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671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671A
KR20170036671A KR1020170036871A KR20170036871A KR20170036671A KR 20170036671 A KR20170036671 A KR 20170036671A KR 1020170036871 A KR1020170036871 A KR 1020170036871A KR 20170036871 A KR20170036871 A KR 20170036871A KR 20170036671 A KR20170036671 A KR 2017003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unit
power connection
ligh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조범연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ublication of KR2017003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3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 F21Y2103/33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부 및 조명부에 외부전원을 전달하는 단락을 방지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발광하여 조명을 구현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은 적은 용량의 전원으로 고휘도의 조도 효과를 발휘하므로 장식등이나 실내조명등 등과 같이 여러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이디 모듈과 회로기판(PCB)이 장착된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에 관체형의 형광커버를 결합하여 통상의 형광등 형태의 엘이디 조명등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0885호(2009년 11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엘이디 조명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정확한 전원공급으로 신뢰성 높은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의 파손시 파손된 부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전원으로부터 다수개의 조명장치들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외부전원을 전달하고, 단락을 방지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외부전원이 전달되는 한 쌍의 전원연결체 및 상기 전원연결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연결체를 이격배치하는 제1절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와 이웃하는 다른 전원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공급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에 체결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한 쌍의 전원공급후크 및 상기 전원공급후크를 각각 고정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나란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가요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핀은 상기 전원연결체에 형성된 결속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홈의 주변부에는 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홈에는 상기 결속홈에 구비되는 전원공급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핀은 가요성(可撓性)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 및상기 전원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부와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전원연결부에 내장되고, 상기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극부는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전원연결부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전원연결부는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피고정물에 구비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도전성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상기 전원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전원연결부를 이격배치하는 제2절연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내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피고정물에 결속된 브라켓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부와 전원연결부가 모듈화되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연결체와 전원공급부의 선접촉 또는 면접촉에 의해 정확한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파손시 해당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전원으로 다수개의 조명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연결 시 그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주변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직선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비직선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명장치에 브라켓부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직선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비직선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D-D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1변형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2변형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E-E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가구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1변형예이다.
도 25는 도 2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2변형예이다.
도 27은 도 26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직선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비직선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부(110)와, 전원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조명부(110)는 전원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12)과, 회로기판(112)에 구비되는 광원부(114) 및 광원부(114) 전면에 구비되어 광원부(114)에서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116)를 포함한다.
회로기판(112)에는 광원부(1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미도시)이 실장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12)은 전원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연결부(120)를 통해 광원부(11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광원부(114)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여 점등되는 것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부재(116)는 회로기판(112) 및 광원부(114)의 전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112) 및 광원부(114)를 보호하며 광원부(114)의 점등 시 그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확산부재(116)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전원연결부(120)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원연결부(120)의 양측에는 결합턱(120a)이 형성되고, 확산부재(116)의 양측은 결합턱(120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로기판(112)에 플랙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전면에 구비되는 확산부재(116)는 제거되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랙시블 오엘이디(Flexible OLED) 또는 플랙시블 엘이디(Flexible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정보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10)는 무극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후술되는 전원연결부(120)와 전원공급부(130)의 장착방향에 상관없이 부착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120)는 조명부(110)에 외부전원을 전달하고, 단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전원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회로기판(11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회로기판(112)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120)는 외부전원이 전달되는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 및 전원연결체(122) 사이에 구비되어 전원연결체(122)를 이격 배치하는 제1절연블럭(125)을 포함한다.
전원연결체(122)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제1절연블럭(125)을 중심으로 대칭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원연결체(122)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원연결체(122) 중앙에는 제1절연블럭(125)이 구비된다. 이때, 제1절연블럭(125)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126)가 형성되고, 전원연결체(122)에는 각각 결합돌기(126)가 결합되는 결합홈부(124)가 형성된다. 이때, 제1절연블럭(125)은 절연체로서,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연결체(122)를 이격 배치할 수 있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126)와 결합홈부(124)는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돌기(126)와 결합홈부(124)의 위치는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다.
