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931A -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931A
KR20170036931A KR1020150135529A KR20150135529A KR20170036931A KR 20170036931 A KR20170036931 A KR 20170036931A KR 1020150135529 A KR1020150135529 A KR 1020150135529A KR 20150135529 A KR20150135529 A KR 20150135529A KR 20170036931 A KR20170036931 A KR 2017003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ground
support
cam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156B1 (ko
Inventor
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1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부품의 구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장치의 부피가 감소됨으로써 배전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접지스위치에 의하면, 장치의 동작 신뢰성 및 수명이 향상되고 배전반이 소형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접지스위치{GROUND SWITCH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접지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외함의 배면에 설치되어, 주회로를 접지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는 회로의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을 위한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진공 회로차단기는 회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진공용기(vacuum interrupter)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며,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 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과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진공차단기 중에서 인출형 진공차단기는 배전반에 수납될 때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cradle) 내에 먼저 수납되어 배전반의 주회로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에서 인입 인출될 때, 배전반측 주회로에 접속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차단기 본체의 인입과 인출에 의해 진공회로차단기는 차단기의 모선과 부하 터미널이 크래들의 모선과 부하 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를 가진다.
회로차단기는 전술한 운전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락 및 지락사고 발생시 차단기 내부에서 사고를 방지하지만, 테스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사고 방지를 위한 접지스위치를 배전반의 배면에 구비한다. 이러한 접지 스위치는 회로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동작이 될 수 있으며, 접지스위치의 가동자(가동접점)가 가동되어 배전반 후방의 고정자(고정접점)와 접속된 상태에서 단락 및 지락사고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지스위치는 배전반의 정면으로 연장된 구동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전반의 정면에서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가동자를 가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접지스위치는 구동샤프트의 회전력을 가동자에 전달하는 메커니즘이 구동샤프트의 외측 즉, 구동샤프트를 기준으로 배전반 외함의 바깥쪽 부분에 구비되므로,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해 외함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부품의 구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장치의 부피가 감소됨으로써 배전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단이 배전반의 외함의 정면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외함의 배면에 배치되되, 상기 외함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구비되는 구동샤프트; 상기 외함의 배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지가동자; 상기 접지가동자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접지스프링; 상기 접지가동자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접지가동자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크로스바; 상기 구동샤프트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상기 크로스바를 회전시키는 전달레버; 상기 구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전달레버에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상기 전달레버 간에 연결되는 링크; 상기 크로스바에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캠;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래치; 및 상기 크로스바의 상단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전달레버, 캠 및 래치는 상기 구동샤프트와 상기 접지가동자 사이에 구비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구동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는 상기 외함의 배면에 구비되는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캠에는 상기 래치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에는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크로스바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접지스프링과 상기 크로스바의 연결부위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는 상기 접지스프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스프링의 축방향 압축 및 인장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체결시키는 가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바를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의 동작 신뢰성 및 수명이 향상되고 배전반이 소형화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가 설치된 배전반 외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지스위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지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지스위치가 켜진(ON)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접지스위치가 꺼진(OFF)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는 바디플레이트(102), 구동샤프트(110), 접지가동자(120), 접지스프링(125), 가이드바(126), 가이드핀(128), 크로스바(130), 지지브라켓(135), 구동레버(140), 전달레버(150), 링크(155), 캠(160), 래치(170), 복귀스프링(174), 지지프레임(180), 서포트(185) 및 스토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레이트(102)는 배전반의 외함(10)의 배면에 전면(前面)이 외함(10)의 후방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플레이트(102)의 전면에는 후술할 지지브라켓(135) 및 지지프레임(1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110)는 전단이 외함(10)의 정면에 배치되고 후단이 바디플레이트(102)를 관통하여 외함(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샤프트(1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플레이트(10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외함(10) 내부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샤프트(11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후술할 접지가동자(120)를 가동시키는 동력전달 매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접지가동자(120)는 바디플레이트(102)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지가동자(120)는 후술할 크로스바(130)에 결합되어 크로스바(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지가동자(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배치된 경우에 접지가동자(120)의 상방에 구비된 모선측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통을 접지시킬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배치된 경우에 모선측 단자에서 분리되어 계통의 접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접지스프링(125)은 접지가동자(1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스프링(125)은 접지가동자(120)가 모선측 단자에 연결된 경우 접지스프링(125)과 모선측 단자 간 접점에 접압하중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접지스프링(125)은 접지가동자(120)의 하방에 구비되며, 후술할 가이드바(126)를 매개로 상단이 후술할 크로스바(130)의 상태유지스프링(145)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180)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바(126)는 접지스프링(1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접지스프링(125)의 축방향 압축 및 인장 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바(126)는 일단이 후술할 크로스바(130)의 스프링연결레버(1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할 지지프레임(18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28)은 가이드바(126)와 후술할 지지프레임(18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핀(128)은 가이드바(126)의 타단에 가이드바(12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12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지지프레임(18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핀(128)은 