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482A -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 Google Patents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482A
KR20170032482A KR1020177006858A KR20177006858A KR20170032482A KR 20170032482 A KR20170032482 A KR 20170032482A KR 1020177006858 A KR1020177006858 A KR 1020177006858A KR 20177006858 A KR20177006858 A KR 20177006858A KR 20170032482 A KR20170032482 A KR 2017003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extile
region
laminate article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디 켈시
아담스 브라이언 제이 엠씨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432,613 external-priority patent/US923834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843,682 external-priority patent/US9121130B2/en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4Torsion strength; Tors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 Y10T428/24818Knitted, with particular or differential bond sites or inter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변별적이고 불연속적인 접착제 패턴을 가지는 접착제층에 의해 함께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 및 기능성 필름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이 제공된다. 불연속적 접착제 패턴은, 라미네이트가 이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허용하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형성한다. 접착제 영역은 비접착제 영역과 함께 라미네이트 표면 위에 가시적 패턴을 형성한다. 제2 텍스타일은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 또는 필름층은 탄성이거나, 수축 가능하거나 또는 팽창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예에서, 비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라미네이트의 도드라진 부분 및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휘어진 영역은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물품은 방수성, 방액성, 통기성이고 심미적으로 즐거움을 주며, 뻣뻣함 감소, 방호 특성 개선, 연신 특성의 개선 및 물품이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소음 감소를 입증한다.

Description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문헌
본 출원은, 그 내용이 자체로서 본원에 참고용으로 인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제13/432,613호(2012년 3월 28일 출원)의 부분 연속 출원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843,682호(2013년 3월 15일 출원)의 부분 연속 출원이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트 물품,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별적 불연속 접착제 패턴을 가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결합하고 있는 텍스타일 층과 필름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용어 "라미네이트"란, 텍스타일 층 하나 이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이 텍스타일 층 하나 이상 위에 코팅되어 있는 기능성 필름 또는 코팅물을 포함하는 물품을 의미한다.
용어 "기능성 필름", "기능성 필름층" 및 "필름층"이란, 액체(예를 들어 물) 투과에 대한 차단 특성, 화학 물질 투과에 대한 차단 특성, 가스 투과에 대한 차단 특성, 입자 투과에 대한 차단 특성, 공기 투과에 대한 차단 특성(예를 들어 불투과성), 악취 억제, 항 미생물 특성, 방풍 특성 및 통기성을 포함할 수 있는(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특성들을 제공하는 기재를 나타내는 의미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텍스타일"이란, 임의의 직물, 부직물, 펠트, 플리스 또는 니트를 나타내는 의미로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 재료 및/또는 기타 섬유 또는 플록 재료(flock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층"은, 만일 그것이 3분 이상의 지속 기간 동안 0.07bar 이상의 압력에 대해서 액체가 투과하는 것을 막는다면 "방액(liquid-proof)" 층인 것으로 간주한다. 액체 투과 압력은, 본원에 기술된 방액 천에 대한 수터 테스트(Suter Test for Liquid-proof Fabrics)와 관련하여 제시된 조건과 동일한 조건 하에 방액 패널을 대상으로 측정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통기성의" 또는 "통기성"이란, 라미네이트의 24시간 이내 투습도(WVTR)가 약 1,000그램/㎡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우선하여 구부러진다"란, 라미네이트의 어느 한 영역과 라미네이트의 또 다른 영역 둘 다에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이 가하여질 때, 상기 어느 한 영역이 상기 또 다른 영역보다 더욱 많이 구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현상은, 라미네이트의 자유 변(free edge)들이 움켜쥐어져 서로 움직이게 될 때, 접착제가 없거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예를 들어 미결합 영역)에서 발생한다.
방수가 되는 통기성 의상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상들은 종종 각각의 구성 층들이 임의의 기능을 부여하는 다층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의상은 외부 텍스타일 층, 방수 통기성 필름층 그리고 내부 텍스타일 층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층들이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라미네이트를 이루게 하고, 이 층들이 서로 미끄러져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어 단일 층으로 이루어진 의상처럼 보이거나 느껴지게 만드는 것이 종종 요망된다. 그러나 층들을 서로 결합하는 가공은, 의상을 더욱 뻣뻣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착용시 소음을 유발하는 등의 악영향을 초래한다. 이는, 의상을 입을 때의 즐거움을 반감시킬 뿐더러, 소음 발생 억제가 중요한 상황, 예를 들어 사냥이나 군사 작전시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뻣뻣한 감촉과 소음에 관한 문제 이외에, 균일 결합형 라미네이트가 요망되지 않을 수 있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라미네이팅 가공 중 장력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제조된 라미네이트는 라미네이팅시 발생하는 잔류 응력으로 인해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트가 휘어지게 되면 재봉시 구성 층들을 편평하게 펴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의상 제작시 문제가 된다. 역으로, 만일 구성 층들이 서로 전혀 결합하지 않으면, 구성 재료들이 제멋대로 잘라지게 되고 결국에는 따로따로 펼쳐져 의상 제작이 더욱 복잡해진다.
균일 결합형 라미네이트로 인한 추가의 문제점들은, 방수 통기성 의상과 물품에 있어서 연신 특성이 요망될 때에도 발생한다. 몇 가지만 말하자면, 움직일 때의 편리함에 대한 문제들, 즉 의상 착용시로부터 섬유를 섬유 기계에서 떼어내고 씌울 때의 용이성에 이르기까지의 문제들은 균일 결합형 라미네이트로 작업을 수행할 때 중요한 도전 과제일 수 있다. 통상의 신축성 방수 통기성 의상에 관하여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43,511호 및 미국 특허 제4,935,2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균일 결합형 라미네이트 재료들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고 연신력에 관한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므로 소음, 뻣뻣함, 연신력 및 잔류 라미네이팅 응력을 줄이면서, 결합형 다층 물품의 긍정적인 속성들을 유지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물품에 대한 요구가 당 업계에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1) 기능성 필름층(functional film layer);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에 의해 떨어져 있는 접착제 영역들을 2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영역들은 접착제 점(adhesive dot)을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상기 접착제 점들은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접착제 영역 내 인접 접착제 점들 사이의 거리는, 라미네이트 내 연속 접착제 영역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들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변별적 형상(distinctive shape) 하나 이상을 이룬다. 상기 변별적 형상은 기하학적 형상이거나 추상적 형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상기 접착제 영역의 폭은 약 5㎜ 이상일 수 있으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영역은 라미네이트 면적의 50% 또는 그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1) 기능성 필름층;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을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이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이다. 또한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필름층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한다. 에어 갭(air gap)은,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 내 제2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접착제 영역들은 각각 점을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의 굴곡 탄성률은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20% 이상 작다.
(1) 기능성 필름층;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접착제층은 제1 접착제 영역들과 제2 접착제 영역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많은 양의 접착제를 함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접착제 영역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한다. 또한 라미네이트 물품 중 제2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제1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작다.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연속 제1 접착제 영역들 사이의 거리는 약 2㎜ 이상이다.
기능성 필름층과, (1) 접착제 점 2개 이상 및 (2)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연속 통로(continuous path)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상기 연속 통로는 라미네이트가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영역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접착제 점들의 각 세트는 접착제 영역을 이룬다. 각각의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약 2∼약 50㎜이다. 또한 상기 연속 통로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룬다.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1 텍스타일과 접착제 점 중 하나 이상은 난연 물질 또는 내염 물질을 포함한다.
(1) 기능성 필름층과, (2)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이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percent area coverage)를 가지는 제1 영역 하나 이상과,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를 가지는 제2 영역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는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보다 크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2 접착제 영역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1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이룬다. 제2 영역은, 기하학적 또는 추상적 형태를 가지는 변별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룰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필름층에 결합한다. 에어 갭은, 도드라진 가시부 내 제2 텍스타일과 필름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이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일 수 있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에에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룬다. 접착제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이다. 또한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본 방법은 기능성 필름을 인장시킨 다음, 이 기능성 필름을 제1 접착제층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또한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에 제2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기도 한다. 에어 갭은 도드라진 부분 내 제2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은 패턴이 형성된 고무 롤에 텍스타일을 밀어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영역을 형성하는데에는 박리지(release pap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1) 박리지를 제1 텍스타일 상에 배치한 후, 제1 접착제층을 적용하는 단계와, (2) 제1 텍스타일로부터 박리지를 제거한 후, 기능성 필름을 제1 접착제층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접착제층을 필름층에 전사하는데에는 그라비어 롤이 사용된다. 또한 제1 텍스타일 또는 제1 접착제층은 난연 물질 또는 내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1) 기능성 필름층;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떨어져 있는 접착제 영역 2개 이상을 포함한다. 접착제 영역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접착제 점들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접착제 영역 내 인접하는 접착제 점들 사이의 거리는, 라미네이트 내 연속적 접착제 영역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변별적 형상은 기하학적 형상이거나 추상적 형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접착제 영역의 폭은 약 5㎜ 이상일 수 있고,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일 수 있다. 접착제 영역은 라미네이트 면적의 50% 또는 그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1) 기능성 필름층;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을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이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이다.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하나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필름층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한다. 에어 갭은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이루는, 도드라진 가시부 내 제2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한다. 접착제 영역은 각각 다수의 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의 굴곡 탄성률은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20% 이상 작다.
(1) 기능성 필름층; (2) 제1 텍스타일; 그리고 (3) 이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접착제층은 제1 접착제 영역들과 제2 접착제 영역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제1 접착제 영역은,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많은 양의 접착제를 함유한다. 하나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1 접착제 영역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한다. 또한 라미네이트 물품의 제2 접착제 영역 내 굴곡 탄성률은, 제1 접착제 영역 내 굴곡 탄성률보다 작다. 제2 접착제 영역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연속적 제1 접착제 영역들 사이의 거리는 약 2㎜ 이상이다.
기능성 필름층과, (1) 접착제 점 2개 이상과 (2)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연속 통로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상기 연속 통로는 라미네이트가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제 점 세트 각각은 접착제 영역을 이룬다. 각각의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약 2∼약 50㎜이다. 또한 상기 연속 통로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룬다.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1 텍스타일과 접착제 점 중 하나 이상은 난연 물질 또는 내염 물질을 포함한다.