전원연결체(122)의 양측면의 일부분은 공기와 접촉면을 넓게 하기 위하여 요철모양의 방열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부(123)는 조명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연결부(120)는 전원공급부(130)에 의해 외부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공급부(130)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20)에 체결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한 쌍의 전원공급후크(132) 및 전원공급후크(132)를 각각 고정하는 지지판(134)을 포함한다.
전원공급후크(132)는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원연결부(120)를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지닌다. 이때, 전원연결부(120)의 내면에는 걸림턱(120b)이 형성되고, 전원공급후크(132)는 걸림턱(120b)과 대응되도록 단부가 외측으로 굴절되어 걸림턱(120b)에 결속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3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원공급부(130)는 가요성의 연결부재(135)에 의해 연결된다. 즉, 전원공급부(130)는 다른 조명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원공급후크(132)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한 쌍의 전원공급후크(132)와 대칭된 타측의 한 쌍의 전원공급후크(132)는 연결부재(135)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후크(132)가 결합되는 지지판(134)은 굴절되게 형성되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조명장치(100)의 전원연결부(120)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100')의 전원연결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전원공급부(130)에 의해 직선형 또는 비직선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특히 조명장치(100,100')들을 비직선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전원공급부(1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35)의 재질은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35)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100)와 다른 조명장치(100)간에 비직선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조명장치들 간의 결합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조명장치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20)는 제1절연블럭(125)의 양측에 전원연결체(122)가 결합홈부(124)와 결합돌기(126)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구성되고, 전원연결체(122)에 조명부(110)의 회로기판(1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기판(112)에는 광원부(114)와 회로부품이 실장된다. 그리고, 전원연결부(120)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부위에는 확산부재(116)가 결합턱(120a)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구비된다.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가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다.
전원연결체(122)는 제1절연블럭(125)에 의해 이격 배치될 수 있어 단락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전원전달이 가능하며, 안정성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모듈화된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는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공급부(130)는 전원연결체(122)에 결합되는 전원공급후크(132) 및 전원공급후크(132)를 각각 고정하는 지지판(134)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원공급후크(132)가 전원연결체(122)의 걸림턱(120b)에 체결되어 연결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연결부(12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명부(11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판(134)은 별도의 피고정물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부(134a)가 형성된다.
또한, 전원공급부(130)에 의해 조명장치(100)와 또 다른 조명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30)는 나란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조명장치(100')는 직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굴절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조명장치에 브라켓부가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직선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조명장치의 비직선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전원공급부(230)는 전원연결부(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공급핀(232)을 포함한다.
전원공급핀(232)은 전원연결체(122)에 형성된 결속홈(234)에 구비된다. 물론, 전원공급핀(232)은 전원연결체(122)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전원연결체(122)와 전원공급핀(232)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속홈(234)은 전원연결체(122)의 양측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홈(234)은 쐐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홈(234)이 쐐기형태일 경우, 전원공급핀(232)이 결속홈(234)에 삽입될수록 전원공급핀(232)과 결속홈(234)의 결속이 강해져 전원공급핀(232)이 결속홈(234)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핀(232)은 조명장치(100)와 또 다른 조명장치(100')를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핀(232)은 일단이 일측 전원연결체(122)의 결속홈(234)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전원연결체(122)의 결속홈(234)에 결합되어 전원을 일측 조명장치(100)로부터 다른 조명장치(100')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11, 도 12 참조)
이와 같은 전원공급핀(232)은 전원을 다른 조명장치(100')에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다수개의 다른 조명장치(100,100')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핀(232)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다른 조명장치(100')를 다양한 방향으로 비직선 연결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2개의 조명장치(100)들 간의 결합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2개 이상의 다수개의 조명장치(100)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연결부(120)는 브라켓부(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부(240)는 전원연결부(120)의 일면에 위치하여 전원연결부(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브라켓부(240)는 전원연결부(120)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결속홈(234)에 설치된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부(24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연결부(120)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브라켓부(240)의 양측면이 전원공급핀(232)이 결속된 결속홈(234)의 측면과 밀착되어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부(240)는 천정 또는 벽에 체결부재(244)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다수개의 체결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는 전원연결부(120)의 조립 및 이탈방지를 위한 구성으로, 결속홈(234)의 주변부에 보조홈(235)이 형성되고, 보조홈(235)에는 결속홈(234)에 구비되는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재(236)가 구비된다.
