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988A -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 Google Patents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988A
KR20170034988A KR1020150133150A KR20150133150A KR20170034988A KR 20170034988 A KR20170034988 A KR 20170034988A KR 1020150133150 A KR1020150133150 A KR 1020150133150A KR 20150133150 A KR20150133150 A KR 20150133150A KR 20170034988 A KR20170034988 A KR 20170034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fastened
desk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청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도산업 filed Critical (주)청도산업
Priority to KR102015013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988A/ko
Publication of KR2017003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balancing device, e.g. by spring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책상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레일과 밸런스판의 체결구조의 개선으로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한 특징 및 균형된 승하강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상판(10)에서 미끄럼 되는 책의 낙하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판(50)의 구성 그리고 상판을 연동하는 밸런스판(34)과 상판의 기울기를 연동하는 액츄레이터(33)를 각기 구성하여 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조가 용이하며,
본 발명은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에 양측다리판(20)을 체결하고,
상기 양측다리판(20)이 체결된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된 한쌍의 레일(31)에 형성된 받침봉(62) 끝단의 경첩(61)에 상판(10)을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과 분해가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Desk assembly method top up and down and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상판을 승하강 시키는 가이드봉을 사각관으로 구성시켜 장치수납박스의 양측 내벽에 체결되는 가이드부재에서 미끄럼 이송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양쪽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봉을 지지하는 밸런스판을 픽스(fix)볼트와 하우징으로 고정하므로 조립과 분해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종래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책상이라 함은 책상판이 일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 다리와 이 다리에 고정된 책상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책상은 제조과정에서 책상판의 높이 및 설치각이 수평되게 고정되어 설계 및 제조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 크기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또한 편리성을 위한 상판각 조절에 대한 개선이 미미하였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선행기술로 국내외에서 알려진 다수의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기술사상을 완전히 달리할 뿐만 아니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원 출원인의 선행기술들 KR 제 20-0373241호는 승강 구성을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서 와이어의 늘어짐, 안내롤에서의 이탈과 함께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구성의 KR 제 101015574호에서는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목적에 의한 구동모터로 연동하는 이송스크류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에 안내되고 이송스크류로 연동하는 이송부재에 모니터체결판을 고정하여 승하강하는 구성과 또다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을 개선한 KR 제 101126667호로 제시되되 스크류를 연동하는 웜기어와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모터로 연동시키고 상기 스크류로 승하강되어 승하강부재에 모니터를 체결하되, 컴퓨터 책상 뒤판에 고정되는 설치판에 탄성부재를 중첩하여 상하 고정부재를 체결함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한 소음 및 떨림등을 방지하고 승강부재에 가이드판과 장공을 뚫은 체결판을 체결시켜 모니터의 체결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발명들이 있다.
이러한 출원인의 선행기술들은 제조과정에서 일체로 조립된 후 조립상태로 이송과 보관됨으로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고장에서 수리작업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 10-1386559호를 제안하면서 특히, 책상 상판과 양측다리를 구성하는 좌우측판, 그리고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올리거나 내리고 또는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수용되는 장치실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각기 구분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함과 몸체부에는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판 승하강장치부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상판 각조절장치부가 구성되어 책상 사용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효과의 증대 및 효과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을 제공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기술에서 보다 새롭게 개선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 특허출원 제 10-2015-0023848호를 제안한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상판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봉을 안내하기 위하여 장치수납박스의 양측 내벽에서 돌출되게 체결된 가이드 레일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봉이 레일을 감싸지는 형태로 유착되어 미끄럼 되고 또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재에 밸런스판을 고정 시키기 위한 체결장공을 형성시켜 접착 또는 볼트로 체결함으로서 구성물이 많고 작업이 어려운 단점 및 미끄럼 이송에서의 마모에 따른 전후 쏠림 현상으로 승하강이 효과적으로 이송되지 못한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판의 승하강 그리고 상판의 각 조절을 위한 엑츄레이터(actuator)를 복수의 구성물로 적용함으로서 부품구입과 결합 및 고장이 많은 단점이 있어 왔다.
