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070A -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070A
KR20170034070A KR1020150132278A KR20150132278A KR20170034070A KR 20170034070 A KR20170034070 A KR 20170034070A KR 1020150132278 A KR1020150132278 A KR 1020150132278A KR 20150132278 A KR20150132278 A KR 20150132278A KR 20170034070 A KR20170034070 A KR 2017003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ink
spacer
blocks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지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지오그린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070A/ko
Publication of KR2017003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블록과 서로 형합되고 하부에 저류채널(15)이 형성되는 링크블록(10)과,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골재(30)와, 상기 제1지지골재(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골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블록(10)에는 링크홀(18)이 상기 링크블록(10)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이웃한 링크블록(10)과 연결수단(W)에 의해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은 링크형 블록조립체에 저류채널(15)이 형성되어 블록의 하부에 유입된 우수를 저류하여 우수의 저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복층으로 구성되어 이원화된 제1 및 제2지지골재(50)를 통해 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투수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블록(10)이 연결수단(W)으로 연결되어 블록어레이(B)를 구성하므로, 다수개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운반 및 시공하는 것보다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Link type block assembly having water permeability and undercurrent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도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블록이 와이어 등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운송 및 시공가능하고, 내부에 저류공간이 형성되는 복층형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근래에 들어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도시 인구 밀집현상으로 인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불투수면이 확대되고 하천부지 및 산림습지의 감소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인도나 차도의 경우,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계속 고여 있게 되어 보도상의 통행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빗물등이 지하로 침투되지 못하여 하천의 범람원이 되고 지하수가 고갈되며 토양이 사막화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투수성 블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투수블록들은 투수블록 자체의 공극을 이용하여 빗물 등 액체가 지반 방향으로 스며들게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공극이 막혀 투수계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록의 하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저수블록의 경우에는 저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블록의 일부가 요입된 형상을 가지는데, 저수공간이 커질 경우 블록의 내구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블록은 지면 위에 기층골재를 포설하고 그 상부에 안정층의 모래를 포설한 후에 블록포장을 실시하는 층상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면의 지지력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보조기층과 모래의 포설 두께를 규격화함으로써 블록포장 후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노면의 평탄성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보조기층과 모래층에서 투수능력의 상쇄로 이어져 불투수성에 가까운 포장체가 되고, 물순환 측면에서 굉장히 불리한 구조가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블록들은 시공과정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운반되고,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시공 방식은 공사 기간을 연장시키고, 많은 인력을 요구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연구 개발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811호(2005.03.07) 등에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8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조립체에 저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우수의 저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구조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접한 블록과 서로 형합되고 하부에 저류채널이 형성되는 링크블록과, 상기 링크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골재와, 상기 제1지지골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골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에는 링크홀이 상기 링크블록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이웃한 링크블록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골재와 상기 제2지지골재는 각각 단입도골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골재의 입도 보다 상기 제2골재의 입도가 크다.
상기 링크블록은 링크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블록몸체와, 상기 링크블록몸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레그와, 상기 하부레그 사이에 형성되는 저류채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류채널은 상기 링크블록몸체의 하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1채널과 제2채널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블록과 상기 제1지지골재 사이에는 스페이서블록이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하부레그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는 상기 저류채널과 연결되는 저류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블록의 하부레그를 지지하는 안착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스페이서몸체에 안착된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사이를 따라 제1배수채널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1배수채널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수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외면에는 연결돌부 또는 연결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이웃한 스페이서블록과 연결가능하다.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링크블록의 모서리에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설치하는 지지부재설치단계와, 상기 제1지지부재 상에 다수개의 스페이서블록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스페이서블록설치단계와, 하부에 저류채널이 형성되는 다수의 링크블록을 상기 링크블록에 형성된 링크홀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블록어레이를 형성하는 블록어레이조립단계와, 상기 블록어레이를 상기 스페이서블록 상에 안착시키는 블록어레이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은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레그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는 상기 저류채널과 연결되는 저류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연결단계에서 상기 링크블록에 형성된 링크홀을 연결수단이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다수개의 링크블록 사이가 연결된다.