더 상세하게는 결속홈(234)의 바닥면에는 요철부(234a)가 형성되고, 요철부(234a) 중 오목부에 전원공급핀(232)이 위치하여 전원공급핀(23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36)는 보조홈(235)에 고정되어 결속홈(234)에 삽입된 전원공급핀(232)을 가압함으로써, 전원공급핀(232)이 전원연결체(1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홈(235)과 가압부재(236)가 적용된 상태에서 브라켓부(2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가 제1절연블럭(125)에 각각 결합되고, 전원연결체(122)에 조명부(110)가 구비되어 모듈화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230)는 전원연결체(122)의 결속홈(234)에 결합되는 전원공급핀(23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원공급핀(232)은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 전원연결체(122)에 공급하는 것이다. 물론, 전원공급핀(232)은 전원연결체(122)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전원공급핀(232)은 도 11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조명장치(100')로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핀(232)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져 또 다른 조명장치(100')를 비직선의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즉, 가요성의 전원공급핀(232)을 굴절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명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핀(232)이 결합되는 결속홈(234)의 주변부에는 보조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홈(235)은 전원공급핀(232)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니며, 보조홈(235)에는 가압부재(236)가 구비되어 결속홈(234)에 결합되는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브라켓부(240)에 의해 일정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부(240)는 별도의 체결부재(244)에 의해 피고정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전원연결부(120)는 걸림턱(120b)에 의해 브라켓부(240)에 후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부(240)의 양측면은 전원연결체(122)의 양측면에 접하여 결속홈(234)에 삽입된 전원공급핀(2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D-D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전원공급부(330)는 전원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332) 및 전원연결부(120)에 구비되어 전극부(332)와 부착되는 자성체(334)를 포함한다.
전극부(332)는 브라켓부(340)에 구비된다. 그리고, 브라켓부(340)는 부도체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고정부(345)에 의해 피고정물에 고정된다. 고정부(345)는 브라켓부(340)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부(346) 및 고정홀부(346)를 통해 피고정물에 결속되는 체결부재(347)를 포함한다. 브라켓부(340)는 얇은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홀부(346)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브라켓부(34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일정 두께를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부재(347)는 고정홀부(346)를 관통하여 피고정물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홀부(346)에는 체결부재(347)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전극부(332)는 브라켓부(34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브라켓부(3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공급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332)는 브라켓부(340)의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면접촉되기 위한 배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332)는 자기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자성체(334)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20)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된다. 이로 인해 전원연결체(122)와 전극부(332)는 면접촉될 수도 있어,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자성체(334)의 자기력은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로 이루어진다.
브라켓부(340)는 전원연결부(120)를 고정하는 클램프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클램프부재(350)는 하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면이 자체 탄성력을 지니며, 전원연결부(120)의 둘레를 감싸 전원연결부(120)를 고정한다. 그리고, 브라켓부(340)와 피고정물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부재(347)에 의해 브라켓부(340)와 함께 피고정물에 고정된다. 전원연결체(122)의 둘레면과 클램프부재(350)는 전원연결부(120)의 걸림턱(120b)에 결속되어 전원연결부(12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해 클램프부는 전원연결체(122)에 구비되는 자성체(334)와 더불어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1변형예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2변형예이다.
도 19와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340)의 형상에 따라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의 형상이 구현되어 다양한 형상의 조명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같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가 제1절연블럭(125)에 각각 결합되고, 전원연결체(122)에 조명부(110)가 구비되어 모듈화된다.
