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212A - 배관 매니홀드 - Google Patents

배관 매니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212A
KR20170037212A KR1020150136471A KR20150136471A KR20170037212A KR 20170037212 A KR20170037212 A KR 20170037212A KR 1020150136471 A KR1020150136471 A KR 1020150136471A KR 20150136471 A KR20150136471 A KR 20150136471A KR 20170037212 A KR20170037212 A KR 2017003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branch
tub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3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212A/ko
Publication of KR2017003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1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branch pipe being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는, 분기될 위치마다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 및, 상기 주관부를 상기 공급관에 대해 밀봉시키면서 상기 공급관에 대한 슬립이 가능하게 형성된 슬립링을 갖는,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매니홀드{PIPE MANIFOLD}
본 발명은 유체를 복수의 지관으로 분기시키거나 복수의 지관을 공통관으로 합류시키는 배관 매니홀드에 관한 것이다.
매니홀드는 내부에 배관의 역할을 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 다수의 기기 접속구를 갖춘 다기관을 말한다. 매니홀드는 주로 엔진분야의 다실린더기관에서 각 실린더의 흡기 또는 배기를 인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반도체 제조 과정 중 또는 설비의 세정, 냉각수나 절삭유의 공급 등과 같이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매니홀드는 공통관과 공통관으로부터 분기된 여러 분지관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공통관이 일체형이거나 상호 고정되어 있어 분지관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에 따라, 분지관을 개별적으로 방향을 변경할 수 없게 되어 작업의 능률과 편의성 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밀봉력을 유지하면서도 분지관의 방향전환이 용이한 배관 매니홀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내압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부품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밀폐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는, 분기될 위치마다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 및, 상기 주관부를 상기 공급관에 대해 밀봉시키면서 상기 공급관에 대한 슬립이 가능하게 형성된 슬립링을 갖는,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통공은 상기 공급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슬립링은, 상기 주관부의 일측 입구에 설치되는 제1슬립링; 및 상기 주관부의 타측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슬립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공에서 나온 유체가 상기 주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순환하여 상기 지관부로 흐르도록 상기 주관부의 내벽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관부는 상기 주관부에 대해 T자 형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관부의 양측 에지는 인접되게 배치되는 주관부와 접촉하며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미끄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관부의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관 매니홀드는, 상기 제1플랜지에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플랜지를 갖는 연결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맞댄 상태에서 상기 지관부와 상기 연결관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봉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상기 분지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탄성바디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시키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의 벌어짐을 제한시킬 수 있게 상기 탄성바디부에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를, 갖는 퀵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2플랜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플랜지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연장삽입부; 및 상기 연장삽입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밴드형의 금속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상기 분지관 및 상기 연결관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적어도 일 위치에 상기 밴드부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 및 상기 밴드부의 개방된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퀵클램프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벌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바디부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보강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관 매니홀드는, 상기 공급관의 외측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분지관유닛의 제1주관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분지관유닛의 제2주관부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이음단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에 의하면, 분기될 위치마다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공급관에 복수의 분지관유닛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분지관유닛은 공급관에 대해 밀봉을 유지하면서도 슬립이 가능하므로, 분지관유닛은 공급관에 대해 자유로운 방향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분지관유닛 및 분지관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 또는 부품들을 취급하기 용이하며, 필요한 작업, 예를 들어 세정이나 부품의 교체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분지관유닛을 연결관과 밀봉부 및 퀵클램프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대상 배관의 회전이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도 안정적인 밀봉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퀵클램프는 보강형상부를 통해 대상 배관내의 압력에 의해 퀵클램프가 벌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1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와 연결배관(105)의 접속장치(130)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접속장치(1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100)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240)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340)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440)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5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540)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6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640)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7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700)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배관 매니홀드(700)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8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8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는 도 16의 배관 매니홀드(800)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6의 배관 매니홀드(800)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1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1의 배관 매니홀드(100)와 연결배관(105)의 접속장치(130)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접속장치(1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100)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관 매니홀드(100)는 유체를 다중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방향전환이 필요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배관 매니홀드(100)는 복수의 분기관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기관유닛(110)은 분기될 위치마다 복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공급관(120)에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각 분기관유닛(110)은 공급관(120)에 삽입되며 통공(121)을 통과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이드(113)가 형성된 주관부(111)와, 주관부(111)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115) 및, 주관부(111)를 공급관(120)에 대해 밀봉시키면서 공급관(120)에 대한 슬립이 가능하게 형성된 슬립링(117,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지관부(115)는 주관부(11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서, 대략 T자 형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조 면에서 분기관유닛(110)은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주조를 통해 성형된 금속을 가공하여 얻을 수도 있다. 이때, 분기관유닛(110)은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필요한 강성을 얻기 위해, 두께를 줄인 부분과 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분기관유닛(110)에 포함된 주관부(111)는 인접한 다른 분기관유닛(110)에 포함된 주관부(111)와 공급관(120)에 동심 형태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주관부들(111)은 내부의 공급관(120)의 형상과 같이 직선적으로 배열된다.