KR 실용신안등록 제 20-0373241 KR 특허 제 10-1015574호 KR 특허 제 10-1126667호 KR 특허 제 10-1386559호 본인의 선 특허출원 제 10-2015-0023848호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을 상하 이송하기 위한 한쌍의 레일과,
레일에 고정되는 밸런스판을 픽스로 고정체결시켜 구성이 간단하고 견고함과 변형방지로 레일의 승하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그리고 책상 상판과 상판각을 이송하는 구성을 액츄레이터로 적용하여 부품구입이 용이하고 고장이 없으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조립과 분해가 간단한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책상 상판(10)과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장치부가 수납되는 장치부박스(30)를 양측다리판(20)에 체결시켜 조립, 분해가 용이하고,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레일(31)에 체결된 상판(10)을 상하 연동시켜 상판을 승하강하는 책상(100)으로서,
장치부박스(30)를 구성하는 양측판(35) 내측면에 레일(31)과 밀착되는 슬라이드판(36)과, 레일(31) 양면에 밀착되어 레일(31)의 이송을 안내 하기 위한 안내롤(37)을 구성함과,
상기 레일(31)에 상하 체결공(41)을 뚫어 픽스앵커(40)의 볼트(42)를 체결하고, 레일(31) 내측으로 체결되는 밸런스판(34) 양측면에 픽스앵커(40)의 앵커봉(43)이 삽입되는 삽입공(44)과, 하우징공(45)을 뚫어 밸런스판(34)을 체결 구성함과,
상기 상판(10) 전면에 조절공(52)을 구성한 미끄럼방지판(50)을 볼트(51)로 연동 가능하게 체결시켜 미끄럼방지판(50)의 승하강으로 책의 낙하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상기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레일(31)에 체결된 밸런스판(34)을 장치부박스(30)의 저면판(32)에 힌지된 제 1액츄레이터(33)로 연동하고,
상기 밸런스판(34)에 제 2액츄레이터(33-1)를 힌지시켜 상판(10)의 후면부를 승하강하여 연동함으로 상판(10)이 전면부를 기점으로 기울어져 상판각을 조절하도록 구성함과 상기에서 구성되는 각각의 부재들을 소비자가 간단히 볼트 체결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방법과 그 책상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른 상판(10) 높이와 상판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책상 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을 제공하되,
상판을 승하강시키는 한쌍의 레일과, 레일의 밸런스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레일에 체결되는 밸런스판을 복수개의 픽스로 간단히 체결시켜 조립, 분해가 간단하고 견고성과 비용절감 및 레일의 승하강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
그리고 상판으로부터 책이 미끄러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및
본 발명의 책상은 포장을 분리한 상태로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에 양측다리판(20)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한 후 양측다리판(20)이 체결된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된 한쌍의 레일(31)에 형성된 받침봉(62) 끝단의 경첩(61)에 상판(10)을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과 함께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간단한 조립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책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요 장치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요부분 장치부박스에서의 레일과 밸런스판의 체결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요부분 장치부박스에서의 레일과 밸런스판의 체결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각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책상에서 책 낙하방지용 미끄럼방지판 설명도.
본 발명은 책상의 이송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책상 상판과 양측다리판 그리고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의 각 조절을 위한 장치부가 수용되는 장치부박스로 각기 구분시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특징,
상기 장치부박스 내 양측벽에 구성되는 레일 미끄럼판과, 상판 이송 레일구성이 간단하고, 한쌍의 레일과 밸런스판을 픽스볼트와 픽스하우징으로 체결시켜 견고한 체결 및 조립작업이 용이한 특징,
그리고 상판 승하강과 상판각 조절을 각각의 액츄레이터로 실시하도록 구성시켜 부품공급의 용이성과 제작이 용이한 특징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판이 기울어졌을 때 상판에 얹혀진 책 등이 미끄러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판(50)을 더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 상판(10)과 양측다리판(20), 그리고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장치부가 수납되는 장치부박스(30)가 양측다리판(20)에 체결되고,
상기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레일(31)에 체결된 상판(10)은 장치부박스(30)의 저면판(32)에 힌지된 제 1액츄레이터(33)가 레일(31)에 체결된 밸런스판(34)을 연동시켜 승하강시키고,