그리고, 브라켓부(340)는 조명을 설치하고자 하는 피고정물에 설치된다. 즉, 천장 또는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부(3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345)에 의해 피고정물에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부(340)는 클램프부재(350)와 함께 고정부(345)에 의해 고정된다. 브라켓부(340)의 중앙에는 고정홀부(346)가 형성되고, 고정홀부(346)를 통해 체결부재(347)를 이용하여 브라켓부(340)와 클램프부재(350)를 동시에 결속할 수 있다
이처럼 피고정물에 설치된 브라켓부(340)와 클램프부재(350)에는 모듈화된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가 장착되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전원연결부(120)에는 전원공급부(330)에 의해 외부전원이 공급된다.
전원공급부(330)는 브라켓부(340)에 구비되는 전극부(332)와, 전원연결체(122)에 구비되는 자성체(334)로 이루어져, 자성체(334)의 자기력에 의해 전극부(332)에 전원연결체(122)가 부착되므로써,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도 16참고)
더욱이 전원연결체(122)에 구비되는 자성체(334)의 자기력 뿐만 아니라 클램프부재(35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전원연결부(120)를 감싸고 전원연결체(122)와 클램프부재(350)의 걸림턱(120b)에 의해 상호 결속됨으로써,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부(332)와 전원연결체(122)는 상호 면접촉됨으로써 연속되게 접촉될 수 있어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접촉불량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9와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340)의 형상에 따라 전원연결부(120)와 조명부(110)의 형상이 대응되어 굴절된 형상의 조명 또는 원형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E-E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가구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제1실시예의 전원연결체(122) 및 제1절연블럭(125)은 길이방향으로 결합 및 분해가 되는 반면, 제4실시예의 전원연결체(122) 및 제1절연블럭(125)은 폭방향으로 결합 및 분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430)는 제3실시예의 전원공급부(330)와 같이 전원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432) 및 전원연결부(120)에 구비되어 전극부(432)와 부착되는 자성체(434)를 포함한다. 즉, 전원연결체(122)의 전면에 자성체(4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성체(434)와 전원연결체(122)는 면접촉되어 자성체(434)와 전극부(432) 또한 면접촉된다.
더 상세하게는 자성체(434)가 전원연결체(122)의 일측과 타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자성체(434)는 전도성 재질로써, 일측과 타측에 부착된 자성체(434)가 각각 서로 다른 전극이 입력되어 전원연결체(122)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전원이 공급되는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가구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부(432)가 구비되고, 자성체(434)를 이용하여 단순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100)는 전원연결체(122) 전면에 각각 자성체(434)가 구비되어 있고,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성체(434)는 가구에 구비되는 전극부(432)에 각각 접촉되어 전원연결체(122)에 전원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1변형예이고, 도 25는 도 2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2변형예이고, 도 27은 도 26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피고정물에는 수용홈(435)이 형성되고, 수용홈(435)에 조명장치(100)가 구비된다. 이때, 도 24와 도 25는 가구와 같은 피고정물에 조명장치(100)가 구비되는 것이고, 도 26과 도 27은 벽체로 이루어진 피고정물에 조명장치(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24와 도 25를 참조하면, 피고정물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435)이 형성되고, 수용홈(435)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전극부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430')가 구비된다. 이는 수용홈(435)내에 조명장치(100)이 수용되는 것만으로, 전원공급부(430')와 전원연결체(1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조명부(110)의 확산부재(116)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피고정물의 면과 수평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피고정물에 광고하고자 하는 물품을 진열할 수 있다.
이때, 전원연결부(1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전원연결부(120) 사이에는 전원연결부(120)를 이격배치하는 제2절연블럭(43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절연블럭(437)과 제1절연블럭(125)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절연블럭(437)은 제1절연블럭(125)과 동일한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즉, 복수개의 전원연결체(122)를 제1절연블럭(125)과 제2절연블럭(437)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절연할 수 있고, 이는 수용홈(435)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4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또한, 도 26과 도 27를 참조하면, 벽체로 이루어진 피고정물에는 수용홈(435)가 형성되고, 전원공급부(430')가 수용홈(435)에 형성된다. 수용홈(435)은 벽체에 벽체의 높이보다 짧은 패널이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패널의 두께만큼 수용홈(435)가 형성된다.
