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039A -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039A
KR20170039039A KR1020150138187A KR20150138187A KR20170039039A KR 20170039039 A KR20170039039 A KR 20170039039A KR 1020150138187 A KR1020150138187 A KR 1020150138187A KR 20150138187 A KR20150138187 A KR 20150138187A KR 20170039039 A KR20170039039 A KR 2017003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준
박성근
이돈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039A/ko
Publication of KR2017003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및 드립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성형체는 글로우 와이어 실험에서 우수한 난연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Polyester)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의 공중합체 수지, 난연제, 및 드립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부품의 추세가 고집적화, 고성능화, 경량화, 소형화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별히 전기 및 전자 부품용도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난연성을 요구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기존의 UL-94규격외에 추가로 글로우 와이어 특성(IEC 60695-2-12, 60695-2-13) 및 트래킹 내성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는 UL-94 규격의 난연성 평가는 이미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가정으로 하여 불꽃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지만, IEC 규격의 글로우 와이어 평가는 열원을 글로우 와이어로 사용하여 전기, 전자 제품에 적합한 실질적인 난연 거동을 파악하여 화재를 방지하려는 평가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기가정용 용도에 적합한 난연특성은 두께 1.0mm에서, 400볼트 이상의 Comparative Tracking Index(CTI), 750℃이상의 Glow Wire Ignition Temperature(GWIT), 850℃이상의 Glow Wire Flammability Temperature (GWFI) 특성요구 조건을 따라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에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미드(PA)수지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기계적 강도, 전기적 특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에서 우수하여, 난연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주로 브롬계 화합물과 삼산화안티몬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의 알로이에 할로겐계 난연제를 적용하여 우수한 난연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들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999433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C) 알로이수지에 브롬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 및 내 글로우 와이어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최근 EU를 중심으로 각종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플라스틱 첨가제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서 친환경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난연성을 요구하는 전기, 전자부품도 기존의 할로겐계 난연시스템보다는 비할로겐화 난연제품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부합하는 비할로겐화 난연성 수지와 관련된 종래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658447에서는 유리섬유 강화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수지에 유리섬유와 난연제 등을 첨가하되 여기에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와 나노클레이를 첨가하여 저비중, 고강성을 도모하고 나노클레이 첨가로인한 충격특성 및 신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를 첨가함으로써 전기, 전자 용도의 커넥터, FBT케이스, 보빈등의 저비중, 소형 박막화 부품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789698에서는 폴리아미드(PA)수지에 비할로겐 질소함유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난연제와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높은 글로우 와이어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국제 특허 제 WO2001-081470에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얼로이 수지에 비할로겐 인계난연제 및 질소함유 난연제와 유리섬유를 보강하여 글로우 와이어 특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12-0078487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수지의 공중합체에서 인계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 열적특성, 기계적 물성, 투명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에 관하여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들에서는 유리섬유를 도입하여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유연성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 커넥터 하우징 등과 같은 부품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에서 UL-94 규격의 난연성은 우수하나, 글로우 와이어 특성(GWIT 혹은 GWFI)에 대한 언급이 없어 현재 전기, 전자 제품에서 강화된 난연규격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에 인계 난연제 및 질소 함유 난연제를 사용하여, 유리섬유의 보강없이 난연성과 글로우 와이어 특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는,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 70 내지 90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15 중량%, 질소계 난연제 3 내지 5 중량%, 및 드립방지제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2.1 내지 3.9 : 1.9 내지 0.1의 혼합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상기 공중합에스터 수지는 PET:PEN이 1:0.06 내지 1:15의 몰비율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공중합에스터 수지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5,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포스파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질소계 난연제는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드립방지제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물이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성형체는 트래킹 내성(CTI)이 600V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성형체는 GWIT(Glow Wire Ignition Temperature) 온도가 750℃이상이고, GWFI(Glow Wire Flammability Temperature) 온도가 8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PET/PEN 공중합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섬유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환경부하를 나타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 및 글로우 와이어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요구되는 전기, 전자 커넥터 부품 하우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 70 내지 90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15 중량%, 질소계 난연제 3 내지 5 중량%, 및 드립방지제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2.1 내지 3.9 : 1.9 내지 0.1의 혼합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고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섬유를 사용할 경우 유연성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 커넥터 하우징 등과 같은 부품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난연제로 할로겐게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할로겐 난연제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의 생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 공중합에스터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는 디올성분, 제1산성분 및 제2산성분이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공중합된 수지이다.
상기 공중합에스터 수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및 열적 특성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전체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70 내지 8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충분한 난연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는 디올성분, 제1산성분 및 제2산성분이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공중합된 수지로서, 상기 디올성분은 에틸렌글리콜(EG), 1,4-사이클로 헥산디메탄올 및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제1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 디메틸, 이소 테레프탈산 및 디메틸 이소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제2산성분으로서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인 것이다.
