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784A - 벨트 장력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장력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784A
KR20170033784A KR1020160117765A KR20160117765A KR20170033784A KR 20170033784 A KR20170033784 A KR 20170033784A KR 1020160117765 A KR1020160117765 A KR 1020160117765A KR 20160117765 A KR20160117765 A KR 20160117765A KR 20170033784 A KR20170033784 A KR 2017003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djusting
base member
belt
arm
adjus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부헨
얀 디블릭
프레데릭 폴메어
Original Assignee
무어 운트 벤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어 운트 벤더 카게 filed Critical 무어 운트 벤더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03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4Selection of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장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3)와; 회동 축(A)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4)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롤러(7)와; 장력 조정 아암(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과; 그리고, 베이스 부재(3)에 장력 조정 아암(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40)로서,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적어도 2개의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를 포함하는 접속 조립체(40);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제1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사이에는, 제2 베이스 부재 접속부(42', 41")와 제2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벨트 장력 조정 장치{BELT 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벨트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무한 벨트와, 하나의 풀리는 구동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하나의 풀리는 벨트 구동부의 출력 역할을 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풀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 구동부는 보조 유닛을 구동하기 위해 자동차의 내연 기관에서 특별히 사용되며, 제1 풀리가 내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에 배치되어 벨트를 구동한다. 다른 벨트 풀리는 보조 유닛, 예컨대, 워터 펌프, 발전기 또는 에어컨 압축기와 연관되며, 벨트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일반적인 벨트 구동부에서는, 액세서리 또는 보조 조립체로 지칭될 수도 있는 보조 유닛이 소비자로서 설계되며, 즉, 이들이 벨트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의 벨트 풀리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크랭크 샤프트와 일반적으로는 발전기인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후속하는 유닛 사이에 벨트의 비구동 측이 배치된다. 벨트 풀리 주위에 벨트가 충분히 감기도록 보장하기 위해,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장력 조정 롤러에 의해 벨트가 예비 인장된다.
EP 2 573 423 A1으로부터, 상술한 유형의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장력 조정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장착된 상태에서 장력 조정 아암의 회동 축이 조립체의 벨트 풀리의 외경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자동차 부품의 중량을 경감할 필요성과 함께, 연료 소비량과 CO2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분야에서도, 중량을 경감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출원인의 DE 10 2014 206 716 A1으로부터,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장력 조정 아암과,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전체적으로 낮은 중량을 포함하도록, 베이스 부재와 장력 조정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특히, 콤팩트하게 설계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에서는, 엔진 작동에서 스타터 작동으로 변할 때 발생하는 벨트 구동부에서의 큰 회전 변화가 벨트 장력 조정 장치에서의 높은 마찰 출력과 그에 대응하는 열 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긴 가용 수명 동안 스타터 발전기를 구비한 벨트 구동부에서 사용되기 위한 각각의 기술적 요건을 만족하도록,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적절한 열 소산을 허용하는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해결책을 제공하는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정지된 부품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와; 회동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롤러로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력 조정 아암에 접속된 장력 조정 롤러와;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베이스 부재에 장력 조정 아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로서,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제1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 사이에는, 제2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제2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된다.
제2 해결책을 제공하는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정지된 부품에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와; 회동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롤러로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력 조정 아암에 접속된 장력 조정 롤러와;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베이스 부재에 장력 조정 아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로서,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조립체;를 포함하고, 장력 조정 아암은 조립체의 구동 샤프트 및/또는 벨트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속으로 연장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며, 개구를 둘러싸는 장력 조정 아암의 벽체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리브를 구비하고, 리브는 헤드부(head portion)에서보다 풋부(foot portion)에서 더 큰 두께를 포함한다.
이 두 가지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경우, 이들 모두 적절한 열 소산을 허용한다는 점과, 이들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장력 조정 아암과 베이스 부재가 플러그-인 및 회전 운동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 조립체가 설계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더 큰 접촉 표면 영역과 높이를 따라 가변적인 폭을 포함하는 리브 설계가 접촉 영역으로부터 적절한 열 소산을 허용함에 따라, 스타터 발전기를 구비한 벨트 구동부에서 장력 조정 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기술적 요건이 긴 가용 수명 동안 보장되도록, 특히 보장한다.
이 두 가지 해결책이 대안으로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제1 해결책은 제2 해결책의 리브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역으로, 제2 해결책은 제1 해결책의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 표면 영역을 가진 접속 조립체의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능성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원-아암(one-arm) 장력 조정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즉, 정확하게 1개의 장력 조정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장력 조정 아암이 베이스 부재에 대해 스프링 수단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제2 가능성에 따르면,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투-아암(two-arm) 장력 조정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즉, 정확하게 2개의 장력 조정 아암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장력 조정 아암이 스프링 수단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지된다. 투-아암 장력 조정 장치는, 벨트 구동부에 스타터 발전기 형태의 다른 보조 유닛, 즉, 작동 상황에 따라 스타터 또는 발전기로서 작동될 수 있는 전기 모터가 통합되는, 벨트 구동부에서 사용된다. 본 개시물의 맥락에서, "일 장력 조정 아암" 또는 "이 장력 조정 아암"에 대한 모든 세부 사항은 제2 장력 조정 아암에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접속 조립체는 서로 상호 작용하는 베이스 부재와 연관된 복수의 접속부와 장력 조정 아암과 연관된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는, 장력 조정 아암과 베이스 부재가 삽입(플러그-인) 운동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 정도로, 상기 접속은 바요넷 타입(bayonet-type) 접속과 같이 기능하므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용이한 조립을 보장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연관된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 사이에 각각의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촉 표면 영역"은 베이스 부재 접속부와 연관된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 사이의 상호 축 방향 지지 및 상호 표면 중첩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제1 접속부와 장력 조정 아암의 제1 접속부 사이의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베이스 부재의 제2 접속부와 장력 조정 아암의 제2 접속부 사이의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것을 제안한다. 즉, 베이스 부재와 장력 조정 아암의 제1 접속부들 사이의 상호 중첩 영역이 제2 접속부들 사이의 중첩 영역보다 더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표면 영역은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적어도 10% 더 크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적어도 20% 더 크며,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30% 더 크다.
