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376A -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376A
KR20170028376A KR1020177002403A KR20177002403A KR20170028376A KR 20170028376 A KR20170028376 A KR 20170028376A KR 1020177002403 A KR1020177002403 A KR 1020177002403A KR 20177002403 A KR20177002403 A KR 20177002403A KR 20170028376 A KR20170028376 A KR 2017002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uction
elastic member
base member
powder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892B1 (ko
Inventor
발레리오 탐피에리
로렌조 주케리
에밀리아노 일란디
알리체 캄파니니
이레느 파스쿠알리
패트릭 제르아르드 린나네
니콜라스 리 하우존
다비드 개일
조안느 개라드
Original Assignee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filed Critical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Priority to KR102021703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6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2Desic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Abstract

분말 흡입기(1)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을 위한 플랩(20)은 베이스 부재(29),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커트 구조(24), 및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탄성 부재(40')에 연결되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DRY POWDER INHALER AND INHALATION ACTUATED MECHANISM THEREOF}
본 발명은 분말 흡입기(power inhaler)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flap)과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분말흡입기는 흡입에 의한 분말화 약물(powdered medicament preparation)의 분배(dispensing)용 장치이다. 흡입기로부터 흡입되는 분말화 약물의 조제투여 방법은 통상 알려져 있다.
본 특허 출원의 출원인의 특허 EP 1 386 630 B1는 촉진제가스(propellant gas) 없이 약물용기(medicament container)로부터 도스(doses)를 분배하기 위한 계측 부재(metering member)가 장착된 휴대용 다중-도스 장치(portable multiple-dose device)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굵은 캐리어(coarser carrier)에서 미세 분말화 약물의 입자들의 더 효과적인 분말화(puverization)/응집해제(deagglomeration)를 이루기 위한 구심력(centripetal force)에 기반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또는 환자의 폐로 상기 약물의 침투가 향상되고, 분말화 약물이상부 호흡기도(respiratory passages)에 붙는 것을 줄여주어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완화시켜 준다. EP 1 386 630 B1의 장치는 보호 부재(protective member), 바람직하게는 계측 부재(metering memeber)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가는 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적어도 계측 부재의 도징 리세스(dosing recess)를 덮어 상기 도징 리세스에 담긴 분말화 약물이 분말흡입기의 흡입 통로(inhalation channel)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닫힘 위치(closed position)와 상기 보호 부재가 도징 리세스를 덮지 않아 상기 도징 리세스가 흡입 통로에 노출되어 도징 리세스에 담긴 분말화 약물의 도스의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open position)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계측된 분말화 약물의 도스가 도징 리세스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분말화 약물의 의도치 않은 손실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과정에서 자동으로 후퇴되어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분말흡입기는 다양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심지어 사용자 또는 환자가 누워 있을 때에도 뒤집어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으로 보호 부재를 닫힘 위치에서 후퇴시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EP 1 386 630 B1의 분말흡입기는 보호 부재에 결합되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inhalation actuated mechanism)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은 각 사용자의 흡입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열림 위치로 보호 부재를 이동시킨다.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은 보호 부재가 각 흡입 절차가 적절하게 종료된 후에 자동으로 닫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본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추가 개발과 관련이 있어, 앞으로EP 1 386 630 B1에서 알려진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흡입기의 추가 구성은 EP 1 386 630 B1을 통해 알려진 분말흡입기와 유사하거나 심지어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EP 1 386 630 B1의 공개는 이제 참조자료에 의해 전체에 병합된다.
도 4는 EP 1 386 630 B1을 통해 알려진 분체 흡입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흡입기는 하부쉘(lower shell)(1)을 가진 케이싱(casing)과 하부쉘(1)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신커버(integral cover)(2)를 포함한다. 전신커버(2)는 사용자가 분말화 약물을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mouthpiece)(3)를 드러내기 위해 열릴 수 있다. 분말 흡입기는 분말화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또는 저장기(4), 계측 부재(5) 그리고 마우스피스(3)의 흡입 통로(9)와 결합되는 응집해제구(deagglomerator arrangement)(10)를 포함하는 도징 서브 어셈블리(dosing sub-assembly)를 포함한다. 응집해제구(10)는 매우 강한 속도 구배를 가져오는 범위 내에서 싸이클론성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계측 부재(5)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셔틀 또는 슬라이드 형태로 제공되며,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형성된 도징 컵(dosing cup) 형태로 도징 리세스(dosing recess, 15)를 포함한다. 도징 리세스(15)는 분말화 약물의 도스를 계량하고, 용기(4)의 아래에 있는 충전 위치(filing position), 즉 도징 리세스(15)가 용기(4)의 하부에 있는 개구부와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응집해제구(10)의 하부에 있는 흡입위치(inhalation position), 즉 도징 리세스(15)가 흡입 통로(9)와 정렬되는 위치로 상기 도스를 이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분말화 약물은 용기(4)의 약물 챔버(medicament chamber) 내에 저장된다. 더 나아가, 용기(4)는 약물 챔버에 들어가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건조제를 저장하는 건조제 챔버(desiccant cha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조제 챔버는 투과막(permeable membrane)에 의해 약물 챔버와 분리될 수 있다. 약물 챔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있어, 용기(4)의 약물 챔버는 깔때기(funnel)와 같은 형상으로 도징 리세스(15)를 더 쉽게 충전되도록 도와준다.
