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200A -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200A
KR20170037200A KR1020150136439A KR20150136439A KR20170037200A KR 20170037200 A KR20170037200 A KR 20170037200A KR 1020150136439 A KR1020150136439 A KR 1020150136439A KR 20150136439 A KR20150136439 A KR 20150136439A KR 20170037200 A KR20170037200 A KR 20170037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electrode
chamber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158B1 (ko
Inventor
전재형
여정현
박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3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81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using an electric field, e.g. for electrostatic ch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03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2219/0805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B01J2219/0845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f discharge
    • B01J2219/0849Corona pulse dis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는,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 상기 롤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필름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필름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의 일부를 덮어 상기 필름과 상기 전극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FILM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필름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를 이용하여 필름의 표면을 처리할 때,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필름의 생산에서 표면 처리를 위해 코로나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코로나 장치는 전극과 필름 표면의 간격이 매우 좁고 산소와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해 필름 표면 처리에 있어서의 생산선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품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처리 장치의 하부 방향으로 배기부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이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공정 특성상 오픈 되는 영역이 발생하여 전극(20)과 필름(30) 사이에 외기 즉, 산소가 유입되기 쉬운 구조이며, 이에 따라 이물질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전극(20)과 필름(30)의 간격은 0.2 내지 0.3mm로 매우 좁아 이물질 발생시 클리닝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기부(40)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배기부(40)는 챔버(10)의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극(20)과 필름(30) 사이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필름(30)의 표면 처리를 위해서는 전극(20)과 필름(30)의 사이는 최대한 질소 분위기가 유지되어야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 처리 장치의 특성상, 전극(20)과 필름(30)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기 쉬운 오픈 구조이며 또한, 상기 배기부(40)를 통해 챔버(10)의 내부로 산소가 유입되어 이물질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8135호(2013.12.1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필름 표면 처리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극과 필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억제할 수 있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는,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 상기 롤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필름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필름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의 일부를 덮어 상기 필름과 상기 전극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일 수 있다.
상기 롤 방향으로 형성되는 래버린스 실은 롤 방향인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 시스템은,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 상기 롤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필름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필름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의 일부를 덮어 상기 필름과 상기 전극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포함하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산소 이외의 이물 가스 및 필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일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래버린스 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롤 방향으로 형성되는 래버린스 실은 롤 방향인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필름 사이를 질소 분위기로 유지시켜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시킴으로써 제품의 생산 효율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부를 표면 처리 장치의 외부에 위치시켜 상기 배기부를 통한 외기 즉, 산소가 표면 처리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에서 질소 분위기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필름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는 챔버(110), 필름(140)을 유동시키는 롤(120), 상기 롤(120)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140)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130), 상기 전극(130)과 상기 필름(140)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150) 및 상기 전극(130)과 상기 필름(140) 사이를 상기 가스 공급부(150)에 의해 공급된 가스 분위기로 유지시킬 수 있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160)을 포함한다.
가스 공급부(150)는 챔버(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에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일 수 있다.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160)은 챔버(110)와 롤(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클린룸의 산소가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를 질소 분위기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래버린스 실의 일측(161)은 챔버(110)에 설치하되, 타측(163)은 필름(140)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140)을 유동시키는 롤(12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하여 상기 필름(140)과 전극(130)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래버린스 실의 일측(161)은 챔버(110)와 접촉되도록 설치하며, 타측(163)은 필름(140)을 유동시키는 롤(120)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래버린스 실의 타측(163)은 상기 롤(120)에 의해 유동되는 필름(140)과는 상기 필름(140)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버린스 실의 일측(161) 및 타측(163)은 핀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챔버(110) 및 필름(140) 방향인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체가 챔버(110)의 내부 즉,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래버린스 실(160)은 가스와 같은 기체가 여러 번 좁은 틈을 지날때마다 압력 강하를 받아 누설량이 줄어듬으로, 챔버(110) 내부의 질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클린룸의 산소가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래버린스 실의 일측(161)은 챔버(110)와 접촉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일측(161)을 통해서는 내부로 외기 즉, 산소가 유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래버린스 실의 타측(163)은 필름(140)의 유동을 방해하면 안되므로 롤(120)에 의해 유동되는 필름(140)과는 상기 필름(140)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이격된 틈을 통해 산소가 전극(130)과 필름(140)의 사이 즉,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핀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형성되는 래버린스 실(160)의 구조 특성에 따라 산소가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 즉,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130)과 필름(140) 사이는 질소 분위기를 유지시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140)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에서 질소 분위기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표시된 파란색으로 표시된 영역(310)은 클린룸으로 산소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영역(330)은 필름(140)의 표면 처리를 위한 표면 처리 장치의 내부로 질소 분위기가 유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술한 표면 처리 장치의 개선된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전극(130)과 필름(140)의 사이 즉, 챔버(110)의 내부로는 산소가 유입되지 않고 질소 분위기가 유지되어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원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표면 처리 장치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20)과 필름(30) 사이의 이물질 배출을 위해 배기부(40)가 챔버(10)의 하부측에 위치하였다. 하지만, 상기 배기부(40)를 통해 산소가 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극(20)과 필름(30) 사이에 이물질의 발생을 촉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배기부(350)가 상기 표면 처리 장치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표면 처리 장치의 내부(330)는 질소 분위기를 유지시킬 수 있어 이물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배기부는 필요치 않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배기부(350)가 상기 표면 처리 장치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산소 이외의 이물 가스를 클린룸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보다 자세하게, 상기 배기부(350)는 롤(120)의 일부를 덮은 래버린스 실의 타측(163) 상부 방향에 설치하여, 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140)에 혹시라도 이물질이 접착되어 있을 경우 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챔버(110)의 내부가 질소 분위기로 유지되어 표면 처리가 완료된 필름(140)에는 이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표면 처리가 완료된 필름(140)에 혹시라도 모를 이물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부(350)의 일측에는 클린룸의 가스 및 이물질을 바깥쪽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팬(미도시)이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배기부를 통해 산소가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척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챔버
120 : 롤
130 : 전극
140 : 필름
150 : 가스 공급부
160 :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