접속 조립체는, 대응하여 더 많은 개수의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부재와 장력 조정 아암 사이에 3개 이상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크기와 관련하여, 상기 추가적인 영역은 제1 접촉 표면 영역 또는 제2 접촉 표면 영역에 대응할 수 있거나, 그들의 크기가 그들의 접촉 표면 영역으로부터 일탈할 수도 있다.
접속 기구로 지정될 수도 있는 접속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장력 조정 아암이 정확하게 1개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만 베이스 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조립 절차를 간소화하며, 조립 시간을 단축한다. 이러한 오류 방지 원리를 포카 요케라 지칭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가 원주를 따라 불규칙적으로 분포되며/또는 서로 다른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베이스 부재 접속부들 사이에 리세스가 형성된 것을 제안한다.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는 리세스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돌기의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장력 조정 아암의 반경 방향 돌기가 베이스 부재의 리세스의 원주 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회전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 속으로 장력 조정 아암이 축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접속부들의 운동 반전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며, 즉, 리세스가 장력 조정 아암과 연관되고, 반경 방향 돌기가 베이스 부재와 연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은 조립체의 구동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속으로 연장할 수 있는 각각의 개구를 포함한다. 조립체, 즉, 본 개시물의 맥락에서의 집합체는 벨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거나, 벨트,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 유닛 또는 부품을 구동할 수 있는 임의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는, 예컨대, 조립체의 구동 샤프트 및/또는 벨트 풀리일 수 있다. 개구를 둘러싸는 장력 조정 아암의 벽체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며, 즉, 리브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내에서 작동 상태에서 발현할 수 있는 임의의 마찰 열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열 제거를 위해서는, 리브가 그 높이를 따라 가변적인 두께를 포함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또한, 리브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부착되는 조립체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적화된 공기 공급에 기여한다. 개구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리브는 직선으로, 각지게 또는 폭탄 형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각지게"라는 용어는 리브 또는 그 일부분의 측면이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모든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는 나선형 또는 블레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는 풋부에서 높이를 따라 가변적인 두께를 포함하며, 가변적인 두께를 가진 풋부의 높이는 리브의 전체 높이의 적어도 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0%에 달한다. 리브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감소하는 가변적인 두께를 가진 비교적 긴 부분으로 인해, 장력 조정 아암의 열이 벽체 영역으로부터 리브 속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리브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소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에 대한 열 부하를 감소시키며, 이에 대응하여, 가용 수명이 증대된다. 헤드부에서, 리브는 높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진 헤드부의 높이는, 예컨대, 리브의 전체 높이의 적어도 50%에 달할 수 있다.
리브는 회동 축을 기준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적어도 리브는 축 방향으로 구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면도에서- 헤드부의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가 풋부의 2개의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보다 더 크도록, 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가 원주 주위에 제공되며, 장력 조정 아암의 벽체는 개구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6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90°의 원주부 주위에 리브를 구비한다. 장력 조정 아암의 벽체가 리브를 구비한 1개의 원주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원주부, 즉, 리브를 구비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력 조정 아암의 내벽의 전체 내주 주위에 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주 주위에 총 20 내지 30개의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와 장력 조정 아암 사이에는, 회동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력 조정 아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콤팩트한 설계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력 조정 롤러 없이)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축 방향 길이에 대한 베어링 직경의 비는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인 것이 제안된다. 베어링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베어링의 형태로 제공되며, 베이스 부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어링 요소와 장력 조정 아암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어링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베어링 요소들 사이에 활주면 쌍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장치는 축 방향 베어링과 반경 방향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축 방향 베어링과 반경 방향 베어링은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즉, 축 방향 베어링은 장력 조정 아암과 베이스 부재 사이의 축 방향 힘을 수용하는 역할만을 전용으로 할 수 있는 반면, 반경 방향 베어링은 반경 방향 힘을 수용하는 역할만을 전용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조합된 축 방향/반경 방향 베어링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제1 및 제2 베어링 요소들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요소들 중 하나는 금속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베어링 요소들 중 다른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정 아암 및 베이스 부재 각각과의 연관성은 임의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베어링 요소는 원주 주위에 세그먼트처럼 배치되며, 즉,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베어링 요소들 사이에 장력 조정 아암을 삽입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에 대해 장력 조정 아암의 상대적인 축 방향 조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어링 요소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부재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미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 요소는 베이스 부재의 모재와는 상이한 저마찰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시 베이스 부재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의 재료는 원칙적으로 임의의 재료일 수 