계측 부재(5)는 연결 메커니즘, 예를 들면, 프로파일 캠 트랙(profiled cam track)을 포함하는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커버(2)에 연결되는데, 상기 메커니즘은 커버(2)를 개방하여 계측 부재(5)가 충전 위치에서 흡입위치로 나아가도록 구비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커버(2)의 닫힘은 계측 부재(5)가 거꾸로 흡입 위치에서 충전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측 부재(5)가 흡입 위치에 도달한 이후 뿐만 아니라 계측 부재(5)가 충전 위치에서 흡입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도징 리세스(15)에 채워진 분말화 약물의 도스가 보호 부재(7)에 의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호된다. 보호 부재(7)는 도징 리세스(15)를 덮는 닫힘 위치와 계측 부재(5)가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도징 리세스(15)를 응집해제구(10)와 흡입 통로(9)에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계측 부재(5)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보호 부재(7)는 그 닫힘 위치에서 앞서 언급한 흡입 또는 호흡 작동 메커니즘(breath actuated mechanism)에 의해 지지되고, 이 흡입 또는 호흡 작동 메커니즘은 흡입 통로(9)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흡입력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보호 부재(7)가 그 닫힘 위치에서 그 열림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더 나아가 흡입 작동 메커니즘은 날숨이 아니라 흡입 들숨만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고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보호 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더 상세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은 도 4에만 도시되고, 흡입 작동 부재(inhalation actuated member)의 역할을 하는 플랩(flap)(20), 바람직하게는 요크(yoke) 형태의 연결 부재(3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40)로 구성되는 서브 프레임(sub-frame)(8)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40)와 연결 부재(30)는 보호 부재(7)를 구동하고, 도 5에 따라 아이들러 휠(idler wheel,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 구동 톱니(16)를 가진 유닛 휠(unit wheel)(12)과 구동 톱니(17)를 가진 텐스 휠(tens wheel)(13)을 포함하는 도스 카운팅 유닛(dose counting unit)을 작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닛 휠(12)과 텐스 휠(13)은 용기(4)에 남아있는 도스의 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recess)(11)들은 계측 부재(5)의 전방 코너 부분에 형성되고, 계측 부재가 앞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러한 리세스들(11) 중 하나에서 탄성 부재(40)의 연장 단부(prolonged end)(43)가 계측 부재(5)와 맞물린다. 계측 부재(5)와의 접촉에 의해, 탄성 부재(40)는 팽팽하게 되고(tensioned) 탄성을 축적하게 된다(charged up). 탄성 부재(40)의 제1단부(41)는 탄성 부재(40)가 탄성이 제거된 상태(discharged state)에 있고 정상적으로 제1위치, 즉 수평 위치에서 플랩(20)을 고정시키고 있을 때, 플랩(20)의 일 부분(21)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커버(2)를 개방하여 탄성 부재(40)에 탄성을 축적하게 함으로써, 플랩(20)에 제1단부(41)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reset force)이 해제된다(released).
대표적인 도 4 및 5에서, 플랩(20)의 상부 표면은 분말 흡입의 마우스피스 위치의 상측에 있는 개방부를 통해 보이는 마크 역할을 하는 선택 플래그(optional flag, 22)를 포함하고, 흡입될 도스가 준비된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플랩(20)은 연결 부재(30)와 연결 부재의 아암 부분(arm portion)(34)을 통해 연결되고, 평형추(counterweight)로 작동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돌출부(projection)(23)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형추는 플랩(20)을 균형잡고 요구되는 구동력(actuation force)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우발적인 트리거링(accidental triggering)에 대한 메커니즘의 민감도(susceptibility)도 줄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는 연결 부재(30)의 측면에 놓여지는 제2단부(42)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40)는 연결 부재(30)의 샤프트 같은(shaft-like) 부분에 장착된다(mounted). 그 반대편에는, 연결 부재(30)가 도스 카운팅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기 위해 두꺼운 부위(thickening)(32)를 가진 돌출부(31)를 갖는다. 연결 부재(30)의 하부로부터는, 보호 부재(7)에 형성된 개방부(14) 및 계측 부재(5)의 전단부에 형성된 슬릿(slit,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보호 부재(7)에 의해 덮혀짐)과 맞물리는 연장부(prolongation)(33)가 연장된다.
플랩(20)이 도 5에 도시된 수평 위치에 있는 탄성 부재(40)에 의해 고정된 경우, 보호 부재(7)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로 불어 넣을 때, 도징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화 약물이 응집해제구(10)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더 나아가, 플랩(20)은 사용자가 포지티브 피드백(positive feedback)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불어 넣는 경우 저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커버(2)를 개방하여 계측 부재(5)가 앞으로 밀리는 경우, 탄성 부재(40)는 압축되고 탄성을 축적하고, 플랩(20)에 단부(41)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이 해제되어, 흡입 통로(9)에서 충분히 높은 흡입력이 있는 경우, 수평의 제1위치로부터 수평의 제1위치에 대해 아래로 피봇팅되는 제2위치로 플랩(20)이 피봇 또는 회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플랩(20)이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연결 부재의 아암(34)을 해제시켜, 탄성 부재(40)가 압축 때문에 제2단부(42)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연결 부재(30)가 약간 위로 올라간다. 연결 부재(30)의 이러한 회전 상향 이동(rotational upward movement)에 의해, 연결 부재(30)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prolongation)(33)는 앞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보호 부재(7)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도징 리세스(15)를 응집해제구(사이클론, cyclone)(10)의 내부로 노출시켜, 분말화 약물의 도스가 마우스피스(3) 뿐만 아니라 응집해제구(10) 및 흡입 통로(9)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사이클론 또는 응집해제구에서, 분말화 약물은 조성물의 활성화부분(active part of the formulation)이 캐리어(carrier)로부터 응집해제되는 곳에 소용돌이치는 공기흐름으로 딸려들어가게 된다.
