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961A -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961A
KR20170028961A KR1020177002982A KR20177002982A KR20170028961A KR 20170028961 A KR20170028961 A KR 20170028961A KR 1020177002982 A KR1020177002982 A KR 1020177002982A KR 20177002982 A KR20177002982 A KR 20177002982A KR 20170028961 A KR20170028961 A KR 20170028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abric
shaft member
fix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323B1 (ko
Inventor
테페이 간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7002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접촉 부재의 내구성과 조작성의 향상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위치 지시기(1)는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위치 지시 조작에 이용되는 것이고, 막대 모양의 케이스(2)와, 케이스(2)의 선단부에 접속된 슬리브(3)와, 슬리브(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8)과, 캡(8)을 덮는 직물(9)과, 케이스(2) 내에 마련되어, 캡(8)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5)와, 직물(9)을 지지 부재(5)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10)를 구비한다. 캡(8) 및 직물(9) 중 적어도 일방은 도전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POSITION INDIC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위치 지시 조작에 이용되는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펜형의 위치 지시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위치 지시기는, 막대 모양의 케이스의 선단부(先端部)에 마련된 탄성 부재가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고 있고, 접촉 부재가 지시 입력면(터치 패널)에 접촉함으로써 위치 지시가 행해진다. 탄성 부재는 케이스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부재가 마모됐을 경우에는 접촉 부재만을 교환할 수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펜 끝에 매끄러움을 주기 위해, 기재(基材)의 표면에 코팅이 실시된 펜 끝 구조를 가지는 위치 지시기(스타일러스: stylus)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4840891호 공보 특허 문헌 2 : 미국 특허 제6771254호 명세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위치 지시기는 접촉 부재를 교환할 수 있지만, 접촉 부재의 내구성이나 조작성은 향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위치 지시기는, 펜 끝의 표면의 코팅에 의해서 내구성이나 조작성이 개선되어 있지만, 사용하다 보면 펜 끝의 코팅이 마모되어 기재가 노출되어, 필기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내구성의 추가적 개선이 필요하다. 또 경질(硬質)이고 다공질(多孔質)인 기재의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탄성체의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것은 어렵고, 두꺼운 코팅을 실시하는 것은 특히 어렵다. 추가로 코팅은 가공 코스트가 비싸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의한 내구성 및 조작성의 향상이 소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부재의 내구성과 조작성의 향상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하는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는,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위치 지시 조작에 이용되는 위치 지시기로서, 막대 모양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접속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과, 상기 캡을 덮는 직물과,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직물을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및 상기 직물 중 적어도 일방(一方)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부재인 캡의 선단면이 직물로 덮여 있어, 캡이 위치 검출 장치의 지시 입력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캡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직물에 의해서 마찰 저항이 작아지므로, 스무스한 조작성을 줄 수 있다. 또, 제1 고정 부재가 직물을 클램프 고정하고 있으므로, 직물의 자락부의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 놓을 수 있어, 직물의 주름의 위치나 자락부의 길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재료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직물의 클램프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O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매우 간이하고 염가인 고정구(具)를 이용하여 직물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또 고정 후에 있어서 직물의 주름이나 자락부의 길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는, 상기 직물의 자락부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직물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 직물의 자락부의 퍼짐을 억제할 수 있어, 직물로 덮인 캡 전체를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기 자락부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양방을 고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직물의 자락부뿐만 아니라 제1 고정 부재를 고정할 수도 있어, 직물의 고정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열수축(熱收縮)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직물의 자락부를 지지 부재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직물을 보기 좋게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을 상기 