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842A - 유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842A
KR20170028842A KR1020160109092A KR20160109092A KR20170028842A KR 20170028842 A KR20170028842 A KR 20170028842A KR 1020160109092 A KR1020160109092 A KR 1020160109092A KR 20160109092 A KR20160109092 A KR 20160109092A KR 20170028842 A KR20170028842 A KR 2017002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alve body
needle valve
flow pat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436B1 (ko
Inventor
마사히로 후루이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유량 제어 밸브는, 표시 링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 부재, 표시 링의 축방향 단부에 설치된 기어부, 회전 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맞물림부, 밸브 하우징과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된 전환 기어부, 밸브 하우징과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됨과 함께 전환 기어부에 맞닿음 가능한 전환부를 구비한다. 전환 기어부와 전환부의 맞닿음에 의해서, 회전 부재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맞물림부와 기어부가 맞물린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FLOW RAT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니들 밸브체를 밸브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유로의 개도(開度)를 조절해서, 유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량 제어 밸브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350941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드 컨트롤러가 알려져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보 기재의 스피드 컨트롤러(100)의 밸브 하우징(101)에는, 나사 구멍(101a)이 형성됨과 함께, 나사 구멍(101a)에는 니들 밸브체(102)의 나사부(102a)가 스크류잉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1)에는, 니들 밸브체(102)와 일체 회전하는 조작 부재(10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103)에는, 니들 밸브체(102)의 축부(102b)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103a)가 형성됨과 함께, 유지부(103a)의 외면에는, 조작 부재(103)와 일체 회전하는 톱니부(103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1)에는, 톱니부(103b)에 맞물림에 의해 연결된 치차(齒車)(10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1)에는, 치차(104)에 맞물림에 의해 연결된 표시 링(10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표시 링(105)은 원환(圓環) 형상임과 함께 치차(10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링(105)의 중심축선이 축부(102b)의 중심축선과 일치해 있다. 표시 링(105)의 내주면에는 치차(104)가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는 기어(105a)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링(105)의 외주면에는, 니들 밸브체(102)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1 눈금(106)이 등간격을 두고 인자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1)에는, 제1 눈금(106)을 밸브 하우징(101) 외에 면하게 하는 표시창(101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103)의 선단면에는, 니들 밸브체(102)의 1회전 내에서의 회전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 눈금(107)이 조작 부재(103)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인자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스피드 컨트롤러(100)에 있어서, 조작 부재(103)를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103)의 회전량에 따라서 니들 밸브체(102)의 나사부(102a)가 일정량씩 나사 구멍(101a)에 대해서 나사 전진 또는 나사 후퇴한다. 그러면, 조작 부재(103)의 회전에 따라서 유로(110)의 개도가 조절되어, 유로(110)의 유량이 제어된다.
조작 부재(103)가 1회전하면, 톱니부(103b)에 의해서 치차(104)가 두 칸만큼 회전함과 함께, 치차(104)의 회전에 수반하여, 표시 링(105)이 두 칸만큼 회전한다. 그러면, 표시창(101b)에는, 조작 부재(103)가 1회전 하기 전의 제1 눈금(106)의 값에 1을 가산한 값이 표시되어, 조작 부재(103)의 회전수가 눈으로 보기 가능해진다. 그리고, 표시창(101b)에 표시된 제1 눈금(106)을 눈으로 봄으로써, 조작 부재(103)의 회전수가 표시됨과 함께, 이 회전수에 의거하여 유로(110)의 개도가 계수화된다.
또한, 조작 부재(103)를 1회전 내로 회전시켰을 때는, 제1 눈금(106)의 값은 변경되지 않지만, 그 1회전 내에서의 회전량은 제2 눈금(107)에 의해서 눈으로 보기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2 눈금(107)을 눈으로 봄으로써, 조작 부재(103)의 1회전 내에서의 회전량이 표시됨과 함께, 이 회전량에 의거하여 유로(110)의 개도가 계수화된다. 따라서, 제1 눈금(106) 및 제2 눈금(107)에 의해, 니들 밸브체(102)의 회전수가 정확하게 계수화되어, 유로(110)의 개도가 정확하게 파악 가능해진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5350941호 공보의 스피드 컨트롤러(100)에 있어서, 치차(104)의 회전축(104a)은, 니들 밸브체(102)의 축부(102b)에 대해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치차(104)는, 그 회전축(104a)의 중심축선이, 예를 들면, 표시 링(105)과 같이, 축부(102b)의 중심축선과 일치해 있지 않다. 그리고, 유지부(103a)의 회전 운동은, 톱니부(103b)를 통해 치차(104)에 전달됨과 함께, 치차(104)의 회전 운동이 기어(105a)를 통해 표시 링(105)에 전달된다. 따라서, 스피드 컨트롤러(100)에서는, 유지부(103a)로부터 표시 링(105)으로의 회전 운동의 전달은, 니들 밸브체(102)의 축부(102b)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순차 전달되어 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스피드 컨트롤러(100)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체(102)의 축부(102b)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유량 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니들 밸브체와, 상기 니들 밸브체와 일체 회전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니들 밸브체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표시부를 상기 밸브 하우징 외로 면하게 하는 표시창을 갖고,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니들 밸브체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해서, 상기 유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표시 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니들 밸브체와 일체 회전하는 통 형상의 회전 부재와, 상기 표시 링에 있어서의 축방향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기어부와, 상기 회전 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기어부에 대해서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와,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전환 기어부와,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전환 기어부에 맞닿음 가능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기어부와 상기 전환부의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기어부가 맞물린다.