있으며, 각각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장력 조정 아암 및/또는 베이스 부재는 금속계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주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력 조정 아암 및/또는 베이스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장력 조정 아암과 베이스 부재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 부품들 중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스틱으로 장력 조정 아암 및/또는 베이스 부재를 제조하는 것은, 특히, 모재가 다른 재료로 구성된 다른 요소가 통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일 가능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 및/또는 장력 조정 아암은 상이한 물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제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개의 금형에서 1개의 동작으로 서로 다른 플라스틱 재료들이 생산되는 다성분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 영역으로부터의 우수한 열 소산을 보장하기 위해, 모재보다 열 전도율이 더 높은 첨가제가 모재에 첨가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 및/또는 장력 조정 아암의 모재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예컨대, 유리 섬유 강화 및/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와 연관된 베어링 요소는 베이스 부재의 모재보다 더 높은 열 전도율을 포함하는 베어링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로의 양호한 열 소산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력 조정 아암 베어링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 부재 베어링 요소를 통해 베이스 부재의 모재까지-사용되는 재료가 감소하는 열 전도율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베이스 부재 및/또는 장력 조정 아암의 모재로서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 사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둘러싸인,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는 베이스 부재에, 그리고 장력 조정 아암에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보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물에서, "일" 또는 "그" 보강 요소를 언급하면, 이는 각각의 다른 보강 요소에도 당연히 적용된다. 예컨대, 보강 요소는 사출 재료로 둘러싸인 부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력 조정 아암은 베이스 부재의 베어링 수단에 장력 조정 아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 부싱 또는 베어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는 정지된 부품에 고정되기 위해 금속계 재료로 구성된 보강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수단은, 바람직하게,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하게 1개의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된다. 스프링은, 바람직하게, 회동 축(A)에 대해 중심선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나선형 스프링은 최대로, 즉, 최대 3개의 전권선(full wind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2.5개의 전권선, 특히 최대 2개의 전권선 또는 그 미만을 포함한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콤팩트한 설계를 위해서는, 장착된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축 방향 길이에 대한 나선형 스프링의 공칭 직경의 비가 3.0 초과, 보다 구체적으로는 4.0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인 경우, 유리하다. 따라서, 조립체의 주변에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체의 단부 측에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 수단은 1회 완전 권회 미만 정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크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 축(A)을 중심으로 스프링 중심선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나선형 스프링을 스프링 수단이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그 특정 크기 비율 때문에, 특히 콤팩트한 설계를 가지며,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 특히 가벼운 중량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 벨트 장력 조정 장치는 특히 낮은 질량 관성을 포함하므로, 스트랜드 포스(strand force)의 연장 길이가 감소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축 방향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의 세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축 방향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리브 조립체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7은 대안적인 리브 설계를 가진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8은 대안적인 리브 설계를 가진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한 축 방향 저면도이다.
이하에서 함께 설명하게 될 도 1 내지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2)를 도시하고 있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2)는 조립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거나 조립체에 접속된 부품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3)와, 회동 축(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어링 장치에 의해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지된 장력 조정 아암(4)과,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장력 조정 아암(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을 포함한다. 장착을 위해, 베이스 부재(3)는, 조립체, 즉, 정지된 부품에 베이스 부재(3)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보어를 가지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3개의 플랜지부(11)를 갖는다.
장력 조정 아암(4)은 회동 축(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 축(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장력 조정 롤러(7)를 자유 단부에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력 조정 아암(8)은 롤러 캐리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장력 조정 롤러(7)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베어링 저널(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나사(9)에 의해 베어링 저널에 부착된다. 또한, 침입하는 먼지로부터 베어링(12)을 보호하는 디스크(10)가 축 방향으로 장력 조정 롤러(7) 옆에 제공된다. 장력 조정 아암(4)은 회동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장치(5)를 통해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장력 조정 아암(4)은 접속 조립체(40)를 통해 베이스 부재(3)에 접속된다. 장력 조정 아암(4)은, 장치의 축 방향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적어도 대략적으로 베어링 장치(5)와 함께 한 평면에 배치된다.
회동 축(A)에 대해 스프링 중심선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 스프링(6)이 제공된다. 나선형 스프링(6)의 제1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3)의 대응하는 당접면에 지지된다. 나선형 스프링(6)의 대향하는 제2 단부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의 대응하는 당접면에 지지된다. 나선형 스프링(6)이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인 장력 조정 아암(4)의 스프링 장력 조정을 초래함으로써, 벨트 구동부의 벨트가 예비 인장된다.