샤프트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캡이 지지 부재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캡을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캡이 직물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캡만을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지지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샤프트 부재로 나누어져 있고, 직물이 샤프트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물로 덮인 캡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캡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後端)에 마련된 상기 헤드부보다도 작은 지름의 넥부와, 상기 넥부의 후단에 마련된 상기 헤드부보다도 큰 지름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후단에 마련된 상기 플랜지부보다도 작은 지름의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캡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을 상기 플랜지부 근처의 상기 보디부에 고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캡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고, 또 직물을 샤프트 부재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제조 방법은, 샤프트 부재의 선단부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캡의 선단부에 직물을 덮어씌운 후, 상기 캡의 선단부측으로부터 O링을 끼워 넣고, 상기 O링을 상기 샤프트 부재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직물을 상기 샤프트 부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직물의 상기 자락부 및 상기 O링을 덮도록 상기 샤프트 부재에 열수축 튜브를 씌우는 공정과, 상기 직물로 덮인 상기 캡이 장착된 상기 샤프트 부재를 막대 모양의 케이스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캡을 덮는 직물을 샤프트 부재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 O링을 끼워 넣을 때 캡을 덮는 직물의 주름을 펼수 있어, 캡의 표면으로 직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열수축 튜브를 씌우기 전에 상기 직물의 주름 및 상기 직물의 자락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공정을 추가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직물의 주름을 밸런스 좋게 배치할 수 있고, 열수축 튜브를 이용하여 직물의 자락부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직물로 덮인 캡 전체를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부재의 내구성과 조작성의 향상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특히 (a)는 외관도, (b)는 대략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위치 지시기(1)로부터 분리된 펜 끝 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대략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위치 지시기(1)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특히 (a)는 외관도, (b)는 대략 측면 단면도이다. 또, 도 2는 위치 지시기(1)로부터 분리된 펜 끝 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대략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이 위치 지시기(1)는 펜형(스타일러스 펜) 으로서,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케이스(2)와,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선단부)에 접속된 슬리브(3)와, 슬리브(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접촉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는 금속제의 중공(中空) 원통 부재이며, 케이스(2) 내의 선단부에는 접촉 부재(4)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5)는 금속제의 부재이고, 놋쇠 등의 비교적 무거운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5)가 비교적 무거운 금속인 것에 의해, 위치 지시기(1)의 중심 위치를 케이스(2)의 일단측(펜 끝측)에 둘 수 있어, 위치 지시기(1)를 쥐기 쉽게 할 수 있다.
슬리브(3)는 외형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부재이며, 케이스(2)의 선단부에 마련된 지지 부재(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접촉 부재(4)는 지지 부재(5)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접촉 부재(4)는 슬리브(3)를 관통하여 슬리브(3)의 선단부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슬리브(3)는 접촉 부재(4)의 측면(외주면(外周面))에 접촉하여 접촉 부재(4)를 지지함과 아울러, 접촉 부재(4)의 측면(외주면)을 커버하고 있다.
접촉 부재(4)는 캡(8)과 도전 직물(9)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캡(8)은 위치 검출 장치의 지시 입력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지시 입력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 도전 직물(9)은 캡(8)의 표면을 보호하고, 접촉 부재(4)가 지시 입력면상에서 스무스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부재(5)는 케이스(2)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6)와, 베이스 부재(6)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부재(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샤프트 부재(7)의 선단부에 장착된 접촉 부재(4)는, 위치 지시기 본체(케이스(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펜 끝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6)는 케이스(2) 내에서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위치 지시기(1)가 필압(筆壓) 검지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6)가 케이스(2)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6)는 코일 용수철 등에 의해서 케이스(2)의 선단 방향으로 가압되고, 베이스 부재(6)는 필압에 따라 케이스(2)의 중심축(Z축) 방향으로 변위(變位)된다.