가이드바(126)를 지지프레임(180)에 지지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지스프링(125)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128)은 지지프레임(180)의 일측에서 지지프레임(180)과 가이드바(126)를 일괄하여 관통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접지가동자(120)가 하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크로스바(130)의 스프링연결레버(132)에 연결된 가이드바(126)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가이드핀(128)이 장홈(127)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바(126)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는 이와 같이 접지스프링(125) 및 가이드바(126)가 얇은 핀 형태의 가이드핀(128)을 통해 설치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접지스프링(125)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용접조립 공정 및 용접을 위한 블록형태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치의 부피가 축소되고 조립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크로스바(130)는 접지가동자(120)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접지가동자(120)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35)은 바디플레이트(102)에 결합되며, 크로스바(13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35)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크로스바(1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레버(140)는 구동샤프트(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바디플레이트(102)의 정면에 배치되며,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레버(140)는 구동샤프트(110)이 회전력을 후술할 링크(155)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레버(140)는 일단이 구동샤프트(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함(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구동레버(140)는 타단이 구동샤프트(110)와 접지가동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레버(150)는 크로스바(130)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크로스바(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달레버(150)는 크로스바(130)의 구동샤프트(110) 측 끝단에 결합되어 후술할 링크(155)로부터 힘을 전달받아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레버(150)는 크로스바(130)에서 지지브라켓(135)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35)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달레버(150)에는 상태유지스프링(14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태유지스프링(145)은 상향회전된 전달레버(150)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고, 하향회전된 전달레버(150)를 하방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유지스프링(14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가 접지(ON)된 경우 및 비접지(OFF)된 경우에 회전이 완료된 전달레버(150)의 움직임을 구속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구동샤프트(110)가 쉽게 접지상태에서 비접지상태로 또는 비접지상태에서 접지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전달레버(150)는 일단이 전달레버(150)의 끝단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바디플레이트(102)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이 전달레버(150)의 회전축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링크(155)는 구동레버(140)의 회전력을 전달레버(150)에 전달하도록 구동레버(140)와 전달레버(15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캠(160)은 크로스바(130)에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래치(170) 및 스토퍼(190)에 의해 크로스바(130)의 회전을 구속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캠(160)은 크로스바(130)에서 지지브라켓(135)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35)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캠(160)에는 후술할 래치(170)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6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반경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회전각도에서 후술할 스토퍼(190)에 걸릴 수 있는 스토핑암(164)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에로, 캠(160)은 지지브라켓(135)과 전달레버(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래치(170)는 접지가동자(120)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캠(16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170)는 지지브라켓(135)에 바디플레이트(102)의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170)에는 접지가동자(120)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캠(160)이 회전되는 경우에 캠(160)의 걸림돌기(162)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7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귀스프링(174)은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걸림돌기(162)가 걸림홈(172)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래치(170)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래치(170) 및 복귀스프링(174)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80)은 바디플레이트(102)에 고정되며, 크로스바(130)의 양단에 구비된 지지브라켓(135)과 지지브라켓(13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프레임(180)은 바디플레이트(102)의 정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크로스바(130)의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된 판상의 구조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에에서, 지지프레임(18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접지스프링(125)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80)의 하부에는 접지스프링(125)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180)의 하부에는 가이드핀(128)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185)는 크로스바(130)에 상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크로스바(13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185)는 크로스바(130)의 상단에 접하는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포트(185)는 크로스바(130)의 상단에 접하도록 지지프레임(180)의 상부에 돌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트(185)는 지지프레임(1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서포트(185)는 접지스프링(125)과 크로스바(130)의 연결부위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185)는 접지스프링(125)에 의해 크로스바(130)에 상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하도록 크로스바(130)를 지지함으로써, 크로스바(13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크로스바(130)가 정위치에서 균형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0)는 지지브라켓(135)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되며, 캠(160)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캠(160)의 스토핑암(164)에 걸려서 캠(16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90)는 크로스바(130)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되어 접지가동자(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의 접지 및 비접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접지스위치(100)가 켜진(ON)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접지스위치(100)가 꺼진(OFF)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스위치(100)가 켜진(ON) 경우(계통이 접지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구동샤프트(110)는 일방으로 회전되어 구동레버(140)가 하향 회전되어, 링크(155)가 하강되고 링크(155)에 연결된 전달레버(150)가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크로스바(1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접지가동자(120)가 상향 회전되어 모선측 단자(미도시)에 접촉된다.
이때, 크로스바(130)의 회전에 따라 캠(16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접지가동자(120)가 모선측 단자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캠(160)의 걸림돌기(162)가 래치(170)의 걸림홈(172)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바(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접지가동자(120)가 모선측 단자의 접촉자(미도시)에 투입될 때, 캠(160)의 걸림돌기(162)에 의해 래치(170)는 소정각도 시계방향을 회전될 수 있으며, 복귀스프링(174)은 인장될 수 있다.
