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850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850B1
KR102181850B1 KR1020200070648A KR20200070648A KR102181850B1 KR 102181850 B1 KR102181850 B1 KR 102181850B1 KR 1020200070648 A KR1020200070648 A KR 1020200070648A KR 20200070648 A KR20200070648 A KR 20200070648A KR 102181850 B1 KR102181850 B1 KR 10218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otating body
lower assembly
heigh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이씨
Priority to KR102020007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는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배관과 결합한 상기 결합부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Height adjustable clamp}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 없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선이나 용수 등을 이송하는 파이프와 같은 관의 배관작업시 관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사용되고, 관의 좌우에서 체결되어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부위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끼워지고 볼트와 너트를 통해 관의 좌우에서 체결된 클램프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한편, 약품을 이송하는 바이오 배관은 약품 제조 공장 건설에서 시공 규격이 매우 엄격하여 배관 길이와 연관시켜 슬로프의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며, 배관 길이와 슬로프가 정해지면 현장 조건에 따라 배관 길이와 슬로프를 달리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바이오 배관은 일반적인 배관보다 얇게 제작되므로 약품이 지나가면서 쳐지거나 두께의 차이로 슬로프가 달라져 추후 배관이나 클램프를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822호(2006.03.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절단 없이 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편하게 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는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배관과 결합한 상기 결합부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상단몸체와,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단몸체와, 상기 하단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과 맞대어지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몸체는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 하단결합체와, 상기 제1 하단결합체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제2 하단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단결합체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단결합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단결합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기 제1 하단결합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단결합체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몸체는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일부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일단 측 외면에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일정높이 이상 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체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상단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하단결합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상단결합체와, 상기 제1 상단결합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하단결합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상단결합체와, 상기 제1 상단결합체의 일단과 상기 제2 상단결합체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 상단결합체가 상기 제1 상단결합체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1 상단결합체의 타단과 상기 제2 상단결합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상단결합체가 상기 제1 상단결합체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 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된 상태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높이를 높이는 삽입판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판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될 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받치는 받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에 의하면, 별도의 절단 없이 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간편하게 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10)는 결합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00)는 배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00)는 한 쌍의 'C'자 형 구조체로 이루어져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일체화되어 배관(20)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100)가 한 쌍의 'C'자 형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보였으나, 결합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배관(20)과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결합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결합부(10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100)와 지지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지지부(200)는 배관(20)과 결합한 결합부(100)를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00)와 결합한 배관(20)의 슬로프는 서로 인접한 지지부(200) 간의 길이차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최초 설정된 배관(20)의 슬로프는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배관(20)의 처짐이나 두께의 변화로 인해 바뀌게 되는데 이럴 경우, 배관(20)을 재시공하거나 지지부(200)의 길이를 일부 절단하여 배관(20)의 슬로프를 재조정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10)는 배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20)과 결합하는 결합부(100)와 일단이 결합부(10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 배관(20)과 결합한 결합부(100)를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일단이 결합부(1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상단몸체(210)와 상단몸체(210)의 타단 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는 하단몸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몸체(210)와 하단몸체(2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단몸체(21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며, 상단몸체(210)는 상시 결합부(100) 및 결합부(100)와 결합한 배관(20)에 의해 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받고, 하단몸체(220)는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몸체(210)의 하단을 감싸 하 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상단몸체(210)가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단몸체(220)는 내부에 내부공간(221)을 구비하며, 내부공간(221)에는 상단몸체(210)의 타단과 맞대어지는 구 형태의 회전체(230)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하단몸체(2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하단몸체(220)는 고정판(222), 제1 하단결합체(223) 및 제2 하단결합체(22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222)은 얇은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별도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 하단몸체(220)를 지지프레임(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하단결합체(223)는 고정판(2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단몸체(210)의 타단 측 외면 즉, 상단몸체(210)의 하단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2 하단결합체(224)는 제1 하단결합체(223)와 연결되고, 고정판(22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단몸체(210)의 하단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단결합체(223)와 제2 하단결합체(224)에 의해 상단몸체(210)의 하단 외면은 완전히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단결합체(224)는 제1 하단결합체(223)와 연결되고, 고정판(222)의 상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하단몸체(220)의 내부공간(221)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단결합체(22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 하단결합체(224)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231)를 구비하고, 제2 하단결합체(224)는 가이드 돌기(2231)와 마주보는 일면에 가이드 돌기(223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24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단결합체(223)는 가이드 돌기(2231)의 일단에서 가이드 돌기(2231)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 돌기(2232)를 구비하고, 제2 하단결합체(224)는 가이드 홈(2241)에서 연장되어 이탈방지 돌기(2232)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22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 돌기(2232)와 이탈방지 홈(2242)을 구비함에 따라 제2 하단결합체(224)가 제1 하단결합체(223)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가이드 돌기(223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시 제2 하단결합체(224)가 제1 하단결합체(2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단몸체(210)는 안착홈(211)과 걸림 돌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211)은 상단몸체(210)의 타단에 구비되며,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구 형태의 회전체(230)의 일부 즉, 상부가 안착할 수 있다.
