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692A -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692A
KR20170035692A KR1020150134909A KR20150134909A KR20170035692A KR 20170035692 A KR20170035692 A KR 20170035692A KR 1020150134909 A KR1020150134909 A KR 1020150134909A KR 20150134909 A KR20150134909 A KR 20150134909A KR 20170035692 A KR20170035692 A KR 2017003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wall portion
emitting device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식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692A/ko
Publication of KR2017003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195
    • F21S48/1109
    • F21S48/115
    • F21S48/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W21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장치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조사 영역에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LIGHT EMITT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럽국제연합경제위원회(ECE)에서 규정한 헤드램프의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통해 발생되는 빛을 방출하는 무기 반도체 소자로,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 자동차 램프, 일반 조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응답 속도가 빨라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는 종래의 광원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차량의 헤드램프 등에도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유럽국제연합경제위원회(ECE)에서 헤드램프에서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도 1은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규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발광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헤드램프에서 전방 25m에 설치된 스크린에 빛이 조사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되는 범위의 규격을 나타낸다. 여기서, ECE 규정에서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지점인 B50L, 25L, 75R과 같은 지점에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규정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차량의 헤드램프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수평방향의 구분선(D)에 의해 구간이 나뉘고, 상부는 빛이 조사되지 않는 암영영역이고, 하부는 빛이 조사되는 조사영역이다. 그리고 차량의 헤드램프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은 수형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구분선(D)에 의해 구간이 나뉘고, 상부는 암영영역, 하부는 조사영역이다.
이렇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분선(D)은 빛의 조사영역과 암영영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될수록 헤드램프에 대한 평가가 높아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5426호 (2005.08.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유럽국제연합경제위원회에서 규정한 차량용 헤드램프에 대한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장치의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조사 영역에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빛이 발광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의 형상을 조사 영역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조사영역과 빛이 조사되지 않는 암영영역 사이의 구분선을 보다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규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절취선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절취선 C-C'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a)의 절취선 D-D'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네 개이고, 상기 네 개의 발광소자 중 두 개는 나머지 두 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부는 상기 크기가 큰 두 개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벽부는 상기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상면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네 개 이고, 상기 벽부는 상기 네 개의 발광소자 중 두 개의 발광소자 상면의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발광소자 상면의 하나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광셀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크기가 큰 발광소자 중 하나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의 (a)는 도 3의 절취선 A-A'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절취선 B-B'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는, 발광부(110), 파장변환부(120), 벽부(130) 및 기판(140)을 포함한다.
발광부(110)는 기판(140)에 실장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각각 빛을 발광할 수 있고, 각각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발광소자(110a)는 제2 발광소자(110b)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3 발광소자(110c)는 제4 발광소자(110d)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발광소자(110c, 110d)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1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필요하다면,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의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하겠지만, 제3 발광소자(110c)는 사각형 형상이 아닌,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1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파장변환부(120)는 발광부(1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 각각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장변환부(120)는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가 벽부(130)에 의해 노출된 상부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장변환부(120)는 형광체와 형광체를 담지하는 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는, 가넷형 형광체, 알루미네이트 형광체, 황화물 형광체, 산질화물 형광체, 질화물 형광체, 불화물계 형광체, 규산염 형광체 및 양자점 형광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광부(110)에서 방출된 빛을 파장변환하여 백색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발광부(110)에서 청색광 대역의 피크 파장을 갖는 빛이 방출될 경우, 파장변환부(120)는 발광부(110)에서 방출된 청색광이 입사되어 청색광보다 긴 파장의 피크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담지부는 폴리머 수지나 유리와 같은 세라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체는 담지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담지부가 에폭시 수지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수지로 형성된 경우, 발광부(110)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도포 및 경화시켜 파장변환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장변환부(120)는 단결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장변환부(120)는 단결정 물질이 포함된 형광체 시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시트 형태의 파장변환부(120) 자체가 단결정 형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결정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변환부(120)를 통과하는 빛은 대체로 일정한 색좌표를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단결정 형광체는 단결정의 YAG:Ce일 수 있다. 여기서, 시트 형태의 파장변환부(120)는 발광부(11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벽부(130)는, 발광부(11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파장변환부(120)의 측면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벽부(130)는 발광부(11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발광부(110)의 하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10)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상면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벽부(130)의 상면부(132)는 발광부(11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32)는 제3 발광소자(110c)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제3 발광소자(110c)의 일 측 모서리만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발광소자(110c)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의 한 쪽 모서리에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발광소자(110c)의 상면을 벽부(130)의 상면부(132)가 일부 덮은 형상의 단면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에 따라 벽부(130)는 제3 발광소자(110c)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면서 제3 발광소자(110c)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파장변환부(120)는 벽부(130)가 덮지 않고 노출된 제3 발광소자(110c)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4 발광소자(110d)는 벽부(130)에 의해 상면이 덮이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는 제3 및 제4 발광소자(110c, 110d)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벽부(130)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의 측면만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벽부(13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벽부(130)는 발광부(110)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벽부(130)에서 방출된 빛이 상부로 집중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벽부(130)의 반사도나 광투과도 등을 조절하여 발광부(110)에서 방출된 빛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이??.