도 1a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량 제어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유량 제어 밸브를 반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유량 제어 밸브의 종단면도.
도 3은 유량 제어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유량 제어 밸브의 일부를 파단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돌출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6은 유량 제어 밸브의 일부를 파단한 단면도.
도 7은 유량 제어 밸브의 평단면도.
도 8은 유량 제어 밸브를 분해한 단면 사시도.
도 9a∼도 9d는 기어 커버 및 표시 링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a∼도 10c는 기어 커버 및 표시 링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량 제어 밸브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기어의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유량 제어 밸브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유량 제어 밸브의 단면 사시도.
이하, 유량 제어 밸브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도 10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제어 밸브(10)의 밸브 하우징(11)은, 원통 형상의 기어 커버(12)와, 원통 형상의 유로 형성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 커버(12)는 수지제이다. 유로 형성 하우징(13)은 금속제이다.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은, 기어 커버(12) 및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축방향이 일치한 상태에서 일체로 어셈블리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12)측에는, 기어 커버(12) 내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통(13f)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있어서의 삽입통(13f)과는 반대측에는, 유체로서의 에어가 도입되는 유로(13a)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3a)는,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12)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에 개구함과 함께,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내부에는, 유로(13a)에 연통하는 밸브실(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 형성 하우징(13)에는, 유로(13a)를 통과한 에어가 도출되는 도출 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도출 구멍(13c)의 일단은,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외주면을 향해서 개구함과 함께 타단은 밸브실(13b)에 연통하고 있다.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외주면에는, 커플링(14)이 부착되어 있다. 커플링(14)에는, 도출 구멍(13c)의 일단에 연통하는 통로(1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13a)로부터 공급된 에어는, 밸브실(13b), 도출 구멍(13c) 및 통로(14a)를 통해 유체압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된다.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12)측에는, 밸브실(13b)에 있어서의 유로(13a)와는 반대측에 연통하는 수용 구멍(13d)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13d)은, 밸브실(13b)보다도 확경(擴徑)되어 있다. 수용 구멍(13d) 내에는, 너트(15)가 수용되어 있다. 너트(15)에는 암나사 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1) 내에는, 금속제의 니들 밸브체(20)가 수용되어 있다.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이 연장되는 방향(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의 제1 단부는, 원뿔 형상의 밸브부(20a)이다. 밸브부(20a)는, 밸브실(13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부(20a)의 외주면에는 원환 형상의 플랜지(20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0b)의 외주면에는, 원환 형상의 시일(seal) 부재(20s)가 장착되어 있다. 밸브실(13b)에 있어서의 유로(13a)측과 밸브실(13b)에 있어서의 수용 구멍(13d)측 사이는, 시일 부재(20s)에 의해서 시일되어 있다.
니들 밸브체(20)는, 원기둥 형상의 나사부(20c)를 갖는다. 나사부(20c)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0d)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20c)의 수나사(20d)는 암나사 구멍(15a)에 스크류잉되어 있다. 또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의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단부는, 나사부(20c)로부터 연설(延設)된 기둥 형상의 축부(20e)이다. 축부(20e)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20f)를 갖는다.