나선형 스프링(6)은 장력 조정 아암(4)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 장치(5)의 외부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나선형 스프링(6)과 베어링(5)은, 축 방향으로 설계 공간을 작게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축 방향으로 중첩된다. 나선형 스프링(6)은 그 축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다. 권선의 개수는 1초과 2미만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원주 방향 연장 범위는 540°내지 690°이다. 축 방향 길이(L6)에 대한 나선형 스프링(6)의 공칭 직경(D6)의 비는, 나선형 스프링이 축 방향으로 예비 인장되는 나선형 스프링의 장착 상태에서, 3.0 내지 9.0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8.0이다. 상기 값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범위 내의 모든 중간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상태에서 축 방향 길이에 대한 스프링 직경의 전술한 비는 스프링 와이어의 와이어 직경에도 의존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와이어 직경이 크면 클수록, 더 작은 나선형 스프링(6)의 축 방향 길이가 선택될 수 있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2)와, 각각의 장력 조정 아암(4)은 길이 방향 축(4)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관통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3)가 조립체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 샤프트의 일단부가 관통 개구(18)에 선택적으로 진입한다. 전체적으로, 축 방향으로 매우 짧은 설계가 달성된다. 적어도 관통 개구(18)의 일부분에서, 관통 개구(D18)의 최소 내경은 바람직하게 구동 샤프트(미도시)의 외경보다 더 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샤프트(미도시)에 접속된 벨트 풀리의 외경보다도 더 크다.
베이스 부재(3)는 장력 조정 아암(4)을 지지하기 위한 환형부(25)를 포함한다. 환형부(25)로부터, 스프링(6)을 위한 축 방향 지지면(21)의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다수의 부착부(11)가 돌출하며, 각각의 부착부(11)는 정지된 부품에 베이스 부재(3)를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보어를 갖는다. 부착부(11)는 플랜지부에 비해 그리고 스프링(6)에 비해 더 큰 직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3)에 작용하는 임의의 힘과 토크가 잘 지지될 수 있으며,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부착되는 부품으로 각각 도입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의 지지면(21)과 장력 조정 아암(4)의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지지면(22) 사이에 축 방향으로 나선형 스프링(6)이 예비 인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은 베이스 부재(3)로부터 축 방향으로 멀리 적재되며, 상기 두 부품은 접속 조립체(40)를 통해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스프링(6)을 위한 지지면(21)은 베이스 부재(3)의 원주부 위로 연장한다. 이 경우에서는, 지지면(21)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동 샤프트와 축 방향으로 중첩된 평면에 배치된다. 원주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3)의 지지면(21)은 나선형 스프링(6)의 경사에 부합하는 램프 형상일 수 있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2)는, 집합체의 관점에서, 베이스 부재(3)에 있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베어링(5)이 벨트 평면 뒤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벨트 평면은 장착된 상태에서 벨트의 중심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다. 베어링 장치(5)는 베이스 부재(3)와 연관된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베어링 요소(30)와, 장력 조정 아암(4)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어링 요소(31)를 포함한다. 벨트 장력 조정 장치(2)의 콤팩트한 설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력 조정 풀리 없이) 벨트 장력 조정 장치(2)의 축 방향 길이(L2)에 대한 베어링 직경(D5)의 비가 1.5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인 경우, 유리하다.
제1 베어링 요소(30)는 -이등분한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보면- 대략 C자형이며, 2개의 플랜지부(33, 34)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통부(32)를 방사상 내측에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베어링 요소(30)는 폼-로킹(form-locking)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3)의 환형부(25)와 결합된다. 장력 조정 아암(4)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33)는 제1 축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지지하기 위한 축 방향 지지면을 형성하는 반면, 제1 플랜지부(33)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플랜지부(34)는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위한 축 방향 지지면을 형성한다. 원통부(32)는 장력 조정 아암(4)을 위한 반경 방향 지지면을 형성한다.
제1 베어링 요소(30)와 베이스 부재(3)는 일체로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베어링 요소(30)는 베이스 부재(3)와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베어링 재료는 저마찰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2,000㎫ 내지 4,000㎫의 강도를 가진,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고장력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베이스 부재(3)의 모재는, 예컨대, 15,000㎫ 내지 22,000㎫의 강도를 가진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다성분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제1 베어링 요소(30)와 베이스 부재(3)의 유닛을 1개의 금형에서 1개의 동작으로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장력 조정 아암(4)은 베어링 부싱으로서 형성된 베어링 요소(31)가 가압되는 슬리브부(26)를 갖는다. 작동 상태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열이 장력 조정 아암(4)으로 평면 도입되도록,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어링 부싱(인서트)이 하이브리드 부품을 형성하도록 평면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다. 베어링 부싱(31)은 특히 성형된 판금 부품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베어링 부싱의 부싱부(27)와 제1 베어링 요소(30)의 원통부(32)는 반경 방향 베어링을 형성하는 반면, 베어링 부싱(31)의 플랜지부(28)와 제1 베어링 요소(30)의 플랜지부(33)는 축 방향 베어링을 형성한다. 이 경우, 2개의 플랜지부(28, 33)와 연관된 부품(3, 4)들이 평면 접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베어링 부싱(31)의 플랜지부(28)와 제1 베어링 요소(30)의 연관된 플랜지부(33)도 평면 방식으로 서로 접촉함으로써, 마찰 영역으로부터 양호한 열 소산을 허용한다. 이는 일측이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와 평면 접촉하고 타측이 베어링 요소(30)의 플랜지부(43)와 평면 접촉하는 베어링 요소(31)의 하부 플랜지부(29)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베이스 부재(3)와 장력 조정 아암(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40)는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다. 접속 조립체(40)는 바요넷 잠금 방식으로 설계되며, 베이스 부재(3)와 연관된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제1 접속부(41, 41', 41")와, 이들과 연동하며 장력 조정 아암(4)과 연관된 복수의 제2 접속부(42, 42', 42")를 포함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와 연관된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 사이에 각각의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의 제1 접속부(41)와 장력 조정 아암(4)의 제1 접속부(42) 사이의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제2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제2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사이의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크고, 이들은 각각 제3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제3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사이의 제3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것을 제안한다.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이스 부재(3)의 제1 접속부(41, 42)들 사이의 상호 중첩 영역이 제2 및 제3 접속부(41', 42'; 41", 42")들 사이의 중첩 영역보다 20% 초과 더 클 수 있다. 이는, 제1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가 제2 및 제3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보다 더 큰 원주 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표면 접촉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동 상태에서 최고의 부하를 받는 표면 쌍인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와 베이스 부재 접속부 사이의 접촉 표면 쌍을 확대함으로써, 표면 압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더 적은 열의 발현과 마모의 감소로 이어진다.