이때,전원공급부(43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도전성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430')가 도전성테이프로 이루어지므로 전원연결체(122)는 부착되는 것만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장치(100)을 부착하기 위한 자성체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100)는 벽체와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어 마감부재 없이 조명장치(100)를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제1변형예 또한, 전원공급부(430')이 제2변형예와 같이 도전성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성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경우, 조명장치(10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를 같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전원연결체(122)가 제1절연블럭(125)에 각각 결합되고, 전원연결체(122)에 조명부(110)가 구비되어 모듈화된다.
이는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체(122)에 자성체(434)가 구비되고, 가구 등의 피고정물에 전극부(432)가 구비되어 가구에 구비되는 전극부(432)에 자성체(434)가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의 선반 일측에 플러스 전원이 인가되고, 선반 타측에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면, 각각의 전원연결체(122)에 구비되는 자성체(434)를 통해 전원연결체(122)가 부착됨으로써, 조명부(1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성체(434)와 전극부(432)의 면접촉으로 인해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진열장에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다양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의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4와 도 25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피고정물에 형성되는 수용홈(435)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435)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전원공급부(430')가 구비되고, 조명장치(100)가 수용홈(435)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써, 수용홈(435)에 수용된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10)의 확산부재(116)는 피고정물과 일직선을 유지하여 피고정물에 광고하고자 하는 물품을 진열할 수 있다.
전원연결부(120)는 제2절연블럭(437)에 의해 절연되면서 수용홈(435)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6과 도 27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벽체에 패널로 인해 형성된 수용홈(435)에 설치될 수 있어 실내조명으로 사용가능하다. 이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테이프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430')에 의해 전원연결체(122)가 직접 부착되는 것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조명부(110)의 확산부재(116)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피고정물과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마감부재 없이 조명장치(100)를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명 뿐만 아니라 디자인 요소로 사용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전원공급부(530)는 전원연결부(120)와 이격 배치되고,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코일부(532) 및 코일부(532) 내에 구비되는 자성체(534)를 포함한다.
이는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부(532) 내에 자성체(534)가 구비되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원연결부(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연결부(120)는 조명부(110)에 구비되는 코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피고정물에 코일부(532)와 자성체(534)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530)가 구비되고, 전원공급부(530)와 코일로 이루어진 전원연결부(120)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원연결부(120)는 무접촉으로 전원공급부(530)으로부터 전원공급 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정확한 전원공급으로 신뢰성 높은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파손시 해당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하나의 전원으로 다수개의 조명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장치 110: 조명부
112: 회로기판 114: 광원부
116: 확산부재
120: 전원연결부 120a: 결합턱
120b: 걸림턱 122: 전원연결체
123: 방열부 124: 결합홈부
125: 제1절연블럭 126: 결합돌기
130,230,330,430,530: 전원공급부 132: 전원공급후크
134: 지지판 134a: 고정홀부
135: 연결부재
232: 전원공급핀 234: 결속홈
235: 보조홈 236: 가압부재
240,340: 브라켓부 244: 체결부재
332,432: 전극부 334,434,534:자성체
345: 고정부 346: 고정홀부
347: 체결부재 350: 클램프부재
435: 수용홈 437: 제2절연블럭
532: 코일부

Claims (19)

  1.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부; 및