기어 커버(12) 내에는, 회전 부재로서의 원통 형상의 슬라이딩 기어(21)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딩 기어(21)는, 슬라이딩 기어(21)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과 일치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기어(21)에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21a)를 갖는 삽입 통과 구멍(21h)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21h)은, 슬라이딩 기어(21)의 중심축선이 연장되는 방향, 즉 슬라이딩 기어(2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니들 밸브체(20)의 축부(20e)는, 삽입 통과 구멍(21h)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축부(20e)의 각 평면부(20f)는, 삽입 통과 구멍(21h)의 각 평면부(21a)에 각각 대면해 있다.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 하우징(13)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수지제의 조작 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22)는, 덮개를 갖는 원통 형상의 덮개부(22a)와, 덮개부(22a)의 내면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 통과부(22b)를 구비한다. 삽입 통과부(22b)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22c)를 갖는다.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 하우징(13)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22)의 삽입 통과부(22b)는, 구멍(12a)을 통해 기어 커버(12) 내에 삽입 통과되고, 슬라이딩 기어(21)의 삽입 통과 구멍(21h)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22b)의 각 평면부(22c)는, 삽입 통과 구멍(21h)의 각 평면부(21a)에 각각 대면해 있다. 삽입 통과 구멍(21h) 내에 있어서, 삽입 통과부(22b)와 축부(20e)는,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해 있다.
조작 부재(22)를 회전 조작하면, 슬라이딩 기어(21)가 조작 부재(22)와 일체 회전함과 함께,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에 수반해서 니들 밸브체(20)도 슬라이딩 기어(21)와 일체 회전한다. 즉, 조작 부재(22)는, 슬라이딩 기어(21)를 통해 니들 밸브체(20)와 일체 회전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기어(21)는, 조작 부재(22) 및 니들 밸브체(20)와 일체 회전한다.
니들 밸브체(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부(20c)가 암나사 구멍(15a)에 대해서 나사 후퇴해서, 니들 밸브체(20)가, 밸브 하우징(11)의 축방향을 따라 조작 부재(22)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부(20a)가 유로(13a)에 대해서 이간해서, 유로(13a)로부터 밸브실(13b)에 흘러 들어가는 에어의 유량이 증대하여, 유로(13a)로부터 밸브실(13b), 도출 구멍(13c) 및 통로(14a)를 통해 유체압 기기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증대한다.
이것에 대해서, 니들 밸브체(20)가 정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부(20c)가 암나사 구멍(15a)에 대해서 나사 전진해서, 니들 밸브체(20)가, 밸브 하우징(11)의 축방향을 따라 조작 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부(20a)가 유로(13a)에 대해서 접근해서, 유로(13a)로부터 밸브실(13b)에 흘러 들어가는 에어의 유량이 감소하여, 유로(13a)로부터 밸브실(13b), 도출 구멍(13c) 및 통로(14a)를 통해 유체압 기기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감소한다.
너트(15)와 슬라이딩 기어(21) 사이에는 제1 가압 스프링(24)이 개재되어 있다. 제1 가압 스프링(24)은, 슬라이딩 기어(21)를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구멍(12a) 주위의 내단면을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기어 커버(12)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기어(21)의 주위에는, 니들 밸브체(20)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표시부로서의 제1 눈금(30a) 및 제2 눈금(30b)을 갖는 원통 형상의 표시 링(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링(30)의 외주면에는, 숫자 「0」∼「13」이, 제1 눈금(30a)으로서, 표시 링(3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해 인자되어 있다. 또한, 표시 링(30)의 외주면에 있어서, 제1 눈금(30a)에 대해서 표시 링(30)의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는, 숫자 「0」∼「13」이, 제2 눈금(30b)으로서, 표시 링(3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해 인자되어 있다. 표시 링(30)은, 표시 링(30)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과 일치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링(30)에 있어서의 축방향 단부에는, 원환 형상의 기어부(31)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부(31)는, 표시 링(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이 연속되는 삼각파 형상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에는, 제1 눈금(30a)을 기어 커버(12) 외에 면하게 하는 표시창으로서의 제1 표시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표시창(16)은, 대략 육각 형상이다. 제1 표시창(16)의 내주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부위에는, 제1 표시창(16)의 안쪽으로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지표부(16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에는, 제2 눈금(30b)을 기어 커버(12) 외에 면하게 하는 표시창으로서의 제2 표시창(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표시창(17)은, 사각 형상이다. 따라서,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은 형상이 서로 다르다.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은, 기어 커버(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 떨어진 위치이며,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기어 커버(12)의 내면에 있어서의 표시 링(30)의 기어부(31)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기어부(31)와 걸어 맞춤 가능한 원환 형상의 걸어 맞춤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부(12b)는, 기어 커버(12)의 내면에 있어서의 기어부(31)와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 기어 커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이 연속되는 삼각파 형상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링(30)과 삽입통(13f) 사이에는 제2 가압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있다. 