베이스 부재(3)의 접속부(41, 41', 41")는 베어링 요소(30, 30', 30")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 요소(30, 30', 30")의 플랜지부(34, 34', 34")의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요소(30, 30', 30")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며, 즉, 이들은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회전 지지하고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를 축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2개의 부품(3, 4)을 서로 접속한다.
각각의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들 사이에 각각의 리세스(43, 43', 43")가 형성된다.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는 리세스(43, 43', 43")에 대응하는 반경 방향 돌기의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장력 조정 아암의 반경 방향 돌기가 베이스 부재(3)의 리세스((43, 43', 43")의 원주 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회전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3) 속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이 축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이스 부재(3)가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바요넷 위치로 지칭될 수도 있는 제1 상대 회전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3)와 장력 조정 아암(4)은 축 방향으로 서로에 삽입될 수 있다. 장력 조정 아암(4)의 돌기(42, 42', 42")가 리세스(43, 43', 43")를 완전히 통과하면, 장력 조정 아암(4)은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인 제2 상대 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 제2 위치에서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돌기(42, 42', 42")가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와 베어링 요소(30, 30', 30")에 각각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 위치에서,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이스 부재(3)는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되며, 스프링(6)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 예비 인장된다. 이 2개의 부품(3, 4)이 바요넷 위치로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방지 스탑 역할을 하는 고정 핀(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접속 조립체(40)는,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이스 부재(3)가 제1 회전 위치(바요넷 위치)에서만 서로에 플러깅, 즉,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 요소(41, 41', 41")와 베이스 부재 접속 요소(42, 42', 42")가 원주 주위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되며 오직 1개의 상대 회전 위치에서만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정렬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조립 절차를 간소화하며, 부정확한 조립을 방지한다.
베이스 부재(3) 및 장력 조정 아암(4)의 모재는,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강화 및/또는 탄소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3) 및 장력 조정 아암(4)에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 보강 요소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3)는 부착 플랜지(11)에 부싱(16)을 포함하며, 부싱(16)은 부착 플랜지(11)에 금속 재료로 제조되어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인다. 장력 조정 아암(4)도 역시 플라스틱 모재로 둘러싸이고 장력 조정 롤러(7)의 베어링을 위한 캐리어 역할을 하는 베어링 저널 형태의 보강 부싱(8)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정 아암(4)의 개구(18)는, 조립체(미도시)의 구동 샤프트 및 벨트 풀리가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18) 속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개구(18)를 둘러싸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13)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리브(19)를 구비한다. 리브는 특히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며; 즉, 리브는 장력 조정 아암(4)으로부터 작동 상태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마찰 열을 제거하고; 또한, 리브(19)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부착되는 조립체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조립체에 대해 표적화된 공기 공급에 기여한다.
이하에서 함께 설명하는 도 4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대부분 대응하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조립체(2)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공통된 특징에 관한 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동일한 세부 또는 서로 대응하는 세부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13)에 구비된 리브(19)가 헤드부(24)에서보다 더 큰 두께(D23)를 하나의 풋부(23)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꺼워진 풋부(23)로 인해, 장력 조정 아암(3)의 열이 벽체 영역으로부터 리브(19) 속으로 매우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리브로부터 주변 환경으로 소산될 수 있다. 리브(19)의 베이스에 있는 가능한 가장 넓은 접속면을 통해, 과도한 에너지가 장력 조정 아암(4)으로부터 표면으로 분산되지 않고 유도된다. 그 결과, 열 에너지가 수집되어, 대류에 의해 주변 환경으로 소산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특징은 "뿌리 개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벨트 장력 조정 장치(2)의 열 부하가 감소되며, 이에 대응하여, 가용 수명이 증대된다.