여기에서, 디올성분과 제1산성분이 반응한 부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고, 디올성분과 제2산성분이 반응한 부분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성분이다.
이때 산성분과 디올 성분의 종류 및 이들 함량비율도 최종 축중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비율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의 몰비율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스터화 반응 후, 축중합 반응의 개시 전에 에스터화 반응의 생성물에 축중합 촉매, 안정제, 정색제, 형광증백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중합 촉매로는, 통상의 티타늄, 게르마늄, 안티몬, 알루미늄, 및 주석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에스터 수지 조성물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성분의 몰 비율은 그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열변형 온도를 비롯한 내열성 특성, 난연성 특성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1:0.06 내지 1:15의 몰비율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8내지 1:8의 몰비율로, 공중합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공중합에스터 수지를 시험한 결과 전기, 전자 부품등으로 성형하기에 기계적 특성, 난연특성 및 글로우 와이어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 인계 난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친환경적인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계 가스를 발생하지 않은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또는 포스파젠등의 단독 또는 혼합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1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난연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다양한 두께에서의 난연성이 효과적으로 부여되기 어려울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하면 난연제 함량의 증가로 인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사출시 투입 및 성형에 있어 가공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C) 질소계 난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연제는 친환경적인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계 가스를 발생하지 않은 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질소계 난연제는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등의 단독 또는 혼합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소계 난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계 난연제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인계 난연제와의 상승효과가 적어 난연성 및 글로우 와이터 특성이 구현되기가 어려우며, 5중량%을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오며, 또한 사출시 투입 및 성형에 있어 가공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2.1:1.9 내지 3.9:0.1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범위로 혼합되면 충분한 난연성 및 GWIT의 특성이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D) 드립방지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드립방지제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조성물 내에서 섬유상 그물구조를 형성하여 연소시에 수지의 흐름을 억제하고 수축률을 증가시켜 조성물의 드리핑을 방지한다.
이러한 드리핑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등의 불소계 드립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드립방지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드립방지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으며, 1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점도 증가로 압출가공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강화, 할로겐 프리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은, UL-94수직 난연성 평가법으로 측정한 난연성이 V0이고, IEC 60695-2-13 규격에 따라 측정한 글로우 와이어 특성이 750℃이상이며, 600V 이상의 CT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비강화, 할로겐 프리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의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 조성물은 여러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우수한 난연 및 글로우 와이어 특성이 요구되는 전기, 전자 커넥터 부품 하우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할 때 첨가량은 별도의 기술의 없을 경우 중량%를 나타내며, 제조방법과 시험편의 성형 및 분석 평가 방법은 다음 방법에 따라 수행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표기하였으며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국한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9>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에 따라, 각 성분들을 240~25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 내에서 용융 및 혼련한 후 칩 상태로 비강화, 할로겐 프리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120℃에서, 5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강화, 할로겐 프리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수지 조성물을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및 혼련 때와 동일한 온도로 각각의 시편을 제작하여 기계적물성 측정을 위한 ASTM 규격 시편과, 난연성 측정을 위한 UL-94 및 IEC 60695-2-13 규격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강화, 할로겐 프리 공중합 폴리에스터 난연수지는 이축압출기내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400rp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각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
고유점도가 0.88인 NOPLA® KE 101을 사용하였다.
상기 고유점도(IV) 측정방법은 하기 방식을 사용하였다: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η)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뒤 얻어진 여과액을 우베로데형 점도관을 이용하여, 20℃에서 측정될 수 있다.
(B) 인계난연제:
평균입경이 20μm이며, 인함량이 23%인 Clariant사의 Exolit OP1240 알루미늄 포스피네이트를 사용하였다.
(C) 질소계난연제:
평균입경이 20μm이며, 인함량이 12%인 BASF사의 Melapur 200 멜라민 폴리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였다.
(D) 드립방지제:
MITSUBISHI RAYON사의 METABLEN A-3800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를 사용하였다.
PEN-PET 공중합에스터 수지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드립 방지제 유리섬유 합계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실시예 1 79.5 15 5 0.5 - 100
실시예 2 83.5 12 4 0.5 - 100
비교예 1 100 - - - - 100
비교예 2 79.5 20 - 0.5 - 100
비교예 3 79.5 - 20 0.5 - 100
비교예 4 83.5 16 - 0.5 - 100
비교예 5 83.5 - 16 0.5 - 100
비교예 6 87.5 9 3 0.5 - 100
비교예 7 79.5 5 15 0.5 - 100
비교예 8 83.5 4 12 0.5 - 100
비교예 9 84.5 10 5 0.5 - 100
<물성실험 방법>
제조된 시편을 대상으로, 하기 실험방법을 통해 물성을 측정하였다.
