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780A -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780A
KR20170037780A KR1020150136800A KR20150136800A KR20170037780A KR 20170037780 A KR20170037780 A KR 20170037780A KR 1020150136800 A KR1020150136800 A KR 1020150136800A KR 20150136800 A KR20150136800 A KR 20150136800A KR 20170037780 A KR20170037780 A KR 2017003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lymer membrane
stent
form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우
문동현
석민광
한규원
이주호
이승아
박수민
Original Assignee
이이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알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이알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780A/ko
Publication of KR2017003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31/125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를 용해시켜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에 항암제를 첨가하여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으로부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며, 상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전이(Phase tran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Dope solution)으로부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다공성 고분자막에 의해 스텐트에 담지될 항암제의 담지량을 증가시키며,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방출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암제의 방출을 조절하여 서방성 방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mer membrane of the drug loaded stent}
본 발명은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고분자막에 의해 항암제의 담지량을 증가시키며,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방출 효과를 증가시킨 다공성 고분자막이 코팅된 소화관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위암, 식도암, 대장암, 담도암, 췌장암, 간암 등과 같은 소화기암은 우리나라에서 5대 암 중 매년 상위권을 유지할 정도로 매우 흔히 발생하는 암들이다. 이들 암의 치료법은 일반적으로 수술, 화학 치료법, 면역요법, 방사선 치료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암이 조기에 발견되어 외과적 수술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치료법이 예후가 좋지 못한 편이다. 또한 암은 상당히 많은 예에서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행된 채로 발견된다. 진행중인 소화기암은 위장관, 식도 또는 담관과 같이 소화기관을 막아 연하곤란, 구토, 황달과 같은 증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소화기암에 의한 환자생존이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막힌 관을 개통시켜야 하는 데 과거의 바이패스(Bypass) 수술을 이용한 치료법보다는 내시경 또는 방사선중재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 치료법으로 최근 인정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는 협착된 체내의 혈관 또는 도관에 삽입 및 장착되어 협착부위를 원래의 크기로 다시 확장시키는 의료장치이다. 소화기암에 사용되는 스텐트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니켈 티타늄(Nickel titanium), 코발트 크로뮴(Cobalt chromium) 등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되며, 얇은 직경의 시술기구를 통해 체내에 삽입된다. 협착된 자리에 삽입되는 스텐트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를 팽창형 스텐트(Expandable stent)라고 하며, 담관계, 기도, 위장관 등의 비혈관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직접적인 암세포 사멸 효과가 없기 때문에 스텐트 삽입 후 일정 기간이 흐른 뒤 암세포의 성장으로 인한 스텐트의 재협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스텐트에 항암활성을 가지는 특수한 기능을 부과하여 스텐트가 삽입된 곳의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으로는 스텐트 표면에 항암제를 담지시킨 국소약물전달 개념인 약물 방출 스텐트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비혈관 스텐트는 기관, 기관지, 식도, 담관계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비혈관 스텐트는 공통적으로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는 삽입된 스텐트에 대한 이물반응으로 조직의 양성 과형성이 발생하여 내강을 좁게 하는 내증식이며, 두 번째는 암에 의한 체내 통로의 폐쇄를 치료하기 위해 삽입된 스텐트에서 악성 과증식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소화기 영역 약물방출 스텐트의 주된 목표는 이러한 종양의 과증식을 예방하는 것이다.
약물 방출 스텐트의 경우 암치료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스텐트에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약물의 양에 한계가 있으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스텐트를 통해 약물의 방출이 끝나면 암세포가 다시 성장하기 때문에 암치료가 완치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도 약물 방출 스텐트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암세포마다 항암제의 활성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혈관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소화관에 사용할 경우 항암효과가 높지 않게 된다. 이러한 약물방출 스텐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화기암에 효과적인 항암제를 선택하고, 선택된 항암제의 성질과 적합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선택해 스텐트에 담지될 항암제의 절대량을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2866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7751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고분자막에 의해 스텐트에 담지될 항암제의 담지량을 증가시키며,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방출 효과를 증가시킨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항암제의 방출을 조절하여 서방성 방출이 가능한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고분자를 용해시켜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에 항암제를 첨가하여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으로부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화관용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며, 상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전이(Phase tran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Dope solution) 으로부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항암제를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시킨 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항암제 혼합용액을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에 샘플봉을 담지하여 상기 샘플봉의 주변에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봉 및 상기 고분자 막을 꺼내어 건조시켜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시켜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실온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세척하는 단계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용매는 클로로폼(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테트라하이드로피란(Tetrahydropyran),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아세톤(Aceton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 파클리탁셀(Paclitax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항암제는 상기 폴리우레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한 혼합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해 21 내지 3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1중량부에 대해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1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스텐트본체와,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주면에 코팅된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소화관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막은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며, 상전이(Phase transition)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다공성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공성 고분자막에 의해 스텐트에 담지될 항암제의 담지량을 증가시키며,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방출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암제의 방출을 조절하여 서방성 방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다공성 고분자막의 사진이고,