대표적인 도 4 및 5에서는, 플랩(20)이 제2위치로 이동했으므로, 선택 플래그(22)는 더 이상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있는 상응하는 개방부를 통해 보이지 않아, 도스가 섭취된 것과 새로운 도스가 흡입을 위해 아직 준비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플랩(20)의 이러한 회전과 연결 부재(30)의 다음과 같은 시계방향 회전의 결과로서, 연결 부재(30)의 돌출부 또는 캔틸레버(cantilever)(31)도 유닛 휠(12)의 다음 구동 톱니(16)의 경사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약간 이동되어 두꺼운 부위(32)를 각각의 구동 톱니(16)와 맞물리게 한다.
흡입 후, 사용자가 커버(2)를 다시 닫을 때, 계측 부재(5)는 뒤로 향하여 용기(4) 밑에 있는 충전 위치로 이동되고, 이렇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연결 부재의 연장부(33)가 계측 부재(15)와 함께 뒤로 이동하므로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일으킨다.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계측 부재(5)의 후향이동(backward movement)에 따라 풀리고 압축해제되는 탄성 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 회전 때문에, 돌출부(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용기(4)에 남은 도스의 표시되는 수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스텝에 의해 유닛 휠(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결 부재(30)와 탄성 부재(40)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40)의 제1단부(41)는 플랩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수평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게다가, 연결 부재(30)는 다시 그의 아암(34)과 플랩(20)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어, 전체 분말 흡입기는 다시 최초 위치로 전환된다.
앞서 기재한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이러한 구조 및 기능에서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흡입력을 줄이도록 하고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의 향상된 성능에 기여하는 새로운 플랩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명시된 분말 흡입기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과 청구항 제15항에 명시된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그리고/또는 이로운 실시예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플랩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스커트 구조, 그리고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의 상응하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탄성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스커트 구조 또는 프레임 구조를 가진 새로운 플랩 디자인은 분말 흡입기 섀시(chassis)와의 향상된 상호작용을 가지고, 내부 공기 흐름에 대한 케이스워크(casework)와 플랩의 향상된 밀봉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향상된 디바이스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플랩 디자인 덕분에, 흡입기의 호흡 작동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된 흡입 유량(inhalation flow rate)이 감소될 수 있고, 분말 흡입기의 수명 동안 향상된 장치 간 및 장치 내 재현성(reproducibility)이 달성되고, 제조 역량이 보장되면서 분말 흡입기의 견고성의 전반적인 증가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플랩 설계를 통해, 평균 호흡 작동 메커니즘 활성화 유량(BAM-AFR)이 25 l/min 범주 내 값으로 감소될 수 있는 반면, 이전 플랩 디자인이 요구하는 평균 호흡 작동 메커니즘 활성화 유량은 38 l/min 였다. 새로운 플랩 디자인은 분말 흡입기의 수명 동안 활성화 유량의 매우 낮은 변동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20 내지 32 l/min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은 이미 예를 들어 천식 또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와 같은 폐쇄성 폐의 기도 질병들의 영향을 받는 환자들에 의해 더 쉽게 가해질 수 있는 매우 낮은 흡기 유동(inspiratory flows)으로 작동될 수 있다. 스커트의 추가는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와 플랩 사이의 래버린스(labyrinth)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공기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한다. 이렇게 증가된 저항은 커버를 개폐하는데 요구되는 토크의 증가를 유도하는 분말 흡입기의 커버에서의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 없이 트리거 흐름을 더 반복적이고 재현할 수 있게 만든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랩의 베이스 부재는 스커트(skirt)가 돌출되는 평부(flat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평부의 전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글다.