걸림 돌기(212)는 하단몸체(22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단몸체(210)의 일단 측 외면에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단몸체(2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걸림 돌기(212)는 제 하단결합체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시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공간(221)에 구비된 회전체(230)가 내부공간(2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돌기(212)는 상단몸체(210)에 고정되어 제1 하단결합체(223)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상단결합체(2121), 제1 상단결합체(2121)와 결합하여 제2 하단결합체(224)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상단결합체(2122), 제1 상단결합체(2121)의 일단과 제2 상단결합체(2122)의 일단을 연결하는 회전축(2123) 및 제1 상단결합체(2121)의 타단과 제2 상단결합체(2122)의 타단에 구비되는 잠금장치(2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단결합체(2122)는 회전축(2123)에 의해 제1 상단결합체(2121)로부터 회전되어 제2 상단결합체(2122)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 하단결합체(224)의 상 방향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221)에 구비된 회전체(230)를 내부공간(221)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 회전체(230)를 편리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230)의 유지관리를 제외한 때에는 잠금장치(2124)를 통해 제2 상단결합체(2122)가 회전축(2123)에 의해 제1 상단결합체(2121)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2 하단결합체(224)의 상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10)는 배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20)과 결합하는 결합부(100)와 일단이 결합부(10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 배관(20)과 결합한 결합부(100)를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일단이 결합부(1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상단몸체(210), 상단몸체(210)의 타단 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는 하단몸체(220) 및 하단몸체(220)의 내부공간(221)에 구비되어 상단몸체(210)의 타단과 맞대어지는 회전체(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단몸체(220)는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는 고정판(222), 고정판(2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단몸체(210)의 타단 측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 하단결합체(223) 및 제1 하단결합체(223)와 연결되고, 고정판(22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단몸체(210)의 타단 측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내부공간(221)을 개폐하는 제2 하단결합체(2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단몸체(210)는 타단에 구비되어 회전체(230)의 일부가 안착하는 안착홈(211)과 일단 측 외면에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하단결합체(224)가 일정높이 이상 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체(230)가 내부공간(2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클램프(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 하단결합체(224)를 상 방향으로 움직여 내부공간(221)을 개방하고, 개방된 내부공간(221)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삽입판(240)을 삽입한다.
이때, 삽입판(240)은 회전체(230)와 고정판(222)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체(230)를 고정판(222)으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회전체(230)의 상부가 안착 된 상단몸체(21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높이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제2 하단결합체(224)를 하 방향으로 움직여 내부공간(221)을 폐쇄하여 삽입판(240)이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삽입판(240)이 내부공간(2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삽입판(240)은 원판 형태의 본체(241)와 본체(241)의 테두리에 경사면(242)을 구비하여 삽입판(240)이 회전체(230)와 고정판(222) 사이에 삽입될 시 회전체(230)와 고정판(222) 사이를 용이하게 파고들고, 파고드는 힘에 의해 구 형태의 회전체(230)가 회전되면서 삽입판(240)의 상단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41)의 상단에는 경사면(242)에 의해 들어 올려진 회전체(230)를 받치는 받침면(243)이 구비되어 삽입판(240)이 회전체(230)를 용이하게 받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삽입판(240)은 다양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삽입판(240)이 내부공간(221)에 삽입될 수도 있다.