Claims (7)

  1.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
    상기 롤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필름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필름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의 일부를 덮어 상기 필름과 상기 전극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포함하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인 필름 표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방향으로 형성되는 래버린스 실은 롤 방향인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핀이 형성되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4.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 상기 롤에 의해 유동되어 챔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필름을 표면 처리하는 전극,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필름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롤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필름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필름을 유동시키는 롤의 일부를 덮어 상기 필름과 상기 전극 사이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포함하는 필름 표면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클린룸에서 발생하는 산소 이외의 이물 가스 및 필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인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래버린스 실의 상부에 위치하는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 방향으로 형성되는 래버린스 실은 롤 방향인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핀이 형성되는 시스템.
KR1020150136439A 2015-09-25 2015-09-25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10198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39A KR101982158B1 (ko) 2015-09-25 2015-09-25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39A KR101982158B1 (ko) 2015-09-25 2015-09-25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00A true KR20170037200A (ko) 2017-04-04
KR101982158B1 KR101982158B1 (ko) 2019-05-24

Family

ID=5858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439A KR101982158B1 (ko) 2015-09-25 2015-09-25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856A (ko) * 2017-11-14 2019-05-22 소나글로벌 주식회사 광량제어 및 고밀도 uv 조사구조를 갖는 3d 프린터용 uv 후경화장치.
WO2022255620A1 (ko) * 2021-06-04 2022-1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744A (ja)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薄膜半導体の製造装置
KR20130101454A (ko) * 2012-03-05 2013-09-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래비린스 씰, 세정유닛 및 방법, 용액제막방법
KR20130138135A (ko) 2012-06-08 2013-1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활성화 처리 방법 및 제조 방법,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744A (ja) * 2001-01-17 2002-07-31 Fuji Electric Co Ltd 薄膜半導体の製造装置
KR20130101454A (ko) * 2012-03-05 2013-09-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래비린스 씰, 세정유닛 및 방법, 용액제막방법
KR20130138135A (ko) 2012-06-08 2013-1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활성화 처리 방법 및 제조 방법,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856A (ko) * 2017-11-14 2019-05-22 소나글로벌 주식회사 광량제어 및 고밀도 uv 조사구조를 갖는 3d 프린터용 uv 후경화장치.
WO2022255620A1 (ko) * 2021-06-04 2022-1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158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000A (ko) Uv 챔버들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및 하드웨어
US10423064B2 (en) 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9583355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CN104813746A (zh) 等离子体处理装置以及方法
KR101982158B1 (ko)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US201602225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ging gaseous compounds
KR20100043844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JPWO2015037573A1 (ja) 光照射装置
JP2020080350A (ja) 基板処理装置
JP2011005458A (ja) 紫外線照射装置用フランジ部材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KR101909482B1 (ko) 기판 처리 장치의 부품 세정 방법
JP200919412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JP2006225705A (ja) ガスウィンドウ及び化学気相成長装置
KR20190066214A (ko) 대기압 저전압 플라즈마 발생장치
JP4014729B2 (ja) Uv洗浄装置
CN108687057B (zh) 光照射装置
KR20090017177A (ko) 배기 가능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상압플라즈마 장치
TWI735692B (zh) 臭氧處理裝置及臭氧處理方法
TW2005092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of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KR20100011246A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KR20090015331A (ko) 상압 플라즈마 장치 및 그의 상부 전극
KR101377997B1 (ko) 플라즈마 에칭 장치 및 기체 분배장치
JP2006024841A (ja) 平板状部材の搬送装置
TWI476853B (zh) 擴散機台
JP2004290935A (ja) 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