평부는 제1 길이방향 측면(longitudinal side)과 제2 길이방향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들은 직선형 전단부와 라운드형 전단부의 조합에 의해 연결된다. 제1 길이방향 측면의 길이는 제2 길이방향 측면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커트는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side wall portion)들과 베이스 부재의 폭 방향으로 제1측벽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제2측벽부 중간 부분에 긴 두꺼운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부들은 서로 베이스 부재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바람직하게는 쐐기형태이며 제1측벽부들의 높이는 베이스 부재의 전단에서 베이스 부재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진다. 가로 놓인 제2측벽부는 베이스 부재의 후단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와 상호작용하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연결 부재는, 스커트가 돌출되는 표면의 반대쪽에 있는 베이스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랩은 플랩으로부터 돌출되는 날개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흡입 작동 메커니즘에서 플랩의 회전에 따라 평형추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랩은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바람직하게는 요크 형태인 연결 부재에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분말 흡입기의 계측 부재의 보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는 또한 분말 흡입기의 도스 카운팅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EP 1 386 630 B1에 개시된 유형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의 추가 구성과 상응하는 부품들의 기능은 EP 1 386 630 B1을 통해 주지된 분말 흡입기와 유사하거나 심지어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플랩을 이용한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여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a는 흡입에 의해 작동되기 전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을 이용한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흡입에 의해 작동된 이후 도 1a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그리고 도 1c는 흡입이 일어난 후에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대체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랩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여러 방향에서 본 플랩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3A는 도 2와 유사한 플랩의 제1사시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플랩의 제2사시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플랩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플랩의 제1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E는 플랩의 제2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F는 플랩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그리고 도 3G는 플랩의 후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3의 플랩과 흡입 작동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는 종래 분말 흡입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종래 분말 흡입기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흡입 작동 부재로서 작동하는 플랩(20), 요크 형태의 연결 부재(30), 및 연결 부재(30)의 샤프트부(shaft portion)에 부착된 구동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4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탄성 부재(40)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지만, 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40)와 다르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40')의 기능과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탄성 부재(40)와 관련된 상기 설명이 참조가 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와 연결 부재(30)는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의 계측 부재(5)의 도징 리세스(15)를 위한 보호 부재(7)를 구동하고, 도 1a에 따라 유닛 휠(12)과 텐스 휠(13)을 포함하는 도스 카운팅 유닛(dose counting unit)을 작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닛휠(12)과 텐스휠(13)은 분말 흡입기의 약물 용기 내 남아있는 도스의 수 또는 이미 섭취한 도스의 수를 보여준다. 유닛 휠(12)의 구동 톱니(16)는 텐스 휠(13)의 구동 톱니(17)와 기어 메커니즘(gear mechanism,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특별한 실시예를 통해,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탄성 부재(40')는 그의 연장된 단부(43)로 계측 부재(5)의 리세스와 맞물리며, 그의 단부(41)가 플랩(20)의 연결부(21)에 놓여 있다(rest).
도 2는 플랩(20)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플랩(20)의 다른 추가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플랩(20)은, 스커트 또는 프레임 구조(24)가 위로 돌출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형 평부(plate-shaped flat portion)(60)를 가진 베이스 부재(29)를 포함한다. 스커트는 베이스 부분(29)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지만 전방을 향해 개방된다.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탄성 부재(40')에 결합된 연결부(21)는 베이스 부분(29)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다. 더 나아가, 베이스 부재(29)는 평부(60)의 후단에 있는 샤프트부(28)를 포함하고, 샤프트부(28)는 상응하는 분말 흡입기의 케이싱 내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에서의 플랩(20)을 피봇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베이스 부재(29)의 평부(60)의 전단(6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평부(60)는 제1 길이방향 측면(62)과 제2 길이방향 측면(63)을 가지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들(62, 63)은 직선형 전단부(64)와 라운드형 전단부(65)의 조합에 의해 연결되고, 베이스 부재(29)의 제1 직선 길이방향 측면(62)은 제2 직선 길이방향 측면(63)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이는 도 3C 및 도 3F의 평면도 및 저면도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스커트 구조(24)는, 베이스 부재(29)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들(26B)과, 베이스 부재(29)의 폭 방향으로 제1측별부들(26B) 사이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26A)를 포함한다. 제2측벽부(26A)는 제2측벽부(26A)의 중간 부분에 베이스 부재(29)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일체형의(integrated) 긴 두꺼운 부위(27)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제1측벽부들(26B)은 서로 베이스 부재(29)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쐐기 형태라서 제1측벽부들(26B)의 높이가 베이스 부재(29)의 전단에서 베이스 부재(29)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진다. 제2측벽부(26A)는 베이스 부재(29)의 후단쪽으로 약간 기울어 있다(예를 들어, 도 3C 참조).
제1측벽부들(26B)은 베이스 부재(29)의 평부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들을 따라 연장된다. 베이스 부재(29)의 평부의 제1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측벽부(26B), 즉 왼쪽 벽부(26B)는 구부러져 그 일부가 실질적으로 베이스 부재(29)의 직선형 전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나머지 제1측벽부(26B) 즉, 도 2의 오른쪽 벽부는 완전히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앞서 이미 기재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플레이트형 연결부(21)는 스커트(24)가 돌출되는 표면의 반대쪽에 있는 베이스 부재(29)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추가 돌출부(23)는 플랩(20)의 샤프트부(28)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되고, 날개 형태이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에서 플랩(20)의 회전에 따라 평형추로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돌출부(23)와 연결부(21)는 플랩(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는 도 3G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플랩(20)은 또한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연결 부재(30)에 결합되는 부분(25)을 포함한다(도 3F 참조).
플랩(20)을 포함하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분말 흡입기에 사용될 수 있어, 분말 흡입기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상기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특히,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기능은 도 5와 관련되어 기재된 것과 유사하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의 단부(43)는 계측 부재가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계측 부재(5)의 전방 모서리 부분과 맞물린다. 계측 부재(5)와 접촉함에 따라, 탄성 부재(40')는 팽팽하게 되고, 탄성을 축적하게 된다. 탄성 부재(40')의 다른 단부(41)는 플랩(20)의 연결부(21)과 결합되고, 탄성 부재(40')가 탄성이 제거된 상태인 경우, 플랩(20)은 제1수평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40')에 탄성을 축적하게 함으로써, 플랩(20)에 단부(41)에 의해 작용되는 이러한 복귀력이 해제된다.