이후, 래치(170)의 걸림홈(172)은 걸림돌기(162)의 이동을 제한하여 캠(160)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캠(16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받는 경우에 스토퍼(190)는 래치(170)보다 더 강한 저항력으로 캠(16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90)는 래치(170)에 더하여 캠(16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2차 안전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동샤프트(110)를 타방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레버(140) 및 전달레버(150)가 상향 회전되고, 링크(155)가 상승되며, 크로스바(130)가 도 6에서 시계방향을 회전되어 접지가동자(120)가 모선측 단자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가동자(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접지스프링(125)이 압축되게 된다.
또한, 크로스바(130)의 회전에 따라 캠(1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치(170)는 복귀스프링(174)에 의해 걸림돌기(162)가 걸림홈(172)에 걸린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캠(160)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걸림돌기(162)가 걸림홈(172)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 걸림홈(172)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한편, 캠(160)이 구동샤프트(110)의 회전력을 받아서 낮은 속도로 회전되지 않고 접지가동자(120)에 발생한 전기반발력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캠(160)은 걸림돌기(162)가 래치(170)의 걸림홈(172)의 상단에 걸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래치(170)는 복귀스프링(174)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캠(160)의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래치(170)는 사고로 인해 접지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는 링크(155), 전달레버(150), 캠(160) 및 래치(170)가 구동샤프트(110)와 접지가동자(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스위치(100)는 접지스위치(100)에서 구동샤프트(110)의 회전력을 접지가동자(120)에 전달하는 메커니즘이 구동샤프트(11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장치 자체의 부피가 감소되고, 외함(10)의 사이드 쪽에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 및 배전반 전체가 소형화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는 크로스바(130)의 회전거동을 제한하는 래치(170)를 통해, 동작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위치(100)는 서포트(185)를 구비하여, 장시간 사용 및 수차례에 걸친 반복 동작에도 크로스바(13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크로스바(130)의 균형적인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장치의 동작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외함
100: 접지스위치 102: 바디플레이트
110: 구동샤프트 120: 접지가동자
125: 접지스프링 126: 가이드바
127: 장홈 128: 가이드핀
130: 크로스바 132: 스프링연결레버
135: 지지브라켓 140: 구동레버
145: 상태유지스프링 150: 전달레버
155: 링크 160: 캠
162: 걸림돌기 164: 스토핑암
170: 래치 172: 걸림홈
174: 복귀스프링 180: 지지프레임
182: 체결부 185: 서포트
190: 스토퍼

Claims (10)

  1. 전단이 배전반의 외함의 정면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외함의 배면에 배치되되, 상기 외함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구비되는 구동샤프트;
    상기 외함의 배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지가동자;
    상기 접지가동자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접지스프링;
    상기 접지가동자에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접지가동자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크로스바;
    상기 구동샤프트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되며, 회전하여 상기 크로스바를 회전시키는 전달레버;
    상기 구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전달레버에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상기 전달레버 간에 연결되는 링크;
    상기 크로스바에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된 캠;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래치; 및
    상기 크로스바의 상단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전달레버, 캠 및 래치는 상기 구동샤프트와 상기 접지가동자 사이에 구비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구동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외함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배면에 구비되는 바디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상기 래치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에는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구비된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접지가동자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캠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크로스바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접지스프링과 상기 크로스바의 연결부위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지스프링의 축방향 압축 및 인장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체결시키는 가이드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바를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20150135529A 2015-09-24 2015-09-24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192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29A KR101922156B1 (ko) 2015-09-24 2015-09-24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29A KR101922156B1 (ko) 2015-09-24 2015-09-24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931A true KR20170036931A (ko) 2017-04-04
KR101922156B1 KR101922156B1 (ko) 2018-11-27

Family

ID=5858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29A KR101922156B1 (ko) 2015-09-24 2015-09-24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40Y1 (ko) * 2018-06-27 2018-12-18 정준조 진공차단기용 접지 스위치
KR20210000570A (ko) * 2019-06-25 2021-01-05 에스엔시스(주) 선박용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94B1 (ko) * 2012-02-06 2013-06-11 정동훈 부하개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40Y1 (ko) * 2018-06-27 2018-12-18 정준조 진공차단기용 접지 스위치
KR20210000570A (ko) * 2019-06-25 2021-01-05 에스엔시스(주) 선박용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156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9525B1 (en) Circuit breaker
EP2267852B1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KR101522265B1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EP2482400B1 (en)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shutter systems
US8288669B2 (en) Electric switchgear
US10121625B2 (en) 3-way disconnector and earth switch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1922156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CN205645717U (zh) 断路器用电子式控制器及断路器
KR100987585B1 (ko) 배전반의 셀스위치 구동용 주축로드
KR101650697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180069579A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CN105679616A (zh) 断路器用电子式控制器及断路器
KR1018793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EP4250501A1 (en) Ground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216288210U (zh) 断路器
KR1014947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20110131753A (ko) 회로차단기
CN220984456U (zh) 一种万能式断路器辅助触头装置
KR100379691B1 (ko) 회로차단기의 접점개폐장치
US9741512B2 (en) Switchgear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ssembly and maintaining method therefor
CN115621084A (zh) 断路器
CN112652500A (zh) 一种负荷开关-熔断器组合电器
JP5631923B2 (ja) 配電機器
CN108923315A (zh) 一种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