도 3은 다공성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코팅한 사진이고,
도 4는 다공성 고분자막에 시간에 따라 방출되는 항암제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휘발성 용매에 용해한다(S1).
폴리우레탄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한다. 스텐트(Stent)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분자막은 인체 내에 시술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생분해성인 고분자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의 경우 우레탄 폼(Uretane form)과 같이 기공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하기 용이한 고분자로 이를 이용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을 휘발성 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후에 증발시킬 경우 휘발성이 큰 용매의 성질에 의해 용매가 빠른 시간 내에 증발되고 이로 인해 용매가 있던 자리에 기공이 생기게 되어 다공성 고분자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실리콘(Silico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LGA(poly(lactic- co -glycolic acid)), PLA(Poly lactic acid), PGA(Pteroylglutamic acid)와 같은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용매는 클로로폼(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테트라하이드로피란(Tetrahydropyran),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아세톤(Aceton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1중량부에 대해 생분해성 고분자는 1 내지 3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고분자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의 중량이 증가하여 기공은 많이 형성되지만 그에 따른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생분해성 고분자가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우레탄의 양이 적어 원하는 만큼의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우레탄과 함께 혼합되어 고분자 막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1 내지 3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비율은 폴리우레탄 : 생분해성 고분자 = 1 :2 중량비이다.
고분자 혼합용액에 항암제를 첨가한다(S2).
S1 단계에서 형성된 고분자 혼합용액에 항암제를 첨가하여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Dope solution)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소화기암을 치료하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소화기암을 치료하는 약물인 소라페닙(Sorafenib), 파클리탁셀(Paclitax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암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항암제를 바로 고분자 혼합용액에 첨가하게 되면 용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먼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시켜 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한다. 그 후 항암제 혼합용액을 고분자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항암제가 완전히 용해된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한 혼합 고분자를 100중량부로 할 때 이 중량부에 대해 항암제는 21 내지 3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고분자 막의 경우 고분자 막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암제를 20중량부 이상을 담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다공성 고분자 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 고분자막의 중량부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지고 부피가 커져, 이에 의해 20중량부 이상의 항암제를 담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암제를 담지할 수 있으며 고분자 막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인 2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전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한다(S3).
상전이(Phase trna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Dope solution)으로부터 다공성 고분자 막을 형성한다. 고분자-항암제의 혼합용액에 스텐트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유리로 이루어진 샘플봉을 담지하고, 이를 꺼내어 건조시킨다. 샘플봉을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에 담지하면 액체로 존재하던 고분자-항암제가 샘플봉 주변에 고체로 상전이가 되고 이를 꺼내어 건조시키게 되면 고분자 막이 형성된다. 이때 혼합용액에 들어있던 휘발성 용매가 건조에 의해 증발하면 증발된 자리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다공성 고분자 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분자 막을 건조하는 단계는 실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건조할 경우 고분자 막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건조된 다공성 고분자막은 휘발성 용매가 증발된 상태로, 항암제를 용해하기 위한 디메틸설폭사이드 용매는 일부 존재하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를 이용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세척하고, 이를 다시 30℃ 정도에서 건조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항암제가 담지된 다공성 고분자막이 형성된다.
다공성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코팅한다(S4).
S1 내지 S3 단계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고분자막을 소화관용 스텐트의 표면에 씌워 코팅한다. 코팅된 다공성 고분자막은 수술용 봉합사 또는 나일론 실을 이용하여 스텐트에 봉합되거나, 생체 접착제 또는 순간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텐트와 접착을 통해 스텐트로부터 다공성 고분자막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텐트 표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고분자막은 소화관 내에 삽입되면 다공성 고분자막이 직접 소화관과 접촉하게 되고 다공성 고분자막 내에 담지된 항암제가 소화관으로 배출되어 소화기암을 치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다공성 고분자 막은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휘발성 용액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을 사용하여 혼합한 다음, 항암제인 소라페닙을 추가로 혼합한 후 상전이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폴리카프로락톤 1g을 1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폴리우레탄 0.5을 첨가하여 다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폴리우레탄과 폴리카프로락톤의 혼합 비율이 1 : 2인 휘발성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휘발성 혼합용액과는 별도로 항암제인 소라페닙(Sorafenib) 1g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5m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이 중 1.65ml을 휘발성 혼합용액에 주입하여 혼합하였다. 항암제가 혼합된 휘발성 혼합용액(Dope solution)에 지름 12mm인 유리봉을 담지한 뒤 이를 꺼내어 상온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시켰으며, 그 후 증류수에 2시간 동안 세척하여 잔류하는 용매를 세척하였다. 이후에 약물이 담지된 고분자막을 유리봉에서 벗겨낸 후 30℃에서 6시간 동안 건조시켜 최종적으로 상전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고분자막(F)의 사진과, 다공성 고분자막(F)의 표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으로, 표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다공성 고분자막(F)을 스텐트(S)에 접목시킨 사진으로 스텐트(S)와 다공성 고분자막(F)을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실을 이용한 봉합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 가능하다.
샘플 샘플 무게
(㎍)
항암제 담지량
(㎍)
항암제 담지량
(%)
샘플별
평균담지량
(%)
1-1 1500 215 14 20.27

