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688B1 - 형광등 기구 - Google Patents

형광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688B1
KR101135688B1 KR1020100074183A KR20100074183A KR101135688B1 KR 101135688 B1 KR101135688 B1 KR 101135688B1 KR 1020100074183 A KR1020100074183 A KR 1020100074183A KR 20100074183 A KR20100074183 A KR 20100074183A KR 101135688 B1 KR101135688 B1 KR 10113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onnector
cov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185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삼정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전기 filed Critical (주)삼정전기
Priority to KR102010007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6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out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기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기구는, 등기구 몸체, 상기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반사갓, 상기 등기구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반사갓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갓의 전방에서 형광램프를 고정시키는 소켓, 상기 반사갓의 배면에서 상기 등기구 몸체 내에 설치되는 안정기, 및 상기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케이블 및 상기 안정기에서 상기 소켓으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케이블을 상기 안정기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광등 기구 {FLUORESCENT TUBE FIXTURE}
본 발명은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기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 기구가 조명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형광등 기구는 설치되는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형광등 기구는 천장이나 구조물에 설치되는 등기구 몸체,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반사갓, 반사갓 전방에서 등기구 몸체에 구비되어 형광램프를 고정시키는 소켓, 및 안정기(ballast stabilizer)를 포함한다.
형광램프는 방전관의 일종으로 방전에 필요한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하여 초기에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방전 후, 램프전류가 커지면, 형광램프에 인가된 전압은 반대로 감소하는 부저항 특성을 가진다.
부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형광램프의 점등이 불안정해지거나 그 자체로 형광램프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기, 예를 들면, 전자식 안정기는 초기에 형광램프의 점등에 필요한 고전압을 공급하여 형광램프를 점등시키고, 형광램프의 점등 후에는 램프전류를 제어하여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전자식 안정기는 반도체 부품과 수동전자 부품을 가지는 전자회로를 포함하며, 주파수 변환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50Hz, 60Hz의 전원을 20kHz-100kHz의 고주파로 변환하여 형광램프에 인가함으로써, 형광램프를 점등시킨다.
전자식 안정기는 등기구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입력 케이블로 전원에 연결되고, 출력 케이블로 소켓에 연결된다. 이때, 입력 케이블 및 출력 케이블은 전자식 안정기의 각 단자에 결선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식 안정기를 교체하는 경우, 천장이나 구조물로부터 형광등 기구 전체를 분리하고, 등기구 몸체로부터 반사갓을 분리한 후, 등기구 몸체로부터 안정기를 분해하여, 신규 안정기, 반사갓 및 등기구 몸체를 역순으로 조립하여 형광등 기구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형광등 기구 전체를 분리하지 않은 경우, 작업자가 천장이나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전자식 안정기의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기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기구 몸체를 천장이나 구조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기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기구는, 등기구 몸체, 상기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반사갓, 상기 등기구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반사갓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갓의 전방에서 형광램프를 고정시키는 소켓, 상기 반사갓의 배면에서 상기 등기구 몸체 내에 설치되는 안정기, 및 상기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케이블 및 상기 안정기에서 상기 소켓으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케이블을 상기 안정기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안정기는, 상기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되며, 주파수 변환회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전자식 안정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정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에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에 의하여 설정되는 공간 밖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커넥터는, 상기 입력 케이블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는, 상기 출력 케이블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은, 상기 형광램프의 양단에 대응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형광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는, 상기 공간 밖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에 1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 커넥터는, 1쌍의 상기 출력 커넥터 중 하나의 출력 커넥터보다 상기 커버에서 더 먼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변에 대응하여 절곡된 제1 절곡면과 제2 절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탄성 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절곡면과 상기 제2 절곡면에 결합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길이 방향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 측면과 제4 측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끝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홈과 제2 지지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기구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안정기와 입력 케이블 및 출력 케이블을 커넥터들로 연결함으로써, 커넥터들을 분리한 후, 안정기를 등기구 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등기구 몸체를 천장이나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후 안정기를 신규 안정기로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안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정기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정기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형광등 기구는 등기구 몸체(1), 반사갓(2), 형광램프(3), 소켓(4), 안정기(5) 및 커넥터들(6)을 포함한다.