    조명부에 외부전원을 전달하고, 단락을 방지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전원연결부는 외부전원이 전달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와,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명부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회로기판은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에 결합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는 요철모양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연결부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전원연결부 아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이웃하는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연결부와 전원공급부는 자석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의 내면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전원공급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와 면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의 이탈방지를 위한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연결부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와 결합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와 적어도 2개의 전극부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결합하도록 절연체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되는 추가의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청구항 5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코일부와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8. 조명장치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조명부;
    조명부에 외부전원을 전달하도록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를 구비하는 전원연결부; 및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에 결합되는 확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회로기판은 적어도 2개의 전원연결체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70036871A 2013-12-20 2017-03-23 조명장치 KR20170036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271 2013-12-20
KR1020130160271 2013-12-20
KR20140031307 2014-03-17
KR1020140031307 2014-03-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563A Division KR101796959B1 (ko) 2013-12-20 2016-05-19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671A true KR20170036671A (ko) 2017-04-03

Family

ID=5340301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034A KR101624899B1 (ko) 2013-12-20 2014-05-26 조명장치
KR1020160061563A KR101796959B1 (ko) 2013-12-20 2016-05-19 조명장치
KR1020170036871A KR20170036671A (ko) 2013-12-20 2017-03-23 조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034A KR101624899B1 (ko) 2013-12-20 2014-05-26 조명장치
KR1020160061563A KR101796959B1 (ko) 2013-12-20 2016-05-19 조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47401B2 (ko)
EP (1) EP3091277B1 (ko)
KR (3) KR101624899B1 (ko)
CN (1) CN105829799B (ko)
WO (1) WO20150936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28U (ko) * 2018-08-13 2020-02-21 왕칭루이 Led 램프의 연속 접속장치
KR102301830B1 (ko) * 2021-05-25 2021-09-14 주식회사 쓰리지 몰드방폭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9799B (zh) 2013-12-20 2020-06-09 株式会社碧陆斯 照明装置
PL226400B1 (pl) * 2015-03-18 2017-07-31 Krzysztof Skiba Urządzenie oświetleniowe
USD785229S1 (en) * 2015-06-19 2017-04-25 Feelux Co., Ltd. Lighting apparatus
KR101704780B1 (ko) * 2016-11-25 2017-02-08 주식회사 삼정피엔씨 탈부착형 led
EP3575672B1 (en) * 2017-05-24 2021-10-27 Suzhou Opple Lighting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and lamp assembly
US10731804B2 (en) * 2018-01-24 2020-08-04 Carl Boehmer Traffic control system with flexible LED lighted assembly
CN209587736U (zh) * 2019-03-14 2019-11-05 M·蒙索内戈 一种可弯曲变形的硬线条灯
KR200492420Y1 (ko) * 2019-03-26 2020-10-12 김부곤 면조명 구현이 가능한 선형 조명장치
USD1010188S1 (en) * 2020-02-14 2024-01-02 Forma Lighting (Hk) Limited Lamp
CN111379987B (zh) * 2020-03-24 2021-10-08 浙江创英模具有限公司 一种led条形灯
WO2022094043A1 (en) * 2020-10-29 2022-05-05 Bitro Group, Inc. Led lighting device
KR102307086B1 (ko) * 2021-07-15 2021-09-30 주식회사 쓰리지 몰드방폭 조명기기
US11746969B1 (en) 2022-08-04 2023-09-05 PureEdge Lighting LLC Recessed curved channel light system
US11906129B1 (en) 2022-08-04 2024-02-20 PureEdge Lighting LLC Recessed circular channel light system
US11635177B1 (en) * 2022-08-04 2023-04-25 PureEdge Lighting LLC Recessed curved channel light system
CN116045245A (zh) * 2023-01-16 2023-05-02 厦门普为光电科技有限公司 具拼接件的线条灯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2503A (en) * 1973-08-10 1974-08-27 Keene Corp Two circuit track lighting system
US5639246A (en) * 1995-06-21 1997-06-17 General Automotive Specialty Co.,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trailer
JPH0950703A (ja) 1995-08-07 1997-02-18 Ohbayashi Corp 配線レス照明システム
US6866394B1 (en) * 1999-10-04 2005-03-15 Nicholas D. Hutchins Modules for elongated lighting system