1-2 800 196 25
1-3 1000 220 22
2-1 1000 226 23 20.77

2-2 1100 234 21
2-3 1200 221 18
3-1 1100 223 20 19.53

3-2 1400 254 18
3-3 1200 242 20
4-1 800 162 20 22.15

4-2 800 196 25
4-3 700 152 22
5-1 2200 422 19 20.06

5-2 2500 490 20
5-3 2400 515 21
표 1은 항암제가 담지된 고분자막 샘플을 통해 항암제 담지량을 확인한 것으로, 샘플 5개를 각각 3개의 조각으로 절단한 후 이에 따른 샘플에 항암제가 담지된 양을 확인한 것이다. 다공성 고분자 막 내에 존재하는 항암제의 담지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항암제를 용해시키는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무게를 측정한 고분자 막을 담지하고, 37℃에서 100rpm으로 24시간 교반시켜 다공성 고분자막 내에 존재하는 항암제 전체 방출을 유도하였다. 방출된 총량의 항암제는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샘플 무게는 하나의 고분자막을 3개의 조각으로 절단한 것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샘플에 담지되는 항암제의 양을 측정하고 그 무게를 샘플 전체 무게에 대해 퍼센트로 환산하였다. 퍼센트로 환산한 항암제 담지량을 샘플별로 평균을 낸 결과 샘플 1은 총 고분자막 샘플 무게의 20.27%를 담지하고 있으며, 샘플 2는 20.77%, 샘플 3은 19.53%, 샘플 4는 22.15%, 샘플 5는 20.06%의 항암제를 담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샘플들의 평균 담지량은 20.56%였으며, 이를 다공성 고분자막 100중량부로 환산할 경우 항암제의 양은 약 25중량부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값은 종래의 항암제 양인 20중량부에 비해 담지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다공성 고분자막을 이용하여 항암제의 약물 방출 실험을 한 그래프이다. 항암제의 방출 양은 초기 24시간 동안 20% 이하의 방출을 보였으며, 이후 24시간 마다 담지량의 1% 수준으로 꾸준히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분자막이 다공성으로 되어있어 항암제가 서방성 방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스텐트는 기공이 형성되어있지 않아 항암제가 담지되는 양과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공성 고분자막이 코팅된 스텐트는 고분자막의 다공성에 의해 항암제의 담지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표면적이 넓어 병변부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항암제의 방출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공성에 의해 항암제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방성 방출이 가능하다.
F : 다공성 고분자막
S : 스텐트

Claims (11)