더 나아가, 플랩(20)은 그 하부 표면에서 부분(25)(도 3F 참조)에서 연결 부재(30)의 돌출부(34)에 결합되고, 평형추로 작동하고 플랩(20)의 샤프트부(28)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 형태의 추가 돌출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형추는 플랩(20)을 균형잡고 요구되는 구동력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우발적인 트리거링에 대한 메커니즘의 민감도 또한 줄여준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부재(40')는 연결 부재(30)의 샤프트 같은 부분에 장착된다. 그 반대편에는, 연결 부재(30)가 도스 카운팅 메커니즘을 동작시키기 위해 두꺼운 부위(32)을 가진 돌출부(31)를 갖는다. 연결 부재(30)의 하부로부터는, 보호 부재(7)에 형성된 개방부(14) 및 계측 부재(5)의 전단부에 형성된 슬릿(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는 연장부(33)가 연장된다.
플랩(20)이 도 1a에 도시된 수평 위치에서 탄성 부재(40')에 의해 고정된 경우, 보호 부재(7)는 사용자가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로 불어 넣을 때, 도징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화 약물이 분말 흡입기의 응집해제구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더 나아가, 플랩(20)은 사용자가 포지티브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불어넣을 경우 저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분말 흡입기의 커버를 개방하여 계측 부재(5)가 앞으로 밀리는 경우, 탄성 부재(40')는 압축되고 탄성을 축적하고, 플랩(20)에 단부(41)에 의해 작용되는 복귀력이 해제되어, 분말 흡입기의 흡입 통로에서 충분히 높은 흡입력이 있는 경우, 플랩(20)은 수평의 제1위치로부터 수평의 제1위치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피봇되는 제2위치로 피봇 또는 회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플랩(20)이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연결 부재(30)의 부분(34)을 해제시켜, 탄성 부재(40')가 압축 때문에 연결 부재(30)를 살짝 위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연결 부재(30)의 회전 상향 이동에 의해, 연결 부재(30)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3)는 앞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보호 부재(7)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도징 리세스(15)를 분말 흡입기의 응집해제구(사이클론)의 내부로 노출시켜, 분말화 약물의 도스가 마우스피스 뿐만 아니라 응집해제구 및 흡입 통로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랩(20)의 이러한 회전과 탄성 부재(40')의 동작으로 인한 연결 부재(30)의 시계 방향 회전의 결과로서, 탄성 부재(40')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연결 부재(30)의 샤프트 같은 부분에 장착되는 제2 선택적 탄성 부재와 함께, 연결 부재(30)의 돌출부 또는 캔틸레버(31) 또한 유닛 휠(12)의 다음 구동 톱니(16)의 경사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약간 이동되어 두꺼운 부위(32)를 각각의 구동 톱니(16)와 맞물리게 한다.
도 1b는 흡입이 발생한 이후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위치를 나타낸다.
흡입 이후, 사용자가 분말 흡입기의 커버를 다시 닫을 때, 계측 부재(5)는 뒤로 향하여 분말 흡입기의 약물 용기 밑에 있는 충전 위치로 이동되고, 이렇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연결 부재의 연장부(33)가 계측 부재(15)와 함께 뒤로 이동하므로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일으킨다.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계측 부재(5)의 후향이동에 따라 풀리고 압축해제되는 탄성 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30)의 반시계방향 회전 때문에, 돌출부(31)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용기(4)에 남아있는 도스의 표시되는 수를 감소시키는 하나의 스텝에 의해 유닛 휠(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결 부재(30)와 탄성 부재(40')가 최초 위치들로 복귀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40')의 단부(41)는 플랩(20)이 도 1a에 도시된 수평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게다가, 연결 부재(30)는 다시 돌출부(34)와 플랩(20)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어, 전체 분말 흡입기는 다시 최초 위치로 다시 전환된다.
도 1c는 다른 측면에서 본 흡입 메커니즘(18)의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c에서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부품들이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해 지정되어 있고, 이러한 부품들의 기능과 관련해서, 상기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도 1c의 도면에서는, 명확히 하기 위해 유닛 휠(12)이 생략되었다.
본 대체 실시예에서는, 흡입 중 해제되어지는 적절한 힘을 연결 부재(30)에 전달하기 위해 연결 부재(30)의 샤프트 같은 부분에 장착된 제2 탄성 부재(50)가 탄성 부재(40')의 반대쪽에 있을 수 있다. 특히, 제2 탄성 부재(50)는 일단부(51)에서 연결 부재(30)의 인접한 측면과 상호작용하고, 타단부(52)에서 연결 부재(30)의 샤프트부가 경첩되는 지점과 근접한 섀시의 측부에 위치한 표면에 놓여지는, 구동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흡입 중 플랩(20)의 하향이동은 연결 부재(30)에 제2 탄성 부재(5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완화하고, 반면 분말 흡입기의 커버의 닫힘은 제2 탄성 부재(50)를 인장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도 4 및 도 5와 유사하게, 플랩(20)은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3)에서 개방부를 통해 볼 수 있는 마크(mark)로 작동하고, 흡입을 위해 도스가 준비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22)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총 수명 호흡 작동 메커니즘 활성 유량(through life breath actuated mechanism activation flow rate)(BAM-AFR) 모사(characterization)가 수행되었다. 특히, 테스트는 분말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고, 본 발명의 새로운 플랩을 가진 호흡 또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66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실시되었고, 분말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고, 선행기술에 따라 이전 플랩을 가진 호흡 작동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상응하는 60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실시되었다.