제2 가압 스프링(25)은, 표시 링(30)을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서 표시 링(30)이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가압되어, 기어부(31)와 걸어 맞춤부(12b)가 걸어 맞춘 상태에서는, 표시 링(30)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슬라이딩 기어(21)의 외주면에는, 2개의 돌출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40)는, 슬라이딩 기어(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돌출부(40)는, 기어 커버(12)와 슬라이딩 기어(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돌출부(40)는, 슬라이딩 기어(21)의 외주면에 있어서, 슬라이딩 기어(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40)는,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40)는,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표시 링(30)보다도 조작 부재(22)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는, 맞물림부(41) 및 전환부(42)를 갖는다. 맞물림부(41) 및 전환부(42)는, 슬라이딩 기어(21)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맞물림부(41)는, 기어부(31)에 대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맞물림부(41)는, 전환부(42)로부터 표시 링(30)의 기어부(31)를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면(41a)을 갖는다. 전환부(42)는, 맞물림부(41)로부터 조작 부재(22)를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경사면(42a)을 갖는다. 제1 경사면(41a)과 제2 경사면(42a)은 연속되어 있다. 양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는 같은 길이이다. 양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는 같은 길이이다.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는,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가, 기어 커버(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동작 규제부(51)는, 기어 커버(12)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는,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는,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표시 링(30)보다도 조작 부재(22)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에 있어서의 표시 링(30)과 대향하는 부위는, 걸어 맞춤부(12b)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쪽의 동작 규제부(51)는, 맞물림부(41)의 한쪽의 제1 경사면(41a)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접촉면(51a)을 갖는다. 다른 쪽의 동작 규제부(51)는, 맞물림부(41)의 다른 쪽의 제1 경사면(41a)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접촉면(51a)을 갖는다.
또한, 기어 커버(12)의 내주면에는,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환 기어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기어부(52)는, 기어 커버(12)와 슬라이딩 기어(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환 기어부(52)는,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보다도 조작 부재(22)측이며, 또한 기어 커버(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동작 규제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환 기어부(52)에 있어서의 표시 링(30)과 대향하는 단부에는, 표시 링(30)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테이퍼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테이퍼면(52a)은, 전환부(42)의 한쪽의 제2 경사면(42a)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함과 함께, 다른 쪽의 테이퍼면(52a)은, 전환부(42)의 다른 쪽의 제2 경사면(42a)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다. 전환 기어부(52) 및 각 돌출부(40)는,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은, 기어 커버(12)를 삽입통(13f)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기어 커버(12)와 삽입통(13f)의 빠짐 방지를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70)에 의해서 서로 빠짐 방지가 규제된 상태에서 어셈블리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7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부(70a)와, 삽입부(70a)의 단부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70b)를 구비한다. 기어 커버(12)에는, 각 삽입부(70a)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12)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삽입홈(12c)을 연결함과 함께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홈(12d)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2d)에는, 빠짐 방지 부재(70)의 연결부(70b)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12)의 내주면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홈(12c) 및 걸림홈(12d)보다도 유로 형성 하우징(13)측에는, 널링 가공이 실시된 널링부(12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 하우징(13)측의 단부에는, 기어 커버(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편(12k)이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편(12k)은, 기어 커버(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 탄성편(12k)은, 원호 형상이다. 각 탄성편(12k)에 있어서의 유로 형성 하우징(13)측의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편(12k)의 주위에는, 삽입통(13f)에 대한 기어 커버(12)의 회전을 규제하는 링 형상의 로크 부재(71)가 장착되어 있다. 로크 부재(71)의 내주면에는, 유로 형성 하우징(13)을 향함에 따라서 테이퍼 형상으로 확경(擴俓)해 가는 확경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확경부(71a)는, 로크 부재(71)를 유로 형성 하우징(13)을 향해서 이동시키면, 각 탄성편(12k)의 플랜지부(12f)를 기어 커버(12)의 안쪽을 향해서 압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통(13f)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삽입부(70a)가 걸어 맞춤 가능한 환상 홈(13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통(13f)에 있어서의 환상 홈(13g)보다도 기어 커버(12)와는 반대측의 외주면에는, 널링 가공이 실시된 널링부(13e)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커버(12)의 널링부(12e)와 삽입통(13f)의 널링부(13e)는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통(13f)을 기어 커버(12) 내에 삽입하고, 각 삽입부(70a)가 각 삽입홈(12c)에 삽입됨과 함께 삽입통(13f)의 환상 홈(13g)에 걸어 맞춤으로써,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이 서로 빠짐 방지되어 있다.