주관부(111)의 양측 에지는 인접되게 배치되는 주관부(111)와 접촉하며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미끄럼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면(112)에 의해 분기관유닛(110)은 인접된 분기관유닛(11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복수의 통공(121)은 공급관(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121)의 배치 및 유로가이드(113)의 구성은 임의의 방향으로 분기관유닛(11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유체를 지관부(115)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슬립링(117, 118)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슬립링(117, 118)의 이동시 슬립링(117, 118)의 손상되지 않도록 통공(121)의 입구 가장자리는 라운드 또는 모따기 가공이 적용될 수 있다. 형상면에서 통공(121)은 원형 또는 타원 형태의 펀치홀이나 슬롯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통공(121)은 유체를 통과시키면서도 슬립링(117, 118)을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삽입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분기관유닛(110)은 제1슬립링(117)과 제2슬립링(118)이 주관부(111)의 양 단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119)에 끼워진 상태에서 공급관(120)에 삽입된다. 공급관(120)은 필요에 따라 일측 단부가 착탈 가능한 캡(103)에 의해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공급관(120)은 다른 공급 배관에 접속구조(1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슬립링(117) 및 제2슬립링(118)이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하나의 분기관유닛(110)당 2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다만, 슬립링(117, 118)은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 면에서 슬립링(117, 118)은 수지, 고무, 복합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113)는 복수의 통공(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공(121)에서 나온 유체가 주관부(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순환하여 지관부(115)로 흐르도록 주관부(111)의 내벽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113)의 내벽은 공급관(1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폭만큼 떨어져 있는 형태이다.
각 분기관유닛(110)은 인접되어 있는 분기관유닛(110)과 상호 밀착되게 순차적으로 공급관(120)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조립이 완료되면, 분기관유닛(110)의 상호간 길이방향 이동은 제한되는 반면, 장착된 위치에서의 각도 변경은 자유롭게 된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지관부(115)의 단부에는 제1플랜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지관부(115)에 배관(105)을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 접속장치(13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장치(130)는 배관(105)이 삽입되는 일 단부에 제1플랜지(116)와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플랜지(132)를 갖는 연결관(131), 밀봉부(133) 및 퀵클램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31)은 배관(105)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유니언너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133)는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가 맞댄 상태에서 지관부(115)와 연결관(131)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며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133)는 제2플랜지(13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플랜지(116)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연장삽입부(134) 및, 연장삽입부(134)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오링(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링(135)은 지관부(115)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수밀이나 기밀작용을 하면서도 배관축 방향에 대하여는 회전이나 각도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달리, 연장삽입부(134) 대신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음관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음관은 양 단에 각각 오링을 구비할 수 있다.
퀵클램프(140)는 탄성작용에 의하여 끼워져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를 구속하거나,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로부터 쉽게 벗겨질 수 있게 형성된다.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는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배관축 방향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퀵클램프(140)에 고정될 수 있는 단턱을 제공하는 원형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퀵클램프(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퀵클램프(140)의 회전이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의 내측영역은 슬립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랜지(116)의 내주면에는 연장삽입부(134)의 추가적인 진입을 제한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퀵클램프(140)는 밴드형의 금속(예: 스테인리스스프링강, 스프링강 또는 인바)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퀵클램프(140)는 탄성바디부(141)와 스위블 스토퍼(143)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탄성바디부(141)는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제1분지관유닛(110A) 및 제2분지관유닛(110B)의 슬립면(114, 124)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바디부(141)는, 제1분지관유닛(110A) 및 제2분지관유닛(110B)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141-1)와, 밴드부(141-1)의 적어도 일 위치에 밴드부(141-1)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141-2) 및 밴드부(141-1)의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블 스토퍼(143)는 제1플랜지(116) 및 제2플랜지(132)가 통과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제1플랜지(116)의 폭(w1)과 제2플랜지(132)의 폭(w2)을 합한 것보다 큰 폭(w3>W1+W2)을 갖는 슬롯을 밴드부(141-1)에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바디부(141)는 지관부(115)와 연결관(131)에 탈착될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스위블 스토퍼(143)는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가 상호 맞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결관(131)은 지관부(115)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퀵클램프(140)는 연결관(131)이 회전되어도 함께 회전하면서 제1플랜지(116)와 제2플랜지(132)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킨다. 그에 따라 연결관(131)에 연결된 배관(105) 및 노즐(106)는 그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240)의 사시도이다.