샤프트 부재(7)는 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헤드부(7a), 헤드부(7a)보다도 작은 지름의 넥부(7b), 헤드부(7a)보다도 큰 지름의 플랜지부(7c), 플랜지부(7c)보다도 작은 지름의 보디부(7d), 및 수(male)나사부(7e)(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6)는 샤프트 부재(7)의 수나사부(7e)에 대응하는 암(female)나사부(6a)와, 슬리브(3)의 암나사부(3a)에 대응하는 수나사부(6b)를 가지고 있고, 샤프트 부재(7) 및 슬리브(3)는 베이스 부재(6)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캡(8)은 대략 반구(半球) 모양(돔 모양)의 선단부(8a)와, 대략 원통 모양의 기단부(基端部)(8b)를 가지고 있고, 캡(8)의 선단부(8a)는 슬리브(3)의 관통공의 선단측의 개구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캡(8)의 선단부는 만곡면(灣曲面)을 가지고 있으면 좋으며, 반구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캡(8)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샤프트 부재(7)의 헤드부(7a)에 감합되어 있다. 캡(8)은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8)이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접촉 부재(4)와 지시 입력면의 센서 전극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전하는 인체로부터 케이스(2), 지지 부재(5), 및 캡(8)을 통해서 지시 입력면으로 이동하므로, 인간의 손가락끝이 지시 입력면에 접촉 또는 접근하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4)와 센서 전극과의 정전 결합 상태의 변화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캡(8)의 기단부(8b)의 하면(下面)에는 개구(8c)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8c)는 선단부(8a)를 향해 연장되어 선단부(8a)의 내측의 공동(空洞)(8d)에 연결되어 있다. 캡(8)의 개구(8c)의 내주부(內周部)는 중심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링모양 돌기부(8e)를 형성하고 있고, 이 링모양 돌기부(8e)가 샤프트 부재(7)의 넥부(7b)에 끼어 들어감으로써 캡(8)이 샤프트 부재(7)에 감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캡(8)의 선단부(8a)의 두께는 기단부(8b)의 두께보다도 얇지만, 동일한 두께여도 된다.
캡(8)의 개구(8c)에는 샤프트 부재(7)의 헤드부(7a)가 삽입되고, 캡(8)이 샤프트 부재(7)의 넥부(7b)에 감합되어 있다. 캡(8)이 샤프트 부재(7)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캡(8)의 내측 공동의 모든 공간을 헤드부(7a)가 점유하는 것이 아니고, 헤드부(7a)가 존재하지 않는 공동이 남아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부재(4)가 위치 검출 장치의 지시 입력면에 세게 눌렸을 때의 탄성 변형을 크게 할 수 있어, 지시 입력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샤프트 부재(7)에 장착된 캡(8)의 하면은 플랜지부(7c)의 수평면에 맞닿아 있고, 또 캡(8)의 기단부(8b)의 외주면은, 도전 직물(9)을 매개로 하여, 슬리브(3)의 선단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샤프트 부재(7)의 플랜지부(7c) 및 슬리브(3)가 캡(8)의 하면 및 외주면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지시 입력면에 세게 눌린 캡(8)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어, 캡(8)의 탄성 변형을 크게 할 수 있다.
도전 직물(9)은 캡(8)을 감싸고 있고, 캡(8)의 선단부(8a)의 표면(만곡면)에 밀착되어 있다. 도전 직물(9)은 직포(織布)여도 되고, 부직포(不織布)여도 되지만, 도전 직물(9)을 펼쳤을 때의 평면 형상은 대략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8)의 표면이 도전 직물(9)로 덮여 있으므로, 위치 검출 장치의 지시 입력면에 대한 접촉 부재(4)의 접촉 저항을 줄여 그 소모를 억제함과 아울러, 스무스한 필기감을 줄 수 있다. 추가로 도전 직물(9)은 도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접촉 부재(4)와 지시 입력면의 센서 전극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추가로 크게 할 수 있어, 접촉 부재(4)와 센서 전극과의 정전 결합 상태의 변화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도전 직물(9)은 O링(10)에 의해서 샤프트 부재(7)의 보디부(7d)상에 클램프 고정되어 있다. O링(10)은 도전 직물(9)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제1 고정 부재)이며,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직물(9)을 당기는 힘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도전 직물(9)의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O링(10)은 플랜지부(7c)와의 경계 부근의 보디부(7d)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직물(9)의 고정구로서 O링(10)을 이용함으로써, 도전 직물(9)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또 도전 직물(9)의 주름의 조정이나 자락부(9a)의 길이의 조정도 용이하다.
O링(10) 및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는, 열수축 튜브(11)에 덮여 고정되어 있다. 열수축 튜브(11)는 도전 직물(9)을 확실히 고정하고, 추가로 O링(10)의 위치 어긋남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제2 고정 부재)이다. 그 때문에, 열수축 튜브(11)의 폭은 샤프트 부재(7)의 보디부(7d)의 길이와 거의 같다.
