨텐츠 객체(530)는 각각 광고, 영수증, 쿠폰, 포인트 및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그랩코드(550)는 해당 컨텐츠 객체(530)를 모두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URL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그랩코드(550)에 관한 인터페이스 유형은 QR 코드(571)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QR 코드(571)를 촬영하는 경우, 광고, 카드 영수증, 할인 쿠폰, 포인트 적립 및 재구매링크를 컨텐츠로 포함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수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그랩 객체 공유부(330)를 통해 그랩 객체(510)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이 복수의 그랩 객체(510)들을 사용자 단말(110)의 그랩 레포지토리(710)에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집하고자 하는 그랩 객체(510)에 포함된 그랩코드(550)를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랩코드(550)가 QR 코드(571)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QR 코드를 촬영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를 실행시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그랩코드(550)들은 사용자 단말(110)의 그랩 레포지토리(710)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 시점에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텐츠 처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의 결제 프로세스에 연동하여 사용자에 의한 그랩코드 수집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810)과 사용자 단말(110) 간의 NFC 통신을 통해 결제 프로세스가 개시되는 경우 결제 단말(810)은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에게 승인을 요청할 수 있고,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제3자(3RD PARTY) 서버로부터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확인 및 전자영수증 제공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전자영수증에 그랩코드를 추가하여 결제 단말(810)의 중계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정보를 그랩 레포지토리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서버로의 로그인이 검출된 경우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수집된 그랩 객체들로부터 그랩코드를 추출하고 그랩코드와 연결된 컨텐츠 객체들을 리그랩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수고 없이도 자신의 단말 상에 수집된 정보들을 일괄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150)에 저장할 수 있고, 자유롭게 열람 및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라 그랩 객체를 리그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그랩 객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그랩코드와 연결된 컨텐츠 객체(930)들을 클라우드 스토리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그랩코드와 연결된 그랩 객체가 바인드 객체(910) 경우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바인드 객체(910) 별로 클라우드 스토리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바인드 객체(910)를 리그랩하여 분류한 후 재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정보는 실제 컨텐츠가 아닌 해당 컨텐츠로의 접근 가능한 식별자에 불과하며, 사용자는 휴대폰 인증을 통해 언제라도 실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의 로그인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그랩 객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그랩코드를 추출하고, 그랩코드와 연결된 컨텐츠들을 클라우드 스토리지(150) 상에 일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컨텐츠들을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분류된 컨텐츠들을 묶어 바인드 객체(91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드 객체(910)는 폴더나 해시태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바인드 객체(910)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바인드 객체(910)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930)들의 공통 속성을 해당 바인드 객체(910)의 대표 속성(1010)으로 결정하고 해당 컨텐츠 객체(930)들의 속성값을 기초로 대표 속성의 속성값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0에서, 폴더 B는 전자영수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표 속성(1010)으로 전체사용액(또는 금일사용액)을 결정한 후 해당 전자영수증들의 사용액을 모두 합한 값으로 138,500원을 대표 속성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연동에 따른 리그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리그랩 연산을 통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는 컨텐츠 객체(930)들로 구성된 바인드 객체(91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가 추가 연동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연동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추가 연동에 따른 컨텐츠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인 '폴더 D'가 OK 캐시백 포인트를 컨텐츠 객체(930)로서 포함하는 경우, OK 캐시백 포인트를 관리하는 타서비스 서버와의 추가 연동에 따라 해당 OK 캐시백 포인트가 반영된 바인드 객체(910)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110). 한편,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이미 연동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별도의 추가 확인 없이도 해당 서비스와 연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타서비스에 미가입되어 있거나, 연동 조건을 미충족하는 경우에는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130)는 연동 전 정보만으로 바인드 객체(9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에서, 폴더 D의 첫번째와 세번째 OK 캐시백 포인트는 연동 조건을 충족하여 바인드 객체(910)의 대표 속성(1010)에 반영될 수 있고, 두번째 OK 캐시백 포인트의 경우 연동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결과 대표 속성(1010)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향후에 연동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OK 캐시백 포인트에 대한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통합 컨텐츠 처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150: 클라우드 스토리지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컨텐츠 객체 결정부 320: 그랩 객체 생성부
330: 그랩 객체 공유부 340: 그랩코드 검출부
350: 리그랩 연산 수행부 360: 리그랩 객체 생성부
370: 제어부
510: 그랩 객체 530: 컨텐츠 객체
550: 그랩코드 571: QR 코드
573: NFC 태그 575: 광펄스
577: 비가청음파
710: 그랩 레포지토리
810: 결제 단말
910: 바인드 객체 930: 컨텐츠 객체
1010: 대표 속성