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이 빠짐 방지 부재(70)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1)를 유로 형성 하우징(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기어 커버(12)의 널링부(12e)와 삽입통(13f)의 널링부(13e)는 서로 맞물려 있지 않아, 삽입통(13f)에 대한 기어 커버(12)의 회전이 허용된다.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이 빠짐 방지 부재(70)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1)를 유로 형성 하우징(13)을 향해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확경부(71a)가, 각 탄성편(12k)의 플랜지부(12f)를 기어 커버(12)의 안쪽을 향해서 압압하여, 각 탄성편(12k)이 기어 커버(12)의 안쪽으로 휜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12)의 널링부(12e)와 삽입통(13f)의 널링부(13e)가 서로 맞물려, 삽입통(13f)에 대한 기어 커버(12)의 회전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되면, 슬라이딩 기어(21)가 조작 부재(22)와 일체 회전하여, 각 돌출부(40)가,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한쪽의 돌출부(40)가 전환 기어부(52)에 맞닿는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부(42)의 한쪽의 제2 경사면(42a)이, 전환 기어부(52)의 한쪽의 테이퍼면(52a)에 맞닿는다. 즉, 전환부(42)의 우측의 제2 경사면(42a)이, 전환 기어부(52)의 좌측의 테이퍼면(52a)에 맞닿는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환부(42)의 우측의 제2 경사면(42a)이 좌측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기어(21)가, 좌측의 테이퍼면(52a)에 안내되어,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너트(15)를 향해서 직선 운동한다. 전환부(42)의 우측의 제2 경사면(42a)이 좌측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며, 또한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하고 있을 때,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방향으로 부하 토크가 발생한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너트(15)를 향해서 직선 운동하면, 맞물림부(41)가 기어부(31)와 맞물린다. 이때,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는,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보다도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가,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와 같은, 또는 짧은 경우에 비하면, 우측의 제2 경사면(42a)과 좌측의 테이퍼면(52a)의 슬라이딩 접촉이 유지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너트(15)를 향해서 더 직선 운동하면, 맞물림부(41)가, 기어부(31)와 맞물린 상태에서 표시 링(30)을 압압한다. 그러면, 표시 링(30)은,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기어부(31)가 걸어 맞춤부(12b)에 대해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31)와 걸어 맞춤부(12b)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이 맞물림부(41) 및 기어부(31)를 통해 표시 링(30)에 전달되어, 표시 링(30)이 회전 운동한다. 즉, 슬라이딩 기어(21)로부터 표시 링(30)으로의 회전 운동의 전달은,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따른 방향에서의 맞물림부(41)와 기어부(31)의 연결에 의해서 전달된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해서, 돌출부(40)가 전환 기어부(52)의 정점을 넘으면, 맞물림부(41)의 한쪽의 제1 경사면(41a)이, 한쪽의 동작 규제부(51)의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맞닿는다. 즉,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41)의 우측의 제1 경사면(41a)이,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맞닿는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가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튕겨지도록 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구멍(12a) 주위의 내단면을 향해서 단숨에 압상하는 바와 같이 직선 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맞물림부(41)의 우측의 제1 경사면(41a)이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이동한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기어(21)는,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환부(42)의 다른 쪽의 제2 경사면(42a)이 다른 쪽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즉, 전환부(42)의 좌측의 제2 경사면(42a)이 우측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표시 링(30)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직선 운동한다.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링(30)이,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직선 운동하여, 기어부(31)가 걸어 맞춤부(12b)에 걸어 맞춰지면, 표시 링(30)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표시창(16) 내에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기 전의 제1 눈금(30a)의 값에서 0.5 가산된 값에 상당하는 부위가, 각 지표부(16a)에 의해서 지시된다. 그리고, 각 지표부(16a)에 의해서 지시된 제1 눈금(30a)의 부위를 눈으로 봄으로써, 조작 부재(22)의 회전량이 표시됨과 함께, 이 회전량에 의거한 유로(13a)의 개도가 계수화된다. 또한, 제2 표시창(17)에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기 전의 제2 눈금(30b)의 값에서 0.5 가산된 값에 상당하는 부위가, 제2 표시창(17) 내의 중앙부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2 표시창(17) 내의 중앙부에 표시된 제2 눈금(30b)의 부위를 눈으로 봄으로써, 조작 부재(22)의 회전량이 표시됨과 함께, 이 회전량에 의거한 유로(13a)의 개도가 계수화된다. 또,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에는 같은 값에 상당하는 부위의 제1 눈금(30a) 및 제2 눈금(30b)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22)가 정방향으로 더 반회전하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다른 쪽의 돌출부(40)가 전환 기어부(52)에 맞닿아, 도 9a∼도 9d 및 도 10a∼도 10c에 따라서 설명한 동작이 다시 행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2)의 1회전 내에서의 표시 링(30)의 회전 동작 횟수가 2회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22)가 정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환부(42)의 다른 쪽의 제2 경사면(42a)이, 전환 기어부(52)의 다른 쪽의 테이퍼면(52a)에 맞닿는다. 즉, 전환부(42)의 좌측의 제2 경사면(42a)이, 전환 기어부(52)의 우측의 테이퍼면(52a)에 맞닿는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환부(42)의 좌측의 제2 경사면(42a)이 우측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기어(21)가, 우측의 테이퍼면(52a)에 안내되어,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너트(15)를 향해서 직선 운동한다.