상기 밸런스판(34)에 제 2액츄레이터(33-1)를 힌지시켜 상판(10)의 후면부를 승하강하는 연동으로 상판(10)이 전면부를 기점으로 기울어져 상판각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서 상판(10)의 높낮이와 상판(10)의 기울기 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100)으로 구성함으로써,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과 양측다리판(20), 장치부박스(30)로 각기 분리 구성되어 간단히 분해로 보관이송이 간단하고, 현장에서의 간단한 조립으로 책상(10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 제 10-2015-0023848호에서 상판(10)을 승하강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31)의 승하강시 발생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밸런스와, 견고성을 제공하는 밸런스판(34)의 체결구성은 간단하고 고장이 없으면서 정밀한 밸런스로 승하강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다리판(20) 내측으로 체결되는 사각형상의 장치부박스(30)를 구성하는 양측판(35) 내측면에 레일(31)과 밀착되는 슬라이드판(36)과, 레일(31) 양면에 밀착되어 레일(31)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37)이 상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36)과 레일(31)이 밀착되는 면에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판재(38)를 더 구비하여 미끄럼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판(35)에 밀착되어 승하강되는 레일(31)이 하나의 제 1액츄레이터(33) 구동에 따라 승하강 될 때 불균형 등에 의한 좌우 쏠림현상으로 불량이송을 방지하고, 책상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레일(31)을 밸런스판(34)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레일(31)은 녹방지와 미끄럼이 향상되는 사각봉재로 구성하되, 상하로 복수의 체결공(41)을 뚫어 픽스앵커(40)의 볼트(42)를 체결함과 함께 한쌍의 레일(31) 내측으로 체결되는 밸런스판(34) 양측면에 픽스앵커(40)의 앵커봉(43)이 삽입되도록 삽입공(44)과, 삽입공(44)으로부터 직각으로 뚫리는 하우징공(45)을 구성하는 밸런스판(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스앵커(40)는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42)와 기다란 앵커봉(43), 그리고 폭이 좁은 후 다시 확대되어 끝단부에 확장된 앵커(46)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46)를 고정하고 견인하는 픽스하우징(47)은 외측으로 드라이버공을 구비하는 표면부의 내측으로 상기 앵커(46)를 고정하고 견인할 수 있도록 포크(48)가 구성되고, 포크(48)는 점차적으로 두께를 달리하여 픽스하우징(47)의 회전에 따라 포크(48)에 끼워진 앵커(46)가 체결한 상태에서 견인과 풀림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 구성은,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으로 상판(10)이 기울어지면서 상판(10)에 올려진 책(도면에서 미도시됨) 등이 미끄러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 전면에 미끄럼방지판(50)을 볼트(51)로 연동 가능하게 체결하되,
미끄럼방지판(50)에 일체의 장공으로 구성되고 좌우로 높낮이를 달리하는 조절공(52)을 구성시켜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판(50)은 상판(10)을 필요에 따라 기울기로 이동할 때 상판(10)에 얹혀진 책이 기울기로 미끄러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끄럼방지판(50)을 측면으로 이동하면, 높낮이 조절공(52)이 볼트(51)의 안내에 따라 이동되면서 미끄럼방지판(50)이 상판(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하여 책 등이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10)을 수평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미끄럼방지판(50)을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높낮이 조절공(52)이 볼트(51)의 안내로 이송되어 미끄럼방지판(50)이 상판(10)의 표면부와 일치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이송되어 상판(10)에서의 작업을 공지와 같이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상기 책상 상판(10)의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부박스(30)에 구성된 장치부는 액츄레이터로 설명되었지만 이와 달리 가스실린더로도 적용될 수 있음으로 상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책상 상판(10)의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으로 구성되되,
레일(31) 상하로 뚫린 체결공(41)에 픽스앵커(40) 볼트(42)의 체결로 돌출된 앵커봉(43)에 밸런스판(34)을 결합하고 직각으로 뚫린 하우징공(45)에서 픽스하우징(47)이 앵커봉(43)을 고정하여 조립되는 밸런스판(34)을 체결한 레일(31)이 장치부박스(30)내 양측벽면 슬라이드판(36)에 밀착되어 승하강 되도록 한 조립과,
상기 레일(31)과 슬라이트판(36)이 구성되고 상판(10) 높이와 상판각을 대각면으로 조절하기 위한 액츄레이터가 구성되는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와,
상기 장치부박스(30) 내에 구성된 조절장치부로 연동되고 끝단부에 받침봉(62) 끝단에 경첩(61)을 구성한 한쌍의 레일(31),
그리고 상기 레일(31)에 체결되는 상판(10)과 장치부박스(30) 양측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양측다리판(20)으로 구성시켜,
상기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대각면으로 조절하기 위한 액츄레이터로 구성되는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에 양측다리판(20)을 체결하고,
양측다리판(20)이 체결된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된 한쌍의 레일(31)에 형성된 받침봉(62) 끝단의 경첩(61)에 상판(10)을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수요자들이 구매한 본 발명은 집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어 구매비용의 절감과 판매에서는 조립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방법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61은 상판(10)의 경첩이고, 62는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봉이며, 상판(10)은 전후로 분리된 한쌍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일체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다리판(20)에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장치부가 수납되는 장치부박스(30)를 체결하고,