(1) 기능성 필름층과, (2)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이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percent area coverage)를 가지는 제1 영역 하나 이상과,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를 가지는 제2 영역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는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보다 크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2 접착제 영역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1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이룬다. 제2 영역은, 기하학적 또는 추상적 형태를 가지는 변별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룰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필름층에 결합된다. 에어 갭은, 도드라진 가시부 내 제2 텍스타일과 필름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이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일 수 있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이룬다. 접착제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이상이다. 또한 라미네이트 물품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진다. 본 방법은 기능성 필름을 인장시킨 다음, 이 기능성 필름을 제1 접착제층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또한 제2 접착제층을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기능성 필름에 제2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기도 한다. 에어 갭은 도드라진 부분 내 제2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 구체예에서, 접착제 영역은 패턴이 형성된 고무 롤에 텍스타일을 밀어넣음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영역을 형성하는데에는 박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예에서, 본 방법은 (1) 박리지를 제1 텍스타일 상에 배치한 후, 제1 접착제층을 적용하는 단계와, (2) 제1 텍스타일로부터 박리지를 제거한 후, 기능성 필름을 제1 접착제층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접착제층을 필름층에 전사하는데에는 그라비어 롤이 사용된다. 또한 제1 텍스타일 또는 제1 접착제층은 난연 물질 또는 내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1) 탄성 필름을 인장시키는 단계, (2) 기능성 필름층과 인장시킨 탄성 필름을 결합하여, 결합된 탄성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3) 결합된 탄성 필름층을 인장시켜, 이 층을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4) 라미네이트 물품을 이완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다. 연속 접착제 영역들 사이의 거리는 약 2㎜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은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에 비하여 3배 작다. 뿐만 아니라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은,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연신력에 비하여 2배 작다.
(1) 제1 텍스타일을 인장시켜, 이 제1 텍스타일의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2) 제1 접착제층을 통해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3) 제1 텍스타일상 장력을 감소시켜 제1 텍스타일을, 인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제1 텍스타일에 주름(bunch)이 잡히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이다.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또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 접착제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진다.
(1) 제1 접착제층을 통해 수축성의 기능성 필름층을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여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2) 기능성 필름을 수축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또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접착제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진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은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에 비하여 3배 작다. 라미네이트 물품은 기능성 필름층 쪽으로 휘어진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1 텍스타일은 수축성이며, 본 방법은 제1 텍스타일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1) 제1 접착제층을 통해 기능성 필름층을 수축성 텍스타일에 결합하여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2) 이 텍스타일을 수축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과,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며, 접착제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진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은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에 비하여 3배 작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 자체의 뻣뻣함이 감소하였고, 방호 특성이 개선되었으며, 정반사 특성이 개선되었고, 물품이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소음이 줄었음이 입증되는 것은 유리하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이 통상의 방수 통기성 라미네이트 구조물에 비하여 개선된 연신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도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물품의 가요성을 개선하기 위해, 텍스타일의 니트 열(knit row)에 수직인 방향으로, 편성된 텍스타일과 필름층 사이에 갭을 만들거나 주름을 형성하는, 편성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들도 고려된다.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일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이다.
텍스타일 및/또는 접착제가 난연 물질 또는 내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이다.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에 비하여 3배 작다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신장률 20%일 때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연신력에 비하여 2배 작다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전술 및 기타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이점들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였을 때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오로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들은 다음과 같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특히 이하에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지어 고려될 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결합 영역들 내에 불연속 접착제 점들을 가지는 2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라서 결합 영역들 내에 연속 접착제를 가지는 2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서 결합 영역들 및 미결합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 패턴이 도시된 도 1 또는 2의 라미네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결합 영역들 내에 불연속 접착제 점들을 가지는 3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라서 라미네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 둘 다에 결합 영역들 및 미결합 영역들을 포함하는 3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른 3차원 라미네이트의 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서 미결합 영역에 상응하여 존재하는 도드라진 부분들과, 결합 영역 내 불연속 접착제 점들을 가지는 2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 따라서 미결합 영역에 상응하여 존재하는 도드라진 부분들과, 결합 영역 내 불연속 접착제 점들을 가지는 3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라서 라미네이트 내에서 제2 텍스타일이 에어 포켓(air pocket)들을 형성하는 3층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수축성 또는 탄성 필름층으로 형성된 라미네이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필름층 상에 제2 텍스타일이 배치되어 있는, 도 10의 라미네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에 따라서 내부에 6각형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6각형 접착제 패턴을 적용하기 위해 박리지를 사용하여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구체예 하나에 따라서 채널에 의해 떨어져 있는, 도드라진 6각형 구역들로 이루어진 패턴 형성 고무 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3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7의 라미네이트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서 비 접착 구역에 의해 떨어져 있는, 접착제 패턴을 포함하는 그라비어 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접착제 패턴을 적용하기 위해 그라비어 롤을 사용하여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에 따라서 내부에 물결 모양 평행선 패턴이 형성된 박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 구체예 하나 이상에 따라서 주름이 잡힌 라미네이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1은, 접착제 점들의 지름이 접착제 영역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예시적 접착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2는, 접착제 영역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는 접착제 점들의 지름이, 접착제 영역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접착제 점들의 지름보다 큰, 예시적 접착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3은, 접착제 영역의 바깥쪽 부분이, 지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착제 점들 다수 개를 둘러싸고 있는,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착제 밴드로 이루어진 예시적 접착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4는,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원형의 영역들이 중앙에 집중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예시적 접착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5는, 접착제 영역 내에 접착제가 격자 유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예시적 접착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달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의 당 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도면에서 선, 층 그리고 영역의 두께는 명확함을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요소, 예를 들어 층이 다른 요소의 "위(상)"에 있는 것으로 언급될 때, 해당 요소는 상기 다른 요소의 위에 바로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그 요소들 사이에 매개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해당 요소는 상기 다른 요소에 바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그 요소들 사이에 매개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부", "하부", "측부" 등과 같은 용어들은 오로지 설명을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것이다. 도면 전반에 걸쳐서 살펴볼 수 있는 유사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용어 "필름층" 및 "기능성 필름층"은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어 "라미네이트" 및 "라미네이트 물품"도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결합 영역" 및 "접착제 영역"도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고, 변별적 불연속 접착제 패턴을 가지는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제1 텍스타일에 기능성 필름층이 결합하고 있는 라미네이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불연속 접착제 패턴은 제1 텍스타일에 가시적이면서 심미적인 즐거움을 주는 표면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불연속 접착제 패턴은 라미네이트 물품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 즉 라미네이트를 우선하여 구부러지게 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제2 텍스타일은 접착제를 매개로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면 위에 존재하는 필름층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제1 텍스타일과 필름층 중 하나 이상은 탄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다. 라미네이트 물품은 방수성, 방액성 및 통기성이며, 물품을 구부렸을 때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하였음과, 방호 가치 및 분광 반사가 개선되었음이 입증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은 또한 본원의 후반부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되는, 제1 텍스타일만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연신력에 비하여 놀라울 정도로 작은 연신력을 구현하기도 한다. 비교를 위해서, 연신 특성을 나타내도록 조장된 통상의 균일 라미네이트 재료는, 통상 제1 텍스타일만의 연신력보다 5배(5×) 이상 큰 연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라미네이트 물품은, 제1 텍스타일만의 연신력보다 단지 3배(3×)이거나 그 이상으로 작은 연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은 제1 텍스타일만의 연신력보다 단지 2배(2×)이거나 그 이상으로 작은 연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에 관한 구체예는 제1 텍스타일만의 연신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1×) 심지어 그보다 작은 연신력을 발휘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물품에 대한 연신력은 제1 텍스타일만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연신력의 절반이거나(0.5×) 심지어 그보다 작을 수 있다. 기타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연신력은 제1 텍스타일만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연신력의 3분의 1이거나(0.33×) 심지어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예는 제1 텍스타일만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연신력의 6분의 1이거나(0.16×) 심지어 그보다 작은 연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편성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은, 이 편성 텍스타일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팽창할 때, "주름"을 보이거나 미결합 영역에서 편성 텍스타일과 필름층 사이에 갭을 형성함으로써, 물품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을 통해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2층 라미네이트(10)가 가장 잘 확인될 수 있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필름층(20)에는 제1 텍스타일(40)을 이 필름층(20)에 결합하는 접착제(30)가 도포되어 있다. 접착제(30)는 필름층(20) 또는 제1 텍스타일(40)(또는 이 필름층(20)과 제1 텍스타일(40) 둘 다)에 도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논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접착제(30)를 필름층(20)에 도포하는 것이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제(30)는 변별적 불연속 패턴으로 필름층(20)에 도포되므로, 접착제(30)는 미결합(비 접착) 영역(60)에 의해 떨어져 있는 결합(접착) 영역(50)을 포함하게 된다. 접착제(30)는, 예를 들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일련의 불연속 점들로서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영역(50) 내 중단 없이 연속적인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결합 영역(50) 내 접착제 점들은 크기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아니면 하나의 결합 영역 내 또는 결합 영역 상호 간에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접착제 점들은 접착제 영역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결합 영역(50) 내 기타 접착제 패턴들, 예를 들어 격자, 직선 또는 기타 패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와 같은 접착제는 접착제 영역(들) 내에 균일하거나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점(40)들은,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영역(50) 전반에 걸쳐 지름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결합 영역(50) 내 인접 접착제 점(41)들 사이의 거리는 연속 결합 영역(5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영역(50)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는 접착제 점의 지름은, 결합 영역(50)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접착제 점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도 22를 참고로 하였을 때, 접착제 점(42)의 지름은 접착제 점(44)의 지름보다 크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2에 보인 바와 같이 접착제 점들은 그 지름이, 결합 영역(50)의 바깥쪽 부분으로부터 결합 영역(50)의 안쪽 부분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점(42)과 점(44) 사이의 거리는 결합 영역(50)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다른 구체예에서, 접착제(30)는 접착제 영역(50) 내에 연속적 형태 및 불연속적 형태 둘 다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일례는 도 23에 보이고 있는데, 이 도면에 있어서, 접착제 영역(50)의 바깥쪽 부분은, 실질적으로 지름이 동일한 접착제 점(48) 다수 개를 둘러싸고 있는 접착제의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밴드(46)로 이루어져 있다. 접착제 밴드(46)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착제 점(48)의 지름은 다양할 수 있거나, 이 접착제 점들 자체는 변별적 패턴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 영역(50) 중앙으로 들어갈수록 접착제 점들의 지름은 점점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또한 이러한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기타 몇몇 구체예에서, 접착제(30)는 접착제 영역(50) 내에 패턴을 형성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 접착제(30)는, 이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원형 영역(52)들이 중심에 모여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포된다. 비록 7개의 원형 영역(52)들만이 도 24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원형 영역(52)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영역들은 원래는 원형이 아니었으며, 접착제 영역(50) 내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도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서, 접착제(30)는,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유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착제 스트립(54)은 접착제 영역(50) 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트립(54)들은, 이 접착제 스트립(54)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비접착제 영역과 함께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으로 배열되어 "격자"를 이루는 접착제 교차 스트립(54)들(도시되지 않음)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도 21∼25에 도시된 접착제 영역(50) 내 접착제의 패턴들은 원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 접착제 영역(50) 내 다른 접착제 및/또는 비접착제 패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접착제는 접착제 영역(50) 내에서 임의의 패턴으로 균일하거나 불균일하게 접착제 영역(들) 내에 분포될 수 있음도 이해될 것이다.