그리고, 맞물림부(41)가 기어부(31)와 맞물려서, 기어부(31)와 걸어 맞춤부(12b)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이 맞물림부(41) 및 기어부(31)를 통해 표시 링(30)에 전달되어, 표시 링(30)이 회전 운동한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하면, 맞물림부(41)의 다른 쪽의 제1 경사면(41a)이, 다른 쪽의 동작 규제부(51)의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맞닿는다. 즉, 맞물림부(41)의 좌측의 제1 경사면(41a)이,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맞닿는다. 그리고,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맞물림부(41)의 좌측의 제1 경사면(41a)이 제2 동작 규제부(51)의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기어(21)가, 슬라이딩 접촉면(51a)에 안내되어,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구멍(12a) 주위의 내단면을 향해서 직선 운동한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는,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환부(42)의 제2 경사면(42a)이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표시 링(30)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직선 운동한다. 표시 링(30)이, 제2 가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서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직선 운동하여, 기어부(31)가 걸어 맞춤부(12b)에 걸어 맞춰지면, 표시 링(30)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표시창(16) 내에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기 전의 제1 눈금(30a)의 값에서 0.5 감산된 값에 상당하는 부위가, 각 지표부(16a)에 의해서 지시된다. 또한, 제2 표시창(17)에는, 조작 부재(22)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기 전의 제2 눈금(30b)의 값에서 0.5 감산된 값에 상당하는 부위가, 제2 표시창(17) 내의 중앙부에 표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표시 링(30)에 있어서의 축방향 단부에 기어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의 외면에, 기어부(31)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커버(12)와 슬라이딩 기어(21) 사이에 전환 기어부(52) 및 전환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기어부(52)와 전환부(42)의 맞닿음에 의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따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맞물림부(41)와 기어부(31)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하면,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운동이 맞물림부(41) 및 기어부(31)를 통해 표시 링(30)에 전달된다. 즉, 슬라이딩 기어(21)로부터 표시 링(30)으로의 회전 운동의 전달은,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따른 방향에서의 맞물림부(41)와 기어부(31)의 연결에 의해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슬라이딩 기어(21)로부터 표시 링(30)으로의 회전 운동의 전달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성에 비하면, 유량 제어 밸브(10)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2) 전환 기어부(52) 및 전환부(42)는,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을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전환 기어부(52) 및 전환부(42)가,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면, 유량 제어 밸브(10)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3) 슬라이딩 기어(21)는, 슬라이딩 기어(21)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과 일치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슬라이딩 기어(21)가, 슬라이딩 기어(21)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유량 제어 밸브(10)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4) 표시 링(30)은, 표시 링(30)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과 일치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표시 링(30)이, 표시 링(30)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유량 제어 밸브(10)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5) 전환부(42)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조작 부재(22)의 1회전 내에서의 표시 링(30)의 회전 동작 횟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유로(13a)의 개도를 보다 정확하게 계수화할 수 있다.
(6) 기어 커버(12)는, 기어부(31)와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부(12b)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기어부(31)가 걸어 맞춤부(12b)와 걸어 맞춤으로써, 조작 부재(22)를 회전 조작하고 있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표시 링(30)이 회전해버리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7) 유량 제어 밸브(10)는, 기어 커버(12)를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기어 커버(12)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의 빠짐 방지를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70)와,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대한 기어 커버(12)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부재(71)를 구비했다. 이것에 의하면, 기어 커버(12)가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대해서 빠짐 방지 부재(70)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 상태에서, 기어 커버(12)를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의 위치를 변경한 후, 로크 부재(71)에 의해서, 유로 형성 하우징(13)에 대한 기어 커버(12)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8)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하면, 제1 표시창(16) 또는 제2 표시창(17)을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 유량 제어 밸브(10)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어셈블리성이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9)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는,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가,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와 같은, 또는 짧은 경우에 비하면, 각 제2 경사면(42a)과 각 테이퍼면(52a)의 슬라이딩 접촉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하면서도,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하기 쉬워진다.