상기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레일(31)에 상판(10)을 체결시켜 책상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된 각각을 이송함으로서 이송과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부박스(30)의 저면판(32)에 힌지된 제 1액츄레이터(33)가 레일(31)에 체결된 밸런스판(34)을 연동시켜 레일(31)을 승하강함으로서 레일(31)에 구성된 상판(10)을 간단히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판(34)에 힌지된 제 2액츄레이터(33-1)를 연동함으로서 상판(10)의 후면부를 승하강시켜 상판(10)이 전면부를 기점으로 기울어져 상판 각을 조절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상판(10)의 높낮이 및 상판(10)의 기울기 각 조절은 온오프스위치(60)의 제어로 간단히 조절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장치부박스(30)의 저면판(32)에 힌지된 제 1액츄레이터(33)가 레일(31)에 체결된 밸런스판(34)을 연동시켜 레일(31)을 승하강함으로서 상판(10)을 간단히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판(10)과 레일(31), 밸런스판(34)은 중량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제 1액츄레이터(33) 만으로 연동함으로 양측의 레일(31)과 밸런스판(34)은 균형이 불량하여지면서 레일(31)이 수평된 상태로의 상하이송에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양측다리판(20) 내측으로 체결되는 사각형상의 장치부박스(30)를 구성하는 양측판(35) 내측면에 레일(31)과 밀착되는 슬라이드판(36)에 레일(31)의 미끄럼면이 밀착되어 레일(31)이송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작용과 함께 견고성, 그리고 안내롤(37)에 의해 안정적인 이송을 이루고 또는 슬라이드판(36)과 레일(31)이 밀착되는 미끄럼면에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판재(38)를 더 구비하여 미끄럼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실시예를 더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31)은, 녹방지와 미끄럼이 향상되는 사각봉재로 구성하되, 상하로 복수의 체결공(41)을 뚫어 픽스앵커(40)의 볼트(42)를 체결함과 함께 한쌍의 레일(31) 내측으로 체결되는 밸런스판(34) 양측면에 픽스앵커(40)의 앵커봉(43)이 삽입되도록 삽입공(44)을 뚫어 상기 레일(31)에 체결된 픽스앵커(40)의 앵커봉(43)을 삽입공(44)에 삽입하고, 직각으로 뚫리는 하우징공(45)에 픽스하우징(47)을 삽입하여 앵커봉(43)의 끝단부에 확장된 앵커(46)를 견인하면서 고정체결함으로 밸런스판(34)의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성을 충족하는 한편 사용으로 풀림 되는 경우에도 픽스하우징(47)을 더 조임함으로써 견고성을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판(10)을 비스듬히 기울일 때 상판(10)에 올려진 책(도면에서 미도시됨) 등이 미끄러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 전면에 미끄럼방지판(50)을 볼트(51)로 연동 가능하게 체결하고 체결된 미끄럼방지판(50)을 측면으로 이동하면 높낮이 조절공(52)이 볼트(51)의 안내에 따라 이동되면서 미끄럼방지판(50)이 상판(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이동하여 책 등이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10)을 수평상태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미끄럼방지판(50)을 역방향으로 이동하면, 높낮이 조절공(52)이 볼트(51)의 안내로 이송되어 미끄럼방지판(50)이 상판(10)의 표면부와 일치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이송되어 상판(10)에서의 작업을 공지와 같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른 상판(10) 높이를 자유롭게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신체가 작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책상(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효과의 증대와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에서의 작업을 보다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책상 상판(10)의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부박스(30)에 구성된 장치부는 액츄레이터로 설명되었지만 이와 달리 가스실린더로도 적용될 수 있음으로 상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책상 상판(10)의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대각면으로 조절하기 위한 액츄레이터로 구성되는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와,
상기 장치부박스(30) 내에 구성된 조절장치부로 연동되고 끝단부에 받침봉(62) 끝단에 경첩(61)을 구성한 한쌍의 레일(31),
그리고 상기 레일(31)에 체결되는 상판(10)과 장치부박스(30) 양측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양측다리판(20)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각각의 부재를 포장하여 보관 또는 판매에서 소비자가 간단히 이송할 수 있고,
이상의 본 발명의 책상을 구매한 소비자는 설치할 장소, 사무실 또는 집에서 포장을 분리한 상태로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에 양측다리판(20)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양측다리판(20)이 체결된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된 한쌍의 레일(31)에 형성된 받침봉(62) 끝단의 경첩(61)에 상판(10)을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과 함께 전원을 연결함으로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자가 현장에서 간단히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제조자에 의한 조립에 따른 비용 절감과 판매점에서도 조립과 운송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방법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됨은 물론이다.
10 : 상판 20 : 양측다리판 30 : 장치부박스
31 : 레일 32 : 저면판 33 : 제 1액츄레이터
33-1 : 제 2액츄레이터 34 : 밸런스판 35 : 양측판
36 : 슬라이드판 37 : 안내롤 38 : 미끄럼판재
40 : 픽스앵커 41 : 체결공 42, 51 : 볼트
43 : 앵커봉 44 : 삽입공 45 : 하우징공
46 : 앵커 47 : 픽스하우징 48 : 포크
50 : 미끄럼방지판 52 : 조절공 100 : 책상