방법은 흡입 분말에 대한 유럽의 Pharmacopoeia 8.0: 전달되는 도스의 균일성에 대한 테스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고, 테스트 실시에 필요한 장비에는 실험 도중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트(device seat)로 제공되는 유닛 리그(unit rig)를 다루는 디바이스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연결된 다음에 나오는 유닛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는 맞춤형 어답터,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유량계(Copley), 그리고 임계유량조절기(Critical Flow Controller, TPK model - Copley Scientific)를 통해 건조 분말 흡입기(DUSA - Copley Scientific)를 위한 도스 유닛 샘플링 장치(Dose Unit Sampling Appartus)에 연결되고, 차례대로 진공 공급 포트(vacuum supply port)에 연결된다. 또한, DUSA는 압력계(manometer)에도 연결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진 Copley 장비들 및 장치들의 작동 요건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회사 공식 홈페이지 내 Copley Scientific Brochure를 참조한다.
최초 누설 체크 및 연결 부분들에서 잠재적인 누설부분을 밀봉한 후, 각 디바이스에 대한 활성 유량과 각 디바이스의 총 수명에 대한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각 디바이스는 플랩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0 l/min 의 시작 유량에 놓여졌다. 플랩이 작동하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재 준비되어 증가된 유량 2.5 l/min 에서 다시 테스트했다. 플랩이 또 작동하지 않으면, 추가로 2.5 l/min 를 증가시킨 유량에서 다시 테스트했다. 테스트는 플랩의 동작이 기록될 때까지 지속됐고, 최대 공급 비율은 60 l/min 였다. 동작이 일어나는 유량은 BAM-AFR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더 높은 유량에서 버려지는 중간 도스들과 함께 디바이스의 수명의 시작(첫 번째에서 다섯 번째까지)에서 5번의 도스들에 적용되었고, 디바이스의 수명의 종료(111 번째에서120 번째까지)에서 10번의 도스들에 적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랩 디자인으로 제공되는 분말 흡입기는 평균 25 l/min 의BAM-AFR이었지만, 이전 플랩 디자인으로 제공되는 분말 흡입기는 평균 38 l/min 의BAM-AFR을 요구했다. 그러므로 결과는 선행기술에 따른 플랩 디자인으로 제공되는 분말 흡입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랩이 제공되는 분말 흡입기의 총 수명에 대한 BAM-AFR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새로운 플랩 디자인은 20 내지 32 l/min 범위에서 분말 흡입기의 총 수명에 대한 활성 유량의 가변성(variability)을 달성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이전 플랩 디자인에 의해 보여지는 가변성에 비해 매우 낮았다.

Claims (22)

  1. 분말 흡입기(1)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을 위한 플랩(20)으로서,
    베이스 부재(29);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커트 구조(24); 및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탄성 부재(40')에 연결되는 연결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9)는 상기 스커트 구조(24)가 돌출되는 평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29)는 상기 평부(60)의 후단에 있는 샤프트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부(28)는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에서의 플랩(20)을 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부(60)의 전단(6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흡입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부(60)는 제1 직선 길이방향 측면(62)과 제2 직선 길이방향 측면(6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들(62, 63)은 직선형 전단부(64)와 라운드형 전단부(65)의 조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62)의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63)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구조(24)는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측벽부들(26B)과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측벽부들(26B) 사이로 연장되는 제2측벽부(2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26A)는 상기 제2측벽부(26A)의 중간 부분에 상기 베이스 부재(29)로부터 연장되는 긴 두꺼운 부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구조(24)는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쐐기 형태라서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전단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2개의 제1측벽부들(2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부(26A)는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후단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0.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들(26B)은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상기 평부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측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상기 평부의 제1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측벽부(26B)는,구부러져서 그 일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상기 직선형 전단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의 상기 탄성 부재(40')를 위한 상기 연결부(21)는상기 스커트 구조(24)가 돌출되는 상기 표면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베이스 부재(29)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은 상기 플랩(20)의 샤프트부(28)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3)는 날개 형태이며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에서 상기 플랩(20)의 회전에 따라 평형추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와 상기 연결부(21)는 상기 플랩(2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위한 플랩.
  15. 분말 흡입기로서,
    분말화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4);
    상기 용기(4)로부터 상기 분말화 약물의 도스로 채워지는 도징 리세스(15)를 구비한 계측 부재(5);
    상기 계측 부재(5)의 도징 리세스(15)에 포함된 상기 분말화 약물의 도스의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흡입 통로(9)와 연결되어 있는 마우스피스(3); 및
    상기 계측 부재(5)의 상기 도징 리세스(15)를 위한 보호 부재(7)와 연결되어, 상기 보호 부재(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도징 리세스(15)를 덮는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흡입 통로(9)에 가해지는 흡입력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보호 부재(7)가 상기 도징 리세스(15)를 덮지 않는 열림 위치로 상기 보호 부재(7)를 이동시키는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항 항에 따른 상기 플랩(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도록 정렬되되, 상기 플랩(20)은 상기 보호 부재(7)와 연결되어,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흡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플랩(20)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보호 부재(7)를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은 상기 도징 리세스가(15)가 상기 분말화 약물의 도스로 채워지기 위해 상기 용기(4)의 개구부와 정렬되는 충전위치에서, 상기 도징 리세스(15)가 상기 흡입 통로(9)와 정렬되는 흡입 위치로 상기 계측 부재(5)의 이동에 의해 팽팽하게 되는 탄성 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계측 부재(5)의 상기 흡입 위치에서 상기 충전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탄성이 제거되며;
    상기 탄성 부재(40')가 탄성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40')가 정렬되어 제1위치에서 상기 플랩(20)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40')가 팽팽하게 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40)가 상기 플랩(20)을 해제시켜,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플랩(20)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은 상기 플랩(20)을 상기 탄성 부재(40')로 상기 보호 부재(7)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30)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플랩이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플랩(20)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3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30)의 상기 부분(34)은 상기 플랩(20)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연결 부재(30)에 배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20. 제17항 내지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작동 메커니즘(18)은 상기 탄성 부재(4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추가 탄성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21. 제20항 및 제1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탄성 부재(50)는 상기 탄성 부재(4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샤프트 같은 부분에 장착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탄성 부재(50)는 상기 연결 부재(30)와 연결된 제1단부(51)와 상기 분말 흡입기의 섀시와 연결된 제2단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흡입기.