상기 링크블록설치단계를 통해 다수개의 링크블록이 연결된 블록어레이는 블록어레이 외부로 노출된 연결수단의 양단이 각각 리프팅지그에 연결되어 함께 이송 및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지그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몸체를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몸체는 다수의 바형 부재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중첩된 상기 다수의 바형 부재가 상대이동하여 프레임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링크형 블록조립체에 저류채널이 형성되어 블록의 하부에 유입된 우수를 저류하여 우수의 저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블록의 하부에 모래층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제1 및 제2지지골재를 시공하여 우수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투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링크블록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블록을 통해 복층으로 구성되고, 링크블록 하부에 형성된 저류채널과 스페이서블록 사이에 형성된 저류공간이 함께 전체 저류체적을 증가시키므로, 블록조립체의 저류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스페이서블록에는 서로 이웃한 링크블록 사이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채널이 형성되어, 블록조립체의 저류성능 뿐 아니라 배수성능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블록의 하부에 모래를 대신하여 단입도의 제1지지골재가 설치되므로,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노면의 평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래층에서 투수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순환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링크블록이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블록어레이를 구성하므로, 다수개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운반 및 시공하는 것보다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링크블록을 통해 평탄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블록어레이는 리프팅지그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되거나 설치될 수 있으며, 리프팅지그는 길이 가변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크기와 길이의 블록어레이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설치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리프팅지그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록어레이의 처짐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송 및 설치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블록을 사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블록어레이의 처짐각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의 일실시례가 다수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링크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링크블록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페이서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류공간 및 저류채널이 서로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의 다른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링크블록이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어레이를 구성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링크블록이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블록어레이를 구성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는 다수개의 블록어레이 사이가 하나의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엮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리프팅지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리프팅지그를 이용하여 블록어레이를 리프팅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는 다수개의 링크블록(10)과 스페이서블록(70), 그리고 제1지지골재(30) 및 제2지지골재(50)가 적층되어 하나의 블록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링크블록(10)의 외관 및 골격은 링크블록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링크블록몸체(11)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외면에 돌출부(13)와 요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웃한 링크블록(10)과 형합가능한 입체구조를 갖는다. 물론 상기 링크블록몸체(11)는 단순한 육면체 형상이나 6각기둥형태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링크블록몸체(11)는 콘크리트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그 구체적인 성분은 일반적인 보도 블록과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에는 하부레그(14)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레그(14)는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블록(70, 도 2의 실시례) 또는 제1지지골재(30, 도 6의 실시례)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레그(14)는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에 리브형태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레그(14) 저면의 4모서리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하부레그(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레그(14) 사이에는 저류채널(15)이 형성된다. 상기 저류채널(15)은 우수를 보관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저류채널(15)은 상기 링크블록(10)의 저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류체널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아치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류채널(15)은 상기 링크블록몸체(11)의 하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1채널(15a)과 제2채널(15b)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류채널(15)은 저류체적이 커지고, 링크블록(10)의 설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웃한 링크블록(10)과 연속된 저류채널(1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채널(15a)과 제2채널(15b)이 만나는 부분에는 중심공간(16)이 형성되어 저류체적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제1저류채널(15a)의 서로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와 같이, 제1저류채널(15a)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도 6(b)와 같이 제1저류채널(15a)은 사다리꼴 등 다각형태이거나, 또는 6(c)와 같이 제1저류채널(15a)이 하나의 링크블록몸체(11)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블록몸체(11)에는 링크홀(18)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링크홀(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수단(W)인 와이어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웃한 링크블록(10)의 각 링크홀(18)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연속되므로, 이들 링크홀(18)들을 통과한 하나의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다수개의 링크블록(10)이 하나의 블록어레이(B)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홀(18)은 상기 링크블록몸체(11)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는 하나의 링크블록몸체(11)를 연결수단(W)이 반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링크홀(18)은 하나의 링크블록몸체(11)에 적어도 2개 또는 4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링크홀(18)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한 쌍의 링크홀(18)이 나란히 연장되어 총 4개의 링크홀(18)이 형성된다.