(10) 전환부(42)의 한쪽의 제2 경사면(42a)이 한쪽의 테이퍼면(52a)에 슬라이딩 접촉하며, 또한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하고 있을 때, 슬라이딩 기어(21)의 회전 방향에는 부하 토크가 발생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기어(21)가 회전 운동해서, 돌출부(40)가 전환 기어부(52)의 정점을 넘으면, 슬라이딩 기어(21)가 제1 가압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서 튕겨지도록 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방향으로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구멍(12a) 주위의 내단면을 향해서 단숨에 압상하는 바와 같이 직선 운동한다. 조작 부재(22)를 회전 조작하고 있는 조작자는, 이 슬라이딩 기어(21)가 단숨에 압상하는 바와 같이 직선 운동하는 감각을 감지함으로써, 표시 링(30)의 회전이 행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2)의 삽입 통과부(22b)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22d)를 갖는 삽입 구멍(22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슬라이딩 기어(21)는, 조작 부재(22)의 삽입 통과부(22b)가 삽입되는 둥근 구멍 형상의 제1 삽입부(21b)와, 제1 삽입부(21b)에 연속됨과 함께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21c)를 갖는 제2 삽입부(21d)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니들 밸브체(20)의 축부(20e)가 제2 삽입부(21d)를 관통해서, 삽입 구멍(22h)에 삽입되어 있고, 축부(20e)의 각 평면부(20f)가, 제2 삽입부(21d)의 각 평면부(21c) 및 삽입 구멍(22h)의 각 평면부(22d)에 각각 대면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조작 부재(22)를 회전 조작하면, 니들 밸브체(20)가 조작 부재(22)와 일체 회전함과 함께, 니들 밸브체(20)의 회전에 수반해서 슬라이딩 기어(21)도 니들 밸브체(20)와 일체 회전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링(30)의 내측에, 슬라이딩 기어(21)를 기어 커버(12)에 있어서의 구멍(12a) 주위의 내단면을 향해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1 가압 스프링(24)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15)와 표시 링(30) 사이에, 표시 링(30)을 걸어 맞춤부(12b)를 향해서 가압하는 제2 가압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있어도 되고, 제2 가압 스프링(25)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41)와 전환부(42)가 서로 독립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맞물림부(41)와 전환부(42)가, 슬라이딩 기어(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90도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환 기어부(52) 및 전환부(42)가,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딩 기어(21)가, 슬라이딩 기어(21)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링(30)이, 표시 링(30)의 중심축선이 니들 밸브체(20)의 중심축선(L)에 대해서 오프셋되도록 기어 커버(12)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부(40)의 수는, 1개여도 되며,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경사면(42a)의 길이(L2)가, 제1 경사면(41a)의 길이(L1)와 같아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의 형상이 같아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 커버(12)의 제1 표시창(16)을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 커버(12)의 제2 표시창(17)을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 커버(12)에 걸어 맞춤부(12b)를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22)가 반회전하면, 조작 부재(22)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기 전의 제1 눈금(30a) 및 제2 눈금(30b)의 값에서 1 가산 또는 감산한 값이, 제1 표시창(16) 및 제2 표시창(17)에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눈금(30a) 및 제2 눈금(30b)으로서, 알파벳이나 기호 등을 이용해도 된다. 요컨대, 조작 부재(22)의 회전량에 의거한 유로(13a)의 개도를 계수화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70)를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1)를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니들 밸브체(20)의 축부(20e)는, 조작 부재(22) 및 슬라이딩 기어(21)를 축부(20e)에 대해서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이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평면부를 갖는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링(30)의 기어부(31)를 직경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 기어부(31)의 외주측이 기어 커버(12)의 걸어 맞춤부(12b)와 맞물리고, 기어부(31)의 내주측이 슬라이딩 기어(21)의 맞물림부(41)와 맞물리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링(30)의 기어부(31)의 기어 형상이, 기어 커버(12)의 걸어 맞춤부(12b) 및 슬라이딩 기어(21)의 맞물림부(41)의 형상과 같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로서,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10)여도 된다.