등기구 몸체(1)는 형광등 기구에서 베이스를 형성하며, 안정기(5)를 내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반사갓(2) 및 형광램프(3)를 장착할 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등기구 몸체(1)는 형광램프(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형 형광램프(3) 2개에 대응하도록 일측에 개구를 가지는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갓(2)은 등기구 몸체(1)의 개구 측에 설치되어 개구를 폐쇄하고, 형광램프(3)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원하는 장소에 조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반사갓(2)은 등기구 몸체(1)에 형성되는 브래킷(21)에 고정 설치된다. 체결부재(22)가 반사갓(2)의 전방에서 반사갓(2)을 관통하여 브래킷(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반사갓(2)은 등기구 몸체(1)의 개구를 폐쇄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소켓(4)은 등기구 몸체(1)에 결합되어 반사갓(2)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소켓(4)은 형광램프(3)의 양단에 대응하도록 등기구 몸체(1)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 소켓(41)과 제2 소켓(42)을 포함한다.
제1, 제2 소켓(41, 42)은 등기구 몸체(1)에 각각 2개씩 구비되어 2개의 형광램프(3)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제2 소켓은 등기구 몸체에 각각 1개씩 구비되어 1개의 형광램프를 설치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미도시).
제1, 제2 소켓(41, 42)은 반사갓(2)의 전방에서 형광램프(3)를 고정시키고, 형광램프(3)를 안정기(5)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즉 형광램프(3)는 제1, 제2 소켓(41, 42)에 장착되어 반사갓(2)의 전방에 위치한다.
안정기(5)는 반사갓(2)의 배면과 등기구 몸체(1) 사이에 설정되는 공간에 기계적으로 장착되며, 전원(미도시)과 형광램프(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광램프(3)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입력 케이블(7)은 안정기(5)에 연결되어 전원을 안정기(5)에 공급한다. 출력 케이블(8)은 안정기(5)와 소켓(4)을 연결하여 안정기(5)의 출력을 소켓(4) 및 형광램프(3)에 공급한다.
도 3은 도 2에 안정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정기(5)는 케이스(51), 커버(52) 및 인쇄회로기판(53)을 포함하는 전자식 안정기로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들(6) 중 일부를 인쇄회로기판(53)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51)는 등기구 몸체(1) 내에 세트 스크류(54)로 설치된다. 커버(52)는 케이스(51)에 결합되어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인쇄회로기판(53)은 형광램프(3)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51)와 커버(52) 사이의 직육면체 공간에 내장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케이스에 보스를 형성하고 보스에 세트 스크류로 장착될 수도 있다(미도시).
인쇄회로기판(53)은 반도체 소자 및 수동전자 부품을 실장하여 전자회로를 형성하며, 또한 주파수 변환회로를 구비하여 교류 50Hz, 60Hz의 전원을 20kHz-100kHz의 고주파로 변환하여 형광램프(3)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53)에서 주파수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인쇄회로기판(53)은 절연시트(55)에 감싸진 상태로 케이스(51) 및 커버(52)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절연시트(55)는 합성수지 필름, 고무, 종이 또는 이들을 조합한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51)는 등기구 몸체(1)에 장착되는 플레이트(513)에서 측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면(511)과 제2 절곡면(512)을 포함한다. 제1, 제2 절곡면(511, 512)은 인쇄회로기판(53)의 장변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커버(52)는 케이스(51)의 제1, 제2 절곡면(511, 512)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커버(52)는 제1, 제2 절곡면(511, 512)에 결합되도록 플레이트(525)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1 측면(521)과 제2 측면(522)을 포함한다.
케이스(51)에서, 제1, 제2 절곡면(511, 512)은 커버(52)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514, 515)를 포함한다. 커버(52)에서, 제1, 제2 측면(521, 522)은 케이스(51)의 탄성 돌기(514, 515)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 홀(526, 527)을 관통 형성한다.
케이스(51)를 향하여 커버(52)를 가압하면(도 3에서 아래로 내리면), 커버(52)의 제1, 제2 측면(521, 522)이 케이스(51)의 제1, 제2 절곡면(511, 512)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탄성 돌기(514, 515)와 결합 홀(526, 527)는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케이스(51)에 커버(5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커버(52)는 제1, 제2 측면(521, 522)의 길이 방향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 측면(523)과 제4 측면(524)을 더 포함한다. 제3, 제4 측면(523, 524)은 제1, 제2 측면(521, 522)의 끝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제2 지지홈(528, 529)을 각각 형성한다.