Claims (8)

  1.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그랩코드의 인터페이스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으로 상기 그랩 객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결제 프로세스의 완료에 따른 전자영수증이 발급되는 경우 상기 전자영수증에 상기 그랩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랩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을 서비스 종류와 재화 가치와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타입, 순서, 시간, 장소 및 이벤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에 따라 동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컨텐츠 객체들을 통합하여 바인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랩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바인드 객체에 포함된 컨텐츠 객체들의 공통 속성을 해당 바인드 객체의 대표 속성으로 결정하고 해당 컨텐츠 객체들의 속성값을 기초로 상기 대표 속성의 속성값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랩 연산을 통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들로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리그랩 객체가 추가 연동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연동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추가 연동에 따른 컨텐츠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8. 특정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를 결정하는 컨텐츠 객체 결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객체에 그랩코드를 연관시켜 그랩 객체를 생성하는 그랩 객체 생성부;
    상기 그랩 객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그랩 객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그랩 레포지토리에 수집하도록 하는 그랩 객체 공유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허용되면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과 연관된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검출하는 그랩코드 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그랩코드들을 기초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그랩 객체들에 관한 리그랩(re-grab) 연산을 수행하는 리그랩 연산 수행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장치.
KR1020200035182A 2020-03-23 2020-03-23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71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82A KR102371028B1 (ko) 2020-03-23 2020-03-23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82A KR102371028B1 (ko) 2020-03-23 2020-03-23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651A true KR20210118651A (ko) 2021-10-01
KR102371028B1 KR102371028B1 (ko) 2022-03-10

Family

ID=7811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82A KR102371028B1 (ko) 2020-03-23 2020-03-23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850A (ko) * 2013-01-18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통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44006A (ko) * 2013-06-10 2014-12-18 이용재 통합 데이터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7-04-12 (주)모바일플러스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JP2017194780A (ja) * 2016-04-19 2017-10-2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センタ、見切り予測情報管理方法および見切り予測情報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850A (ko) * 2013-01-18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통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44006A (ko) * 2013-06-10 2014-12-18 이용재 통합 데이터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9977A (ko) 2015-10-02 2017-04-12 (주)모바일플러스 콘텐츠 허브 통합 운영 플랫폼 시스템
JP2017194780A (ja) * 2016-04-19 2017-10-26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センタ、見切り予測情報管理方法および見切り予測情報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028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8266A (zh) 测试用例的构建方法、测试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0885102B1 (en) Matching character strings with transaction data
US20140105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urchase Crawling and Retail Exploration
US9602274B2 (en) Secure password generation
US10318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data management
US9910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nalytics data
US202103499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estate data collection, normalization, and visualization
CN102693270A (zh) 用于内容管理和组件测试的可发布元数据
CN104579909A (zh) 一种用户信息的分类、用户分组信息的获取方法和设备
CN113407882A (zh) 组件生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Kostakos et al. Human sensors
CN103810638A (zh) 信息通信设备、方法、系统以及计算机程序
US10003620B2 (en) Collaborative analytics with edge devices
US20150235194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social analytics during purchasing
KR102388310B1 (ko)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개인화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220941A1 (en) Visual tagging to record interactions
US9967297B1 (en) Generating item suggestions from a profile-based group
US10360600B1 (en) Big tre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user reviews
CN104166665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71028B1 (ko) 디바이스 독립적인 리그랩 기반의 통합 컨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657195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for identifying and rewarding sender and receiver of shared URLs and recommendations by using double-sided affiliate link
US20150178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ements on display devices based on user's nfc based transaction and web browsing activities
Napoli Understanding our new communications economy: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journalism
US85388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SMS-based interactive electronic marketing offer search and distribution system
CN111738798A (zh) 用于生成商品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