도 8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상기 링크블록(10)이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어레이(B)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링크블록(10)이 일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다수개의 링크블록(10)에 형성된 링크홀(18)을 하나의 연결수단(W)인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이들 사이가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블록어레이(B)는 연결수단(W)에 의해 연결된 링크블록(10) 사이가 어느 정도 상대회전가능하고, 따라서 연결수단(W)은 일종의 관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9에는 다수개의 블록어레이(B1~B4)가 다수개의 연결수단(W1~W4)에 의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블록어레이(B1~B4)는 별개의 연결수단(W1~W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데, 이에 따라 블록어레이(B1~B4)의 개수와 연결수단(W1~W4)의 개수가 같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어레이(B1~B4)들은 후술할 리프팅지그(100)에 의해 동시에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면서 운송과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다수개의 블록어레이(B1~B4)가 하나의 연결수단(W)에 의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하나의 연결수단(W)이 서로 이웃한 블록어레이(B1~B4)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들을 하나로 엮어낼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10)의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에 블록이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이격공간(S2)은 블록사이의 틈을 통해 우수가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블록이격공간(S2)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블록(70)에 의해 시공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이격공간(S2)은 링크블록(10)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면과 함께 블록 표면의 결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링크블록(10)의 모서리에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은 서로 이웃한 링크블록(10)이 연결수단(W)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처질 경우에, 직교한 모서리에 의해 상대회전각도가 제한되거나 서로 맞물리는 모서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링크블록(10)의 하부에는 제1지지골재(30)와 제2지지골재(50)가 적층된다. 상기 제1지지골재(30)와 제2지지골재(50)는 상기 링크블록(10) 및 후술할 스페이서블록(70)의 설치에 앞서 미리 지면에 시공되는 것으로, 제1지지골재(30) 및 제2지지골재(50)는 각각 단입도골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골재(30) 및 제2지지골재(50)가 각각 단입도 쇄석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강수에 따른 지반의 포화상태에서도 블록포장의 지지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골재(30)의 입도 보다 상기 제2지지골재(50)의 입도가 큰데, 이는 제1지지골재(30)는 시공면의 평탄화가 주된 역할이고, 제2지지골재(50)는 우수의 배수가 주된 역할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지골재(30)는 13mm, 제2지지골재(50)는 25m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블록(10)과 상기 제1지지골재(30) 사이에는 스페이서블록(70)이 구비되어 상기 링크블록(10)을 지지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은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10)의 하부레그(14)를 각각 지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페이서블록(70)이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설치되어 다수개의 블록어레이(B)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70) 역시 상기 링크블록(1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70) 사이에는 저류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저류공간(S1)은 우수가 머무를 수 있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상기 링크블록(10)의 저류채널(15)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저류채널(15)은 하부로 개방된 형태이므로, 상기 저류공간(S1)과 연결되는 것인데, 상기 저류공간(S1)은 상기 저류채널(15)과 함께 블록조립체의 전체 저류체적을 크게 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몸체(71)가 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몸체(71)는 상기 링크블록(10) 보다 큰 길이, 예를 들어 링크블록(10) 길이의 정수배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다수개의 링크블록(10)이 하나의 스페이서블록(7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몸체(71)에는 안착가이드(7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가이드(73)는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상면 양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스페이서몸체(71)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73)는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레그(14)를 지지하는 것으로, 링크블록(10)의 하부레그(14)와 대응되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안착가이드(73)는 각각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10)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안착가이드(73) 없이 상기 스페이서블로(70)의 상면에 링크블록(10)이 직접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상면에는 제1배수채널(75)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배수채널(75)은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중심에 형성되되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배수채널(75)은 상기 스페이서몸체(71)에 안착된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10)의 사이를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링크블록(10)의 사이에 형성된 블록이격공간(S2)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상기 제1배수채널(75)로 안내되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한 쌍의 안착가이드(73) 사이의 폭은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10)이 상기 스페이서몸체(7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두 링크블록(10) 사이에 블록이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링크블록(10) 사이가 유격 없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안착가이드(73)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두 링크블록(10)이 어느 정도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몸체(71)의 상부에는 상기 제1배수채널(75)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수채널(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채널(78)은 상기 제1배수채널(75)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을 통한 배수가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링크블록(10) 하부에 형성된 저류공간(S1)을 이와 이웃한 다른 저류공간(S1)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의 외면에는 연결돌부 또는 연결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이웃한 스페이서블록(70)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돌부는 상기 스페이서블록(7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체결구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의 양측 외면에는 각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별개물인 체결구(A)가 삽입되되 그 일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이웃한 스페이서블록(70)의 연결홈에 삽입되어 두 스페이서블록(70)이 정렬될 수 있다.
