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31A -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 Google Patents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31A
KR20170029731A KR1020150126675A KR20150126675A KR20170029731A KR 20170029731 A KR20170029731 A KR 20170029731A KR 1020150126675 A KR1020150126675 A KR 1020150126675A KR 20150126675 A KR20150126675 A KR 20150126675A KR 20170029731 A KR20170029731 A KR 2017002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unit
longitudinal direc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209B1 (ko
Inventor
이성영
Original Assignee
이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영 filed Critical 이성영
Priority to KR10201501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2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H05B37/02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충전기능을 가지며,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된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원이 내장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 일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RECHARGEABLE SIGNAL STICK}
본 개시(Disclosure)는, 경광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능을 가지며,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된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경광봉은, 유도봉, 신호봉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게 되며, 야간에 위험을 알리는 중요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엘이디 등의 점등에 의해 빛을 발하는 광원부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경광관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광봉은 사용자가 손수 경광봉을 흔드는 동작을 취하여 정지신호, 위험신호, 방향변경신호 등 다른 여러 상황에 대한 신호를 상대방에게 이해시켜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안내자 스스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인명피해를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또한, 상기의 사용자에 의한 수 신호식 전달방식이나 사용방법에 대해서 일정규칙이나 소정의 규격 없이 사용자 임의의 동작에 의해서 표현되고 전달됨에 따라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대방의 과오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로상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도로의 차량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 되는 도로의 혼잡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방향을 지시하거나 안내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공사관계자는 방향을 지시해주는 화살표 모양의 지시용 간판이나 방향 지시용 여러 매개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매개체는 부피가 크거나 전력을 끌어와 공급해 주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전력이 들어오지 않는 공사현장에서는 방향지시용 간판을 설치할 수 없어 경광봉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신호에 의존함으로 인해 추가 인건비 등 비용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874293호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형상을 변화시켜 상대방으로 하여금 빠른 상황판단을 하도록 할 수 있는 경광봉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식별이 용이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경광봉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게 형성된 경우, 그 무게로 인해서 사용하기가 불편해 지고, 휴대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874293호
본 개시는 충전기능을 가지며,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된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원이 내장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 일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수단과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2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으로서, 상기 발광수단은, 청색 또는 적색의 엘이디가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는, 백색광으로 구비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3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으로서, 상기 발광부는,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며,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생 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가지는 발광부;를 가지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으로서, 상기 확산부는, 단면이 반원형인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5 발명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으로서, 상기 발광부의 내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청색 또는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비되는 광 필터;를 더 가지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을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에 의하면, 전원이 모두 방전된 상태에서도 충전단자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즉시 조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에 의하면, 발광부와 함께 백색의 조명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으로 활용이 가능함으로 물론, 위급한 상황에 원거리에 위치한 제3자에게 경광봉의 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에 의하면,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생 된 빛이 확산부에 의해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3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보의 실시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100)은, 손잡이부(110), 충전단자부(120), 발광부(130), 조명부(140), 자석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0)는, 전원(115)이 내장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111)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10)는, 파지가 용이한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10)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100)의 보관 또는 착용을 위해 외면에 걸쇠(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외부 일측으로 노출되며, 전원(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충전단자부(1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손잡이부(110) 내부의 전원(115)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변환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원이 모두 방전된 상태에서도 충전단자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즉시 조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발광부(130)는, 손잡이부(110)의 상단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발광수단(135)이 구비된다.
발광수단(135)은, 청색 또는 적색의 엘이디(135a)가 발광부(13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140)는, 발광부(130)의 선단에 구비되며, 발광부(130)의 길이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조명부(140)는, 백색광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발광부와 함께 백색의 조명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으로 활용이 가능함으로 물론, 위급한 상황에 원거리에 위치한 제3자에게 경광봉의 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자석부(150)는, 손잡이부(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평평한 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자석부(150)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100)을, 차량의 외면, 특히 트렁크, 차량의 측면 등과 같은 자성체에 부착시켜 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들고 신호를 전달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스위치(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발광수단(135) 및 조명부(140)의 발광패턴을 제어하며, 전원(115)의 충전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발광수단(135)과 조명부(140)의 발광패턴을 동기화시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발광부(130)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며,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발광수단(135)으로부터 발생 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133)를 가진다.
여기서, 확산부(133)는, 단면이 반원형인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발광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생 된 빛이 확산부에 의해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3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광부(130)의 내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발광수단(135)으로부터 방출되는 청색 또는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비되는 광 필터/를 가진다.
발광수단(135)으로 구비되는 엘이디(135a)에서 방출되는 빛은, 직진성이 강하여 발광부(130)의 빛이 제3자자에게 여러 개의 점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는데, 광 필터/를 이를 개선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6)

  1. 전원이 내장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부 일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에 결합 되며,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자석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수단 및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수단과 상기 조명부의 발광패턴을 동기화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청색 또는 적색의 엘이디가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는, 백색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며,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생 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단면이 반원형인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내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청색 또는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비되는 광 필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KR1020150126675A 2015-09-08 2015-09-08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KR10177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675A KR101772209B1 (ko) 2015-09-08 2015-09-08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675A KR101772209B1 (ko) 2015-09-08 2015-09-08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31A true KR20170029731A (ko) 2017-03-16
KR101772209B1 KR101772209B1 (ko) 2017-08-28

Family

ID=5849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675A KR101772209B1 (ko) 2015-09-08 2015-09-08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39A (ko) * 2018-07-19 2020-01-30 박신라 다기능 경광봉
KR102263868B1 (ko) * 2020-11-10 2021-06-11 장나라 경광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93A (ko) 2019-06-26 2021-01-06 김승민 손난로 기능을 갖는 경광봉
KR20210039584A (ko) 2019-10-02 2021-04-12 곽의성 눈의 보호가 가능한 경광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93B1 (ko) 2006-06-23 2008-12-18 홍경찬 다기능 유도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93B1 (ko) 2006-06-23 2008-12-18 홍경찬 다기능 유도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439A (ko) * 2018-07-19 2020-01-30 박신라 다기능 경광봉
KR102263868B1 (ko) * 2020-11-10 2021-06-11 장나라 경광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209B1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209B1 (ko)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JP4485535B2 (ja) 多機能交通信号棒
US20110141735A1 (en) Illuminatable device
ES1061308Y (es) Dispositivo luminoso movil automatico
KR20120012586A (ko) 다용도엘이디안전삼각대
US6921286B1 (en) Light emitting diode jumper cables
KR101302409B1 (ko) 교통안전 경광장비
KR100615079B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JP2006134345A (ja) 交通信号棒(Trafficlightstick)
CN215341420U (zh) 手持信号标
KR20170024641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KR200342746Y1 (ko) 전선권취구
KR200498002Y1 (ko) 수신호봉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KR20110083771A (ko) 다용도 안전 삼각대
CN204102331U (zh) 一种多功能交通指挥棒
KR200443003Y1 (ko) 휴대용 신호봉
JP2005197134A (ja) 合図灯
KR200347771Y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KR20230010342A (ko) 스마트 경광봉
JP2004031125A (ja) 合図灯
KR200483687Y1 (ko) 나선형 노출코어부를 갖는 아크릴계 광섬유를 이용한 캠핑용 조명장치
KR20210039584A (ko) 눈의 보호가 가능한 경광봉
KR200318253Y1 (ko) 교통 안전 신호봉
CN106361547A (zh) 一种盲人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