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268A - 제매장치 - Google Patents

제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268A
KR20170035268A KR1020150134164A KR20150134164A KR20170035268A KR 20170035268 A KR20170035268 A KR 20170035268A KR 1020150134164 A KR1020150134164 A KR 1020150134164A KR 20150134164 A KR20150134164 A KR 20150134164A KR 20170035268 A KR20170035268 A KR 2017003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cleaning
cov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영
백세현
김태형
김영주
임현수
김현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3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268A/ko
Publication of KR2017003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매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를 분사하여 보일러 내부 부착물을 제거하는 세정부와, 세정부에 장착되고 보일러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영상부를 포함하여, 보일러 내부 상태를 확인하면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매장치{SOOT BLOWER}
본 발명은 제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으로 보일러 내부를 확인하면서 보일러 내부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제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매장치는 보일러 내부 전열면에 부착된 부착물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화력발전소에서는 과열 증기를 분사시켜 보일러 내 전열면의 부착물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보일러 내부 전열면을 관찰하기 위해 제매장치와 별도로 수냉각 감시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매장치와 카메라가 별도로 사용되어 작업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2635호(2012.04.06. 공개, 발명의 명칭 : 순산소 연소 보일러 제매기 계통의 밀봉장치 및 순산소 연소 보일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으로 보일러 내부를 확인하고, 부착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증기를 분사하여 보일러 내부 부착물을 제거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일러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영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부는: 길이가 가변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세정가변부; 및 상기 세정가변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세정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가변부는: 상기 세정공급부와 연결되는 세정고정부; 상기 세정고정부를 감싸고, 증기 배출을 위한 세정홀부가 형성되는 세정이동부; 및 상기 세정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세정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정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세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세정가변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가변부를 관통하여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영상전달부; 및 상기 영상전달부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영상전달부를 감싸며, 상기 세정가변부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영상커버부; 및 상기 영상커버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영상전달부를 냉각시키는 영상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커버부는: 상기 영상냉각부와 결합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커버고정부; 및 상기 커버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세정가변부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커버고정부에서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부는: 상기 영상커버부에 형성되고, 상기 영상전달부에 공급된 가스를 상기 영상촬영부로 안내하여 상기 영상촬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영상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노즐부는: 상기 영상촬영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삽입부가 타측에 결합되는 노즐판부; 상기 노즐판부와 상기 세정가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판부를 지지하는 노즐베어링부; 상기 노즐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삽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로 가스를 안내하는 노즐유도부; 상기 커버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정가변부에 내장되어 상기 세정가변부에 걸리는 커버판부; 및 상기 커버판부와 상기 세정가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판부를 지지하는 판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세정부에 영상부가 일체로 장착되어 작업자가 보일러 내부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영상커버부와 영상냉각부가 영상전달부를 커버하여 증기에 의한 영상전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영상커버부가 세정가변부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영상전달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영상냉각부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영상전달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는 영상전달부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가스가 영상촬영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세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의 냉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매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세정부(10)와 영상부(20)를 포함한다. 세정부(10)는 증기를 분사하여 보일러(100) 내부 부착물을 제거한다. 영상부(20)는 세정부(10)에 장착되고, 보일러(100) 내부 상태를 확인한다. 즉, 제매장치(1)는 보일러(100)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부(20)가 세정부(10)에 장착되어 일체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세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10)는 세정가변부(11)와 세정공급부(12)를 포함한다. 세정가변부(11)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보일러(100)의 전열면에 근접될 수 있다. 세정공급부(12)는 세정가변부(11)에 증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세정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증기가 세정가변부(11)를 통해 배출되면, 보일러(100)의 전열면에 부착된 회나 그을음과 같은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가변부(11)는 세정고정부(111)와, 세정이동부(112)와, 세정구동부(113)를 포함한다.
세정고정부(111)는 세정공급부(12)와 연결되어 증기를 안내한다. 일 예로, 세정고정부(111)는 원통형 관 형상을 하고, 세정공급부(12)와 연통되어 증기를 안내할 수 있다. 세정고정부(111)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이동수단에 의해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세정이동부(112)는 세정고정부(111)를 감싸고, 증기 배출을 위한 세정홀부(119)가 형성된다. 일 예로, 세정이동부(112)는 세정고정부(11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세정이동부(112)는 세정고정부(111)를 감싸며 세정구동부(113)에 의해 세정고정부(111)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체적인 세정가변부(11)의 길이를 늘려줄 수 있다. 세정이동부(112)의 단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세정홀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정구동부(113)는 세정고정부(111)에 장착되고, 세정이동부(112)에 결합되어 세정이동부(112)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세정구동부(113)는 세정이동부(112)를 세정고정부(11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정구동부(113)는 세정이동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세정이동부(112)가 회전되면, 세정홀부(119)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는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세정구동부(113)는 기존 제매기에 사용되는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부의 냉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부(20)는 영상촬영부(21)와, 영상전달부(22)와, 영상표시부(23)를 포함한다.