CN2534679Y (zh) * 2002-04-25 2003-02-05 东贝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改善散热效果的发光二极管模块
TWM244935U (en) * 2003-07-11 2004-10-01 Kuen-Tsai Shen Manual power generator
US7165863B1 (en) * 2004-09-23 2007-01-23 Pricilla G. Thomas Illumination system
JP4564465B2 (ja) * 2006-03-31 2010-10-20 日本電産ピジョン株式会社 光源体及び照明装置
KR100827631B1 (ko) 2006-06-14 2008-05-07 양경호 자석 부착식 조명장치
EP2047490B1 (en) * 2006-07-21 2013-07-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ing system
KR20090039261A (ko) * 2007-10-18 2009-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20090120885A (ko) 2008-05-21 2009-11-25 양경호 엘이디 조명등
US8232724B2 (en) * 2009-02-06 2012-07-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ES2749392T3 (es) 2009-02-24 2020-03-20 Signify Holding Bv Montaje magnético direccionable para emisor de luz, una fuente de luz, una base y un sistema de iluminación
US8313212B1 (en) * 2009-05-29 2012-11-20 Usai, Llc Modular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8764220B2 (en) 2010-04-28 2014-07-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near LED light module
KR20110095437A (ko) * 2010-02-19 2011-08-25 양경호 전원코드의 접속이 용이한 조명용 대상(帶狀)의 엘이디모듈
US9318860B2 (en) * 2010-03-23 2016-04-19 Panasonic Corporation Light source, lamp socke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lamp socket
KR101128127B1 (ko) 2010-05-27 2012-03-22 주식회사 필룩스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06859A (ko)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 필룩스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JP5511075B2 (ja) 2010-09-15 2014-06-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5204864B2 (ja) * 2011-03-11 2013-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及びled光源装置
KR101229136B1 (ko) * 2011-06-30 2013-02-19 (주)세오전자 멀티 연결 단자를 갖는 엘이디 램프
WO2013042662A1 (ja) * 2011-09-20 2013-03-2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ledランプ
KR101308590B1 (ko) 2011-12-07 2013-09-13 김태윤 띠타입의 엘이디 조명장치
CN202392556U (zh) 2011-12-12 2012-08-22 福建日能达光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解的轨道式led条形灯具
CN105829799B (zh) 2013-12-20 2020-06-09 株式会社碧陆斯 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28U (ko) * 2018-08-13 2020-02-21 왕칭루이 Led 램프의 연속 접속장치
KR102301830B1 (ko) * 2021-05-25 2021-09-14 주식회사 쓰리지 몰드방폭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277A1 (en) 2016-11-09
KR101624899B1 (ko) 2016-05-30
CN105829799A (zh) 2016-08-03
KR101796959B1 (ko) 2017-11-13
EP3091277A4 (en) 2017-09-27
KR20150073823A (ko) 2015-07-01
US10247401B2 (en) 2019-04-02
CN105829799B (zh) 2020-06-09
KR20160061946A (ko) 2016-06-01
WO2015093694A1 (ko) 2015-06-25
EP3091277B1 (en) 2019-08-21
US20160356470A1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59B1 (ko) 조명장치
US8746933B2 (en) Lighting apparatus
JP6165832B2 (ja) 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linetypelightingapparatus)
US912158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showcase
US9200791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EP2570718A1 (en) Luminaire
JP2012049367A (ja) 半導体発光素子取付用モジュール、半導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半導体発光素子照明器具、及び、半導体発光素子取付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10034067A (ko)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2016134309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CN104515046B (zh) 一种组合式灯具
JP7202519B2 (ja) 照明装置
KR20130042811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79172B1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731768B1 (ko)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KR20150108721A (ko) 조명장치
KR20140101265A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KR101888560B1 (ko) 조명장치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KR102006988B1 (ko) 조명 장치
KR101371117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135688B1 (ko) 형광등 기구
KR101704780B1 (ko) 탈부착형 led
KR20170001527U (ko) 연결구조가 개선된 엘이디모듈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KR101815218B1 (ko) 조명기구의 자성 전극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조명기구
KR101606633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