특히,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풋부(23)의 리브(19)는 높이(H)를 따라 가변적인 두께(T)를 포함하며, 이는, 단면도에서, 풋부(23)가 둥글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가변적인 두께를 가진 풋부(23)의 높이는 본 실시예에서 리브(19)의 전체 높이(H)의 적어도 20%에 달한다. 헤드부에서, 리브(19)는 높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포함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진 헤드부(24)의 높이는 본 실시예에서 리브(19)의 전체 높이(H)의 적어도 50%에 달한다. 리브(19)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드부(24)의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리브(19)들 사이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는 풋부(23)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보다 더 크다. 따라서, 헤드부에서 양호한 열 소산이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19)는 전체 원주를 따라 분포된다. 특히, 9개의 리브(19)를 각각 가진 3개의 세그먼트가 제공되며, 각각 2개의 리브 세그먼트(20)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도 7은 변형된 리브 형상을 가진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리브 형상과 비교하면, 풋부(23)가 단면도에서 (둥근 대신) 절두 피라미드의 형상을 갖는다. 이 외에,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므로, 다른 세부에 관한 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일한 세부 또는 서로 대응하는 세부에는 도 4 내지 도 6과 도 1 내지 도 3 각각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8은 각각 도 7 및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대부분 대응하는, 역시 변형된 리브 구조를 가진, 다른 실시예의 벨트 장력 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공통된 특징에 관한 한,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동일한 세부 또는 서로 대응하는 세부에는 도 1 내지 도 6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13)가 단지 일부 영역에만 리브(19)를 구비하는 것, 즉, 길이 방향 축(A)을 중심으로 90°를 약간 초과하는 원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오직 1개의 리브 세그먼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 표면 영역을 가진 접속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예가 도 4 내지 도 8에 따른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리브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아래에서부터 베어링 조립체(5)와 접속 조립체(13)에 각각 부착되어 이들을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디스크를 벨트 장력 조정 장치가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장력 조정 장치(2)는 양호한 열 소산 조건과 그에 따른 긴 가용 수명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2: 벨트 장력 조정 장치
3: 베이스 부재
4: 장력 조정 아암
5: 베어링
6: 스프링
7: 장력 조정 롤러
8: 베어링 저널
9: 나사
10: 밀봉 디스크
11: 접속 플랜지
12: 구름 접촉 베어링
13: 벽체
14: 축 방향 디스크
15: 슬리브 돌기
16: 부싱
17
18: 관통 개구
19: 리브
20: 세그먼트
21: 지지면
22: 지지면
23: 풋부
24: 헤드부
25: 환형부
26: 슬리브부
27: 부싱부
28: 플랜지부
29: 플랜지부
30: 베어링 요소
31: 베어링 요소
32: 원통부
33: 플랜지부
34: 플랜지부
40: 접속 조립체
41, 42', 41": 접속부
42, 42', 42": 접속부
43, 43', 43": 리세스
A: 회동 축
B: 회전 축
D: 직경
H: 높이
L: 길이
T: 두께

Claims (15)

  1.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이며,
    정지된 부품에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3)와;
    회동 축(A)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4)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롤러(7)로서, 회전 축(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력 조정 아암(4)에 접속된 장력 조정 롤러(7)와;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과; 그리고,
    베이스 부재(3)에 장력 조정 아암(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40)로서,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와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를 포함하는 접속 조립체(40)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제1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사이에는, 제2 베이스 부재 접속부(42', 41")와 제2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력 조정 아암(4)은 조립체의 구동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속으로 연장하는 개구(18)를 포함하며,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13)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리브(19)를 구비하고, 리브(19)는 헤드부(24)에서보다 풋부(23)에서 더 큰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3. 벨트 구동부를 위한 벨트 장력 조정 장치이며,
    정지된 부품에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3)와;
    회동 축(A)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장력 조정 아암(4)과;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력 조정 롤러(7)로서, 회전 축(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력 조정 아암(4)에 접속된 장력 조정 롤러(7)와;
    원주 방향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과; 그리고,
    베이스 부재(3)에 장력 조정 아암(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조립체(40)로서, 삽입 및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와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를 포함하는 접속 조립체(40)를 포함하고,
    장력 조정 아암(4)은 조립체의 구동 샤프트 및/또는 벨트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속으로 연장하는 개구(18)를 포함하며, 개구(8)를 둘러싸는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리브(19)를 구비하고, 리브(19)는 헤드부(24)에서보다 풋부(23)에서 더 큰 두께를 포함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베이스 부재 접속부(41)와 제1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사이에는, 제2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와 제2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더 큰 제1 접촉 표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촉 표면 영역은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적어도 10% 더 크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접촉 표면 영역보다 적어도 2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들 사이에 리세스(43, 43', 43")가 각각 형성되며,
    적어도 2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는 반경 방향 돌기의 형태로 제공되고,
    장력 조정 아암(4)의 반경 방향 돌기가 베이스 부재(3)의 리세스(43, 43', 43")의 원주 방향 영역 내에 배치되는 회전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3) 속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이 축 방향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 조정 아암(4)과 베이스 부재(3)가 정확하게 1개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 서로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 접속부(41, 41', 41")와 장력 조정 아암 접속부(42, 42', 42")가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풋부(23)의 리브(19)는 높이를 따라 가변적인 폭(T)을 포함하며, 가변적인 두께를 가진 풋부(23)의 높이는 리브(19)의 전체 높이(H)의 적어도 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0%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부(24)의 리브(19)는 높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포함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진 헤드부의 높이는 리브(19)의 전체 높이(H)의 적어도 50%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부(24)의 2개의 인접한 리브(19)들 사이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는 풋부(2)의 2개의 인접한 리브(19)들 사이에 형성되는 최소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 조정 아암(4)의 벽체(13)에서, 리브(19)는 회동 축(A)을 중심으로 적어도 6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90°의 원주부 주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와 장력 조정 아암(4) 사이에는, 회동 축(A)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3)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력 조정 아암(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장치(5)가 제공되며, 베어링 장치(5)는 베이스 부재(3)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요소와 장력 조정 아암(4)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요소(31)를 포함하고, 베어링 요소(30, 31)들 중 하나는 금속계 재료로 제조되며, 베어링 요소(31, 30)들 중 다른 하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와 장력 조정 아암(4)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며, 베이스 부재(3)와 장력 조정 아암(4)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와 연관된 베어링 요소(30)는 베이스 부재(3)의 모재보다 더 높은 열 전도율을 포함하는 베어링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6)은 내장된 상태에서 회동 축(A)에 대해 스프링 축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되며, 나선형 스프링(6)은 최대 3개의 전권선을 포함하고, 내장된 상태에서, 나선형 스프링의 축 방향 길이(L6)에 대한 나선형 스프링(6)의 공칭 직경(D6)의 비가 3.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력 조정 장치.