KR1020177002403A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KR10230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30000A KR102437658B1 (ko)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5021 2014-06-30
EP14175021.6 2014-06-30
PCT/EP2015/063803 WO2016000983A1 (en) 2014-06-30 2015-06-19 Dry powder inhaler and inhalation actuated mechanism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000A Division KR102437658B1 (ko)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376A true KR20170028376A (ko) 2017-03-13
KR102305892B1 KR102305892B1 (ko) 2021-09-29

Family

ID=511676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000A KR102437658B1 (ko)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KR1020177002403A KR102305892B1 (ko)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000A KR102437658B1 (ko) 2014-06-30 2015-06-19 건조 분말 흡입기와 흡입 작동 메커니즘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US (2) US10238819B2 (ko)
EP (2) EP3505209B1 (ko)
JP (1) JP6734201B2 (ko)
KR (2) KR102437658B1 (ko)
CN (1) CN106456918B (ko)
AR (1) AR101024A1 (ko)
AU (2) AU2015283109B2 (ko)
BR (1) BR112016029487B1 (ko)
CA (1) CA2950234C (ko)
CL (1) CL2016003251A1 (ko)
CO (1) CO2017000768A2 (ko)
CY (2) CY1121991T1 (ko)
DK (2) DK3505209T3 (ko)
EA (1) EA032398B1 (ko)
ES (2) ES2837532T3 (ko)
GE (1) GEP20186865B (ko)
HR (2) HRP20191223T1 (ko)
HU (2) HUE044230T2 (ko)
IL (1) IL249149B (ko)
LT (2) LT3160555T (ko)
MA (2) MA46776B1 (ko)
ME (1) ME03461B (ko)
MX (1) MX2016015520A (ko)
MY (1) MY181275A (ko)
PE (1) PE20171022A1 (ko)
PH (1) PH12016502446A1 (ko)
PL (1) PL3160555T3 (ko)
PT (2) PT3505209T (ko)
RS (2) RS59008B1 (ko)
SA (1) SA516380613B1 (ko)
SG (1) SG11201610399VA (ko)
SI (2) SI3160555T1 (ko)
TN (1) TN2016000527A1 (ko)
TR (1) TR201910186T4 (ko)
TW (1) TWI689324B (ko)
UA (1) UA120932C2 (ko)
WO (1) WO2016000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82153T3 (es) 2017-05-11 2021-12-01 Chiesi Farm Spa Un proceso para preparar una formulación en polvo seco que comprende un anticolinérgico, un corticosteroide y un betaadrenérgico
EP3621590B1 (en) 2017-05-11 2021-09-01 Chiesi Farmaceutici S.p.A. A process for preparing a dry powder formulation comprising an anticholinergic, a corticosteroid and a beta-adrenergic
MA54045A (fr) 2018-10-30 2021-09-08 Chiesi Farm Spa Appareil pour administrer des médicaments à des patients ventilés mécaniquement
FR3089127B1 (fr) * 2018-11-30 2020-11-20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synchronisé avec l'inhalation
US20220331244A1 (en) 2019-09-24 2022-10-20 Chiesi Farmaceutici S.P.A. Novel carrier particles for dry powder formulations for inhalation
KR20220107016A (ko) 2019-11-28 2022-08-01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흡입기용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을 포함하는 흡입기 조립체
WO2021105440A1 (en) 2019-11-28 2021-06-03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assembly
WO2023117985A1 (en) 2021-12-21 2023-06-29 Chiesi Farmaceutici S.P.A. Dry powder formulations filled in an inhaler with improved resistance to humidity
WO2023117967A1 (en) 2021-12-21 2023-06-29 Chiesi Farmaceutici S.P.A. Dry powder formulations filled in an inhaler with improved resistance to humidity
WO2023117929A1 (en) 2021-12-21 2023-06-29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WO2023117932A1 (en) 2021-12-21 2023-06-29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WO2024028388A1 (en) 2022-08-03 2024-02-08 Chiesi Farmaceutici S.P.A. Dry powder inha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2449A1 (en) * 2004-12-10 2006-06-15 Ernst Hörlins Ingenjörsbyra AB Breath actuated dose inhaler
KR100976304B1 (ko) * 2002-07-31 2010-08-16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분체 흡입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1436D0 (en) * 1992-05-29 1992-07-15 Norton Healthcare Ltd Dose indicating device
FR2701653B1 (fr) * 1993-02-18 1995-04-07 Valois Dispositif doseur pour l'inhalation de poudre sèche.