삽입판(240)이 내부공간(22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삽입판(240)을 더 삽입할 시에는 삽입되어 있는 삽입판(240)과 회전체(230) 사이로 새로운 삽입판(24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삽입판(240)이 내부공간(22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221)에 삽입판(24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상단몸체(210)와 회전체(230)를 들어올려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200)를 절단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작업 없이 슬로프를 조정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20: 배관 30: 지지프레임
100: 결합부 200: 지지부
210: 상단몸체 211: 안착홈
212: 걸림 돌기 2121: 제1 상단결합체
2122: 제2 상단결합체 2123: 회전축
2124: 잠금장치 220: 하단몸체
221: 내부공간 222: 고정판
223: 제1 하단결합체 2231: 가이드 돌기
2232: 이탈방지 돌기 224: 제2 하단결합체
2241: 가이드 홈 2242: 이탈방지 홈
230: 회전체 240: 삽입판
241: 본체 242: 경사면
243: 받침면

Claims (3)

  1. 배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배관과 결합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배관과 결합한 상기 결합부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상단몸체와,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단몸체와, 상기 하단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과 맞대어지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몸체는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 하단결합체와, 상기 제1 하단결합체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타단 측 외면의 나머지 일부분을 감싸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제2 하단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단결합체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단결합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단결합체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기 제1 하단결합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단결합체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몸체는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일부가 안착하는 안착홈과, 일단 측 외면에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일정높이 이상 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체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상단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하단결합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상단결합체와, 상기 제1 상단결합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하단결합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상단결합체와, 상기 제1 상단결합체의 일단과 상기 제2 상단결합체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2 상단결합체가 상기 제1 상단결합체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제1 상단결합체의 타단과 상기 제2 상단결합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상단결합체가 상기 제1 상단결합체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단결합체가 상 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된 상태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몸체의 높이를 높이는 삽입판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판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될 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받치는 받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KR1020200070648A 2020-06-11 2020-06-11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KR10218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48A KR102181850B1 (ko) 2020-06-11 2020-06-11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48A KR102181850B1 (ko) 2020-06-11 2020-06-11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850B1 true KR102181850B1 (ko) 2020-11-23

Family

ID=7368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48A KR102181850B1 (ko) 2020-06-11 2020-06-11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03U (ko) * 2021-03-31 2022-10-07 최인하 배관 고정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배관 고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822Y1 (ko) 2005-12-29 2006-03-17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20150000857U (ko) * 2013-08-19 2015-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822Y1 (ko) 2005-12-29 2006-03-17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20150000857U (ko) * 2013-08-19 2015-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03U (ko) * 2021-03-31 2022-10-07 최인하 배관 고정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배관 고정 장치
KR200496351Y1 (ko) 2021-03-31 2023-01-09 최인하 배관 고정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배관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471B2 (en) Pedestal support for an elevated paver deck assembly
US20130313174A1 (en) Adjustable drain
KR10218185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클램프
KR10118870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2107671B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US20070236002A1 (en) Drain, particularly for use in a gravity-fed drainage system
US10285525B2 (en) Mailbox, and mounting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KR101023361B1 (ko) 관높이 조절용 배관 지지대
KR101716394B1 (ko) 정합식 맨홀
KR20180000415U (ko) 높이와 경사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구조
US6932195B1 (en) Intermediate scaffold member join
KR20210008629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맨홀구조체
JP2002322701A (ja) 配管施工構造及び配管施工方法
CN206202600U (zh) 装配式人孔护圈
KR101693219B1 (ko) 밸브 받침장치
JP2016089492A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200390748Y1 (ko) 수직형 버터플라이 밸브의 디스크 처짐 조정 장치
KR20200002379A (ko) 철개
KR20150000857U (ko) 배관 지지장치
US20180066771A1 (en) Connection system for subsea pipelines
JP4718361B2 (ja) 床板支持装置及び床板の補強構造
JP5992562B2 (ja) 埋設筐
KR20170032161A (ko) 유동 방지 서포트
KR102366819B1 (ko) 우수한 기밀성과 시공의 편의성을 겸비하는 부단수 밸브실
KR20230094300A (ko) 샤프트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