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795A - 나무 난로 - Google Patents

나무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0795A
KR20170030795A KR1020150128148A KR20150128148A KR20170030795A KR 20170030795 A KR20170030795 A KR 20170030795A KR 1020150128148 A KR1020150128148 A KR 1020150128148A KR 20150128148 A KR20150128148 A KR 20150128148A KR 20170030795 A KR20170030795 A KR 2017003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bustion space
outer casing
partition plate
exhaus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원
Original Assignee
윤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원 filed Critical 윤기원
Priority to KR102015012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0795A/ko
Publication of KR2017003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나오지 않는 나무 난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나무 난로는, 외부의 연통과 연결되는 열린부분(17)과, 일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4)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10) 내부에서, 도어(14)가 설치된 일면과의 사이에서 상하부분(20B)에 의하여 배기통로(Rb1)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연소공간(Ra)를 형성하는 구획판(20); 그리고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위치의 구획판에 설치되어 연소공간을 개폐하는 내부도어(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기통로(Rb1)에는 연소공간에서의 열에 의하여 상승하는 에어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14) 및 내부도어(22)를 열어도 연기가 실내로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구획판은 외부케이싱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수평부분(20A)에 의하여 상기 배기통로(Rb1)과 연통하는 배기통로(Rb2)를 형성하고, 열린부분의 하부에 대응하는 수평부분(20A)에는, 연소공간(Ra)에서 상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절부(3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나무 난로{Wood stove}
본 발명은 나무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나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낮은 온도 상태로 장시간 나무를 태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무 난로에 관한 것이다.
나무 난로는 화목 난로라고도 불리고, 나무를 주원료로 하여 열을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나무 난로에서는, 나무 뿐만 아니라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서 열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무 난로는 넓은 의미에서 나무 뿐만 아니라 고체 상태이고 별도로 투입 가능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열을 실내 등으로 제공하는 것을 총칭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20-2009-0010632호 또는 제20-2013-0005929호 등에서는 나무를 원료로 하는 화목 난로라는 명칭하에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난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로에서 나무를 연소시키는 경우, 나무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난로에서 외부로 새어 나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시간 연소를 위하여 많은 양의 나무를 난로 내부에 넣고,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공을 아주 작은 상태로 제어하게 되면,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많은 양의 연기가 난로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저온 상태로 장시간 연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연기가 외부로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연소 상황 하에서도, 비록 작지만 연소 연기가 실내로 나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종래의 나무 난로에서 장시간 연소를 위하여, 나무는 많이 투입하고 공기의 공급량이 작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연소가 중지되면서 불이 꺼지는 경우도 허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용 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서 나무(연로)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기가 난로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나무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저온 상태의 연소를 위하여 나무는 많이 투입한 상태에서 공기의 공급양이 적은 경우에도 연기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온 상태로 연소를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무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무난로는, 외부의 연통과 연결되는 열린부분, 일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 내부에서, 도어가 설치된 일면과의 사이에서 상하부분에 의하여 배기통로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연소공간를 형성하는 구획판; 그리고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위치의 구획판에 설치되어 연소공간을 개폐하는 내부도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기통로에는 연소공간에서의 열에 의하여 상승하는 에어플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획판은 외부케이싱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수평부분에 의하여 상기 배기통로과 연통하는 배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열린부분의 하부에 대응하는 수평부분에는, 연소공간에서 상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절부가 설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는 외측으로 돌출 상태인 도어형성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조절부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획판의 수평부분에 형성되는 배기공과, 회전각도에 의하여 상기 배기공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판상의 배플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케이싱에서 연소공간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구이용 지지부와, 상기 구이용 지지부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케이싱의 외부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구이통으로 구성되는 구이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공간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는, 배기통로를 통하여 상승기류와 같이 상승하여 외부 연통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배기통로의 하나인 전면통로에서 상승하는 에어커튼과 같은 효과에 의하여 도어를 통하여 실내로 빠지기 전에 상승하여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나무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새어 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공간은 공기조절부를 통하여 외부의 연통과 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절부의 공기량 조절에 의하여, 연소 공간 내부에서 연소되는 나무에 의한 화력을 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통로는 연소공간과 외부케이싱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통로에 의하여 연소공간 내부의 열기가 직접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기통로를 구성하는 상부통로는 실질적으로 연소공간의 열기를 일차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같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나무난로에 설치되어 있는 구이장치는, 난로가 가지는 기본적인 난방이라는 기능 이외에, 고구마 등을 구워서 먹을 수 있는 구이기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난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미를 즐길 수 있는 것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나무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나무난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나무난로의 단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무 난로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10)의 일면(정면)에 설치되어 외부케이싱(10)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어(14)는, 연료(나무)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4)는, 외부케이싱(10)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도어형성부(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4)가 열리게 되면 도어 형성부(12)의 전면에 성형되어 있는 창(16)은 열린 상태로 되고, 난로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는 상태로 된다. 