  1. 고분자를 용해시켜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에 항암제를 첨가하여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으로부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화관용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을 형성하며,
    상기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전이(Phase tran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Dope solution)으로부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항암제를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시킨 항암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항암제 혼합용액을 상기 고분자 혼합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항암제 혼합용액에 샘플봉을 담지하여 상기 샘플봉의 주변에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샘플봉 및 상기 고분자 막을 꺼내어 건조시켜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시켜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실온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세척하는 단계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공성 고분자막을 스텐트에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 (ε-caprolactone), P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클로로폼(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테트라하이드로피란(Tetrahydropyran),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아세톤(Aceton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 파클리탁셀(Paclitaxe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상기 폴리우레탄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한 혼합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해 21 내지 3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1중량부에 대해 및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1 내지 3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11. 스텐트본체와, 상기 스텐트본체의 외주면에 코팅된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소화관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막은 폴리우레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며, 상전이(Phase transition)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다공성 고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담지 스텐트.
KR1020150136800A 2015-09-25 2015-09-25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KR20170037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00A KR20170037780A (ko) 2015-09-25 2015-09-25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00A KR20170037780A (ko) 2015-09-25 2015-09-25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780A true KR20170037780A (ko) 2017-04-05

Family

ID=5858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800A KR20170037780A (ko) 2015-09-25 2015-09-25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7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9995A (zh) * 2019-11-14 2020-03-06 浙江大学 一种基于双层异相结构的药物缓释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83731A (ko) 2018-12-28 2020-07-09 (주)에이치피케이 약물 방출 탄소 섬유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60B1 (ko) 2011-02-28 2013-11-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소라페닙을 담지한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담지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조절 방출형 스텐트
KR101477517B1 (ko) 2013-03-29 2014-12-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가 공유결합된 약물방출형 소화기암용 커버드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60B1 (ko) 2011-02-28 2013-11-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 소라페닙을 담지한 폴리카프로락톤 고분자담지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조절 방출형 스텐트
KR101477517B1 (ko) 2013-03-29 2014-12-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가 공유결합된 약물방출형 소화기암용 커버드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731A (ko) 2018-12-28 2020-07-09 (주)에이치피케이 약물 방출 탄소 섬유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N110859995A (zh) * 2019-11-14 2020-03-06 浙江大学 一种基于双层异相结构的药物缓释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3655B2 (ja) 薬物ポリマコーティングをステントに施す方法
WO2019076178A1 (zh) 降解时间可控、断裂伸长率可调的医用可降解聚氨酯
WO2017054433A1 (zh) 弹性模量可调的聚氨酯组合物、支架复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50220853A1 (en) Controll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from medical articles
JP2005523045A (ja) 持効性の薬剤送出系を被覆したステン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1517415A (ja) 分解が制御されたマグネシウムステント
WO2020006882A1 (zh) 一种可控梯度降解螺旋状覆膜支架、其制备方法及其用途
CN105833358B (zh) 一种颅内药物洗脱支架系统及其制备方法
Kim et al. Paclitaxel-eluting nanofiber-covered self-expanding nonvascular stent for palliative chemotherapy of gastrointestinal cancer and its related stenosis
Lamichhane et al. Dextran sulfate as a drug delivery platform for drug‐coated balloon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in vitro drug elution, and smooth muscle cell response
JP5695107B2 (ja) ホスホリルコリン基を含有する共重合体とその製造及び利用方法
US8017143B2 (en) Coating agent for drug releasing ste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rug releasing stent coated therewith
KR20170037780A (ko) 약물담지 스텐트용 고분자막 제조방법
KR101477517B1 (ko) 항암제가 공유결합된 약물방출형 소화기암용 커버드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253707A (ja) 薬剤溶出ステント
CN111214748A (zh) 药物洗脱球囊和球囊导管
Chen et al. Gefitinib/gefitinib microspheres loaded polyurethane constructs as drug-eluting stent coating
CN107865984A (zh) 持久的药物洗脱产品
KR101722036B1 (ko) 약물 방출 조절형 생분해성 스텐트용 약물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코팅제로 코팅된 생분해성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de Prado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different paclitaxel-eluting balloons in a porcine model
KR20160134238A (ko) 항암제를 포함하는 다공성 고분자막이 코팅된 소화관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2031612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ating agent for drug releasing stent and coating agent for drug releasing stent manufactured thereby
AU2017200794B2 (en) Stents having biodegradable layers
KR20090037643A (ko)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제와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제의제조방법
KR101860877B1 (ko) 자가 확장형 약물 방출 스캐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