영상촬영부(21)는 세정가변부(11)의 단부에 형성되어 보일러(100) 내부 상태를 촬영한다. 일 예로, 영상촬영부(21)는 세정이동부(112)의 단부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전달부(22)는 일단부가 영상촬영부(21)에 연결되어 영상촬영부(21)가 촬영한 영상신호를 전달한다. 일 예로, 영상전달부(22)는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될 수 있다. 영상전달부(22)는 세정고정부(111)를 관통하여 세정부(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영상표시부(23)는 영상전달부(22)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일 예로, 영상표시부(23)는 작업실 또는 세정부(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니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부(20)는 영상커버부(24)와 영상냉각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커버부(24)는 영상전달부(22)를 감싸며, 세정가변부(11)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된다. 영상냉각부(25)는 영상커버부(24)에 가스를 공급하여 영상전달부(22)를 냉각시킨다. 영상커버부(24)와 영상냉각부(25)는 세정가변부(11)의 내부에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영상전달부(22)가 가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냉각부(25)는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커버부(24)는 커버고정부(241)와 커버삽입부(242)를 포함한다.
커버고정부(241)는 영상냉각부(25)와 결합되어 가스를 안내한다. 일 예로, 영상냉각부(25)는 세정고정부(111)를 관통하고, 영상냉각부(25)의 단부에 커버고정부(241)가 결합되어 가스를 안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버삽입부(242)는 커버고정부(241)에 삽입되고, 세정가변부(11)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커버고정부(241)에서 인출된다. 일 예로, 복수개의 커버삽입부(242)는 점차 직경이 줄어든 관 형상을 하고, 순차로 펼쳐지거나 커버고정부(241)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개의 커버삽입부(242) 중 가장 직경이 작은 커버삽입부(242)는 세정이동부(112)를 관통하여 영상촬영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영상전달부(22)는 영상냉각부(25)를 관통하여 영상표시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에서 영상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부(20)는 영상노즐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노즐부(26)는 영상커버부(24)에 형성되고, 영상전달부(22)에 공급된 가스를 영상촬영부(21)로 안내하여 영상촬영부(21)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노즐부(26)는 노즐판부(261)와, 노즐베어링부(262)와, 노즐유도부(263)와, 커버판부(264)와, 판베어링부(265)를 포함한다.
노즐판부(261)는 세정이동부(112)의 단부와 영상촬영부(21) 사이에 배치된다. 노즐판부(261)의 일측면에는 영상촬영부(21)가 결합되고, 노즐판부(261)의 타측면에는 커버삽입부(242)가 결합된다. 일 예로, 가장 직경이 작은 커버삽입부(242)의 단부가 세정이동부(112)를 관통하여 노즐판부(261)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베어링부(262)는 노즐판부(261)와 세정가변부(11) 사이에 배치되어 노즐판부(261)를 지지한다. 일 예로, 노즐베어링부(262)는 노즐판부(261) 또는 세정이동부(112)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노즐베어링부(262)는 볼베어링이 노즐판부(261)를 지지하므로, 노즐판부(261)는 세정이동부(112)와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세정이동부(112)가 회전되더라도 영상촬영부(21)는 회전되지 않고, 보일러(100)의 내부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노즐유도부(263)는 노즐판부(261)에 형성되고, 커버삽입부(242)와 연통되어 영상촬영부(21)로 가스를 안내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노즐유도부(263)는 노즐판부(261)를 관통하고, 영상촬영부(21)에 직접 가스를 분출하도록 단부가 영상촬영부(21)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커버판부(264)는 커버삽입부(242)에 결합되고, 세정가변부(11)에 내장된다. 일 예로, 커버판부(264)는 복수개의 커버삽입부(242) 중에서 최소 직경을 갖는 커버삽입부(242)의 외측에 결합되고, 세정이동부(112)의 내측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커버판부(264)는 세정이동부(112)에 걸려, 세정이동부(112)와 연동될 수 있다.
판베어링부(265)는 커버판부(264)와 세정가변부(11)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판부(264)를 지지한다. 일 예로, 판베어링부(265)는 커버판부(264) 또는 세정이동부(112)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판베어링부(265)는 볼베어링이 커버판부(264)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정이동부(112)만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100)의 전열면 내부 상태를 확인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해, 세정이동부(112)를 보일러(100)에 삽입한다. 이때, 세정이동부(112)의 단부에는 영상촬영부(21)가 배치되고, 영상촬영부(21)는 보일러(100) 내부 상태를 촬영한다.
영상촬영부(21)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는 영상전달부(22)를 통해 영상표시부(23)에 표시되고, 작업자는 영상표시부(23)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보일러(100) 내부 부착물 여부를 인지한다.
보일러(100)의 환경에 따라 세정이동부(112)가 보일러(100) 내부에서 이동하여 세정가변부(11)의 길이가 가변된다. 만일, 부착물이 확인되면 세정공급부(12)를 통해 공급되는 증기가 세정이동부(112)의 단부에 형성되는 세정홀부(119)를 통해 배출되어 부착물을 제거한다. 이때, 세정이동부(112)가 회전되어 증기 배출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세정가변부(11)를 통과하는 증기에 의해 영상전달부(22)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정이동부(112)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영상커버부(24)와 영상냉각부(25)가 영상전달부(22)를 커버한다. 영상냉각부(25)는 지속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압축공기는 영상커버부(24)를 통과하면서 영상전달부(22)를 냉각시켜준다.
영상전달부(22)를 냉각한 압축공기는 영상노즐부(26)를 통해 영상촬영부(21)로 분사되어 영상촬영부(2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영상노즐부(26)와 세정이동부(112) 사이에 노즐베어링부(262)가 배치되므로, 세정이동부(112)가 회전되더라도 영상노즐부(26)는 회전되지 않고 지정된 위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세정부(10)에 영상부(2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작업자가 보일러(100) 내부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영상커버부(24)와 영상냉각부(25)가 영상전달부(22)를 커버하여 증기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영상전달부(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영상커버부(24)가 세정가변부(11)와 연동되도록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세정가변부(11)의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영상전달부(22)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영상냉각부(25)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영상커버부(24)를 통과하면서 영상전달부(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매장치(1)는 영상전달부(22)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가스가 영상노즐부(26)에 의해 영상촬영부(21)로 유도됨으로써, 영상촬영부(21)에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고,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세정부 11 : 세정가변부
12 : 세정공급부 20 : 영상부
21 : 영상촬영부 22 : 영상전달부
23 : 영상표시부 24 : 영상커버부
25 : 영상냉각부 26 : 영상노즐부
111 : 세정고정부 112 : 세정이동부
241 : 커버고정부 242 : 커버삽입부
261 : 노즐판부 262 : 노즐베어링부
263 : 노즐유도부 264 : 커버판부
265 : 판베어링부