(1) 인장강도:
ASTM 방법에 의해 테스트 기기인 UTM(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편이 절단되는 지점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kg/cm2)의 계산은 load값(kg)/두께(cm)Ⅹ폭(cm)로 계산하였다.
(2) UL-94수직 난연특성: 미국 Underwriter's Laboratory Inc. 가 규정하는 UL94시험방법에 의하여 두께 0.8mm, 1mm 시편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수직으로 유지한 일정크기의 시편에 불꽃을 10초동안 접염한 후의 잔염시간이나 드립성으로부터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상기 절차에 따르면, 상기 물질은 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V-0, V-1, 또는 V2로 분류되는데, V-0가 가장 우수한 난연성을 보이는 것이고, V-2가 가장 낮은 난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3) 트래킹 내성(CTI): 3.0mm의 두께 및 최소 100.0mm의 직경을 갖는 시편을 사용하여 UL-746A에 따라 측정하였다. 400 내지 599V의 트래킹 지수는 1등급에 해당하고, 600V이상은 0등급에 해당한다.
(4) Glow Wire Ignition Temperature (GWIT): 1.0mm 내지 2.0mm 두께 및 60.0 Ⅹ 60.0mm 치수를 갖는 시편을 사용하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표준 IEC-60695-2-12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는 글로우 와이어를 시편에 30초간 접촉시켰을 때, 점화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온도에 해당한다.
(5) Glow Wire Flammability Temperature (GWFI): 1.0mm 내지 2.0mm 두께 및 60.0 Ⅹ 60.0mm 치수를 갖는 시편을 사용하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표준 IEC-60695-2-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는 글로우 와이어를 시편에 30초간 접촉시켰을 때, 글로우 와이어 후퇴 후 30초 내에 불꽃이 소화되는 최대온도에 해당한다.
<물성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
(kg/cm2)
난연성
(두께0.8mm)
CTI
(두께3mm)
GWIT
(두께1mm)
GWFI
(두께1mm)
실시예 1 520 V0 0등급 750℃ 850℃
실시예 2 584 V0 0등급 750℃ 850℃
비교예 1 612 V2 - 650℃ 750℃
비교예 2 517 V2 1등급 700℃ 800℃
비교예 3 525 난연 × - - -
비교예 4 573 V2 1등급 700℃ 800℃
비교예 5 569 난연 × - - -
비교예 6 589 V2 1등급 700℃ 800℃
비교예 7 514 V2 1등급 700℃ 800℃
비교예 8 576 V2 1등급 700℃ 800℃
비교예 9 582 V2 1등급 700℃ 80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된 시편은 우수한 난연성, 글로우 와이어 특성, 기계적 물성 및 전기적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커넥터 부품 하우징등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인계 난연제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비교예 2,4) 낮은 난연성 및 GWIT가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질소계 난연제 단독으로만 사용할 경우는(비교예 3,5), 오히려 난연성이 전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혼합 중량비가 2:1 경우(비교예 9), 난연성 및 GWIT 특성이 개선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질소계 난연제의 혼합 중량비가 높은 경우(비교예 7,8)에서도 난연성 및 GWIT 특성이 개선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혼합 중량비가 3:1 이지만, 전체 난연제 함량이 12% 미만일 경우(비교예 6), 난연성 및 GWIT 특성이 개선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폴레에틸렌나프탈레이트-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에스터 수지(PEN-PET copolyester) 70 내지 85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15 중량%, 질소계 난연제 3 내지 5 중량%, 및 드립방지제 0.5 내지 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2.1 내지 3.9 : 1.9 내지 0.1의 혼합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에스터 수지는 PET 수지와 PEN 수지가 1:0.06 내지 1:15의 몰비율로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에스터 수지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포스파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계 난연제는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방지제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트래킹 내성(CTI)이 600 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GWIT(Glow Wire Ignition Temperature) 온도가 750℃ 이상이고, GWFI(Glow Wire Flammability Temperature) 온도가 8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KR1020150138187A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KR20170039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87A KR20170039039A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87A KR20170039039A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39A true KR20170039039A (ko) 2017-04-10

Family

ID=5858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87A KR20170039039A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0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7451B1 (en) Flame-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JP5566401B2 (ja) 強化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物品
US7851532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N102918108A (zh)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
CN115023467B (zh) 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及成型品
EP1349890B1 (en)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s
KR101632571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1201579B (zh) 低烟阻燃缆线
KR20090066599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WO2015037592A1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70039039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체 제조
JP359046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60003126A (ko) 응력 균열 내성의 할로겐 무함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KR101990407B1 (ko) 비할로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1891338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84909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10076272A (ko)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WO2021257534A1 (en) Improved copolyetherester
CN115651375A (zh) 一种有卤阻燃pbt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78748A (ko) 난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160107960A (ko) 배터리 하우징 부품용 난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JP2017179352A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H1180519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成型品
KR20160107961A (ko) 난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