인쇄회로기판(53)은 케이스(51)와 커버(52) 사이에 내장되어, 길이 방향 양단이 제1, 제2 지지홈(528, 529)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53)은 케이스(51)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케이스(51)에 커버(52)를 결합함으로써, 케이스(51)와 커버(52) 사이에 설정되는 공간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51)와 커버(52) 내에 인쇄회로기판(53)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이때, 절연시트(55)가 인쇄회로기판(53)를 둘러싸므로 인쇄회로기판(53)은 케이스(51) 및 커버(5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지지홈(528, 529)과 케이스(51)의 플레이트(513) 사이에서 절연시트(55)가 위치하여, 절연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제2 지지홈(528, 529)의 높이(H)는 인쇄회로기판(53)의 두께와 절연시트(55)의 두께 합에 대응하며, 절연시트(55)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커넥터(6)는 인쇄회로기판(53)에 형성되는 부분과 입력 케이블(7) 및 출력 케이블(8)에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53)은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를 구비한다.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는 케이스(51)와 커버(52)에 의하여 설정되는 공간 밖에 위치하며, 즉 인쇄회로기판(53)의 양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안정기(5) 교체시, 케이스(51)와 커버(52)를 개방하지 않고,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로부터 입력 케이블(7)과 출력 케이블(8)을 각각 분리하여, 안정기(5) 교체 후 다시 결합함으로써, 안정기(5)의 교체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하여, 입력 케이블(7)에는 제1 커넥터(71)가 구비된다. 제1 커넥터(71)는 입력 커넥터(61)에 결합되어, 입력 케이블(7)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53)에 전원을 공급한다.
출력 케이블(8)에는 제2 커넥터(72)가 구비된다. 제2 커넥터(72)는 출력 커넥터(62)에 결합되어, 출력 케이블(8)을 통하여 소켓(4)에 인쇄회로기판(53)에서 변환된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출력 커넥터(62)는 케이스(51)와 커버(52) 사이에 설정되는 공간의 밖에서 인쇄회로기판(53)의 길이 방향 양측에 1쌍으로 형성된다. 쌍으로 이루어진 출력 커넥터(62)는 1쌍으로 제공되는 출력 케이블(8)을 통하여 제1, 제2 소켓(41, 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도 3의 안정기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안정기를 조립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잘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입력 커넥터(61)는 1쌍의 출력 커넥터(62) 중 하나의 출력 커넥터(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출력 커넥터)보다 커버(52)에서 더 먼 외측에 설치된다. 즉 입력 커넥터(61)는 우측 출력 커넥터(62)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형광램프(3)가 적용되어 제1, 제2 소켓(41, 42)이 각각 2개씩 형성되므로 출력 커넥터(62)와 제2 커넥터(72)는 4핀 구조로 형성된다. 입력 커넥터(61)와 제1 커넥터(71)는 전원부와 접지부를 가지는 3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형광등 기구를 사용 중, 안정기(5)가 고장 나면, 소켓(4)으로부터 형광램프(3)를 빼고, 체결부재(22)를 풀어서 반사갓(2)을 분리하여, 등기구 몸체(1)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입력 커넥터(61)로부터 입력 케이블(7)의 제1 커넥터(71)를 분리하고, 1쌍의 출력 커넥터(62)로부터 출력 케이블(8)의 제2 커넥터(72)를 분리한다. 세트 스크류(54)를 풀어서 안정기(5)를 등기구 몸체(1)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그리고 신규 안정기(5)를 등기구 몸체(1)에 세트 스크류(54)로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신규 안정기(5)의 1쌍의 출력 커넥터(62)에 출력 케이블(8)의 제2 커넥터(72)를 결합하고, 입력 커넥터(61)에 입력 케이블(7)의 제1 커넥터(71)를 결합한다.
