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293B1 - 다기능 유도봉 - Google Patents

다기능 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93B1
KR100874293B1 KR1020070022196A KR20070022196A KR100874293B1 KR 100874293 B1 KR100874293 B1 KR 100874293B1 KR 1020070022196 A KR1020070022196 A KR 1020070022196A KR 20070022196 A KR20070022196 A KR 20070022196A KR 100874293 B1 KR100874293 B1 KR 10087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duction
coupling
handle portion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2127A (ko
Inventor
홍경찬
Original Assignee
홍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찬 filed Critical 홍경찬
Publication of KR2007012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일자형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화살표형상과 같이 각을 갖도록 변화시켜 위험요소가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결합되는 유도등으로 이루어진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20)은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가 내장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봉체(21) 및 제2봉체(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봉체(21)와 제2봉체(25)의 일측 단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봉체(2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도록 일측 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편(32)과,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을 상기 엘이디에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안내홀(41)이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된 결합판(30)과; 상기 결합판(30)의 결합돌기(40)가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제어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부, 유도등, 결합판, 회전제어판, 받침대

Description

다기능 유도봉{Multi Purpose Guidance Stic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제어판을 보인 손잡이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전등으로 사용되는 유도봉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9는 도 8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제어판을 보인 손잡이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손잡이부 12: 건전지
14: 스위치 16: 광센서
20: 유도등 21: 제1봉체
22: 연통공 25: 제2봉체
26: 체결돌기 27: 관통공
30: 결합판 32: 결합편
33: 지지판 35: 스프링
40: 결합돌기 41a, 41b, 41c: 전선안내홀
42, 44, 46: 연결봉 43: 결합턱
45: 결합구 47: 걸림턱
48: 고정구 49a, 49b: 전선통과홈
50: 회전제어판 52, 56: 절개홈
53: 간섭돌기 54: 삽입홈
57: 안착홈 60: 받침대
65: 발광램프
본 발명은 다기능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일자형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화살표형상과 같이 각을 갖도록 변화시켜 위험요소가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봉은 야간에 위험을 알리는 중요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엘이디 등의 점등에 의해 빛을 발하는 광원부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유도등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봉은 사용자가 손수 흔들림 동작을 취하여 정지신호, 위험신호, 방향변경신호 등 다른 여러상황에 대한 신호를 상대방에게 이해시켜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안내자 스스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인명피해를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또한, 상기의 사용자에 의한 수신호시 전달방식이나 사용방법에 대해서 일정규칙이나 소정의 규격 없이 사용자 임의의 동작에 의해서 표현되고 전달됨에 따라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대방의 과오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로상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도로의 차량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도로의 혼잡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방향을 지시하거나 안내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공사관계자는 방향을 지시해주는 화살표 모양의 지시용 간판이나 방향 지시용 여러 매개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매개체는 부피가 크거나 전력을 끌어와 공급해 주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전력이 들어오지 않는 공사현장에서는 방향지시용 간판을 설치할 수 없어 유도봉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신호에 의존함으로 인해 추가 인건비 등 비용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위험상황의 파악과 동시에 위험지역을 우회하도록 방향을 지시하고, 사용자의 전달 내용을 타인에게 올바르게 알려주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유도등과 손전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용이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유도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결합되는 유도등으로 이루어진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20)은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가 내장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봉체(21) 및 제2봉체(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봉체(21)와 제2봉체(25)의 일측 단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봉체(2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도록 일측 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편(32)과,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을 상기 엘이디에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안내홀(41)이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된 결합판(30)과; 상기 결합판(30)의 결합돌기(40)가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제어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은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턱(43)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결합턱(43)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52)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봉(42)의 외주면에 간섭되게 일정 간격으로 간섭돌기(53)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유도봉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제어판을 보인 손잡이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전등으로 사용되는 유도봉을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유도봉은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결합되는 유도등(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등(20)은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가 내장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봉체(21) 및 제2봉체(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봉체(21)와 제2봉체(25)의 일측 단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봉체(21)의 일측 중앙부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공(22)과, 