퀵클램프(240)는 탄성바디부(241)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형상부(24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강형상부(245)는 밴드부(241-1) 상에서 힌지형상부(241-2)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스위블 스토퍼(243)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밴드부(241-1)의 양쪽 부분(즉, 지관부(115)의 슬립면에 접하는 부분과 연결관(131)의 슬립면에 접하는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형상부(245)는 슬롯 형태로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243)에 의해 탄성바디부(241)의 내압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3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의 퀵클램프(340)는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밴드부(341-1)와 힌지형상부(341-2) 및 가이드부(341-3)를 갖는 탄성바디부(341)와, 스위블 스토퍼(343)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보강형상부(345)는 스위블 스토퍼(343)에 의해 영역적으로 나뉘어진 밴드부(341-1)의 양쪽 부분을 잇는 브릿지부(346)와 함께, 브릿지부(346)로부터 돌출되어 밴드부(341-1)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돌기(347)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347)는 압력에 의해 퀵클램프(340)가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보강돌기(347)는 힌지형상부(341-2) 및 가이드부(341-3)에도 형성됨으로써 탄성바디부(341)의 보강작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4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4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보강돌기(447)가 힌지형상부(441-2)와 가이드부(441-3)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보강돌기(447)는 힌지형상부(441-2)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형상부(441-2)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앞의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5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5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보강돌기(547)가 스위블 스토퍼(543)의 가장자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내압에 의하여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쉬운 스위블 스토퍼(543)와 힌지형상부(541-2)의 연결부위 또는 스위블 스토퍼(543)와 가이드부(541-3)의 연결부위에 보강돌기(54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6실시예에 따른 퀵클램프(640)의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앞에서 예시한 브릿지부(246, 346, 446, 546)가 포함되지 않은 형태로서, 양쪽에 각각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643)를 포함한 것을 보이고 있다. 보강돌기(647)는 내압에 의하여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쉬운 스위블 스토퍼(643)와 힌지형상부(641-2)의 연결부위 또는 스위블 스토퍼(643)와 가이드부(641-3)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7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700)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배관 매니홀드(700)의 종단면도이다.
본 예의 배관 매니홀드(7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인접하는 분지관유닛들(710) 사이에 이음단관(750)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보인다. 이음단관(750)은 공급관(720)의 외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일단은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분지관유닛(710)의 주관부(711)에 삽입되고 타단은 그 분지관유닛(7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지관유닛의 주관부(711)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음단관(750)은 공급관(720)이나 제1슬립링(717) 또는 제2슬립링(718)에 대한 슬립을 허용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음관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이음단관(750)이 주관부(711)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를 보인다. 접속구조(702)와 첫 번째 분지관유닛(710)의 사이 및 마지막 분지관유닛(710)과 캡(703)의 사이에는 이음단관(750)보다는 짧은 소켓링(752)이 끼워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8실시예에 따른 배관 매니홀드(800)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배관 매니홀드(8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6의 배관 매니홀드(800)의 종단면도이다.