Claims (8)

  1. 증기를 분사하여 보일러 내부 부착물을 제거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일러 내부 상태를 확인하는 영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길이가 가변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세정가변부; 및
    상기 세정가변부에 증기를 공급하는 세정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가변부는
    상기 세정공급부와 연결되는 세정고정부;
    상기 세정고정부를 감싸고, 증기 배출을 위한 세정홀부가 형성되는 세정이동부; 및
    상기 세정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세정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정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세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세정가변부의 단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가변부를 관통하여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영상전달부; 및
    상기 영상전달부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영상전달부를 감싸며, 상기 세정가변부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영상커버부; 및
    상기 영상커버부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영상전달부를 냉각시키는 영상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커버부는
    상기 영상냉각부와 결합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커버고정부; 및
    상기 커버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세정가변부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커버고정부에서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는
    상기 영상커버부에 형성되고, 상기 영상전달부에 공급된 가스를 상기 영상촬영부로 안내하여 상기 영상촬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영상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노즐부는
    상기 영상촬영부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삽입부가 타측에 결합되는 노즐판부;
    상기 노즐판부와 상기 세정가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판부를 지지하는 노즐베어링부;
    상기 노즐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삽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영상촬영부로 가스를 안내하는 노즐유도부;
    상기 커버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정가변부에 내장되어 상기 세정가변부에 걸리는 커버판부; 및
    상기 커버판부와 상기 세정가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판부를 지지하는 판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매장치.
KR1020150134164A 2015-09-22 2015-09-22 제매장치 KR20170035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64A KR20170035268A (ko) 2015-09-22 2015-09-22 제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64A KR20170035268A (ko) 2015-09-22 2015-09-22 제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68A true KR20170035268A (ko) 2017-03-30

Family

ID=5850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164A KR20170035268A (ko) 2015-09-22 2015-09-22 제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2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610B2 (ja) 内視鏡用ガイドチューブ
JP4889811B2 (ja) 内視鏡
US20170003493A1 (en) Endoscope objective, method for cleaning an endoscope objective and for repairing an endoscope
WO2020228382A1 (zh) 光学器件表面清洁装置及安全检查系统
JP6050211B2 (ja) 内視鏡
CN105377105A (zh) 内窥镜系统
WO2006073185A1 (ja) 内視鏡用挿入部
KR101755784B1 (ko) 포신 세척장치
EP3172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equipment inside a steam generator
US7914446B2 (en) Video inspection system
KR20170035268A (ko) 제매장치
JP2012187138A (ja) 硬性内視鏡
US10549326B2 (en) Swivel for sewer cleaning system
KR20160001022A (ko) 하수배관 맞춤형 막힘 제거 장치
JP6310367B2 (ja) 煙道調査装置
JP4750961B2 (ja) コークス炉内部観察装置
KR101418424B1 (ko) 파이프 내벽용 청소 검사 장치
JP5064090B2 (ja) 内視鏡装置
JP2010194094A (ja) 内視鏡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5384041B2 (ja) 内視鏡
JP6045811B2 (ja) 内視鏡
JP2010210221A (ja) ジェット洗浄方法
JP2005081263A (ja) ダクト内清掃装置
JP2011056083A (ja) 内視鏡
KR101873680B1 (ko) 코크스 오븐의 곡관부 클리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