상기 연통공(2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봉체(25)의 일측 중앙부에 돌출된 체결돌기(26)이고, 상기 체결돌기(26)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봉체(21)의 내부와 제2봉체(25)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7)은 상기 제1봉체(21)의 내부에 구비된 엘이디에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2봉체(25)의 엘이디에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제1봉체(21)의 타측에 상기 손잡이부(10)와 결합되는 결합판(30)과, 상기 결합판(30)을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제어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판(30)은 상기 제1봉체(2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도록 일측 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편(32)과,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상기 전원을 상기 엘이디에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안내홀(41)이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은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어판(50)을 매개로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턱(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안내홀(41)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10)의 전원 즉, 건전지(12)에 연결되는 전선의 양극은 상기 결합편(32)의 나사산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32)에 나사결합되는 제1봉체(21)의 내주면 나선부의 양측에도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32)과 제1봉체(21)의 나사결합으로 상기 손잡이부(10)의 전원이 상기 제1봉체(21)의 엘이디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결합판(30)의 결합돌기(40)가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결합턱(43)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52)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봉(42)의 외주면에 간섭되게 일정 간격으로 간섭돌기(53)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어판(50)의 절개홈(52) 상에서 상기 결합돌기(40)가 이동되어 짐으로써 상기 유도등(20)을 상기 손잡이부(1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유도등(20)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받침대(60)가 더 구비되어 유도등(20)을 일자형상 또는 화살표형상으로 형성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지지에 의한 유도신호 대신 상기 받침대(60)에 의한 지지로 유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산간지역 또는 교통사고 발생에 따른 조치시 사용자가 유도등을 잡고 있지 않고도 원활한 교통을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32)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램프(65)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0)에는 상기 발광램프(65)와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14)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램프(65)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도등(20)을 분리시킨 경우에는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손전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에는 외부의 빛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광센서(16)가 더 구비되어 산간지역 등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아닌 자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전원인 건전지(12)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광센서(16)에 의한 감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건전지(12)로부터의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전원회로부가 구비된 것은 당연하며, 상기 스위치(1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유도등(20)의 엘이디 또는 발광램프(65)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회로연결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도등(20)의 내부에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엘이디가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유도등(20)을 투명하게 하거나 반사가 용이한 재질로 형성한 후 상기 발광램프(65)에 의한 점멸동작만으로 유도등(20)이 빛을 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도등(20)을 분리시킨 상태로 상기 발광램프(65)의 발광색에 따른 빛의 발광으로 유도등(20)을 대신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 태도로서,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봉(44)과, 상기 연결봉(44)의 단부에 구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구(45)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결합구(45)가 삽입되어 강제 회전되도록 결합구(45)의 외경보다 적어도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54)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유도등(20)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방향 회전동작이 아닌 모든 각도의 회전동작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40)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안내홀(41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4)에도 전원의 인가를 위한 전선이 통과하도록 전선통과홈(49a)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돌기와 회전제어판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제어판을 보인 손잡이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은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일측에 걸림턱(47)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연결봉(46)과, 상기 연결봉(46)의 타측 단부에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48)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6)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결합편(32)의 타측 내부에는 지지판(33)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고정구(48)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절개홈(56)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56)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구(48)가 안착되도록 반원형의 안착홈(57)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57)에 상기 고정구(48)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35)이 이완된 상태로 상기 결합돌기(40)를 가압하게 되고, 사용자가 유도등(20)을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48)가 상기 안착홈(57)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스프링(35)을 수축시킨 후 인접된 다른 안착홈(57)으로 삽입되면서 유도등(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진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40)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안내홀(41c)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7)에도 전원의 인가를 위한 전선이 통과하도록 전선통과홈(49b)이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위험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유도봉의 손잡이부(10)의 스위치(14)를 온시켜 유도등(20)의 엘이디를 발광시킨다.