접착제(30)는 또한 필름층(20)에 도포되기도 하는데, 이로써 미결합 영역(60)들과 함께, 결합 영역(50)들은 라미네이트(10) 표면상에 가시적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에는, 결합 영역(50)들과 미결합 영역(60)들이 라미네이트(10)의 제1 텍스타일(40) 외 표면(도 2에 보임)에 6각형의 가시적 패턴을 형성하는 예시적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30)는 통기성이거나 통기성이 아닐 수 있으며, 또한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및 전사 인쇄(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의해 필름층(20)에 도포될 수 있다.
결합 영역(50) 및 미결합 영역(60) 각각에 의해 형성된 패턴은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팔각형 등) 또는 추상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통 2회 이상 반복되어 나타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결합 영역(60)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미결합 영역(60)은 라미네이트(10) 내에 연속 통로(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결합 영역(50)들은 미결합 영역들에 의해 거리 "↔"(80)만큼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미결합 거리는 약 2㎜ 이상일 수 있으며, 예시적 구체예에서는 약 2㎜∼약 20㎝, 약 2㎜∼약 10㎝, 약 2∼약 20㎜, 또는 약 2∼약 10㎜일 수 있다. 또한 결합 영역들의 폭은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7㎜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결합 영역의 폭은 약 5㎜∼약 10㎝ 또는 약 5∼약 50㎜이다.
결합 영역(50) 및 미결합 영역(60) 각각의 크기는 원하는 물리적 외관과 속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결합 영역의 폭은, 연속적 결합 영역들(예를 들어 미결합 영역들) 사이의 거리보다 큰데, 이때, "폭"은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어떤 영역의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내 결합 영역들의 면적 범위%는 라미네이트 면적의 30%, 40% 또는 50% 이상을 차지할 수 있으며, 몇몇 구체예에서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결합 영역의 면적 범위%"란, 라미네이트 내 접착제 영역들의 총 2차원 면적(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접착제 영역은 일반적으로 결합 영역을 이룸)을, 라미네이트의 총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임의의 경우, 결합 영역(50) 내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미결합 영역(60) 내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훨씬 많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결합 영역(50) 내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예를 들어 접착제의 질량 또는 부피)은, 미결합 영역(60) 내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10% 이상, 20% 이상 또는 심지어 30% 이상 (또는 그 이상) 많다. 또한 결합 영역(50) 내 인접하는 접착제 점들 사이의 거리는, 연속적인 결합 영역(50)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연속적 결합 영역들" 또는 "연속적 영역들"은, 인접 영역들을 나타내는 의미이다. 접착제는 임의로 내염성 접착제일 수 있거나, 또는 라미네이트가 불에 타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내염 물질 또는 난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내염 물질 또는 난연 물질에 관한 비 제한적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 p-페닐렌-2,6-벤조비속사졸(PBO), 모다크릴 블렌드, 폴리아민, 내염 레이온, 폴리아민, 탄소,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이것들의 블렌드 및 조합을 포함한다.
필름층(20)은 플루오르화 중합체 막, 예를 들어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물,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 ePTFE 또는 PTFE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및 실리콘 함유 필름; 그리고 기타 플루오르화 중합체 함유 필름, 예를 들어 스카이빙된 PTFE(skived PTFE) 및 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FEP);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을 가지는 복합재일 수 있다. PTFE의 발포 블렌드, 발포 개질 PTFE, 그리고 PTFE의 발포 공중합체에 대한 특허 및 특허 출원들이 등록 및 출원되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08,044호(Branca); 미국 특허 제6,541,589호(Baillie); 미국 특허 제7,531,611호(Sabol외 다수); 미국 특허 출원 제11/906,877호(Ford);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 제12/410,050호(Xu외 다수)].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필름층(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 ePTFE이다. 대안적 보호 코팅물,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395,383호(Maples) 및 미국 특허 제5,286,279호; 동 제5,342,434호; 및 동 제5,539,072호(Wu)에 개시된 것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사용될 수 있었다.
제1 텍스타일(40)은 임의의 직물, 부직물, 펠트 또는 니트일 수 있으며,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은 탄성이 아니거나 탄성일 수 있거나, 아니면 조작시(예를 들어 수축 또는 신장시) 치수가 바뀔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탄성"이란, 어떤 재료가 인장된 후 다시 장력을 해제하였을 때 거의 원래의 치수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의미이다. 탄성은 텍스타일(들), 필름층(들), 접착제(들)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 주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텍스타일(40)로서 사용되기 적당한 텍스타일의 비 제한적 예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면, 울, 실크,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레이온, 아크릴, 올레핀 및 스판덱스 등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제1 텍스타일(40)은 내염성 또는 난연성 텍스타일일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은 또한 UV 보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있거나 원하는 특징들이 제공되도록 코팅 또는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과 마주보는 쪽에 있는 필름층(20)에 결합하며, 그 결과, 3층 라미네이트(100)가 형성된다.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에 관하여 전술된 텍스타일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으며, 제1 텍스타일(4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텍스타일(90)은 접착제(110)에 의해 필름층(20)에 결합하는데, 이때, 접착제는 연속적 형태(즉 접착제 영역 내 접착제의 균질 층의 형태) 또는 불연속적 형태(즉 접착제 영역 내 접착제의 개별적이고 독립된 부분들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만일 접착제가 연속적 형태로 도포되면, 라미네이트(100)의 통기성을 유지하도록 접착제도 역시 통기성이어야 한다. 만일 접착제가, 접착 물질이 없는 영역들을 통해서 충분한 통기성을 얻을 수 있는, 적당한 불연속적 형태로 도포되면, 접착제는 통기성일 필요가 없다. 도 4는 일련의 불연속 점들로서 도포된 접착제(110)를 도시한 것인데, 이외에도 접착제는, 예를 들어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불연속 형태로서 도포될 수도 있다. 접착제(110)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도포되면, 라미네이트(140)의 하부 면에도 결합 영역(120)들과 미결합 영역(130)들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라미네이트(140)는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둘 다에 변별적 패턴을 포함하게 된다. 어떠한 이론에 국한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라미네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둘 다에 결합 영역과 미결합 영역이 포함되면, 뻣뻣함이 더욱 줄어들고, 소음도 더욱 줄어들며, 통기성은 증가하게 된다. 접착제(30)가 사용될 때와 같이, 접착제(110)는 임의의 공지된 통상의 도포 방법에 의해 필름층(20)에 도포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합 영역(50)들은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은 불연속적 접착제 패턴 대신 연속적 접착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필름층(20) 및/또는 제1 텍스타일(40)은 탄성이거나, 조작시(예를 들어 수축 또는 신장시) 치수가 바뀔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이 탄성인 경우, 미결합 영역(60)들에 상응하는 라미네이트의 도드라진 가시부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 수 있다. 도드라진 가시적 패턴은 접착제(30)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또는 추상적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결합 영역(50)들은 국부적으로 휨 현상(curling phenomenon)(150)을 보인다. 예상외로, 미결합 영역(60)들은 라미네이트 내 잔류 응력을 소실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체 라미네이트(160)가 과하게 휘어지도록 하지 않고도 결합 영역(50) 내에 응력을 도입할 수 있음이(예를 들어 결합 영역(50)이 휘어지도록 만들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요성 미결합 영역(60)들에 의해 떨어져 있는 결합 영역들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공격적으로 휘어지는 부분(150)은 라미네이트(160)의 3차원 양태를 뚜렷하게 만들어주고, 증강된 성능 및/또는 특징들, 예를 들어 증강된 방호 특성, 연신, 분광 특성 및 심미적 특징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도입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예를 들어 방호 특성)은 0.05(㎡K/W)/(㎏/㎡) 이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05∼약 0.4(㎡K/W)/(㎏/㎡)이다. 결합 영역(50) 내 곡률 반경은 약 50㎜ 미만, 약 20㎜ 미만, 약 10㎜ 미만 또는 약 6㎜ 미만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곡률 반경은 약 1㎜ 이상, 약 2㎜ 이상, 약 3㎜ 이상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곡률 반경은 약 2∼약 50㎜, 약 3∼약 20㎜ 또는 약 4∼약 10㎜이다. 또한 라미네이트의 단위 면적당 하중에 대한 두께는 약 0.005㎜/(g/㎡) 이상, 약 0.010㎜/(g/㎡) 이상,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도 7을 통해서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 따른 3차원 라미네이트(160)가 가장 잘 확인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160)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1 텍스타일(40)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신되고, 접착제(30)는 미 연신 이완 상태인 필름층(20)에 도포된다. 비록 제1 텍스타일(40)(그리고 이하에 언급된 필름층(20))이 한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으로 본원에 언급되어 있긴 하지만, 이 텍스타일(그리고 필름)을 2축 연신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자세히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30)는 불연속적 형태로 도포되며, 그 결과, 결합 영역(50)들과 미결합 영역(60)들이 제공된다. 제1 텍스타일(40)이 연신되는 위치로 인장되면, 접착제(30)를 포함하는 필름층(20)은 제1 텍스타일(40) 상에 배치되고, 그 결과, 필름층(20)은 제1 텍스타일(40)에 결합된다. 장력이 해제되면, 제1 텍스타일(40)은 다시 원래의 연신되지 않았던 위치로 되돌아간다. 예시적 구체예에서, 접착제(30)가 휘어진 후에는 장력이 해제된다.