KR1020160117765A 2015-09-17 2016-09-13 벨트 장력 조정 장치 KR20170033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5750.0 2015-09-17
DE102015115750.0A DE102015115750A1 (de) 2015-09-17 2015-09-17 Riemenspann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84A true KR20170033784A (ko) 2017-03-27

Family

ID=5692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765A KR20170033784A (ko) 2015-09-17 2016-09-13 벨트 장력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00871B2 (ko)
EP (2) EP3144563B1 (ko)
JP (1) JP7002836B2 (ko)
KR (1) KR20170033784A (ko)
CN (1) CN106545628B (ko)
DE (1) DE102015115750A1 (ko)
ES (1) ES2877655T3 (ko)
PL (1) PL314456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356A (ko) 2018-11-30 202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컴프레셔 벨트 장력 조절 장치 및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812B4 (de) * 2015-08-19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6217933B4 (de) * 2016-09-20 2020-06-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JP6883823B2 (ja) * 2017-04-06 2021-06-09 株式会社高尾 弾球遊技機
JP2018175091A (ja) * 2017-04-06 2018-11-15 株式会社高尾 弾球遊技機
IT201700053588A1 (it) * 2017-05-17 2018-11-17 Dayco Europe Srl Tenditore per una trasmissione accessori di un autoveicolo
DE102018217997B3 (de) 2018-10-22 2019-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izbarer Spannarm einer Zugmittelspannvorrichtung eines Zugmitteltriebs eines Kraftfahrzeug-Verbrennungsmotors und Fertigungsverfahren hierfür
US11168767B2 (en) * 2018-10-23 2021-11-09 Gates Corporation Tensioner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13404B (de) * 1970-03-31 1974-02-25 Staff & Schwarz Gmbh Elektrische Kupplung zum Verbinden elektrischer Leitungen
US4307954A (en) * 1980-08-18 1981-12-29 Ludwig Robert B Bayonet mount
US4478492A (en) * 1981-11-18 1984-10-2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with bayonet mount and position restriction means
US5042257A (en) * 1989-05-01 1991-08-27 Kendrick Julia S Double extruded heat sink
DE4015028A1 (de) * 1990-05-10 1992-01-16 Skf Gmbh Voreinstellbare spannvorrichtung
US5190502A (en) * 1992-02-07 1993-03-02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ing system, belt tensione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087763C (en) * 1992-02-11 2002-07-02 Jimmy Cochimin Stator frame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765801B2 (ja) * 1993-08-20 1998-06-18 山洋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冷却装置
US5718649A (en) * 1996-02-16 1998-02-17 Dayco Products, Inc. Tensioner for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87971A (en) * 1996-03-25 1998-08-04 Dodson; Douglas A. Multiple fan cooling device
US5734554A (en) * 1996-07-01 1998-03-31 Sun Microsystems, Inc. Heat sink and fan for cooling CPU chip
DE19729994A1 (de) * 1997-07-12 1999-01-14 Skf Gmbh Spannvorrichtung für Treibriemen
US5937517A (en) * 1997-11-12 1999-08-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bonded dual extruded, high fin density heat sinks
US6009938A (en) * 1997-12-11 2000-01-04 Eastman Kodak Company Extruded, tiered high fin density heat sink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454707B2 (ja) * 1998-03-31 2003-10-06 山洋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冷却装置
WO2000002429A1 (en) * 1998-07-01 2000-01-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lternating-current generator for vehicles and heat sink incorporated therein
US6217470B1 (en) * 1999-08-13 2001-04-17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with increased bushing surface
CN1229685C (zh) * 1999-12-16 2005-11-30 株式会社尼康 卡口固定架
US6452800B2 (en) * 1999-12-29 2002-09-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eat sink assembly for dissipating heat of an electronic package mounted on an electrical socket
US6313994B1 (en) * 2000-07-25 2001-11-06 Sun Microsystems, Inc. Extended surface area heat sink
US6310771B1 (en) * 2000-11-14 2001-10-30 Chuan-Fu Chien CPU heat sink
US6404634B1 (en) * 2000-12-06 2002-06-11 Hewlett-Packard Company Single piece heat sink for computer chip
US7588507B2 (en) * 2001-04-13 2009-09-15 Unitta Company Thin autotensioner
WO2002089206A1 (en) * 2001-04-23 2002-11-07 Showa Denko K.K. Heat sink
US7186196B2 (en) * 2002-07-18 2007-03-06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with integral damping
US6855079B2 (en) * 2002-09-30 2005-02-15 Fenner, Inc. Bi-directional belt tensioner
DE10333876A1 (de) 2003-07-25 2005-02-17 Ina-Schaeffler Kg Spann- oder Umlenkelement eines Zugmitteltriebs
CA2644684C (en) * 2006-03-22 2016-04-12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for flexible drives
FR2907526B1 (fr) * 2006-10-20 2009-06-26 Skf Ab Dispositif de galet tendeur ou enrouleur.