반사갓(3)을 등기구 몸체(1)에 체결부재(22)로 장착하고, 소켓(4)에 형광램프(3)를 장착한다. 이로써, 안정기(5)의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안정기(5)에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를 구비하고, 입력 커넥터(61)와 출력 커넥터(62)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71)와 제2 커넥터(72)를 입력 케이블(7)과 출력 케이블(8) 각각에 구비함으로써 안정기(5)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등기구 몸체 2 : 반사갓
3 : 형광램프 4 : 소켓
5 : 안정기 6 : 커넥터
7 : 입력 케이블 8 : 출력 케이블
21 : 브래킷 22 : 체결부재
41, 42 : 제1, 제2 소켓 51 : 케이스
52 : 커버 53 : 인쇄회로기판
54 : 세트 스크류 55 : 절연시트
61 : 입력 커넥터 62 : 출력 커넥터
71, 72 : 제1, 제2 커넥터 511, 512 : 제1, 제2 절곡면
513, 525 : 플레이트 514, 515 : 탄성 돌기
521, 522 : 제1, 제2 측면 523, 524 : 제3, 제4 측면
526, 527 : 결합 홀 528, 529 : 제1, 제2 지지홈

Claims (7)

  1. 등기구 몸체;
    상기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반사갓;
    상기 등기구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반사갓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갓의 전방에서 형광램프를 고정시키는 소켓;
    상기 반사갓의 배면에서 상기 등기구 몸체 내에 설치되는 안정기; 및
    상기 안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케이블 및 상기 안정기에서 상기 소켓으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케이블을 상기 안정기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기는,
    상기 등기구 몸체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되며, 주파수 변환회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에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에 의하여 설정되는 공간 밖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길이 방향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 측면과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끝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시트로 감싸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홈과 제2 지지홈을 각각 포함하는 형광등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는
    전자식 안정기로 형성되는
    형광등 기구.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는,
    상기 입력 케이블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는,
    상기 출력 케이블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형광등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형광램프의 양단에 대응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형광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는,
    상기 공간 밖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 양측에 1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 커넥터는,
    1쌍의 상기 출력 커넥터 중 하나의 출력 커넥터보다 상기 커버에서 더 먼 외측에 설치되는 형광등 기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변에 대응하여 절곡된 제1 절곡면과 제2 절곡면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탄성 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절곡면과 상기 제2 절곡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형광등 기구.
  7. 삭제
KR1020100074183A 2010-07-30 2010-07-30 형광등 기구 KR10113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183A KR101135688B1 (ko) 2010-07-30 2010-07-30 형광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183A KR101135688B1 (ko) 2010-07-30 2010-07-30 형광등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85A KR20120012185A (ko) 2012-02-09
KR101135688B1 true KR101135688B1 (ko) 2012-04-13

Family

ID=4583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183A KR101135688B1 (ko) 2010-07-30 2010-07-30 형광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35B1 (ko) * 2012-12-28 2013-11-07 박기주 Led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604A (ja) 2005-10-17 2007-04-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安定器及び照明装置
KR20080091652A (ko) * 2007-04-09 2008-10-14 건우조명공업 주식회사 형광등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604A (ja) 2005-10-17 2007-04-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安定器及び照明装置
KR20080091652A (ko) * 2007-04-09 2008-10-14 건우조명공업 주식회사 형광등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85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59B1 (ko) 조명장치
KR20140075109A (ko) 조명 장치
JP2022031866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135688B1 (ko) 형광등 기구
JP665344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144898B1 (ko) 조명등과 등기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유닛
KR20120107598A (ko) 엘이디 조명등
KR101756540B1 (ko) 수평 확장형 결합구조를 갖춘 조명장치
JP2011108376A (ja) 光源および照明器具
KR101486227B1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KR101911774B1 (ko)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
JP2017174569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827209B2 (ja) 端子装置、端子部材、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425755Y1 (ko) 피엘램프용 조명기구
KR20200077216A (ko) 엘이디 등기구
KR101840393B1 (ko) 고반사율, 고열전도율의 판재를 이용한 엘이디 등 기구
KR101524841B1 (ko) 탈부착 가능한 led 조명기구
JP6008270B2 (ja) 非常用照明器具
KR200292363Y1 (ko) 피엘램프용 등기구
KR102073567B1 (ko) Fpl등기구 호환형 led 조명기구
JP6813800B2 (ja) 配線レール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686882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70103568A (ko) 등기구
JP2017174571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591977B1 (ko) 배선분기박스 일체형 등기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