제1 텍스타일(40)이 이완될 때("연신되지 않을 때"), 결합 영역(50)들은 휘어지게 되고, 미결합 영역(60)들은 도드라지게 된다. 라미네이트(160)의 미결합 영역(60)들은 돌출되는데(예를 들어 주름이 잡히는데), 이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미결합 영역(60)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결합 영역(50)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용어 "돌출부"과 "주름"은 본원에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층 또는 텍스타일 층이 구부러져 필름층 또는 텍스타일 층 자체가 도드라진 부분(65)을 형성할 때를 일컫는 의미이다. 결합 영역(50)들과 미결합 영역(60)들에 접착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지의 차이는, 라미네이트의 미결합 영역(60)에는 도드라진 부분(이완 부)이 형성되도록 허용하고, 결합 영역(50)에는 휘어진 부분이 형성되도록 허용한다. 결합 영역(50)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텍스타일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미결합 영역(60)이 돌출되면 제1 텍스타일(40)과 필름층(20) 사이, 즉 제1 텍스타일(40)이 필름층(20)에 결합하지 않는 부분에 에어 갭(75)이 형성된다. 라미네이트(160)(그리고 이하에 기술된 라미네이트(170))는 미결합 영역(60), 즉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현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미네이트의 미결합 영역(60)의 굴곡 탄성률이 결합 영역(50)의 굴곡 탄성률보다 작기 때문에 일어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에서, 미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 이상(또는 그 이상) 작다.
제2 텍스타일(90)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접착제(110)에 의해 필름층(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90)은 필름층(20)에 고정되는데, 이때, 제1 텍스타일(40)은 전술된 바와 같은 연신 위치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2 텍스타일(90)은 필름층(20)에 대해 실질적으로 편평한 배향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제1 텍스타일(40)에서 장력이 해제될 때, 제2 텍스타일(90)은 실질적으로 필름층(20)의 통로를 따라서 배치되며, 미결합 영역(60)에서는 필름층(20)과 함께 돌출되고, 결합 영역(50)에서는 제1 텍스타일(40)과 함께 휘어진다. 제2 텍스타일(90)이 부가되었을 때 미결합 영역(60)에서는 필름층(20)이 돌출되거나 결합 영역(50)에서 라미네이트가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지 않으므로, 라미네이트의 3차원 구조가 형성되는 점이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비록 도 8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접착제(110)가 불연속적 형태로 도포되면, 라미네이트(170)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둘 다에 결합 구역과 미결합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드라진 부분(65)의 제1 텍스타일(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내마모 코팅물, 예를 들어 중합체 코팅물(도시되지 않음)로 코팅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가 의상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때, 제1 텍스타일(40)(예를 들어 외 표면)은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대안적 구체예에서,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에서 장력이 해제되어 라미네이트(160) 결합 영역(50)이 휘어진 후에 라미네이트(160)에 결합된다. 접착제(110)는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90)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불연속적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110)는 제2 텍스타일(90)을 가로질러 연속적 형태로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텍스타일(90)이 필름층(20)과 접촉하는, 라미네이트(180)의 오로지 일부의 독립된 부분들에 (연속적으로나 불연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9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 층(90)은 필름층(20) 및 제1 텍스타일(30)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텍스타일(90)이 필름층(20)에 고정되면, 에어 포켓(190)이 제2 텍스타일(90)과 필름층(20) 사이 한정된 구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 포켓(190)은 라미네이트(180)에 부가적인 방호 가치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필름층(20)은 탄성이거나 수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로 하였을 때, 필름층(20)은, 라미네이트(200)에 패턴 형성 표면을 형성하는 불연속 접착제(30)에 의해 제1 텍스타일(40)에 결합된다. 필름층(20)이 탄성인 구체예에서, 미결합 영역(60)의 도드라진 부분(65)과 결합 영역(50)의 휘어진 부분은, 위에 접착제(30)가 도포된 제1 텍스타일(40)을 인장시킨 필름층(20)에 적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장력이 해제될 때, 라미네이트 결합 영역(50)은 필름층(20) 쪽으로 휘게 된다. 이때, 결합 영역(50)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필름층 쪽을 향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 영역(50)들과 미결합 영역(60)들에 접착제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지의 차이는, 라미네이트가 미결합 영역(60)에서는 도드라지고(이완되고), 결합 영역(50)에서는 휘어지도록 만들어준다. 뿐만 아니라, 도드라진 영역(65) 내 필름층(20)과 제2 텍스타일(40) 사이에는 에어 갭(75)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 영역(50)에 상응하는, 휘어진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내마모 코팅물, 예를 들어 중합체 코팅물(도시되지 않음)로 코팅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가 의상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때, 제1 텍스타일(40)(예를 들어 외 표면)은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름층(20)이 수축 가능한 경우, 미결합 영역(60)의 도드라진 부분(65)과 결합 영역(50)의 휘어진 부분은, 예를 들어 열을 필름층(20)에 가하여 필름층(20)을 수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필름층(20)이 수축될 때, 라미네이트(200)는 결합 영역(50)에서 필름층(20) 쪽으로 휘어진다. 라미네이트(200)가 미결합 영역(60)에서 이완되면(도드라지게 되면), 필름층(20)이 수축됨으로 인해 유발되는 응력이 소멸된다. 연신 가능하면서(즉 탄성이면서) 수축 가능한 필름층(20)은 도 10에 도시된 2층 라미네이트(200)를 이룬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필름층(20)이 수축 가능하거나 연신 가능한 구체예에서, 제1 텍스타일(40) 및 제2 텍스타일(90)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것들은 둘 다 탄성이 아닐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텍스타일(40)이 수축 가능한 경우 미결합 영역(60)의 도드라진 부분(65)과 결합 영역(50)의 휘어진 부분은, 예를 들어 열을 제1 텍스타일 층(40)에 가하여 제1 텍스타일 층(40)을 수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텍스타일 층(40)이 수축될 때, 라미네이트는 결합 영역(50)에서 텍스타일 층(40) 쪽으로 휘어진다. 라미네이트는 미결합 영역(60)에서 이완되는데(도드라지게 되는데), 이로써 텍스타일 층(40)이 수축됨으로 인해 유발되는 응력이 소멸된다. 텍스타일 층(40)이 수축 가능하거나 연신 가능한 구체예에서, 필름층(20)과 제2 텍스타일(90)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것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탄성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90)은 필름층(20)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제(110)는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불연속적 형태로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텍스타일(90)이 필름층(20)과 접촉하는 라미네이트(210)의 오로지 일부의 독립된 부분들에 (연속적으로나 불연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제2 텍스타일(90)이 부가되면 필름층(20)과 제2 텍스타일(90) 사이의 한정된 구역에 에어 포켓(190)이 형성된다.
라미네이트의 3차원적 성질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게 되거나, 수축 가능하게 되거나, 팽창 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성질들이 조합되어 발현되는 것과 같이 몇 가지 양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층 하나 이상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므로, 전술된 구체예들은 비 제한적이라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층들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되면 라미네이트 내에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라미네이트의 결합 영역 내에서 휘어지는 현상이 유발된다. 이에 따라서, 미결합 영역들은 라미네이트가 돌출되도록 만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돌출됨으로 인해 라미네이트가 휘어질 때 발생하는 응력이 소멸된다. 본원에 기술된 라미네이트는 통상의 라미네이트에 비하여 훨씬 소음 발생이 줄어드는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미결합 영역 내에서 라미네이트가 우선하여 구부러지기 때문이다.
본원에 기술된 라미네이트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의상, 방호물, 스페이서 재료(spacer material) 또는 확산 반사 면으로서, 또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고도로 조직화된 라미네이트(highly texturized laminate)가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이점들은, 뻣뻣함 및 소음 감소로부터 방호 특성 및 심미적 차별성의 개선, 그리고 분광 반사율의 개선 또는 증강에 이르기까지 많다. 분광 반사율은, 본 발명의 물품의 높낮이 형태(예를 들어 돌출 부분의 존재)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개선 또는 증강된다.
소음이 줄어든 라미네이트는, 소음 억제가 중요한 상황, 예를 들어 사냥, 법 집행 또는 군사 작전은 물론, 소음 억제가 단순히 요망되는 것에 불과한 경우, 예를 들어 일반 소비자의 아웃도어 의상(예를 들어 재킷, 바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가 휘어지는 특성을 이용하는 구체예로서는 일반 소비자 및 소방관 등을 위한 경량의 방호용 의상, 접촉 면적을 줄인 의료용 시트 및 담요를 포함한다.
테스트 방법
비록 임의의 방법들과 장비들이 이하에 기술되어 있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임의의 방법 또는 장비도 사용될 수 있다.
방액 천에 대한 수터 테스트
수터 테스트 방법이 해당 샘플이 방액성인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었다. 본 방법은 일반적으로 ASTM D 751-00 "코팅된 천에 대한 표준 테스트 방법(정수압 저항 방법 B2)"에 기술된 바를 바탕으로 한다. 본 방법은, 물을 테스트 샘플의 한쪽 면에 밀어 넣고, 반대쪽 면을 관찰하여 물이 샘플을 관통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테스트 대상인 샘플에 낮은 압력 도전을 제공한다.
테스트 샘플은 클램프로 고정된 다음, 샘플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 내 고무 가스팃 사이에 밀봉되었으며, 물은 제한된 면에만 적용될 수 있었다. 물이 적용되었던 원형 구역의 지름은 4.25인치였다. 물은 1psig(0.07bar)의 압력으로 샘플의 한쪽 면에 적용되었다. 하나의 텍스타일 층을 가지는 라미네이트를 대상으로 테스트가 진행됨에 있어서, 가압된 물은 필름 쪽을 통과하였다.