본 예의 배관 매니홀드(800)는 도 14 및 도 15와 달리, 이음단관(850)이 길어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배관 매니홀드(800)는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분지관유닛(810)은 슬립링(817, 818), 공급관(820) 및 이음단관(850)에 대하여 슬립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앞의 실시예들과 같이 공급관(820)에 대해 자유로운 방향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관 매니홀드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관 매니홀드 102: 접속구조
103: 캡 105: 배관
106: 노즐 110: 분기관유닛
111: 주관부 112: 미끄럼면
113: 유로가이드 114: 리브
115: 지관부 116: 제1플랜지
117: 제1슬립링 118: 제2슬립링
119: 링홈 120: 공급관
121: 통공 130: 접속장치
131: 연결관 132: 제2플랜지
133: 밀봉부 134: 오링
140: 퀵클램프 141: 탄성바디부
141-1: 밴드부 141-2: 힌지형상부
141-3: 가이드부 143: 스위블 스토퍼
145: 보강형상부 146: 브릿지부

Claims (13)

  1. 분기될 위치마다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에 삽입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이드가 형성된 주관부와, 상기 주관부에 대하여 분기된 지관부 및, 상기 주관부를 상기 공급관에 대해 밀봉시키면서 상기 공급관에 대한 슬립이 가능하게 형성된 슬립링을 갖는, 복수의 분지관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은 상기 공급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 배관 매니홀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은,
    상기 주관부의 일측 입구에 설치되는 제1슬립링; 및
    상기 주관부의 타측 입구에 설치되는 제2슬립링을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공에서 나온 유체가 상기 주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순환하여 상기 지관부로 흐르도록 상기 주관부의 내벽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된, 배관 매니홀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부는 상기 주관부에 대해 T자 형태로 일체로 연결된, 배관 매니홀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부의 양측 에지는 인접되게 배치되는 주관부와 접촉하며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미끄럼면을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부의 단부에 제1플랜지가 형성된, 배관 매니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에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된 제2플랜지를 갖는 연결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맞댄 상태에서 상기 지관부와 상기 연결관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봉부; 및
    일측이 개방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적으로 오므려져 상기 분지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 탄성바디부와, 맞대어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구속시키며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사이의 벌어짐을 제한시킬 수 있게 상기 탄성바디부에 형성된 스위블 스토퍼를, 갖는 퀵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2플랜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플랜지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연장삽입부; 및
    상기 연장삽입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오링을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밴드형의 금속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인, 배관 매니홀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는,
    상기 분지관 및 상기 연결관을 감쌀 수 있게 호상(弧狀)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적어도 일 위치에 상기 밴드부의 외력에 의한 벌어짐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힌지형상부; 및
    상기 밴드부의 개방된 양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퀵클램프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벌어지는 방향의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바디부를 보강할 수 있게 형성된 보강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외측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복수의 분지관유닛 중 어느 하나인 제1분지관유닛의 제1주관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1분지관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분지관유닛의 제2주관부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이음단관을 더 포함하는, 배관 매니홀드.
KR1020150136471A 2015-09-25 2015-09-25 배관 매니홀드 KR20170037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71A KR20170037212A (ko) 2015-09-25 2015-09-25 배관 매니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71A KR20170037212A (ko) 2015-09-25 2015-09-25 배관 매니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12A true KR20170037212A (ko) 2017-04-04

Family

ID=5858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471A KR20170037212A (ko) 2015-09-25 2015-09-25 배관 매니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390A1 (ja) * 2019-08-09 2021-02-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の分岐構造
KR102489825B1 (ko) * 2022-09-22 2023-01-18 (주) 에스엠지아이 이음매 없는 일체형 에어 매니폴드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390A1 (ja) * 2019-08-09 2021-02-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の分岐構造
JP2021028517A (ja) * 2019-08-09 2021-02-25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の分岐構造
CN114207342A (zh) * 2019-08-09 2022-03-18 三樱工业株式会社 配管的分叉结构
US20220275897A1 (en) * 2019-08-09 2022-09-01 Sanoh Industrial Co., Ltd. Pipe branch structure
EP4012241A4 (en) * 2019-08-09 2023-05-10 Sanoh Industrial Co., Ltd. PIPE BRANCH STRUCTURE
KR102489825B1 (ko) * 2022-09-22 2023-01-18 (주) 에스엠지아이 이음매 없는 일체형 에어 매니폴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1292T3 (es) Ensamblaje para unir elementos de tubería
RU237345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труб
CN108709038B (zh) 管件连接结构
US9103450B2 (en) Emergency control gas ball valve
BR102012002255A2 (pt) Acoplamento de conexão rápida
JP7231890B2 (ja) 樹脂製エルボ継手
US20110233927A1 (en) Coupling Element
KR20170037212A (ko) 배관 매니홀드
KR101595209B1 (ko)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JP2021185322A (ja) 樹脂製エルボ継手
US11828364B2 (en) Seal and plumbing fitting
JP2024003245A (ja) エルボ管継手
KR100543135B1 (ko) 호스클램핑구조
JP6853351B2 (ja) 継手および継手アセンブリならびに継手を製造する方法
TW201541000A (zh) 輸送流體用之集水管接頭
JP2020056456A (ja) 樹脂製チーズ継手
JP6020862B1 (ja) 継手装置
KR20180134031A (ko) 가스 분사 장치
US10918568B2 (en) Dual plumbing system for a hot tub or spa
JPH08178163A (ja) ヘッダー
KR20160109648A (ko) 신축성 연결구
TWI722708B (zh) 連結管
JP2019035445A (ja) 管継手
JP7425563B2 (ja) 流路構造
JP2020115025A (ja) チーズ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