이때, 차량의 우회방향 등을 알리는 경우에는 유도등(20)의 제2봉체(25)를 회전시켜 화살표형상으로 형성한 후 우회할 방향을 지시하도록 하면 되며, 사용자가 잡고 있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받침대(60)를 지면 또는 일정 높이로 위치시킨 후 유도봉을 올려놓고 제1봉체(21)를 회전시켜 손잡이부(10)를 기준으로 화살표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우회방향을 지시하면 된다.
상기 제1봉체(21)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1봉체(210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봉체(21)에 나사결합된 결합판(30)의 결합돌기(40)가 상기 손잡이부(10)에 구비된 회전제어판(50)의 절개홈(52) 내측에서 이동되어 지는데,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40)의 연결봉(42)이 상기 절개홈(52)에 형성된 간섭돌기(53)에 간섭된 상태에서 외부적인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연결봉(42)의 외주면이 상기 간섭돌기(53)에 접촉되면서 간섭돌기(53)가 구비된 절개홈(52) 부위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돌기(40)가 일정 직경의 결합구(45)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결합구(45)가 삽입홈(54)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외부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결합구(45)가 상기 삽입홈(54)의 내주면에서 마찰되면서 회전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돌기(40)가 고정구(48)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48)가 절개홈(56)의 안착홈(57)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외부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48)가 상기 안착홈(57)에서 이탈되면서 스프링(35)을 수축시킨 후 다시 인접된 안착홈(57)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봉은 사용자가 손수 잡고 있지 않아도 됨에 따라 야간에 교통사고 등과 같은 위험상황 발생시 특정 위치에 유도봉을 위치시킨 상태로 다른 작업을 취할 수 있어 상대방에게 위험신호를 알려줌과 동시에 현재 발생된 위험상황을 보다 단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임의대로 유도봉의 형상을 변화시켜 상태방으로 하여금 빠른 상황판단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곳에서의 사고 등 돌발 상황발생시 타인에게 위험을 알림과 동시에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방향을 빠르게 인식시킬 수 있어 사용자와 타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손쉬운 설치와 이동성의 편리함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도봉과 손전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전원이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결합되는 유도등으로 이루어진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20)은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가 내장된 일정 길이를 갖는 제1봉체(21) 및 제2봉체(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봉체(21)와 제2봉체(25)의 일측 단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봉체(21)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도록 일측 주연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편(32)과,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을 상기 엘이디에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안내홀(41)이 형성된 결합돌기(40)로 구성된 결합판(30)과;
    상기 결합판(30)의 결합돌기(40)가 삽입되어 상기 유도등(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제어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은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턱(43)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결합턱(43)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절개홈(52)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52)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봉(42)의 외주면에 간섭되게 일정 간격으로 간섭돌기(5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봉(44)과, 상기 연결봉(44)의 단부에 구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구(45)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결합구(45)가 삽입되어 강제 회전되도록 결합구(45)의 외경보다 적어도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2)의 타측은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0)는 상기 결합편(32)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일측에 걸림턱(47)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연결봉(46)과, 상기 연결봉(46)의 타측 단부에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48)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6)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결합편(32)의 타측 내부에는 지지판(33)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제어판(5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측에 손잡이부(10)의 내측으로 오목 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고정구(48)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절개홈(56)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56)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구(48)가 안착되도록 반원형의 안착홈(57)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봉체(21)의 일측 중앙부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공(22)과, 상기 연통공(2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봉체(25)의 일측 중앙부에 돌출된 체결돌기(26)이고, 상기 체결돌기(26)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봉체(21)의 내부와 제2봉체(25)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공(27)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유도등(20)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받침대(60)가 더 구비되어 유도등(20)을 일자형상 또는 화살표형상으로 형성시킨 상태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2)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램프(65)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0)에는 상기 발광램프(65)와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에는 외부의 빛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광센서(1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도봉.