샘플의 가압되지 않은 쪽은 물이 스며든 어떠한 흔적이라도 나타났는지에 대해 3분 동안 눈으로 관찰되었다. 만일 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면, 해당 샘플은 테스트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고, 방액성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이었다.
투습도(WVTR) 테스트
투습도(WVTR), 즉 수증기 투과도는, 아세트산칼륨 35중량부와 증류수 15중량부로 이루어진 용액 약 70㎖를, 133㎖들이 폴리프로필렌 컵(입구 내부 지름 6.5㎝)에 넣음으로써 측정된다. 최소 WVTR이 약 85,000g/㎡/일(미국 특허 제4,862,730호(Crosby)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테스트됨)인 ePTFE 막은 가열되어 상기 컵의 입구 주위를 밀봉하였는데(열 밀봉), 그 결과, 팽팽하면서, 내부 액체(상기 용액)가 새어 나오지 않는 미소 공극 차단막이 형성되었다.
유사한 ePTFE 막이 수조 표면에 씌워졌다. 수조 조립체의 온도는 온도 조절 방과 물이 순환되는 수조를 이용하여 23±0.2℃로 제어되었다. 이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 테스트될 샘플의 온도는 23℃로, 그리고 상대 습도는 약 50%로 조절되었다. 테스트될 샘플들 3개가 각각 수조 표면에 씌워진 발포 PTFE 막과 접촉되고, 상기 컵 조립체가 도입되기 전 15분 이상 동안 평형화되도록 샘플들이 놓여졌다.
상기 컵 조립체는 0.001g에 가장 가까운 무게로 하중이 가하여지고 나서, 대상 샘플의 중앙에 거꾸로 놓여졌다. 수조 내 물과 포화 염 용액 사이의 구동력에 의해 물이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때, 확산에 의해 포화 염 용액으로부터 물의 방향으로 수 투과량만큼이 제공되었다. 샘플은 20분 동안 테스트되었으며, 이후 컵 조립체는 분리되었으며, 이후 다시 0.001g 이내의 하중이 가하여졌다.
컵 조립체의 중량 증가분으로부터 샘플의 WVTR이 산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24시간당 샘플 표면적 ㎡당 물의 g수로 나타내어졌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이었다.
열 전도율 측정
주문 제작된 열류계 열전도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압 조건(약 298K 및 101.3kPa) 하에서 본 발명의 샘플들의 열 전도율이 측정되었다. 상기 테스트 장치는 열류 센서(모델명: FR-025-TH44033, 코네티컷 올드 세이브룩에 소재하는 컨셉 엔지니어링(Concept Engineering)사 제품) 및 온도 센서(서미스터)가 표면에 내장되어 있는 가열 알루미늄 평판과, 실온으로 온도가 유지되며 역시 온도 센서가 표면에 내장되어 있는 제2 알루미늄 평판으로 구성되었다.
가열 평판의 온도는 309.15K로 유지되었으며, 이때, "냉각" 평판의 온도는 298.15K로 유지되었다. 평판의 지름은 약 10㎝였다. 열류량 측정은 보통 샘플이 테스트 장치에 넣어지고 나서 정상 상태에 이르게 된 후 약 2∼5분 이내에 이루어졌다.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측정된 열류량과 샘플 중량으로부터, 등식 Rm = (1/Q-1/Q(0))/w [식 중, Rm은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이고((㎡K/W)/(㎏/㎡)), Q는 정규화된 열류량(W/㎡K)이며, Q(0)는 샘플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정규화된 열류량이고(Q(0) = 100W/㎡K), w는 샘플의 중량(㎏/㎡)임]에 따라서 산정되었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을 나타낸다.
곡률 반경의 측정
곡률 반경은,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휘어진 영역의 횡단면에 있어서 하부 중심과 상부 모서리 둘 다와 닿을 수 있는 최대 원의 반경으로서 정의된다. 곡률 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 샘플은 만곡부의 반경에 수직이 되도록 잘라졌을 때, 이 잘라진 부분이 휘어진 구획들 몇 개를 이등분하여야 했다. 그 다음, 휘어진 구획들의 폭과 깊이는 디지털 캘리퍼로 측정되었으며, 이로써 평균값들이 구하여졌다.
만곡부의 반경은, 등식 r = c2/(8*a)+(a/2) [식 중, r은 만곡부의 반경(㎜)이고, c는 휘어진 구획의 폭(㎜)이며, a는 휘어진 구획의 깊이(㎜)임]에 따라서 측정된 평균 폭과 깊이로부터 산정되었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이었다.
굴곡 탄성률 측정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4.68㎜×4.68㎜ 샘플의 굴곡 탄성률은, 3점 굽힘 방법(3-point bend method)을 이용하는 열 역학적 분석 장치(모델명: Q400, 델라웨어 뉴캐슬에 소재하는 TA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본 테스트는 23℃에서 수행되었다. 지지체 길이는 2.508㎜였다. 변형률(deflection rate)은 분당 약 0.162㎜였다. 이 샘플들은 샘플 천의 겉면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테스트 장치에 넣어졌다.
각각의 샘플의 굴곡 탄성률은 등식 Ef = L3m/(4bd3) [식 중, Ef는 굴곡 탄성률(MPa)이고, L은 지지체의 길이(㎜)이며, m은 하중-변형 곡선의 초기 직선 부의 기울기(N/㎜)이고, b는 테스트 샘플의 폭(㎜)이며, d는 테스트 샘플의 두께(㎜)임]에 따라서 산정되었다. 샘플의 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모델명: ID-C112EX, 일본 카와사키에 소재하는 미쓰토요 코포레이션(Mitutoyo Corp.)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얻은 샘플 6개가 테스트되었는데, 이것들 중 3개는 세로 방향(세로 실)의 것이었고, 나머지 3개는 가로 방향(가로 실)의 것이었다. 보고된 값들은 6회 측정값의 평균을 나타낸다.
최대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 측정
2개의 단단한 샘플 표면들(면적 5㎠) 사이의 최대 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모델명: XLI 40002,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 소재하는 마하 페더럴 인코포레이션(Mahr Federal Inc.))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최대 두께(즉 도드라진 영역들의 높이)와 면적을 측정하는데 적당한 임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이 주목될 것이다. 샘플의 하중은, 샘플을 지름 8.9㎝인 원으로 자른 후, 이것에 0.001g에 가장 가까운 무게로 하중을 가하여줌으로써 측정되었다. 두께 대 하중의 비율은 등식 D = T/(W/A) [식 중, D는 두께 대 중량의 비율(㎜/(g/㎡))이고, T는 샘플의 두께(㎜)이며, W는 샘플의 하중(g)이고, A는 면적(㎡)임]에 따라서 산정되었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이었다.
연신력 측정
샘플을 연신하는데 필요한 힘은, 1000lb 하중 셀이 장착된 인스트론 유니버살 테스트 기기(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재료 샘플(3인치×8인치)이 잘라졌는데, 이때, 장 치수는 최대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었다. 단면의 지름이 5㎜인, 가로로 긴 바(horizontal bar)는 상기 인스트론 기기의 하중 셀에 부착되었으며, 공압 클램프 그립 부는 상기 인스트론 기기의 본체에 부착되었다. 상기 가로로 긴 바의 상부 모서리는 상기 공압 클램프의 상부 위 3"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었다. 샘플은 반으로 접혀 3인치 쪽에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가로로 긴 바의 위에 놓였다. 샘플의 말단부들은 공압 클램프 그립에 함께 집어 놓아, 샘플에 장력이 걸리지 않을뿐더러 샘플이 느슨해지지도 않도록 하였다. 샘플은 변형 속도 10인치/분으로 연신되었으며, 20% 변형률에서의 하중은 lbf로 기록되었다. 보고된 값들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라미네이트는, 접착제를 적당한 용매로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임의의 적당한 방법에 의해 자체의 구성 부분들로 분리될 수 있음은 당 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 다음, 텍스타일의 연신력이 측정될 수 있다.
두께
두께는, 막이나 텍스타일 라미네이트를 미쓰토요 543-252BS 스냅 게이지(Snap Gauge)의 평판 2개 사이에 넣어 측정되었다. 3회 측정값의 평균이 사용되었다.
매트릭스 인장 강도(MTS)
최대 하중은, 편평 면 그립과 0.445kN 하중 셀이 장착된 인스트론 1122 인장 테스트 기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게이지 길이는 5.08㎝였으며, 크로스헤드 속도는 50.8㎝/분이었다. 샘플 치수는 2.54㎝×15.24㎝였다. 유사한 결과들을 보장하기 위해서, 실험실 온도는 68∼72℉로 유지되었으며, 그 결과 유사한 결과들이 보장되었다. 만일 샘플이 그립 계면에서 파열되면 해당 샘플의 데이터는 폐기되었다.
세로 방향의 MTS 산정을 위해서, 샘플의 큰 치수 쪽은 세로 방향 또는 "다운 웹(down-web)" 방향으로 배향되었다. 가로 방향의 MTS 산정을 위해서는, 샘플의 큰 치수 쪽은 세로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크로스 웹(cross web)" 방향이라고도 알려짐) 배향되었다. 각각의 샘플에는 메틀러 톨레도 스케일 모델 AG204(Mettler Toledo Scale Model AG204)를 사용하여 하중이 가하여졌다. 그 다음, 샘플의 두께는 케이퍼 FZ1000/30 스냅 게이지(Kafer FZ1000/30 snap gauge)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이후, 샘플들은 인장 테스트 장치 상에서 개별적으로 테스트되었다. 각각의 샘플의 상이한 구획들 3개를 대상으로 측정이 수행되었다. 최대 하중(즉 최고 힘) 측정값들(3개)의 평균이 사용되었다.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MTS는, 다음과 같은 등식을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MTS = (최대 하중/단면적)*(PTFE의 부피 밀도)/(다공성 막의 밀도)
[식 중, PTFE의 부피 밀도는 2.2g/cc인 것으로 함]
3개의 크로스 웹 측정값들의 평균이 세로 방향 MTS 및 가로 방향 MTS로서 기록되었다.