Claims (5)

  1. 책상 상판(10)의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으로 구성되되,

    레일(31) 상하로 뚫린 체결공(41)에 픽스앵커(40) 볼트(42)의 체결로 돌출된 앵커봉(43)에 밸런스판(34)을 결합하고 직각으로 뚫린 하우징공(45)에서 픽스하우징(47)이 앵커봉(43)을 고정하여 조립되는 밸런스판(34)을 체결한 레일(31)이 장치부박스(30)내 양측벽면 슬라이드판(36)에 밀착되어 승하강 되도록 한 조립과,

    상기 레일(31)과 슬라이트판(36)이 구성되고 상판(10) 높이와 상판각을 대각면으로 조절하기 위한 액츄레이터가 구성되는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와,

    상기 장치부박스(30) 내에 구성된 조절장치부로 연동되고 끝단부에 받침봉(62) 끝단에 경첩(61)을 구성한 한쌍의 레일(31),

    그리고 상기 레일(31)에 체결되는 상판(10)과 장치부박스(30) 양측으로 체결되는 한쌍의 양측다리판(20)으로 구성시켜,

    상기 상판(10)의 높이와 상판각을 대각면으로 조절하기 위한 액츄레이터로 구성되는 조절장치부가 수용된 장치부박스(30)에 양측다리판(20)을 체결하고,