O링(10)에 의해서 고정된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는 다소 퍼져 있기 때문에, 만일 열수축 튜브(11)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면, 도전 직물(9)의 장착 상태는 불안정하고, 보기에도 좋지 않다. 특히, 펜 끝 부품이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펜 끝 부품을 분리했을 때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도 노출되기 때문에, 보기에 좋지 않은 것은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열수축 튜브(11)를 이용하여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를 고정했을 경우에는,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를 샤프트 부재(7)의 보디부(7d)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교환 가능한 펜 끝 부품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추가로, 도전 직물(9)과 함께 O링(10)을 덮음으로써 O링(1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도전 직물(9)과 O링(10)의 양방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 직물(9)에 덮인 캡(8)은 지지 부재(5)의 샤프트 부재(7)에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2)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종래의 위치 지시기에 있어서, 캡(8)은 도전 직물(9)에 덮여 있지 않은 벗겨진 상태였기 때문에, 지지 부재(5)로부터 캡(8)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었다. 이것에 대해, 캡(8)이 도전 직물(9)에 덮여 있는 경우에는 캡(8)을 단독으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8)을 지지 부재(5)의 일부와 함께 분리 가능하여, 소모 또는 손상된 접촉 부재(4)의 교환도 용이하다.
도 3은 위치 지시기(1)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위치 지시기(1)의 제조에서는, 우선 도 3 (a)에 도시하는 것처럼, 샤프트 부재(7)의 헤드부(7a)에 캡(8)을 끼워 넣는다. 헤드부(7a)는 캡(8)의 개구(8c)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음에 도 3 (b)에 도시하는 것처럼, 캡(8)에 도전 직물(9)을 씌운다. 이때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는 샤프트 부재(7)의 후단측에서 묶인다.
다음에 도 3 (c)에 도시하는 것처럼, 샤프트 부재(7)에 O링(10)을 장착하여 도전 직물(9)을 고정한다. O링(10)은 도시와 같이 헤드부(7a)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다. O링(10)은 캡(8)의 선단부의 만곡면을 굴러가면서 샤프트 부재(7)의 후단을 향해 이동하여, 보디부(7d)의 위치까지 보내진다. 이때의 O링(10)의 작용에 의해, 캡(8)을 덮는 도전 직물(9)의 주름이 펴지므로, 캡(8)으로의 도전 직물(9)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 후, O링(10)을 위치 결정한 후, 도전 직물(9)의 주름의 밸런스를 조정하여, 자락부(9a)가 너무 긴 경우에는 컷하여 그 길이를 가지런히 한다.
다음에 도 3 (d)에 도시하는 것처럼, 도전 직물(9)의 자락부(9a) 및 O링(10)에 열수축 튜브(11)를 씌우고, 가열하여 열수축시킴으로써, 도전 직물(9)의 자락부 및 O링(10)을 샤프트 부재(7)의 보디부(7d)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이상에 의해, 도 3 (e)에 도시하는 위치 지시기(1)의 펜 끝 부품이 완성된다.
그 후, 이 펜 끝 부품을 케이스(2)의 선단부에 장착하고, 슬리브(3)를 씌움으로써, 도 1에 도시한 위치 지시기(1)가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는, 캡(8)의 선단부가 도전 직물(9)로 덮여 있으므로, 접촉 부재(4)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스무스한 필기감을 줄 수 있다. 또, 캡(8)을 덮는 도전 직물(9)을 샤프트 부재(7)에 고정하기 위해서 O링(10)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도전 직물(9)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추가로 도전 직물(9)의 주름이 둘레 전체에 걸쳐서 치우침없이 배치되도록 주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도전 직물(9)이 고정된 상태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자락부(9a)의 길이를 가지런히 할 수 있다. 추가로, O링(10)과 함께 열수축 튜브를 이용하여 도전 직물(9)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도전 직물(9)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어, 보기에도 좋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캡(8)의 선단부를 덮는 직물로서 도전 직물(9)을 이용하고 있지만, 캡(8)이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비도전성 직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캡(8) 및 직물 중 적어도 일방이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도전 직물(9)은 충분히 얇으므로, 캡(8)이 도전성을 가지고만 있으면, 접촉 부재(4)와 지시 입력면의 센서 전극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 직물(9)을 고정하기 위해서 O링(10)을 이용하고 있지만, O링(10) 대신에 C링, 결속 밴드 등의 다른 고정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열수축 튜브(11) 대신에 비닐 테이프 등의 절연 테이프를 감도록 해도 된다. 추가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O링(10)을 하나만 이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2개 이상의 O링(10)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5)는 베이스 부재(6)와 샤프트 부재(7)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접촉 부재(4)가 샤프트 부재(7)와 함께 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베이스 부재(6)와 샤프트 부재(7)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펜 끝 부품이 본체로부터 착탈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캡(8)은 샤프트 부재(7)의 헤드부(7a)에 감합함으로써 접속되어 있지만, 캡(8)과 샤프트 부재(7)와의 접속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캡(8)측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샤프트 부재(7)측에 돌기부의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캡(8)의 돌기부를 샤프트 부재(7)의 삽입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1: 위치 지시기