물론,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이 생략되고 상기 링크블록(10)이 제1지지골재(30)에 직접 안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면에 제1지지골재(30) 및 제2지지골재(50)가 설치되는 지지부재설치단계가 선행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대적으로 큰 입도를 갖는 제2지지골재(5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입도를 갖는 제1지지골재(30)가 적층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골재(30) 상에 다수개의 스페이서블록(7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스페이서블록설치단계가 이어진다.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데,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의 설치길이는 시공장소와 설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블록(70)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페이서블록(70) 사이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연결홈과 연결돌부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어서 블록어레이(B)를 조립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상기 블록어레이(B)는 다수개의 링크블록(10)을 연결수단(W)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조립되는데, 여기서 연결수단(W)은 와이어나 체인 등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서로 인접하게 놓인 링크블록(10)의 링크홀(18)을 연결수단(W)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면 다수개의 링크블록(10)이 서로 연결되어 블록어레이(B)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블록어레이(B)가 준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블록어레이(B)가 조립되면, 다수개의 링크블록(10)에 각각 형성된 저류채널(15)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블록어레이(B)를 상기 스페이서블록(70) 상에 안착시키는 블록어레이설치단계가 이어진다. 상기 블록어레이(B)는 시공할 장소에 앞서 설치된 스페이서블록(70)의 상부에 안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블록어레이(B)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페이서블록(70)의 하부레그(14)가 상기 스페이서블록(70)의 안착가이드(73)에 안착되도록 상기 블록어레이(B)가 설치된다. 상기 하나의 스페이서블록(70)의 상부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링크블록(10)의 일부가 안착되고, 그 사이에는 블록이격공간(S2)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록어레이(B)는 리프팅지그(100)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면서 설치된다. 상기 리프팅지그(100)는 도 11에서 보듯이,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이에 구비된 고정수단(130)에 의해 블록어레이(B) 외부로 노출된 연결수단(W)의 양단이 각각 리프팅지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지그(100)는 대략 틀형태의 프레임몸체(110)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레임몸체(110)는 바형 부재로 구성되는데, 반드시 사각틀형태일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0과 달리, 상기 프레임몸체(110)에는 상기 프레임몸체(110)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110)에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프레임몸체(11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130)이 이동가능함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30)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블록어레이(B)가 고정되는 위치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프레임몸체(110)에 고정되는 연결부(140)와, 상기 연결부(140) 일단에 구비되는 고리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50)는 상기 블록어레이(B) 외부로 노출된 연결수단(W)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리부(150)의 형태는 후크나 링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몸체(110)는 다수의 바형 부재가 중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첩된 상기 다수의 바형 부재가 상대이동하여 프레임몸체(11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접된 프레임몸체(110)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프레임몸체(11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리프팅지그(100)에 고정되는 블록어레이(B)의 전체 길이도 가변될 수 있다. 도면부호 120은 중첩된 바형 부재 중 내측의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리프팅지그(100)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록어레이(B)의 처짐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송 및 설치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어레이(B)를 적절하게 처지도록 하여 가장 처진 중심부의 링크블록(10)부터 스페이서블록(70)에 안착되고, 점차 외곽의 링크블록(10)이 안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도 12에는 리프팅지그(100)를 이용하여 블록어레이(B)를 들어올리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리프팅지그(100)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록어레이(B)의 처짐각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블록을 사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의 시공이 마무리되면, 상기 링크블록(10)의 하부에 형성된 저류채널(15)과, 스페이서블록(70) 사이의 저류공간(S1)이 저류체적을 증가시켜 블록조립체의 저류기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저류공간(S1)은 집중호우시에 일시적으로 우수를 보관하였다가 시간차를 두고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여 침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을 이용한 블록시스템을 테스트한 결과, 블록의 강도 및 단위 하중 변화없이 블록크기의 20%에 해당하는 저류공간(S1)을 확보하였으며, 투수계수는 약 3㎜/sec,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40MPa, 휨강도 9MPa이상으로 차량통행이 가능하였으고 링크블록(10)의 모서리 곡률반경과 링크블록(10)의 결합 간격으로 표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링크블록 11: 링크블록몸체