밀도
밀도를 산정하기 위해서 매트릭스 인장 테스트에 따른 측정법이 이용되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샘플의 치수는 2.54㎝×15.24㎝였다. 각각의 샘플들에 메틀러 톨레도 스케일 모델 AG204를 사용하여 하중이 가하여졌으며, 케이퍼 FZ1000/30 스냅 게이지를 사용하여 샘플들의 두께가 측정되었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등식에 따라 샘플의 밀도가 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식 중,
ρ는 밀도(g/cc)이고,
m은 질량(g)이며,
w는 폭(1.5㎝)이고,
l은 길이(16.5㎝)이며,
t는 두께(㎝)이다.
보고된 결과들은 6회 산정의 평균이다.
기포 점 압력(bubble point pressure)
기포 점 테스트는 ASTM F31 6-03의 일반적인 교시 사항에 따라서 진행되었다. 기포 점은, 샘플에서 기포의 연속 흐름이 올라오는 것이 관찰될 때의 최저 압력으로 간주한다. 불투명하거나 백색인 막 샘플은, 이 샘플이 투명해지거나 반투명해질 때까지 습윤 액체,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알코올(IPA)로 습윤되었다. 샘플을 고정하기 위해 막 샘플은 필터 지지대에 놓여졌으며, 이 지지대에 추가량만큼의 IPA가 가하여졌다. 샘플의 첫 번째 면에는 기체 압력을 점점 높여주었으며, 이 기체 압력이 증가하였을 때 샘플의 두 번째 면은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고정물의 기체 압력이 기포 점 압력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기체의 작은 기포들이 샘플 상부 면에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기체의 기포들은 ePTFE의 상부 표면에서 위로 연속하여 떠오르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점에서의 압력이 기포 점 압력으로서 기록된다. 보고된 결과들은 3회 측정의 평균이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대해 일반적으로 기술되었는데, 이하 기술된 임의의 구체적 실시예들, 즉 오로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모두 통합적이거나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는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일정 길이의 나일론/로이카(Roica)® 연신 직조 재료(129g/㎡)(스타일 GNS3(Style GNS3); 대만 토울리우 소재, 포르모사 타페타 컴퍼니(Formosa Taffeta Co.)사 제품)와, 일정 길이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상기 재료에 ePTFE 막을 코팅하고 나서, 폴리우레탄(PU)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상기 막의 공극들을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후 경화시켰다.
도 12에 보인 벌집 모양(6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로 잘라내었다. 6각형 공극(220)들은 폭이 10㎜가 되도록 잘라졌으며, 이 공극들은 폭 4㎜인 박리지 스트립(230)에 의해 떨어져 있었다. 코팅된 막의 ePTFE 면에 박리지를 놓은 다음, 박리지와 막이 합하여진 것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밀어넣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도 17에 보인 대안적 구체예에서는, 표면상에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면서 도포되어 있는 그라비어 롤(315)(도 17에서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17로 보임)이 접착제를 기능성 필름층(예를 들어 코팅된 막)에 전사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지(215)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라비어 롤(325)의 일부(325)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일부(325)는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구역(327)을 둘 다 포함하고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막의 ePTFE 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loading)하였다. 지름이 500 마이크론인 점들을, ePTFE 막(26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39%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연신 직조 재료를 인장시키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연신 직조 텍스타일(270)을 막(26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텍스타일(27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28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보이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텍스타일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박리지의 6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텍스타일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7.3㎜였으며, 그 깊이는 0.9㎜였고, 곡률 반경은 7.8㎜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73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10,048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090(㎡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51㎜/(g/㎡)였다.
실시예 2
일반적으로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되, 다음과 같은 차이를 주어 또 다른 라미네이트를 제조하였다. 텍스타일은 93.2g/㎡ 나일론 직물(스타일 131913,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Milliken)사 제품)이었고, 박리지의 6각형 공극들의 폭은 30㎜였으며, 이 공극들은 폭 6㎜인 박리지 스트립에 의해 떨어져 있었으며, 텍스타일은 예비 연신하지 않았고, 추가의 접착제 점들도 ePTFE의 코팅된 면에 도포되지 않았으며, 텍스타일의 세 번째 층, 즉 37.3g/㎡ 폴리에스테르 니트(스타일 A1012, 노스캐롤라이나 글렌 레이븐 소재, 글렌 레이븐(Glen Rave)사 제품)를 나일론 직조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면 위 접착제가 도포된 곳에 붙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80g/㎡의 하중을 가하였다. 샘플의 투습도는 7,069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024(㎡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21㎜/(g/㎡)였다. 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11.3MPa였다. 미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2.40MPa였다.
실시예 3
일정 길이의 나일론 직조 재료(37.3g/㎡)(스타일 130970;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사 제품)와, 일정 길이의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126㎜, 밀도 = 0.402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28.5×106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144.3×106Pa, 기포 점 = 9.55×104Pa. ePTFE 막을, 커버율(coverage rate) 12∼15g/㎡로 적용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이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단일체이며 열가소성인 폴리우레탄 필름(소재 번호 PT1710S, 메사추세츠 사우스디어필드 소재, 디어필드 우레탄(Deerfield Urethane)사 제품)에 라미네이팅하였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532,316호(Robert Henn)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습식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였다.
채널(300)(폭 4㎜, 깊이 2㎜)에 의해 떨어져 있는, 도드라진 6각형 구역(290)(폭 10㎜)으로 이루어진 패턴 형성 고무 롤을 사용하여 텍스타일을 그라비어 롤에 밀어 넣었다. 이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고무 롤(310)의 일부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텍스타일(320)에 적용하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240)를 제조한 후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지름이 335 마이크론인 점들을, 주로 패턴 형성 고무 롤(310)의 도드라진 부분들에 의해 백킹(backing)되는 구역 내에서 53%의 면적 범위%로 텍스타일(320)에 적용하였다. ePTFE/PU 필름(330)을 인장시키고, 이 필름의 PU 면을 코팅된 텍스타일의 접착제 면 위에 올려놓았다. ePTFE/PU 필름(33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34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필름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패턴 형성 고무 롤의 도드라진 6각형 구역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필름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6.7㎜였으며, 그 깊이는 2.3㎜였고, 곡률 반경은 3.6㎜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202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4,243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204(㎡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10㎜/(g/㎡)였다.
실시예 4
일정 길이의 나일론/로이카(Roica)® 연신 직조 재료(129g/㎡)(스타일 GNS3; 대만 토울리우 소재, 포르모사 타페타 컴퍼니 제품)와, 일정 길이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상기 재료에 ePTFE 막을 코팅하고 나서, 폴리우레탄(PU)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상기 막의 공극들을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후 경화시켰다.
도 12에 보인 벌집 모양(6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로 잘라내었다. 6각형 공극(220)들은 폭이 10㎜가 되도록 잘라졌으며, 이 공극들은 폭 4㎜인 박리지 스트립(230)에 의해 떨어져 있었다. 코팅된 막의 ePTFE 면에 박리지를 놓은 다음, 박리지와 막이 합하여진 것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밀어넣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도 17에 보인 대안적 구체예에서는, 표면상에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면서 도포되어 있는 그라비어 롤(315)(도 17에서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17로 보임)이 접착제를 기능성 필름층(예를 들어 코팅된 막)에 전사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지(215)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라비어 롤(325)의 일부(325)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일부(325)는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구역(327)을 둘 다 포함하고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막의 ePTFE 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지름이 500 마이크론인 점들을, ePTFE 막(26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39%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연신 직조 재료를 인장시켰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연신 직조 텍스타일(270)을 막(26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텍스타일(27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28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보이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텍스타일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박리지의 6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 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텍스타일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7.3㎜였으며, 그 깊이는 0.9㎜였고, 곡률 반경은 7.8㎜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73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10,048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090(㎡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51㎜/(g/㎡)였다.
실시예 5
일반적으로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되, 다음과 같은 차이를 주어 또 다른 라미네이트를 제조하였다. 텍스타일은 93.2g/㎡ 나일론 직물(스타일 131913,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사 제품)이었고, 박리지의 6각형 공극들의 폭은 30㎜였으며, 이 공극들은 폭 6㎜인 박리지 스트립에 의해 떨어져 있었으며, 텍스타일은 예비 연신하지 않았고, 추가의 접착제 점들도 ePTFE의 코팅된 면에 도포되지 않았으며, 텍스타일의 세 번째 층, 즉 37.3g/㎡ 폴리에스테르 니트(스타일 A1012, 노스캐롤라이나 글렌 레이븐 소재, 글렌 레이븐사 제품)를 나일론 직조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면 위 접착제가 도포된 곳에 붙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80g/㎡의 하중을 가하였다. 샘플의 투습도는 7,069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024(㎡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21㎜/(g/㎡)였다. 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11.3MPa였다. 미결합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2.40MPa였다.
실시예 6
일정 길이의 나일론 직조 재료(49.0g/㎡)(스타일 131907;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사 제품)와, 일정 길이의 ePTFE 막을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126㎜, 밀도 = 0.402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28.5×106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144.3×106Pa, 기포 점 = 9.55×104Pa. ePTFE 막은, 커버율 12∼15g/㎡로 적용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이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단일체이며 열가소성인 폴리우레탄 필름(소재 번호 PT1710S, 메사추세츠 사우스디어필드 소재, 디어필드 우레탄사 제품)에 라미네이팅되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532,316호(Robert Henn)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습식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였다.
채널(300)(폭 4㎜, 깊이 2㎜)에 의해 떨어져 있는, 도드라진 6각형 구역(290)(폭 10㎜)으로 이루어진 패턴 형성 고무 롤을 사용하여 텍스타일을 그라비어 롤에 밀어 넣었다. 이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고무 롤(310)의 일부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텍스타일(320)에 적용하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240)를 제조한 후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지름이 335 마이크론인 점들을, 주로 패턴 형성 고무 롤(310)의 도드라진 부분들에 의해 백킹되는 구역 내에서 53%의 면적 범위%로 텍스타일(320)에 적용하였다. ePTFE/PU 필름(330)을 인장시키고, 이 필름의 PU 면을 코팅된 텍스타일의 접착제 면 위에 올려놓았다. ePTFE/PU 필름(33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34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필름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패턴 형성 고무 롤의 도드라진 6각형 구역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 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필름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6.7㎜였으며, 그 깊이는 2.3㎜였고, 곡률 반경은 3.6㎜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202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4,243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라미네이트의 단위 질량당 열 저항은 0.204(㎡K/W)/(㎏/㎡)였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10㎜/(g/㎡)였다.