2: 케이스
3: 슬리브
3a: 슬리브의 암나사부
4: 접촉 부재
5: 지지 부재
6: 베이스 부재
6a: 암나사부
6b: 수나사부
7: 샤프트 부재
7a: 샤프트 부재의 헤드부
7b: 샤프트 부재의 넥부
7c: 샤프트 부재의 플랜지부
7d: 샤프트 부재의 보디부
7e: 샤프트 부재의 수나사부
8: 캡
8a: 캡의 선단부
8b: 캡의 기단부
8c: 캡의 개구
9: 도전 직물
9a: 도전 직물의 자락부
10: O링
11; 열수축 튜브

Claims (10)

  1. 정전 용량 방식의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위치 지시 조작에 이용되는 위치 지시기로서,
    막대 모양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先端部)에 접속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과,
    상기 캡을 덮는 직물과,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직물을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및 상기 직물 중 적어도 일방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위치 지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O링인 위치 지시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자락부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위치 지시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기 자락부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양방을 고정하는 위치 지시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열수축(熱收縮) 튜브인 위치 지시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을 상기 샤프트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위치 지시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단(後端)에 마련된 상기 헤드부보다도 작은 지름의 넥부와, 상기 넥부의 후단에 마련된 상기 헤드부보다도 큰 지름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후단에 마련된 상기 플랜지부보다도 작은 지름의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캡은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직물을 상기 플랜지부 근처의 상기 보디부에 고정하고 있는 위치 지시기.
  9. 샤프트 부재의 선단부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캡의 선단부에 직물을 덮어씌운 후, 상기 캡의 선단부측으로부터 O링을 끼워 넣고, 상기 O링을 상기 샤프트 부재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상기 직물을 상기 샤프트 부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직물의 상기 자락부 및 상기 O링을 덮도록 상기 샤프트 부재에 열수축 튜브를 씌우는 공정과,
    상기 직물로 덮인 상기 캡이 장착된 상기 샤프트 부재를 막대 모양의 케이스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튜브를 씌우기 전에 상기 직물의 주름 및 자락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공정을 추가로 가지는 위치 지시기의 제조 방법.
KR1020177002982A 2014-07-10 2015-03-18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6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2369 2014-07-10
JPJP-P-2014-142369 2014-07-10
PCT/JP2015/057989 WO2016006281A1 (ja) 2014-07-10 2015-03-18 位置指示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961A true KR20170028961A (ko) 2017-03-14
KR102306323B1 KR102306323B1 (ko) 2021-09-30

Family

ID=5506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82A KR102306323B1 (ko) 2014-07-10 2015-03-18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6294B2 (ko)
EP (1) EP3168718B1 (ko)
JP (1) JP6505695B2 (ko)
KR (1) KR102306323B1 (ko)
CN (1) CN106662937A (ko)
WO (1) WO2016006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85B1 (ko) * 2021-08-12 2022-05-12 이용원 터치펜용 펜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9513A (ja) * 2017-10-19 2019-05-23 中強光電股▲ふん▼有限公司 書き込み装置及びタッチシステム
JP7033895B2 (ja) 2017-11-28 2022-03-11 三菱鉛筆株式会社 多機能ペン
TW202349164A (zh) * 2022-06-01 2023-12-16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筆及其筆芯結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0891B1 (ko) 1970-09-07 1973-12-03
US6771254B2 (en) 2000-11-10 2004-08-03 Microsoft Corporation Stylus nibs for providing a pen-and-paper feel for use with a tablet-and-stylus computer
JP2013065147A (ja) * 2011-09-16 2013-04-11 Shin Etsu Polymer Co Ltd タッチペン用ペン先、タッチペン、筆記具付きタッチペン、ペン先出没式筆記具および入力ペン用リフィル