참고로 상기 도어형성부(12)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성형되는데, 이는 도어(14) 내측의 연기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외부케이싱(10)은 실질적으로 그 내부에서 일정한 연소 공간(Ra)을 형성하게 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연소 공간(Ra)은 도어(14)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4)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외부케이싱(10)은 전체적으로 막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 별도의 구획판(20)을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구획판은 연소공간(R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상하부분(20B)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부분(20A)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획판(20)에 의하여, 외부케이싱(10)의 내부에는 연소 공간(Ra)과, 배기통로(Rb)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기통로(Rb)는, 연소 공간(Ra)과 도어(14) 사이에서 일정한 전면통로(Rb1)를 형성함과 같이, 연소 공간(Ra)와 외부케이싱(10)의 천정 사이에서 일정한 상부통로(Rb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면통로(Rb1)는, 연소공간(Ra)이 직접 도어(14)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통로(Rb2)는 연소공간(Ra)을 외부케이싱(10)의 천정(상면)에서 이격시키는 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싱(10)의 상면(19)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하여 연통(40)과 연결되는 열린부분(17)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획판(20)은, 실질적으로 외부케이싱(10)에서 도어(14)가 설치된 부분을 포함하는 정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면통로(Rb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와 연통 가능한 도어(14)와 연소공간(Ra)을 차단하면서 그 사이에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획판(20)은, 실질적으로 외부케이싱(10)의 열린부분(17)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부통로(Rb2)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와 연통되는 열린부분(17)과 연소공간(Ra)이 직접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그 사이에서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부통로(Rb2)는 실질적으로 연소공간(Ra) 내부의 열기가 바로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부케이싱(10)에서 연통과 연결되는 부분인 열린부분(17)의 바로 하부에 해당하는 구획판(20)의 수평부분(20A)에는 공기조절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조절부(30)는, 연소공간(R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단순한 구멍(통기공)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통기공에 대하여 원통형상의 파이프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조절부(30)는, 열린부분(17)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기공(31)과, 상기 배기공을 개폐하기 위한 배플(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플(32)은 공기조절부(30)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연소공간(Ra) 내부의 연소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배플(32)은 공기조절부(30)의 통기공을 막을 수 있는 원형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원형판의 배플(32)은 핸들(36)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34)를 통하여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36)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공기조절부(30)의 열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공간(Ra)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배플(32)은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공기조절부(30)는, 실질적으로 연소공간(Ra)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으로써의 배플(32)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조절부(30)를 통하여 연소 공간(Ra)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데, 연소 공간(Ra) 내부로의 공기의 공급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구멍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소 공간과 연통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도어는 외부케이싱과의 사이에서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도어 주변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들어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획판(20)의 상하부분(20B)에 또 다른 하나의 도어라고 할 수 있는 내부도어(22)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도어(22)도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난로는, 외부케이싱(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14)와, 이러한 도어(14)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판(20)의 상하부분(20B)에 설치되는 내부도어(22)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어(14)와 내부도어(22)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도어(14)를 열면 내부도어(22)를 조작할 수 있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내부도어(22)가 열리면 내부창(24)을 통하여 연소공간이 외부오 연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도어(14,22)와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배기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난로의 연소는, 실질적으로 도어(14)와 내부도어(22)가 닫힌 상태로 진행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난로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거나 연료의 보충을 위해서는 먼저 도어(14)를 연 다음, 내부도어(22)를 열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도어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종래의 난로에 비하여 연기가 실내로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구획판(20)의 상하부분(20B)과 외부케이싱(10) 사이에 형성된 전면통로(Rb1)에서는 더운 공기가 상부로 흐르는 기류가 기본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의 도어(14)를 열면 외부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기 때문에, 전면통로(Rb1)에서의 상승 기류는 더욱 원활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승 기류가 원활한 상태에서 내부도어(22)를 열게 되면, 연소 공간(Ra)의 내부에서 밖[배기통로의 전면통로(Rb1)]으로 나오는 연기는 상승기류에 합류되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도어(14)를 통하여 실내로 유출되는 연기의 양은 아주 미미한 양으로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렇게 상부로 이동한 연기는 상부통로(Rb2)를 경유한 후, 외부의 연통과 연결되는 열린부분(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즉 상기 전면통로(Rb1)에서 상승하는 기류는, 마치 에어커튼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연소공간(Ra) 내부의 연기가 도어(14)의 창(16)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절부(30)를 통하여 연소공간(Ra)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배플(32)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열린부분(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배플(32)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화력의 조절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배플(32)이 열리는 각도가 작은 경우에도, 배기통로(Rb)의 상승기류가 열린부분(17)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에 의하여, 비록 공기의 양은 작지만 연소공간(Ra) 내부의 공기가 열린부분(17)을 통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비록 작은 양의 공기이기는 하지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낮은 화력이지만 열기의 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불연소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연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나무 난로는, 연소 공간(Ra) 내부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구울 수 있는 구이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이장치(38)는, 외부케이싱에서 시작하여 상기 연소공간(Ra)의 내부까지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지지되고 있는 구이용 지지부(38a)와, 상기 구이용 지지부(38a)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케이싱(10)의 외부로 슬라이딩하면서 나올 수 있으며 굽기 위한 대상이 들어가는 구이통(38b)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구이통(38b)를 꺼내고 음식물(예를 들면 고구마 등)을 넣어서 연소공간(Ra)의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이 완성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난로에 적용된 구이장치(38)는 필요에 따라서 유용하면서도 재미있는 사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소공간의 연기가 실내로 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위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배기통로(Rb)가 전면통로(Rb1) 뿐만 아니라 상부통로(Rb2)에도 성형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기통로(Rb)는 기본적으로 도어(14)와 연소공간(Ra) 사이에서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통로(Rb1)를 형성하는 것으로 연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공간(Ra) 내부에서 외부로 배기시키는 통로는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조절부(30) 및 열린부분(17)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외부케이싱
12 ..... 도어형성부
14 ..... 도어
16 ..... 창
17 ..... 열린부분
20 ..... 구획판
20A ..... 수평부분
20B ..... 상하부분
22 ..... 내부도어
24 ..... 내부창
30 ..... 공기조절부
31 ..... 배기공
32 ..... 배플
34 ..... 연결부
36 ..... 핸들
38 ..... 구이장치
40 ..... 연통
Ra ..... 연소공간
Rb ..... 배기통로
Rb1 ..... 전면통로
Rb2 ..... 상부통로