JP5157210B2 (ja) * 2007-03-20 2013-03-0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並びにこのスラスト滑り軸受とピストンロッド及びコイルばねとの組合せ機構
US20080308364A1 (en) * 2007-06-13 2008-12-18 Webb Wheel Products, Inc. Lightweight brake drum with middle position squealer band
CN101435566A (zh) * 2007-11-16 2009-05-2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具
US8279033B2 (en) * 2008-01-25 2012-10-02 Tech Design, L.L.C. Transformer with isolated cells
DE102008052727A1 (de) * 2008-10-22 2010-05-06 Schaeffler Kg Spannvorrichtung für Zugmittel
CN201297603Y (zh) * 2008-11-11 2009-08-26 东莞乐域塑胶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路灯的散热座
CN101868134A (zh) * 2009-04-14 2010-10-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及其制造方法
TWM363192U (en) * 2009-04-17 2009-08-11 chong-xian Huang Heat dissipating device
JP5369989B2 (ja) * 2009-08-17 2013-12-18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防滴バヨネット構造
US8413713B2 (en) * 2010-05-27 2013-04-09 Tsung-Hsien Huang Heat sink module with fins having Z shaped foot portions
US8545352B2 (en) * 2010-09-02 2013-10-01 Dayco Ip Holdings, Llc Tensioner with expanding spring for radial frictional asymmetric damping
DE102011003113A1 (de) * 2011-01-25 2012-07-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Zugmittelspannvorrichtung mit einem Gehäuse, das einen Kühlkörper aufweist
WO2012109750A1 (en) * 2011-02-16 2012-08-23 Caframo Ltd. Thermally driven power generator
DE102011080509A1 (de) * 2011-08-05 2013-02-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1053869B4 (de) * 2011-09-22 2020-03-26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Aggregatanordnung mit Riemenspannvorrichtung
WO2013055018A1 (ko) * 2011-10-11 2013-04-1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DE102013102562B4 (de) * 2013-03-13 2021-05-27 Muhr Und Bender Kg Verwendung einer Feder in einer Riemenspannvorrichtung, Riemenspannvorrichtung und Aggregatanordnung
DE102014206716A1 (de) * 2014-04-08 2015-10-08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AT515828B1 (de) * 2014-05-23 2022-02-15 Fronius Int Gmbh Kühlvorrichtung und Wechselrichtergehäuse mit einer solchen Kühlvorrichtung
WO2016057582A1 (en) * 2014-10-08 2016-04-14 Remy Technologies, Llc Axially extending electric machine electronics cooling t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356A (ko) 2018-11-30 202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컨 컴프레셔 벨트 장력 조절 장치 및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144563T3 (pl) 2021-11-29
US10400871B2 (en) 2019-09-03
EP3144563B1 (de) 2021-05-05
CN106545628B (zh) 2021-06-29
EP3144563A3 (de) 2017-04-12
ES2877655T3 (es) 2021-11-17
US20170082176A1 (en) 2017-03-23
EP3144563A2 (de) 2017-03-22
JP2017075697A (ja) 2017-04-20
CN106545628A (zh) 2017-03-29
JP7002836B2 (ja) 2022-01-20
EP3885609A1 (de) 2021-09-29
DE102015115750A1 (de)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784A (ko) 벨트 장력 조정 장치
CN105626798B (zh) 皮带张紧设备
KR102213543B1 (ko) 스프링, 벨트 인장 장치 및 조립체
JP6523756B2 (ja) ベルトテンショニング装置
US20100184546A1 (en) Damping device of a mechanical tensioning system for a traction mechanism drive
US8021253B2 (en) One-way isolator for high torque devices
US10920860B2 (en) Belt tensioning device
US9933051B2 (en) Tensioning device
CN107923498B (zh) 皮带张紧器
US20120010034A1 (en) Traction mechanism drive having a vibration damper
KR20100014411A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댐퍼 풀리 조립체
CN105593548B (zh) 具有可控阻尼的解耦器
US20120028744A1 (en) Belt tensioning unit
KR20200123835A (ko) 궤도 텐셔너
KR20160128397A (ko) 벨트 인장기
US20080171623A1 (en) Structure of belt driven mechanism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of operation of bearing
JP2003336702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N113669423A (zh) 皮带张紧器
KR100988042B1 (ko) 자동차용 풀리 구조
JP2004036723A (ja) プーリおよびプーリ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