US20040237961A1 (en) * 1995-06-08 2004-12-02 Snow John Medlin Inhalation actuated device for use with metered dose inhalers (MDIs)
FR2747311B1 (fr) * 1996-04-10 1998-08-14 Pf Medicament Inhalateur a poudre et a air comprime
GB0023845D0 (en) * 2000-09-29 2000-11-15 Pa Knowledge Ltd Dosing device
AU2001290087A1 (en) * 2000-09-29 2002-04-08 Pa Knowledge Limited Dosing device
EP1558317A2 (en) * 2002-11-04 2005-08-03 Cambridge Consultants Limited Pressurised inhalers
US7600512B2 (en) * 2003-07-14 2009-10-13 Vortran Medical Technology 1, Inc. Inhaler with breath actuated dose counter
DE10350555A1 (de) * 2003-10-29 2005-06-09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Platinen- Und Federnfabrik Inhalator
JP4235153B2 (ja) * 2004-08-25 2009-03-11 愛三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EP2617448A1 (en) * 2012-01-20 2013-07-24 Almirall S.A.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dru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304B1 (ko) * 2002-07-31 2010-08-16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분체 흡입기
WO2006062449A1 (en) * 2004-12-10 2006-06-15 Ernst Hörlins Ingenjörsbyra AB Breath actuated dose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9487B1 (pt) 2022-03-29
SI3160555T1 (sl) 2019-09-30
LT3505209T (lt) 2020-12-28
EP3160555A1 (en) 2017-05-03
MA40180B1 (fr) 2019-08-30
MA46776B1 (fr) 2020-12-31
CL2016003251A1 (es) 2017-06-30
HUE044230T2 (hu) 2019-10-28
PT3505209T (pt) 2020-12-07
US10238819B2 (en) 2019-03-26
PL3160555T3 (pl) 2019-10-31
EP3160555B1 (en) 2019-04-24
SA516380613B1 (ar) 2020-08-02
TWI689324B (zh) 2020-04-01
CA2950234C (en) 2022-08-16
MA40180A (fr) 2017-05-03
EA201692384A1 (ru) 2017-05-31
ES2734423T3 (es) 2019-12-05
CY1123662T1 (el) 2022-03-24
CA2950234A1 (en) 2016-01-07
UA120932C2 (uk) 2020-03-10
BR112016029487A2 (pt) 2017-08-22
IL249149B (en) 2020-03-31
RS61185B1 (sr) 2021-01-29
CO2017000768A2 (es) 2017-04-20
MY181275A (en) 2020-12-21
KR20210118483A (ko) 2021-09-30
AU2015283109A1 (en) 2016-12-15
RS59008B1 (sr) 2019-08-30
US20150374937A1 (en) 2015-12-31
US20200230331A9 (en) 2020-07-23
HRP20201990T1 (hr) 2021-02-05
CN106456918A (zh) 2017-02-22
AU2015283109B2 (en) 2019-05-30
HUE052394T2 (hu) 2021-04-28
TR201910186T4 (tr) 2019-08-21
ME03461B (me) 2020-01-20
PE20171022A1 (es) 2017-07-17
PH12016502446A1 (en) 2017-03-06
HRP20191223T1 (hr) 2019-10-18
SI3505209T1 (sl) 2021-01-29
PT3160555T (pt) 2019-07-23
CN106456918B (zh) 2020-04-03
DK3505209T3 (da) 2020-12-21
JP2017518815A (ja) 2017-07-13
NZ726772A (en) 2021-10-29
AU2019222959B2 (en) 2020-08-20
US11167097B2 (en) 2021-11-09
TN2016000527A1 (en) 2018-04-04
ES2837532T3 (es) 2021-06-30
EP3505209A1 (en) 2019-07-03
DK3160555T3 (da) 2019-07-22
EA032398B1 (ru) 2019-05-31
AR101024A1 (es) 2016-11-16
CY1121991T1 (el) 2020-10-14
TW201620568A (zh) 2016-06-16
US20190167925A1 (en) 2019-06-06
AU2019222959A1 (en) 2019-09-26
MX2016015520A (es) 2017-07-13
JP6734201B2 (ja) 2020-08-05
KR102305892B1 (ko) 2021-09-29
WO2016000983A1 (en) 2016-01-07
EP3505209B1 (en) 2020-11-18
KR102437658B1 (ko) 2022-08-29
GEP20186865B (en) 2018-06-25
IL249149A0 (en) 2017-01-31
SG11201610399VA (en) 2017-01-27
LT3160555T (lt)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22959B2 (en) Dry powder inhaler and inhalation actuated mechanism thereof
ES2371434T3 (es) Aparato de inhalación de polvo seco.
JP5564262B2 (ja) 粉末状薬剤のための吸入デバイス
JP4335666B2 (ja) 粉末吸入器
JP2010512876A5 (ko)
HU227363B1 (en) Powder inhaler
DK2790760T3 (en) Device for submission of a powdered drug to a patient by inhalation
US20160074318A1 (en) Inhal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 Inhaler Devices Containing Them
NZ726772B2 (en) Dry powder inhaler and inhalation actuated mechanism thereof
WO2023117929A1 (en) Powder inh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