KR1020070022196A 2006-06-23 2007-03-06 다기능 유도봉 KR10087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6671 2006-06-23
KR1020060056671 2006-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127A KR20070122127A (ko) 2007-12-28
KR100874293B1 true KR100874293B1 (ko) 2008-12-18

Family

ID=3913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196A KR100874293B1 (ko) 2006-06-23 2007-03-06 다기능 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31A (ko) 2015-09-08 2017-03-16 이성영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01B1 (ko) * 2009-12-01 2012-03-19 (주)에스아이디 다기능 경광봉
WO2012096420A1 (ko) * 2011-01-14 2012-07-19 (주)에스아이디 다기능 경광봉
KR101374136B1 (ko) * 2012-07-11 2014-03-14 조홍구 손전등
KR101530310B1 (ko) * 2013-11-21 2015-06-22 주식회사 부성엘티 발광머리부의 꺾임변환이 가능한 랜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1300A (en) 1980-02-18 1981-09-16 Kyushu Hitachi Maxwell Ltd Battery-powered multi-purpose foldable lantern
DE3829337A1 (de) 1987-04-02 1990-03-08 Jaroslav Bech Kontaktlose verbindung und automatische justierung der klappbaren teile einer leuchte, sowie ihr schiebekontaktfreies ein- und ausschalten
US5217297A (en) 1990-09-28 1993-06-08 John Manufacturing Limited Combined incandescent/fluorescent lantern
KR200359270Y1 (ko) 2004-05-25 2004-08-16 유정재 다용도 신호봉
KR200382691Y1 (ko) 2005-01-27 2005-04-22 주식회사 엔컴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US6899441B2 (en) 2003-08-04 2005-05-31 Hsiu Chin Chen Multifunction warning device
KR100615079B1 (ko) 2004-01-30 2006-08-22 권재규 다기능 교통신호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1300A (en) 1980-02-18 1981-09-16 Kyushu Hitachi Maxwell Ltd Battery-powered multi-purpose foldable lantern
DE3829337A1 (de) 1987-04-02 1990-03-08 Jaroslav Bech Kontaktlose verbindung und automatische justierung der klappbaren teile einer leuchte, sowie ihr schiebekontaktfreies ein- und ausschalten
US5217297A (en) 1990-09-28 1993-06-08 John Manufacturing Limited Combined incandescent/fluorescent lantern
US6899441B2 (en) 2003-08-04 2005-05-31 Hsiu Chin Chen Multifunction warning device
KR100615079B1 (ko) 2004-01-30 2006-08-22 권재규 다기능 교통신호봉
KR200359270Y1 (ko) 2004-05-25 2004-08-16 유정재 다용도 신호봉
KR200382691Y1 (ko) 2005-01-27 2005-04-22 주식회사 엔컴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31A (ko) 2015-09-08 2017-03-16 이성영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127A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293B1 (ko) 다기능 유도봉
US7857481B2 (en) Multi-functional traffic signal stick
US20090158628A1 (en) Wet floor caution sign
KR101711395B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WO2006000061A1 (en) Portable signalling lantern
KR101124701B1 (ko) 다기능 경광봉
RU2665048C2 (ru) Карманный фонарь с поворотным выключателем
KR20080003902U (ko) 우산꼭지용 발광체구조
JP2013004509A (ja) Led灯具
KR101274281B1 (ko) 엘이디 경광등
US20050270801A1 (en) Light dispersion device
GB2511436A (en) Lighting apparatus
KR200236566Y1 (ko) 방향지시봉
JP2005197134A (ja) 合図灯
KR200239271Y1 (ko) 표지판과 결합된 신호봉
KR200350486Y1 (ko) 신호봉의 발광장치
KR20110008111U (ko) 자전거 휠 라이트
JP2009167703A (ja) 横断歩行者表示灯装置。
KR20090008717U (ko) 엘이디 경광등
KR200367367Y1 (ko) 안전용품 램프구조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GB2501501A (en) Portable lamp
TWM521921U (zh) 具有閃爍發光功能的雨傘
AU2016100235A4 (en) illuminated stick
JP6188450B2 (ja) 杖歩行者用点灯装置とその装置を備えた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