    양측다리판(20)이 체결된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된 한쌍의 레일(31)에 형성된 받침봉(62) 끝단의 경첩(61)에 상판(10)을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과 분해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
  2. 책상 상판(10)과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장치부가 수납되는 장치부박스(30)를 양측다리판(20)에 체결시켜 조립, 분해가 용이하고,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레일(31)에 체결된 상판(10)을 상하 연동시켜 상판을 승하강하는 책상(100)으로서,

    장치부박스(30)를 구성하는 양측판(35) 내측면에 레일(31)과 밀착되는 슬라이드판(36)과, 레일(31) 양면에 밀착되어 레일(31)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37)을 구성함과,

    상기 레일(31)에 상하 체결공(41)을 뚫어 픽스앵커(40)의 볼트(42)를 체결하고, 레일(31) 내측으로 체결되는 밸런스판(34) 양측면에 픽스앵커(40)의 앵커봉(43)이 삽입되는 삽입공(44)과, 하우징공(45)을 뚫어 밸런스판(34)을 체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전면에 조절공(52)을 구성한 미끄럼방지판(50)을 볼트(51)로 연동 가능하게 체결시켜 미끄럼방지판(50)의 승하강으로 책의 낙하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박스(30)에서 돌출되어 승하강되는 레일(31)에 체결된 밸런스판(34)을 장치부박스(30)의 저면판(32)에 힌지된 제 1액츄레이터(33)로 연동하고,

    상기 밸런스판(34)에 제 2액츄레이터(33-1)를 힌지시켜 상판(10)의 후면부를 승하강하도록 연동함으로써 상판(10)이 전면부를 기점으로 기울어져 상판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상판(10)의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부박스(30)에 구성된 장치부는 액츄레이터와 가스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KR1020150133150A 2015-09-21 2015-09-21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KR20170034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50A KR20170034988A (ko) 2015-09-21 2015-09-21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50A KR20170034988A (ko) 2015-09-21 2015-09-21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988A true KR20170034988A (ko) 2017-03-30

Family

ID=5850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50A KR20170034988A (ko) 2015-09-21 2015-09-21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98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KR101015574B1 (ko) 2010-10-11 2011-02-17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386559B1 (ko) 2013-07-24 2014-05-07 (주)청도산업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KR20150023848A (ko) 2013-04-04 2015-03-0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미립자 제조 방법,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정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정극 활물질 및 이것을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 그리고 미립자 제조용 원료 에멀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KR101015574B1 (ko) 2010-10-11 2011-02-17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20150023848A (ko) 2013-04-04 2015-03-0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미립자 제조 방법,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정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정극 활물질 및 이것을 이용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 그리고 미립자 제조용 원료 에멀전
KR101386559B1 (ko) 2013-07-24 2014-05-07 (주)청도산업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481B2 (en) Motorized adjustable height table
US8967373B2 (en) Conveyor
JP6156615B2 (ja) 移載装置
JP5629534B2 (ja) 移載装置
KR101386559B1 (ko)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KR101278295B1 (ko) 승강장치
JP2012051680A (ja) 移載装置
EP2881621B1 (en) Actuator
JP2012012152A (ja) 昇降装置
KR20170034988A (ko) 책 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의 조립방법과 그 책상
JP2007222392A (ja) 物品落下防止装置
KR101479871B1 (ko) 벤딩기
KR20130138069A (ko) 승강형 수납장
JP2009269698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装置
JP2008024472A (ja) チェーンコンベヤ装置
KR101753462B1 (ko)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JP2007223793A (ja) コンベヤフレーム
JP2014068070A (ja) 画像表示装置の昇降装置
CN109809118B (zh) 传送装置
US20080264308A1 (en) Stand with lifting and lowering function
JP2021139456A (ja) 移動装置及び移動装置を備えた昇降台車
JP2020045202A (ja) ベルト張力調整機構、ベルト式昇降装置及び無人搬送車
JP2008080139A (ja) 物品落下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棚
KR10237462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KR101029355B1 (ko)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3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22

Effective date: 20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