13: 돌출부 14: 하부레그
15: 저류채널 18: 링크홀
30: 제1지지골재 50: 제2지지골재
70: 스페이서블록 71: 스페이서몸체
73: 안착가이드 75: 제1배수채널
78: 제2배수채널 100: 리프팅지그
S1: 저류공간 S2: 블록이격공간
B: 블록어레이 W: 연결수단

Claims (14)

  1. 인접한 블록과 서로 형합되고 하부에 저류채널이 형성되는 링크블록과,
    상기 링크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골재와,
    상기 제1지지골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골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에는 링크홀이 상기 링크블록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이웃한 링크블록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가능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골재와 상기 제2지지골재는 각각 단입도골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골재의 입도 보다 상기 제2골재의 입도가 큰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블록은
    링크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링크블록몸체와,
    상기 링크블록몸체의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레그와,
    상기 하부레그 사이에 형성되는 저류채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류채널은 상기 링크블록몸체의 하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1채널과 제2채널로 형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블록과 상기 제1지지골재 사이에는 스페이서블록이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하부레그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는 상기 저류채널과 연결되는 저류공간이 형성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블록의 하부레그를 지지하는 안착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스페이서몸체에 안착된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사이를 따라 제1배수채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1배수채널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수채널이 형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외면에는 연결돌부 또는 연결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이웃한 스페이서블록과 연결가능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블록의 모서리에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10. 지면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설치하는 지지부재설치단계와,
    상기 제1지지부재 상에 다수개의 스페이서블록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스페이서블록설치단계와,
    하부에 저류채널이 형성되는 다수의 링크블록을 상기 링크블록에 형성된 링크홀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블록어레이를 형성하는 블록어레이조립단계와,
    상기 블록어레이를 상기 스페이서블록 상에 안착시키는 블록어레이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은 서로 이웃한 두 링크블록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레그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스페이서블록 사이에는 상기 저류채널과 연결되는 저류공간이 형성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연결단계에서 상기 링크블록에 형성된 링크홀을 연결수단이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다수개의 링크블록 사이가 연결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블록설치단계를 통해 다수개의 링크블록이 연결된 블록어레이는 블록어레이 외부로 노출된 연결수단의 양단이 각각 리프팅지그에 연결되어 함께 이송 및 설치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지그는
    프레임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몸체를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는 다수의 바형 부재가 중첩되어 구성되고, 중첩된 상기 다수의 바형 부재가 상대이동하여 프레임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KR1020150132278A 2015-09-18 2015-09-18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34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78A KR20170034070A (ko) 2015-09-18 2015-09-18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78A KR20170034070A (ko) 2015-09-18 2015-09-18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70A true KR20170034070A (ko) 2017-03-28

Family

ID=5849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78A KR20170034070A (ko) 2015-09-18 2015-09-18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0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11A (ko)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관통홀이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811A (ko) 2005-03-07 2006-09-18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관통홀이 형성된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978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US8523486B2 (en) Concrete culver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H02229303A (ja) ベント式セル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047033A1 (en) Support member or reinforcement for use in earthworks
US9970166B2 (en) Concrete bridge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170034070A (ko) 투수 및 저류기능을 갖는 링크형 블록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US11879246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109006028A (zh) 一种模块式结构的海绵城市绿化景观道路
KR102252400B1 (ko) 포장용 저류 블록
CN218951862U (zh) 一种柔性基层沥青路面结构
KR20230092533A (ko) 투수성 격자 매트 및 그 시공방법
EP2986780A1 (en) Concrete bridge system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