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161A - 유동 방지 서포트 - Google Patents

유동 방지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161A
KR20170032161A KR1020160069745A KR20160069745A KR20170032161A KR 20170032161 A KR20170032161 A KR 20170032161A KR 1020160069745 A KR1020160069745 A KR 1020160069745A KR 20160069745 A KR20160069745 A KR 20160069745A KR 20170032161 A KR20170032161 A KR 2017003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protrusions
upper pipe
lo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김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김종학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102016006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161A/ko
Publication of KR2017003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파이프 내에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2지지돌부가 상부파이프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부파이프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 서포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파이프 및 상기 하부파이프의 상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로 구성되는 건설용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파이프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돌부가 상호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내주면의 제1지지돌부와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복수의 제2지지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 방지 서포트{Support}
본 발명은 하부파이프 내에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2지지돌부가 상부파이프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부파이프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 서포트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가설재 붕괴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동바리용 지주 등으로 사용되는 서포트의 설치 또는 해체 과정 중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서포트는 상부파이프(2)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파이프(1)에 장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파이프(2)의 관통공과 하부파이프(1)의 장공에 고정핀(4)을 관통시켜 고정한 후 조절너트(3)를 회전시켜 상부파이프(2)가 하부파이프(1) 내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서포트의 세부 높이를 조절한다(실용신안 제20-0291531호).
그러나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서포트는 상부파이프(2)가 하부파이프(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파이프(1)의 내주면과 상부파이프(2)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S)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유격(S)으로 인해 상부파이프(2)가 하부파이프(1) 내에서 좌우로 흔들리면서 상부파이프(2)의 좌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좌굴 우려로 인하여 실제 서포트의 허용 지지력은 파이프 단면적이 지탱할 수 있는 허용 지지력에 비해 훨씬 작게 설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파이프 내에 삽입되는 상부파이프가 기울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하부파이프 및 상기 하부파이프의 상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로 구성되는 건설용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파이프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돌부가 상호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파이프 내주면의 제1지지돌부와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복수의 제2지지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돌부와 제2지지돌부는 평면상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돌부는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돌부는 제1지지돌부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는 하부파이프의 외측을 가압하여 내측면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부파이프 내에 상하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2지지돌부가 상부파이프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상부파이프가 기울어지지 않고 하부파이프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파이프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1, 2지지돌부를 평면상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면 여러 방향에서 상부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셋째, 제1, 2지지돌부를 2개소씩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면 변형이 발생한 상부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부파이프의 좌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제1, 2지지돌부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면 제1, 2지지돌부가 힌지축 역할을 하여 발생하는 상부파이프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하부파이프 외측을 가압하여 제1, 2지지돌부를 형성하면 제작이 편리하고 제1, 2지지돌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부파이프의 삽입에도 유리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서포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서포트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지지돌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5는 제1지지돌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6은 하부파이프의 내부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파이프(1) 및 상기 하부파이프(1)의 상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파이프(2)로 구성되는 건설용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파이프(1)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돌부(11)가 상호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파이프(1) 내주면의 제1지지돌부(11)와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복수의 제2지지돌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파이프(1)는 상부가 빈 관 형상으로 하단은 지면에 위치되고, 상단은 상부파이프(2)와 결합한다.
상기 상부파이프(2)는 외측 지름이 하부파이프(1)의 내측 지름보다 작아 하부파이프(1) 상단에 삽입 가능하다.
상기 상부파이프(2)와 하부파이프(1)는 일반적으로 강관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상부파이프(2)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파이프(1)에는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하부파이프(1)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파이프(2)의 관통공과 하부파이프(1)의 장공을 관통하도록 고정핀(4)을 위치시킨 다음 하부파이프(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 고정구(3)를 회전시켜 회전 고정구(3)가 고정핀(4)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여 상부파이프(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파이프(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상부파이프(2)와 하부파이프(1)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격(S)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하부파이프(1) 내주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된 제1, 2지지돌부(11, 12)가 상부파이프(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부파이프(2)를 지지하므로, 하부파이프(1) 내주면과 상부파이프(2) 외주면 사이의 유격(S)에 의하여 상부파이프(2)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2지지돌부(11, 12)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돌부(11)가 1열로만 형성될 경우, 제1지지돌부(11)에 의하여 상부파이프(2)가 힌지처럼 지지되어 상부파이프(2)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2열로 제1, 2지지돌부(11, 12)를 배치하여 상하 2지점에서 상부파이프(2)를 지지하여 상부파이프(2)가 기울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돌부(11) 및 제2지지돌부(12)는 하부파이프(1)의 외측을 가압하여 내측면이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2지지돌부(11, 12)는 하부파이프(1) 내부에 별도로 용접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좁은 공간에서 하부파이프(1) 내부에 제1, 2지지돌부(11, 12)를 용접하는 작업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파이프(1) 외측을 가압하여 하부파이프(1) 내측면으로 제1, 2지지돌부(11, 12)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파이프(1)의 외측을 가압하여 제1, 2지지돌부(11, 12)를 형성한 경우에는 제1, 2지지돌부(11, 12) 자체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므로 상부파이프(2) 삽입에도 유리하다.
도 4는 제1지지돌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는 평면상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는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면 제1, 2지지돌부(11, 12)가 여러 방향에서 상부파이프(2)를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는 평면상 3지점에 각각 형성되었다.
이때, 상부파이프(2)를 골고루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돌부(11)는 하부파이프(1)의 원주를 따라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제2지지돌부(12)는 이웃하는 제1지지돌부(11)의 사이 중간에 배치되었다.
도 5는 제1지지돌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고, 도 6은 하부파이프의 내부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돌부(11)는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돌부(12)는 제1지지돌부(11)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하부파이프(1, 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포트는 설치 또는 해체 과정 중의 충격이나 제품 불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이프 단면이 변형되거나 파이프에 휨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파이프(2)가 하부파이프(1) 내부에 비대칭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제1지지돌부(11) 또는 제2지지돌부(12)가 하부파이프(1)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여러 군데에 돌출되어 있으면 제1지지돌부(11)나 제2지지돌부(12) 중 일부의 간섭으로 인하여 하부파이프(1) 내부에 상부파이프(2)를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파이프(2)의 하단을 하부파이프(1)의 내부에 삽입할 때, 상부파이프(2)가 처음으로 통과하는 제1지지돌부(11)를 하부파이프(1)의 내주면에 양측 2개만 형성하면 상부파이프(2)의 변형 등으로 상부파이프(2)가 제1지지돌부(11)에 걸리더라도 상부파이프(2)를 적정 각도로 회전시켜 제1지지돌부(11)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파이프(2)가 다음으로 통과하는 제2지지돌부(12) 부분에서도 상부파이프(2)와 제2지지돌부(12) 간에 간섭시 상부파이프(2)를 적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부파이프(2)의 변형 부분과의 간섭 없이 상부파이프(2)를 하부파이프(1)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제1, 2지지돌부(11, 12)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변형된 상부파이프(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를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하 2지점과 평면상 4지점에서 상부파이프(2)가 균형있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파이프(2)에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유동 방지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12)는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가 각각 2개소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지지돌부(11) 또는 제2지지돌부(12)의 상하 길이가 짧으면 제1, 2지지돌부(11, 12)가 힌지축 역할을 하여 상부파이프(2)가 제1, 2지지돌부(11, 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2지지돌부(11, 12)를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하여 비교적 상하로 길이가 긴 영역에 걸쳐 제1, 2지지돌부(11, 12)가 상부파이프(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제1, 2지지돌부(11, 12)를 중심으로 상부파이프(2)가 회전하여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하부파이프
11: 제1지지돌부
12: 제2지지돌부
2: 상부파이프
3: 회전 고정구
4: 고정핀
S: 유격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하부파이프(1) 및 상기 하부파이프(1)의 상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파이프(2)로 구성되는 건설용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부파이프(1)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파이프(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돌부(11)가 상호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파이프(1) 내주면의 제1지지돌부(11)와 일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는 복수의 제2지지돌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
  2. 제1항에서,
    상기 제1지지돌부(11)와 제2지지돌부(12)는 평면상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
  3. 제2항에서,
    상기 제1지지돌부(11)는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돌부(12)는 제1지지돌부(11)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
  4. 제3항에서,
    상기 지1지지돌부 및 제2지지돌부(1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지지돌부(11) 및 제2지지돌부(12)는 하부파이프(1)의 외측을 가압하여 내측면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방지 서포트.
KR1020160069745A 2016-06-03 2016-06-03 유동 방지 서포트 KR20170032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45A KR20170032161A (ko) 2016-06-03 2016-06-03 유동 방지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45A KR20170032161A (ko) 2016-06-03 2016-06-03 유동 방지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61A true KR20170032161A (ko) 2017-03-22