실시예 7
일정 길이의 나일론/엘라스탄 연신 직조 재료(137.7g/㎡)(스타일 Q4410; 대만 타이페이 소재, 치아 허 인더스트리얼 컴퍼니(Chia Her Industries Co.) 제품)와, 일정 길이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상기 재료에 ePTFE 막을 코팅하고 나서, 폴리우레탄(PU)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상기 막의 공극들을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후 경화시켰다.
도 12에 보인 벌집 모양(6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로 잘라내었다. 6각형 공극(220)들은 폭이 10㎜가 되도록 잘라졌으며, 이 공극들은 폭 4㎜인 박리지 스트립(230)에 의해 떨어져 있었다. 박리지를 코팅된 막의 ePTFE 면에 놓은 다음, 박리지와 막이 합하여진 것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밀어넣었다. 도 17에 보인 대안적 구체예에서는, 표면상에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면서 도포되어 있는 그라비어 롤(315)(도 17에서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17로 보임)이 접착제를 기능성 필름층(예를 들어 코팅된 막)에 전사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지(215)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라비어 롤(325)의 일부(325)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일부(325)는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구역(327)을 둘 다 포함하고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막의 ePTFE 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폭이 305 마이크론인 정사각형의 접착제 점들을, ePTFE 막(26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83%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연신 직조 재료를 인장시키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하였으며, 연신 직조 텍스타일(270)을 막(26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텍스타일(27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28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텍스타일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박리지의 6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 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텍스타일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6.37㎜였으며, 그 깊이는 2.54㎜였고, 곡률 반경은 3.27㎜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94.5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4470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14㎜/(g/㎡)였다. 변형률 20%에서 샘플의 연신력은 0.23lbf였다. 미가공 연신 직조 재료의 변형률 20%에서의 연신력은 0.73lbf였다.
비교 실시예 1
비교 선행 기술에 의한 연신 재료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한 후 비교를 위해 기술된 바와 같이 테스트하였다. 일정 길이의 나일론/엘라스탄 연신 직조 재료(137.7g/㎡)(스타일 Q4410; 대만 타이페이 소재, 치아 허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제품)와, 일정 길이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상기 재료에 ePTFE 막을 코팅하고 나서, 폴리우레탄(PU)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상기 막의 공극들을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후 경화시켰다.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막의 ePTFE 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지름이 500 마이크론인 접착제 점들을, ePTFE 막(260)에 40%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연신 직조 재료(270)를 인장시키고, 막(26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텍스타일(27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28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텍스타일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64.4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13540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35㎜/(g/㎡)였다. 변형률 20%에서 샘플의 연신력은 5.25lbf였다.
실시예 8
일정 길이의 나일론 직조 재료(49.0g/㎡)(스타일 131907;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사 제품)와, 일정 길이의 ePTFE 막을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9×106Pa, 기포 점 = 1.5×105Pa. ePTFE 막은, 커버율 12∼15g/㎡로 적용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이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단일체이며 열가소성인 폴리우레탄 필름(소재 번호 PT1710S, 메사추세츠 사우스디어필드 소재, 디어필드 우레탄사 제품)에 라미네이팅되었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532,316호(Robert Henn)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습식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였다.
도 12에 보인 벌집 모양(6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로 잘라내었다. 6각형 공극(220)들은 폭이 10㎜가 되도록 잘라졌으며, 이 공극들은 폭 4㎜인 박리지 스트립(230)에 의해 떨어져 있었다. 박리지를 직조 재료상에 놓은 다음, 박리지와 막이 합하여진 것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밀어넣었다. 도 17에 보인 대안적 구체예에서는, 표면상에 접착제가 패턴을 형성하면서 도포되어 있는 그라비어 롤(315)(도 17에서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17로 보임)이 접착제를 직조 재료에 전사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지(215)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라비어 롤(325)의 일부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일부(325)는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구역(327)을 둘 다 포함하고 있다.
다시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직조 재료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폭이 305 마이크론인 정사각형의 접착제 점들을, 직조 재료(32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83%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을 인장시키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을 직조 재료(32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34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이 필름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6각형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박리지의 6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샘플 구역은 국부적으로 휘어 있었다. 이러한 구역의 오목한 표면은 라미네이트의 필름 쪽을 향하고 있었다.
휘어진 구획의 폭은 6.07㎜였으며, 그 깊이는 2.88㎜였고, 곡률 반경은 3.04㎜였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247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3255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13㎜/(g/㎡)였다. 변형률 20%에서 샘플의 연신력은 0.77lbf였다. 미가공 ePTFE/폴리우레탄 필름의 변형률 20%에서의 연신력은 6.63lbf였다.
비교 실시예 2
비교 선행 기술에 의한 연신 재료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한 후 비교를 위해 기술된 바와 같이 테스트하였다. 일정 길이의 나일론 직조 재료(49.0g/㎡)(스타일 131907; 사우스캐롤라이나 스팔탄버그 소재 밀리켄사 제품)와, 일정 길이의 ePTFE 막을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ePTFE 막을, 커버율 12∼15g/㎡로 적용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이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단일체이며 열가소성인 폴리우레탄 필름(소재 번호 PT1710S, 메사추세츠 사우스디어필드 소재, 디어필드 우레탄사 제품)에 라미네이팅하였다. 상기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532,316호(Robert Henn)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습식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였다.
도 13을 참고로 하였을 때, 이 도면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직조 재료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제조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폭이 390 마이크론인 정사각형의 접착제 점들을, 직조 재료(32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15.5%의 면적 범위%로 적용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접착제의 "면적 범위%"란, 소정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가 차지하는 총 2차원 면적을, 이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후, 여기에 100%를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을 인장시킨 후, 이를 직조 재료(32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상기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34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필름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149.2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투습도는 6784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36㎜/(g/㎡)였다. 변형률 20%에서 샘플의 연신력은 6.39lbf였다.
실시예 9
일정 길이의 폴리에스테르 니트 재료(79.4g/㎡)(스타일 MT-O50; 대만 타이페이 소재, 타 통 텍스타일 컴퍼니(Tah Tong Textile Co.) 제품)와, 일정 길이의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를 입수하였다. 상기 ePTFE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졌다: 두께 = 0.043㎜, 밀도 = 0.41g/cc, 세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106MPa, 가로 방향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106MPa, 기포 점 = 1.5×105MPa. 상기 재료에 ePTFE 막을 코팅하고 나서, 폴리우레탄(PU)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상기 막의 공극들을 관통하도록 만듦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후 경화시켰다.
도 19에 보인 패턴을 이용하여 박리지(410)를 레이저로 잘라내었다. 상기 공극(420)들의 치수는, 폭이 3㎜이고 길이가 27㎜였으며, 이 공극들은 폭 5㎜인 박리지(410) 스트립에 의해 떨어져 있었다. 박리지(410)를 코팅된 막의 ePTFE 면에 놓은 다음, 박리지와 막이 합하여진 것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밀어넣었다.
일반적으로, 도 13을 통해서는 2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 라인의 일부가 확인될 수 있었는데, 다만 박리지(215) 대신 박리지(410)를 사용하였다는 점에 차이가 있었다[이 경우, 공극(420)들의 장방 변은 세로 방향으로 배향됨]. 롤(250)을 통하여 가열된 접착제 점들을 막의 ePTFE 면에 적용하기 위해서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입수하여 인쇄기에 로딩하였다. 접착제를 ePTFE 막(260)의 마스킹되지 않은 구역에 적용하였다. 박리지(410)(마스크)를 제거하고 나서, 니트 재료(270)를 막(260)의 접착제 면에 올려놓았다. 니트(270)에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제조된 라미네이트(280)를 롤 위에 감은 다음(도시하지 않음), 습식 경화시켰다(약 2일 소요).
습식 경화 후, 감았던 라미네이트를 다시 풀어 이완시켜, 텍스타일을 처음의 인장되지 않았던 상태로 되돌려놓았다. 이와 같이 장력이 감소되면 니트는, 크로스웹 방향, 즉 텍스타일이 위치하는 면에서 편성 텍스타일의 니트 열에 수직인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박리지 내 공극들에 상응하지 않는 구역에서는 니트가 접히거나 니트에 주름이 잡혔다.
제조된 라미네이트에 298g/㎡의 하중을 가하여주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하중의 비율은 0.0077㎜/(g/㎡)였다. 샘플의 투습도는 6480g/㎡/24h였다. 샘플은 방액성이면서 통기성이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술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정 구체예를 참고로 하여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된 청구항들의 인용을 제외하고는 달리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1)

  1. 기능성 필름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접착제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며,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도드라진 부분 내 제2 텍스타일과 상기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상기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폭은 약 2㎜ 초과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의 일부에 상기 제2 텍스타일과 상기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하는 에어 갭(air gap)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크기가 상이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약 2∼약 50㎜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상기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20% 이상 작은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 내 상기 접착제 영역의 면적 범위%(percent area coverage)는 30% 이상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4. 기능성 필름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제1 접착제 영역들과 제2 접착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많은 양의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의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서의 굴곡 탄성률은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에서의 굴곡 탄성률보다 작은 라미네이트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간 거리는 약 2㎜이상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은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1. 제14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 및
    상기 도드라진 부분 내 상기 제2 텍스타일과 상기 기능성 필름층 사이에 존재하는 에어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각각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 상기 접착제 점들은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각각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 상기 접착제 점들은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둘러싸고 있는 접착제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밴드를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 영역 내 위치하는 접착제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스트립들은, 접착제 스트립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중심에 위치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약 2∼약 50㎜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은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의 굴곡 탄성률보다 20% 이상 작은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30. 제1 텍스타일을 인장시키는 단계;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기능성 필름층과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이완시켜, 상기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변별적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고,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상기 접착제 영역들 간 거리는 약 2㎜ 초과인 것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고 상기 기능성 필름에 제2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은 상기 기능성 필름층과 상기 제2 텍스타일 사이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35. 기능성 필름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며,
    신장률 20%일 때 상기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의 3배 미만인 라미네이트 물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내에서의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쪽에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둘러싸고 있는 접착제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밴드를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 영역 내 위치하는 접착제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스트립들은, 접착제 스트립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중심에 위치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5.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방수성이면서 통기성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6. 기능성 필름층;
    제1 접착제층에 의해 상기 기능성 필름과 결합하고 있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를 가지는 제1 영역 하나 이상과,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를 가지는 제2 영역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제1 면적 범위%는 상기 접착제의 제2 면적 범위%보다 크며,
    상기 제1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며,
    신장률 20%일 때 상기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의 3배 미만인 라미네이트 물품.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및 상기 제2 접착제 영역 중 하나 이상의 내에서의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둘러싸고 있는 접착제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밴드를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드라진 가시부를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2∼약 50㎜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3.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개의 접착제 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접착제 점은 그 크기가 상이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 영역 내 위치하는 접착제 스트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스트립들은, 접착제 스트립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과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5.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중심에 위치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6.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쪽에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고 있는 제2 텍스타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방수성이면서 통기성인 것인 라미네이트 물품.