Claims (5)

  1. 외부의 연통과 연결되는 열린부분(17)과, 일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4)를 구비하는 외부케이싱(10)과;
    상기 외부케이싱(10) 내부에서, 도어(14)가 설치된 일면과의 사이에서 상하부분(20B)에 의하여 배기통로(Rb1)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연소공간(Ra)를 형성하는 구획판(20); 그리고
    상기 도어와 대응하는 위치의 구획판에 설치되어 연소공간을 개폐하는 내부도어(22)로 구성되고;
    상기 배기통로(Rb1)에는 연소공간에서의 열에 의하여 상승하는 에어플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외부케이싱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수평부분(20A)에 의하여 상기 배기통로(Rb1)과 연통하는 배기통로(Rb2)를 형성하고,
    상기 열린부분의 하부에 대응하는 수평부분(20A)에는, 연소공간(Ra)에서 상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절부(30)가 설치되는 나무난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4)는 외측으로 돌출 상태인 도어형성부(12)에 설치되는 나무난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는, 구획판의 수평부분(20A)에 형성되는 배기공(31)과, 회전각도에 의하여 상기 배기공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판상의 배플로 구성되는 나무난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에서 연소공간(Ra)의 내부까지 형성되는 구이용 지지부(38a)와, 상기 구이용 지지부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케이싱(10)의 외부로 슬라이딩하여 나오는 구이통(38b)으로 구성되는 구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무난로.




KR1020150128148A 2015-09-10 2015-09-10 나무 난로 KR20170030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48A KR20170030795A (ko) 2015-09-10 2015-09-10 나무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48A KR20170030795A (ko) 2015-09-10 2015-09-10 나무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95A true KR20170030795A (ko) 2017-03-20

Family

ID=5850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148A KR20170030795A (ko) 2015-09-10 2015-09-10 나무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07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839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KR101480980B1 (ko) 스마트 에어 시스템을 구비한 난로
US9441840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4259941A (en) Fireplace construction for mobile homes
US4170219A (en) Fireplace
US3874362A (en) Space heating device using solid fuel
US4300526A (en) Woodburning stove
KR101168363B1 (ko) 훈연기가 설치된 콤비 스팀 오븐
KR20170030795A (ko) 나무 난로
KR101489647B1 (ko) 숯불구이용 화덕
KR101750525B1 (ko) 기능성 취반기
KR101694694B1 (ko)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US2181624A (en) Fireplace heater
JP6495061B2 (ja) ピザ用窯
KR20180001236A (ko) 외부 공기조절이 용이한 난로
KR101273480B1 (ko) 이중난로
KR20150133452A (ko) 온도 유지가 용이한 가스 화덕
US1350495A (en) Fireplace
US10228142B2 (en) Wood-burning stove with internal baffles for increased burn times
KR20190023534A (ko) 벽난로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US1620235A (en) Convertible built-in hot-air furnace
CA3062464C (en) Wood-burning stove with internal baffles for increased burn t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