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991A -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 Google Patents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991A
KR20130029991A KR1020110093458A KR20110093458A KR20130029991A KR 20130029991 A KR20130029991 A KR 20130029991A KR 1020110093458 A KR1020110093458 A KR 1020110093458A KR 20110093458 A KR20110093458 A KR 20110093458A KR 20130029991 A KR20130029991 A KR 20130029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phone
touch screen
scree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790B1 (ko
Inventor
김향미
이준혁
Original Assignee
김향미
이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미, 이준혁 filed Critical 김향미
Priority to KR1020110093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7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은 핸드폰케이스(20)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핸드폰케이스에 부착된 터치봉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터치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핸드폰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touch stick for touch screen in cellular phone}
본발명은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에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을 부착함으로써,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터치봉으로 핸드폰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3606호(공고일자 2011년05월19일)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터치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으로 화면을 터치할 때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는 정전방식으로 나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때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거나 화면을 누른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어 조작하게 되므로, 화면에 지문이나 기름 또는 손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묻어 오염되거나,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 장갑낀 손으로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팬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터치팬을 휴대하거나 보관하기가 불편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3606호에서는 일측에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된 골무형태 또는 캡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되며, 극세사를 직조 또는 편직하거나, 극세사로 제작된 천을 제단 및 재봉 또는 접착하여 구성되며, 삽입공에 끼워진 손가락과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과의 사이에 통전이 발생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패드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327899호(공고일자2003년09월26일)에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장치에 클릭, 드래그, 글씨 쓰기 등으로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손가락이 상부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된 형상으로, 끼워진 손가락이 헐거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고정부와, 상기 손가락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손가락 끝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터치스크린에 직접 접촉하는 펜촉을 고정하는 펜촉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3827호(공개일자 2011년04월20일)에는 연필심을 보호하는 연필캡과, 상기 연필캡 상부에 터치펜 팁이 고정되고, 상기 터치펜 팁이 장착된 연필캡 내부에 끼워지는 연필심 보호용 고무를 포함하는 터치펜이 장착된 연필캡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핸드폰케이스와 별개의 터치봉을 사용하거나 다른 대체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휴대하거나 작동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핸드폰케이스에 부착된 터치봉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터치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핸드폰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킬 수 있는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은 핸드폰케이스(2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폰케이스에 부착된 터치봉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터치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핸드폰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의 단면도
도 3은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이 부착된 핸드폰 사시도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은 핸드폰케이스(2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봉(10)의 재질은 도전체인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봉(10)은 내부는 비도전체인 합성수지제 재질로 된 본체(11)이며, 외부는 도전체인 금속으로 코팅한 코팅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의 단면도, 도 3은 본발명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이 부착된 핸드폰 사시도이다.
본발명의 터치봉(10)은 핸드폰케이스(20)에 탈부착되는 것이다. 곧 터치봉의 상부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핸드폰케이스에도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끈 등을 사용하여 터치봉을 핸드폰케이스에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터치봉(10)의 재질은 도전체인 금속재질로 구성한다. 곧 금속봉을 기계가공으로 절삭하여 볼펜모양의 손에 파지하기 쉬운 봉형상으로 만들며 터치스크린과 직접 닿는 터치봉의 전단부는 터치스크린을 손상하지 않게 둥글게 만든다.
한편, 상기 금속재질은 도전체로서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으나,휴대하기에 무겁고 또한 주머니에 소지할 때, 마찰이나 접촉으로 인해 터치스크린과 핸드폰케이스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그 재질을 탄성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치봉(10)은 내부는 비도전체인 합성수지제 재질로 된 본체(11)이며, 외부는 도전체인 금속으로 코팅한 코팅층(12)이 형성되게 된다.
합성수지는 PP, PE, PET, 고무, 아크릴 등을 사용하며, 특히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본체 외면에 코팅을 하되, 관용의 스패터 방법을 포함한 널리 알려진 진공증착방법 등을 사용하여, 금속층을 코팅한다. 상기 진공증착방법은 진공챔버 내에 코팅할 제품을 안치하고, 상기 제품과 코팅할 금속물질에 고 전압을 걸어서 코팅할 금속물질의 원자가 방출되어, 상기 코팅할 제품 표면에 코팅되는 관용의 방법에 의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한편, 본발명은 터치봉의 내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하고 터치봉 끝단에는 캡을 설치하여, 내부 공간에는 면봉, 소형볼펜 등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캡 내경과 터치봉 끝단 외주에는 암나사 나사부 및 수나사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호 나사체결된다. 캡은 터치봉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한다.
특히 터치봉 끝단 외주나 캡 내경에는 고무나 테프론 재질의 오링을 삽입성형함으로써, 기밀작용을 하게 하여, 여행시 샴푸 등을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캡이 터치봉과 결합하지 않는 외면에는 면, 펠트 등의 섬유원단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필요시 터치스크린 표면을 닦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폰케이스에 부착된 터치봉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며, 터치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핸드폰 터치스크린을 동작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터치봉 20 : 핸드폰케이스
11 : 본체 12 : 코팅층

Claims (3)

  1.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은 핸드폰케이스(20)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의 재질은 도전체인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봉(10)은 내부는 비도전체인 합성수지제 재질로 된 본체(11)이며, 외부는 도전체인 금속으로 코팅한 코팅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KR1020110093458A 2011-09-16 2011-09-16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KR10129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58A KR101299790B1 (ko) 2011-09-16 2011-09-16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58A KR101299790B1 (ko) 2011-09-16 2011-09-16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91A true KR20130029991A (ko) 2013-03-26
KR101299790B1 KR101299790B1 (ko) 2013-08-23

Family

ID=4817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58A KR101299790B1 (ko) 2011-09-16 2011-09-16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7517B2 (en) 2014-10-22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at changes the sensitivity of a touch input based on the touch input's capacit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74Y1 (ko) * 2003-10-13 2004-01-13 박관혁 스타일러스펜
KR100959263B1 (ko) * 2008-12-01 2010-05-26 주식회사 알.에프.텍 스타일러스펜
KR101604707B1 (ko) * 2009-01-16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087271B1 (ko) * 2010-12-29 2011-11-29 주식회사 피에스엠 휴대폰 거치대 겸용 터치 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7517B2 (en) 2014-10-22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at changes the sensitivity of a touch input based on the touch input's capaci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790B1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4484A1 (en) Stylus
JP3160211U (ja) 手袋
US10105983B2 (en) Marking pen
KR20100007569U (ko)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KR101299790B1 (ko)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US10216294B2 (en) Position indic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328682B1 (ko) 감응부가 구비된 도전성 터치펜
JP3168219U (ja) 手袋
JP2013045259A (ja) 入力ペン及びペン先
CN203366248U (zh) 一种电容触控笔的笔头结构
KR20110113801A (ko) 정전감압겸용의 터치펜
ITRM20130660A1 (it) Penna magnetica.
KR200467456Y1 (ko) 터치펜
KR200327899Y1 (ko)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KR20120015691A (ko) 정전 방식 터치 패널 입력용 장갑
KR20120044676A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조작용 장갑
KR200453606Y1 (ko) 핑거패드
JP3172060U (ja) 入力補助具
JP3167817U (ja) 手袋
WO2012002616A1 (ko)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JP2003011570A (ja) 筆記具
JP2006283263A (ja) ポルンガ
TW201437855A (zh) 觸控裝置
JP3193808U (ja) 根付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