Family

ID=5849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745A KR20170032161A (ko) 2016-06-03 2016-06-03 유동 방지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1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46A (ko) 2018-10-02 2020-04-10 손희숙 건축물 슬래브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946A (ko) 2018-10-02 2020-04-10 손희숙 건축물 슬래브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362B1 (ko) 지지 시스템
JP2010518289A (ja) 改良型バッテン/ジョイスト支持体
KR200461108Y1 (ko)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KR101783387B1 (ko) 안전 파이프 서포트의 제작 방법 및 안전 파이프 서포트
KR20170032161A (ko) 유동 방지 서포트
KR200257105Y1 (ko) 확폭식 동바리 조립체
CA3139184A1 (en) Strut connector
JP2018050967A (ja) 支持台、回動阻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88131Y1 (ko) 자동 조심형 슬리브를 구비하는 파이프 서포트
KR10218185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KR200492683Y1 (ko) 덕트
KR101997352B1 (ko) 동작 소음이 감소되는 동바리
KR200166428Y1 (ko) 안전휀스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20210111446A (ko) 시스템비계 수직재의 수평결합장치
KR20170078249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709328B1 (ko) 평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160003777U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JP4157113B2 (ja) 物品支持スタンド又は回転椅子等の安定支持脚部構造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US5258900A (en) Chandelier assembly and kit having arm locking plates
KR102290463B1 (ko)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KR101748927B1 (ko) 조립식 측벽 지지대
JP2018053611A (ja) マンホール蓋立置き装置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