KR101296286B1 (ko) * 2012-11-07 2013-08-27 안연주 정전식 터치펜용 팁의 가공방법
JP2014112355A (ja) * 2012-11-06 2014-06-19 Towa Kasei Kk 入力用タッチペ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044B2 (ja) * 1995-04-27 2003-06-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2487U (ja) * 1995-09-07 1996-03-26 勝男 廣田 電動ワックス掛け機
US8125469B2 (en) * 2008-04-18 2012-02-28 Synaptics, Inc. Passive stylus for capacitive sensors
KR100992558B1 (ko) * 2010-04-22 2010-11-08 엑스지 솔루션스 엘엘씨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TWM393735U (en) * 2010-06-29 2010-12-01 Te-Hsiang Fang Touch screen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TWM406215U (en) * 2010-10-18 2011-06-21 Kooner Technology Taiwan Co Ltd Touch pen
KR101054861B1 (ko) * 2010-11-08 2011-08-05 주식회사 엠씨엘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US20120146957A1 (en) * 2010-12-09 2012-06-14 Kelly Allan Dunagan Stylus tip device for touch screen
JP4840891B1 (ja) * 2011-04-19 2011-12-21 株式会社ワコム コードレス型の位置指示器
US20130127791A1 (en) * 2011-11-18 2013-05-23 Raymond Albert Siuta Thumb or Finger Devic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Tips & Other Feature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Screens and/or Mechanical Keyboards Employed in Smartphones & Other Small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0891B1 (ko) 1970-09-07 1973-12-03
US6771254B2 (en) 2000-11-10 2004-08-03 Microsoft Corporation Stylus nibs for providing a pen-and-paper feel for use with a tablet-and-stylus computer
JP2013065147A (ja) * 2011-09-16 2013-04-11 Shin Etsu Polymer Co Ltd タッチペン用ペン先、タッチペン、筆記具付きタッチペン、ペン先出没式筆記具および入力ペン用リフィル
JP2014112355A (ja) * 2012-11-06 2014-06-19 Towa Kasei Kk 入力用タッチペ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96286B1 (ko) * 2012-11-07 2013-08-27 안연주 정전식 터치펜용 팁의 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85B1 (ko) * 2021-08-12 2022-05-12 이용원 터치펜용 펜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8718A4 (en) 2017-11-22
CN106662937A (zh) 2017-05-10
US20170083122A1 (en) 2017-03-23
EP3168718B1 (en) 2020-05-13
KR102306323B1 (ko) 2021-09-30
WO2016006281A1 (ja) 2016-01-14
US10216294B2 (en) 2019-02-26
JP6505695B2 (ja) 2019-04-24
JPWO2016006281A1 (ja) 2017-06-01
EP3168718A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891B1 (ja) コードレス型の位置指示器
US9092077B2 (en) Writing device having writing tip and stylus tip
KR10099255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KR20170028961A (ko)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46957A1 (en) Stylus tip device for touch screen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US20170031467A1 (en) Method, accessory and touch writing pen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US20100214252A1 (en) Touch panel component for capacitive panel
US20150212605A1 (en) Active capacitive touch pen for providing an adjustable electromagnetic field
TWM393735U (en) Touch screen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KR101328682B1 (ko) 감응부가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
JP6107448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ダンパースプリング
KR101054861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US9063589B2 (en) Touchscreen stylus
WO2013031034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ペン
US20160320869A1 (en) Manual device and multifunctional assembly
KR20120038043A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WO2013183181A1 (ja) 入力ペンのペン先部、及び該入力ペンのペン先部の製造方法
JP2016152863A5 (ko)
KR101328681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도전성 터치펜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KR20140115081A (ko) 정전식 터치펜
JP2017084316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の操作具、スタイラスペンとその製造方法、保護ケース、ストラップ
KR200473920Y1 (ko) 필기구 겸용 터치펜
KR20130029991A (ko)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