Claims (7)

  1.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유로의 개도(開度)를 조절하는 니들 밸브체와,
    상기 니들 밸브체와 일체 회전하는 조작 부재와,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니들 밸브체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링과,
    상기 밸브 하우징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표시부를 상기 밸브 하우징 외(外)로 면하게 하는 표시창을 갖고,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니들 밸브체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해서, 상기 유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로서,
    상기 표시 링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니들 밸브체와 일체 회전하는 통 형상의 회전 부재와,
    상기 표시 링에 있어서의 축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부와,
    상기 회전 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기어부에 대해서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와,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전환 기어부와,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전환 기어부에 맞닿음 가능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기어부와 상기 전환부의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기어부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어부 및 상기 전환부는,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동일한 원 상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중심축선이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링은, 상기 표시 링의 중심축선이 상기 니들 밸브체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기어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부를 갖고 있는 유량 제어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표시창이 형성된 기어 커버와, 상기 유로가 형성된 유로 형성 하우징을 갖고,
    상기 기어 커버를 상기 유로 형성 하우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 커버와 상기 유로 형성 하우징의 빠짐 방지를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와,
    상기 유로 형성 하우징에 대한 상기 기어 커버의 회전을 규제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한 유량 제어 밸브.
KR1020160109092A 2015-09-04 2016-08-26 유량 제어 밸브 KR101835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4834A JP6564654B2 (ja) 2015-09-04 2015-09-04 流量制御弁
JPJP-P-2015-174834 2015-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42A true KR20170028842A (ko) 2017-03-14
KR101835436B1 KR101835436B1 (ko) 2018-03-08

Family

ID=5805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092A KR101835436B1 (ko) 2015-09-04 2016-08-26 유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64654B2 (ko)
KR (1) KR101835436B1 (ko)
CN (1) CN106499871B (ko)
DE (1) DE10201611584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3543B (zh) * 2018-05-28 2024-03-08 宜昌长机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气动调速阀的机械夹爪和顶升一体化气动控制系统及方法
DE102020208819B4 (de) 2020-07-15 2022-02-24 Festo Se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Anzeigeeinrichtung
JP7409591B2 (ja) 2020-07-30 2024-01-09 Smc株式会社 流量制御弁
JP7062236B1 (ja) * 2021-09-24 2022-05-06 峰興商事株式会社 水栓金具用外部付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0941A (en) 1976-10-20 1978-05-09 Toshiba Corp Quantization device
US5178187A (en) * 1992-03-20 1993-01-12 Bray International, Inc. Valve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JP4178395B2 (ja) * 2003-06-02 2008-11-12 Smc株式会社 ゲージハンドル形減圧弁
DE102006047879A1 (de) 2006-10-10 2008-04-30 Danfoss A/S Durchflußeinstellventil
CN101382204B (zh) * 2008-09-19 2011-05-11 王永进 一种光电检测恒温控制阀
JP5350941B2 (ja) 2009-08-20 2013-11-27 Ckd株式会社 流量制御弁
CN201531484U (zh) * 2009-11-05 2010-07-21 浙江正洲泵阀制造有限公司 齿条式部分回转阀门液压传动装置
RU2599455C2 (ru) 2012-06-14 2016-10-10 СМСи КАБУСИКИ КАИСА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CN103574149A (zh) * 2012-07-25 2014-02-12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恒温阀温度调节器
CN103925405A (zh) * 2014-05-07 2014-07-16 西安交通大学 一种伺服电机直驱滚珠丝杠的活塞式气动比例减压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99871A (zh) 2017-03-15
CN106499871B (zh) 2018-09-14
JP6564654B2 (ja) 2019-08-21
JP2017048902A (ja) 2017-03-09
KR101835436B1 (ko) 2018-03-08
DE102016115842B4 (de) 2022-07-28
DE102016115842A1 (de)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436B1 (ko) 유량 제어 밸브
US8657062B2 (en) Steering system
WO2016055011A1 (zh) 档位操纵机构
JP2009123536A (ja) スイッチ装置
RU2117850C1 (ru) Вставна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напор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WO2016084657A1 (ja) シリンダ装置
US20040200309A1 (en) Accelerator device
US11021057B2 (en) Transfer case with range and mode actuator having cam follower mechanism to overcome blocked shift events and sensor configuration permitting detection of fork positions
RU2693390C2 (ru) Сдвиг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уфты
US20190176300A1 (en) Hand tool assembly
EP1143231A2 (en)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WO2009010210A8 (de) Faseroptischer duplexstecker
US5152498A (en) Valve handle with overload protection
US8851248B2 (en) Rotary damper
KR101643768B1 (ko) 도어 회전장치
TWI659806B (zh) 扭力套筒結構
JP4400170B2 (ja) 移動体操縦装置
JP2022162281A (ja) 流量制御弁
JP4576225B2 (ja) クラッチのショックトルク防止用バルブ装置
JP6632932B2 (ja) 流量制御弁
WO2022249264A1 (ja) タイヤバルブ
WO2016189790A1 (ja) 接合体、及び、その接合体を用いるアクセル装置
JPS58194664A (ja) 操舵力検出装置
US10128065B2 (en)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and lever switch adopting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US20210239153A1 (en)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