벽부(130)는 절연성의 폴리머 물질이나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빛을 반사시키거나 산란시킬 수 있는 필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광의 반투과성 또는 광의 반사성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벽부(130)는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폴리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러는 벽부(130) 내에 균일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고, 빛을 반사시키거나 산란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산화티탄(TiO2), 산화규소(SiO2)나 산화지르코늄(ZrO2) 등일 수 있다. 필러의 종류와 농도 등의 조절을 토해 벽부(130)의 반사도나 빛의 산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기판(140)은 발광 장치(100)의 저부에 위치할 수 있고, 발광부(110)와 벽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140)은 절연성 또는 도전성 기판일 수 있고,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이때, 기판(140)이 절연성 기판인 경우, 기판(140)은 폴리머 물질이나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일례로, ALN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40)은 베이스 및 베이스에 형성된 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기판(140)과 전극들을 지지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ALN과 같은 세라믹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전극은 서로 절연되도록 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고, 발광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발광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1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절취선 C-C'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a)의 절취선 D-D'의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는, 발광부(110), 파장변환부(120), 벽부(130) 및 기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110)는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가 배치된 상태에서 벽부(130)가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발광소자(110a, 110b, 110c)의 상면 일부를 벽부(130)의 상면부(132)가 덮도록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의 각각 인접한 두 모서리가 포함된 상면 일부를 벽부(130)의 상면부(132)가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3 발광소자(110c)의 상면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벽부(130)의 상면부(132)가 하나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의 상면은 상면부(132)가 동일한 형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벽부(130)에 의해 노출된 제1 및 제2 발광소자(110a, 110b)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가 배치된 상태에서 벽부(130)의 상면부(132)가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 중 일부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벽부(130)에 의해 노출되는 발광부(110)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발광부(11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10)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는, 발광부(110), 파장변환부(120), 벽부(130) 및 기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110)는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발광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110a, 110b, 110c, 110d)가 배치되어 형성된 크기로 형성되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부(110)는 제1 내지 제4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은 하나의 성장기판에서 성장된 것으로, 제1 내지 제4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은 각각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110)는 제1 패드 전극(113), 제2 패드전극 및 방열 패드(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113)은 제1 발광셀(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패드 전극(115)은 제4 발광셀(111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을 통해 인가된 전원이 제1 내지 제4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발괄셀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성장기판 상에서 성장되며, 제1 발광셀(111a)의 n형 반도체층과 제2 발광셀(111b)의 p형 반도체층이 서로 연결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셀(111b)의 n형 반도체층과 제3 반도체층의 p형 반도체층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발광셀(111c)의 n형 반도체층은 제4 반도체층의 p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전극과 n형 반도체층 및 p형 반도체층과의 전기적 연결은 절연층에 의해 절연되면서 절연층에 형성된 홀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각각 빛을 발광하지만, 동일한 성장기판 상에 형성된 하나의 발광소자(110)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네 개의 발광셀(111a, 111b, 111c, 111d)을 포함하는 발광소자(110)에 대해 설명하지만, 발광소자(110)에 포함되는 발광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발광셀들(111a, 111b, 111c, 111d)의 형상 및 배치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은 각각 제1 발광셀(111a)의 n형 반도체층 및 제4 발광셀(111d)의 p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은 발광소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은 발광소자(110)의 하면과 대체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발광소자(110)의 하면보다 높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이 발광소자(110)의 하면보다 높이 위치하는 경우, 발광소자(110)에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홈에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110)의 구조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이 발광소자(11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플립칩형 반도체 발광소자(110)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은 각각 기판(140)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해 발광소자(1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 사이에 방열 패드(117)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패드(117)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방열 패드(117)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4 발광셀(111a, 111d)의 일부와 제2 및 제3 발광셀(111b, 111c)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패드 전극(113, 115)과 방열 패드(117)는 발광소자(110)의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어 발광소자(110)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기판(14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벽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발광부(1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벽부(130)의 상면부(132)는 발광부(110)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벽부(130)에 의해 상부로 노출되는 발광부(110)의 형상은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출된 발광부(110) 상부에 파장변환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벽부(130)의 형상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 장치 110: 발광부
110a: 제1 발광소자 110b: 제2 발광소자
110c: 제3 발광소자 110d: 제4 발광소자
111a: 제1 발광셀 111b: 제2 발광셀
111c: 제3 발광셀 111d: 제4 발광셀
113: 제1 패드 전극 115: 제2 패드 전극
117: 방열 패드 120: 파장변환부
130: 벽부 132: 상면부
140: 기판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네 개이고,
    상기 네 개의 발광소자 중 두 개는 나머지 두 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발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크기가 큰 두 개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의 상면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발광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네 개 이고,
    상기 벽부는 상기 네 개의 발광소자 중 두 개의 발광소자 상면의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발광소자 상면의 하나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8.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실장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발광셀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광셀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11. 다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일부가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크기가 큰 발광소자 중 하나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 중 둘 이상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KR1020150134909A 2015-09-23 2015-09-23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70035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09A KR20170035692A (ko) 2015-09-23 2015-09-23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909A KR20170035692A (ko) 2015-09-23 2015-09-23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92A true KR20170035692A (ko) 2017-03-31

Family

ID=5850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909A KR20170035692A (ko) 2015-09-23 2015-09-23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6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26A (ko)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로우-빔 기능을 갖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426A (ko) 2002-12-10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로우-빔 기능을 갖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695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US20190309916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vehicular lamp comprising same
US8419219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1039881B1 (ko) 발광소자 및 그를 이용한 라이트 유닛
JP5815859B2 (ja) 光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981249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KR20150064414A (ko)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7162942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TWI451043B (zh) 發光二極體燈泡及其發光二極體組合
JP2018206886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0027514A (ja) 発光装置
JP2018129492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9021418A (ja) 発光装置
EP2492898A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135625B1 (ko)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및 백라이트 유닛
JP2016072263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KR20140099659A (ko) 조명 장치
KR20170035692A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10123242A (ko) 발광 장치
JP2014187095A (ja) Led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2018156966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2608149B1 (ko) 광학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패키지
JP7059276B2 (ja) Ledの整列配置
JP2018125400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8182053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