  58. 제1 텍스타일을 인장시키는 단계;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기능성 필름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이완시켜, 상기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우선하여 구부러지고,
    신장률 20%일 때 상기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의 3배 미만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에서의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방수성이면서 통기성인 것인 방법.
  62. 기능성 필름층을 인장시키는 단계;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인장된 기능성 필름층을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여 라미네이트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을 이완시켜, 상기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신장률 20%일 때 상기 라미네이트의 연신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연신력의 3배 미만인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에서의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방법.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플루오르화 중합체인 것인 방법.
  65.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방수성이면서 통기성인 것인 방법.
  66.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인장시키는 단계 전에, 탄성 필름층을 상기 기능성 필름층에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67.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수축 가능한 기능성 필름층을 제1 텍스타일에 결합하여 라미네이트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을 수축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기능성 필름층 쪽으로 휘어지는 것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텍스타일과 마주보는, 수축된 기능성 필름의 쪽에서 상기 수축된 기능성 필름에 제2 텍스타일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0. 제1 접착제층을 통하여 수축 가능한 텍스타일에 기능성 필름층을 결합하여 라미네이트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은 접착제 영역들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을 수축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구역에서 라미네이트 물품이 휘어지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들은 상기 접착제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는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물품은 수축된 텍스타일 쪽으로 휘어지는 것인 방법.
KR1020177006858A 2012-03-28 2013-03-28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KR20170032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32,613 2012-03-28
US13/432,613 US9238344B2 (en) 2012-03-28 2012-03-28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13/843,682 US9121130B2 (en) 2012-03-28 2013-03-15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13/843,682 2013-03-15
US13/851,761 US9233520B2 (en) 2012-03-28 2013-03-27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US13/851,761 2013-03-27
PCT/US2013/034428 WO2013149047A1 (en) 2012-03-28 2013-03-28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116A Division KR101944578B1 (ko) 2012-03-28 2013-03-28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82A true KR20170032482A (ko) 2017-03-22

Family

ID=48193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116A KR101944578B1 (ko) 2012-03-28 2013-03-28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KR1020177006858A KR20170032482A (ko) 2012-03-28 2013-03-28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116A KR101944578B1 (ko) 2012-03-28 2013-03-28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33520B2 (ko)
EP (1) EP2830873B1 (ko)
JP (1) JP6208743B2 (ko)
KR (2) KR101944578B1 (ko)
CN (1) CN104334339B (ko)
CA (1) CA2867647C (ko)
HK (1) HK1201495A1 (ko)
RU (1) RU2014143196A (ko)
WO (1) WO2013149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8579B2 (en) 2014-02-07 2017-10-17 Under Armour, Inc. Bra with interior stretch support
US9717289B1 (en) * 2014-06-27 2017-08-01 Spanx, Inc. Garments having targeted compressive area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154182A1 (en) 2015-03-23 2016-09-29 Donaldson Company, Inc. Pattern coated filter and method
JP2018533680A (ja) * 2015-11-16 2018-11-15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L. Gore & Associates,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上半身衣類
CN111452437B (zh) * 2016-02-03 2022-07-22 W.L.戈尔及同仁股份有限公司 织构化可透气纺织品层压体以及由其制备的服装
DE102016113704A1 (de) * 2016-07-26 2018-02-01 Ntt New Textile Technologies Gmbh Bekleidungsstück
CN111225999B (zh) * 2017-10-16 2022-03-29 哥伦比亚运动休闲北美公司 传导受限的热反射材料
JP2021532288A (ja) 2018-07-31 2021-11-25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2021532287A (ja) 2018-07-31 2021-11-25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KR101970630B1 (ko) * 2018-11-02 2019-04-22 주식회사 유엠에스 감성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차 시트용 원단 합포방법
US20200322287A1 (en) * 2020-06-18 2020-10-08 Intel Corporation Switch-managed resource allocation and software execution
EP4082495A1 (en) * 2021-04-28 2022-11-02 Ontex BV Laminate for an 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id laminate and process for making such laminate
KR102634264B1 (ko) 2023-10-18 2024-02-05 양재민 치아 무삭제가 가능한 라미네이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라미네이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9076A (en) * 1953-09-21 1957-04-16 Frieder Laminated ballistic fabric
US3703730A (en) * 1971-09-27 1972-11-28 Quick Service Textiles Interlining
US4081301A (en) * 1975-10-30 1978-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ttaching discrete, stretched elastic strands to predetermined isolated portions of disposable abosrbent products
JPS55177428U (ko) * 1979-06-05 1980-12-19
US4443511A (en) 1982-11-19 1984-04-17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waterproof laminate
US4532316A (en) 1984-05-29 1985-07-30 W. L. Gore & Assoc., Inc. Phase separating polyurethane prepolymers and elastomers prepared by reacting a poly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600-3500 and isocyanate and a low molecular weight chain extender in which the ratios of reactants have a limited range
US4701964A (en) * 1986-07-29 1987-10-27 International Playtex, Inc. Garment having additional support to selected portions
US4816328A (en) 1987-11-13 1989-03-28 W. L. Gore & Associates, Inc. Breathable, non-linting laminate
US4862730A (en) 1988-10-03 1989-09-05 W. L. Gore & Associates, Inc. Test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US4935287A (en) 1989-08-30 1990-06-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laminate constructions
US5364678A (en) 1989-10-17 1994-11-15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US5628741A (en) * 1991-02-28 1997-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feature having a prestrained web portion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5342434A (en) 1992-12-14 1994-08-30 W. L. Gore & Associates, Inc. Gas permeable coated porous membranes
US5286279A (en) 1992-12-14 1994-02-15 W. L. Gore & Associates, Inc. Gas permeable coated porous membranes
US5539072A (en) 1993-03-26 1996-07-23 W. L. Gore & Associates, Inc. Fabric laminates
AU688404B2 (en) 1994-09-02 1998-03-12 W.L. Gore & Associates, Inc.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sitions
EP0734660B1 (en) * 1995-03-30 1999-11-03 Playtex Apparel, Inc. Laminated fabric and garments made therefrom
CA2244017A1 (en) * 1998-07-28 2000-01-28 Stephane Tetreault Moisture-curable adhesive suture strip
MXPA01002482A (es) 1998-09-08 2003-03-10 Brookwood Companies Inc Material laminado resistente al agua, respirable y metodo para fabricar el mismo.
US6296921B1 (en) 1998-12-22 2001-10-02 Bay Mills Ltd Composite fabric
US6395383B1 (en) * 1999-12-13 2002-05-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hemical protective covering
US6562740B1 (en) * 2000-09-19 2003-05-13 Transhield Technology As Material for protecting articles having a nonwoven fabric bonded to a shrink film by an adhesive applied to the film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6541589B1 (en) 2001-10-15 2003-04-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US7531611B2 (en) 2005-07-05 2009-05-1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US7601416B2 (en) * 2005-12-06 2009-10-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ragment and stab resistant flexible material with reduced trauma effect
US9782947B2 (en) * 2007-05-25 2017-10-10 W. L. Gore & Associates, Inc. Fire resistant laminat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637144B2 (en) 2007-10-04 2014-01-28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TFE copolymers, method of making, and porous, expended articles thereof
US10364527B2 (en) 2007-10-24 2019-07-30 W. L. Gore & Associates, Inc. Burn protective materials
KR20100108515A (ko) * 2007-11-13 2010-10-0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통기성 방수 의복
US9139669B2 (en) 2009-03-24 2015-09-22 W. L. Gore & Associates, Inc. Expandable functional TFE copolymer fine powder, the expandable functional products obtained therefrom and reaction of the expanded products
US9084447B2 (en) 2009-05-13 2015-07-21 W. L. Gore & Associates, Inc. Lightweight, durable apparel and laminates for making the same
US9944044B2 (en) 2010-05-06 2018-04-17 W. L. Gore & Associates, Inc. Contamination resistant air permeable fabric laminate and garments made therefrom
US9121130B2 (en) * 2012-03-28 2015-09-01 W. L. Gore & Associates, Inc.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08A (ko) 2014-12-17
JP2015512347A (ja) 2015-04-27
WO2013149047A1 (en) 2013-10-03
US9233520B2 (en) 2016-01-12
EP2830873A1 (en) 2015-02-04
RU2014143196A (ru) 2016-05-20
US20130280504A1 (en) 2013-10-24
CA2867647C (en) 2017-11-14
HK1201495A1 (en) 2015-09-04
JP6208743B2 (ja) 2017-10-04
KR101944578B1 (ko) 2019-01-31
CN104334339A (zh) 2015-02-04
CA2867647A1 (en) 2013-10-03
CN104334339B (zh) 2017-05-10
EP2830873B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578B1 (ko) 불연속 접착제 영역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물품
US9121130B2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9238344B2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CA2901140A1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11518139B2 (en) Stretchable laminates
KR102451680B1 (ko) 신축성 라미네이트
CA2910563C (en) Multi-layer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