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001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001A
KR20170028001A KR1020150124721A KR20150124721A KR20170028001A KR 20170028001 A KR20170028001 A KR 20170028001A KR 1020150124721 A KR1020150124721 A KR 1020150124721A KR 20150124721 A KR20150124721 A KR 20150124721A KR 20170028001 A KR20170028001 A KR 2017002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on
polyhedron
music content
music
user inte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연
김지광
김준수
홍지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8001A/ko
Priority to EP16173576.6A priority patent/EP3139260A1/en
Priority to US15/181,563 priority patent/US20170068514A1/en
Priority to PCT/KR2016/009826 priority patent/WO2017039371A1/en
Publication of KR2017002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다면체 UI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악 컨텐츠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면체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전자 장치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 만을 재생할 수 있었으나, 근래에는 음악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스트리밍하여 다양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전통적으로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카테고리, 장르 등을 먼저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 또는 장르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악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은 한 방향으로 빠른 컨텐츠를 브라우징 할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나, 다른 카테고리, 다른 장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리스트를 빠져 나와 다른 카테고리나 다른 장르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음악 컨텐츠까지 사용자가 더욱 편하고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다면체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면체 UI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받는 감지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고,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상기 버퍼에 임시저장된 영상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다면체 UI를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고,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임시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상기 임시저장된 영상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다면체 UI를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면체 UI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평 방향의 제1 인터렉션 또는 수직 방향의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변경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대각선 방향의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평 방향의 제1 인터렉션 또는 수직 방향의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변경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대각선 방향의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다면체 UI를 통해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블럭도,
도 4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면체 UI를 이용하여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으로서, 터치 인터렉션, 벤딩 인터렉션, 음성 인터렉션, 버튼 인터렉션, 모션 인터렉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감지, 사용자 조작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 인터렉션”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버튼 감지”은 사용자가 장치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감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감지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오디오 출력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오디오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다면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다면체 UI의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예를 들어, 커버 영상, 가사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20)는 다면체 UI를 통해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30)는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렉션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음악 컨텐츠를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장르, 곡 분위기, 가수, 작곡가,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면체 UI는 6개의 사각형 형태의 면을 가지는 육면체 UI(또는 큐빅 U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고, 제3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 재생되는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한 다음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 재생되는 제1 음악 컨텐츠의 이전 카테고리에 속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대각선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 재생되는 제1 음악 컨텐츠와 무관한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방식을 셔플링(shuffling) 재생 방식이라고 칭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다면체 UI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다면체 UI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왼쪽 방향으로 다면체 UI를 90도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면체 UI를 위쪽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대각선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복수 회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면체 UI의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어부(140)는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면 중 제1 면과 좌우 방향으로 접하는 제2 면 및 제3면에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음악 컨텐츠 및 제3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들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수의 면 중 제1 면과 상하 방향으로 접하는 제4면 및 제5면에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4 음악 컨텐츠 및 제5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들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회전된 다면체 UI에 버퍼에 임시저장된 영상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왼쪽 방향으로 다면체 UI를 90도 회전시키고, 제1면의 왼쪽 면에 임시저장된 제2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면체 UI를 위쪽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고, 제1면의 위쪽 면에 임시저장된 제4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회전된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셔플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임시저장된 영상이 아닌 외부의 서버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제1면읜 반대편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1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제2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제3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특히, 다면체 UI에 대해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면체 UI를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면체 UI에 대해 오른쪽 방향의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면체 UI를 오른쪽 방향으로 복수회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가 빠를수록 다면체 UI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면체 UI의 회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할 수 있다. 페이드 인/아웃 효과를 통해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음악 컨텐츠의 변경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면체 UI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다음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평 방향의 제1 인터렉션 또는 수직 방향의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변경하여 재생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대각선 방향의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14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6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메모리(230), 오디오 처리부(240), 오디오 출력부(250), 감지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200)의 목적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 또는 UI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다면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다면체 UI는 정육면체 형태의 UI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정면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음악 컨텐츠의 커버 영상, 음악 컨텐츠의 가사, 음악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320×320 해상도, 360×480 해상도, 720×1280 해상도, 1280×800 해상도 또는 3940×2160 해상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터치 감지부(211)과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칩(221), 블루투스 칩(222), 무선 통신 칩(223), NFC 칩(2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221), 블루투스 칩(222)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21)이나 블루투스 칩(22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223)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22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통신부(22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음악 컨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부(2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2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230), 제어부(270) 내 ROM(272), RAM(271) 또는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메모리(2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메모리(230)에는 OS(310),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3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3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3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320)은 감지부(26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3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에 따르면, 미들웨어(330)는 X11 모듈(330-1), APP 매니저(330-2), 연결 매니저(330-3), 보안 모듈(330-4), 시스템 매니저(3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윈도우 매니저(330-8),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330-1)은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330-2)는 메모리(23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3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330-2)는 X11 모듈(3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3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3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3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330-5)는 전자 장치(2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3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전자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는 디스플레이부(21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3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3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26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340-1~3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음악 재생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메인 CPU(274)는 어플리케이션 모듈(3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200)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메모리(23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4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5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0)는 오디오 처리부(24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5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6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감지부(260)는 전자 장치(200)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감지부(260)는 전자 장치(200)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감지부(26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감지부(26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6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6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펜 감지 센서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260)는 감지 목적에 따라, 터치 감지부(261), 움직임 감지부(262), 버튼 감지부(263) 및 리모컨 신호 감지부(264)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물리적인 구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감지부들(261 내지 26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26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2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261)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의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210)의 아래에 실장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가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는, 예로, 정전식 방식과 감압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정전식은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패널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출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는 신호 값들로부터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좌표, 터치 개수, 터치 세기, 셀 ID, 터치 각도 또는 터치 면적 등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패널의 메모리(미도시)에 있는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의 종류가 결정되면,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61)은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근접 터치 위치(또는 호버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가 터치 감지부(261)의 기능의 일부를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261)는 터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신호 값 또는 신호 값으로부터 산출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수신된 신호 값 또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된 터치 인식 알고리즘 및 터치 패턴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26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262)는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부(262)은 전자 장치(2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262)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2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전자 장치(2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200)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자 장치(200)가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움직임 감지부(262)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움직임 감지부(262)는 좌표계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튼 감지부(263)는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신호 감지부(264)는 외부의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에 대응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밖에, 감지부(260)는 펜 감지부(예로, 펜 인식 패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펜 입력을 감지하고, 펜 근접 이벤트 값 또는 펜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펜 감지부는,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펜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의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예로, 촬영 시작, 촬영 정지 또는 촬영 종료 등)을 수신하여,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결과를 제어부(2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가 아닌 제어부(270)의 일부 또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또는, 프로세서)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버스(27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271), ROM(272), 그래픽 처리부(273), 메인 CPU(27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 275-n) 등은 버스(27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27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가 부팅되면 O/S가 RAM(27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271)에 저장될 수 있다.
ROM(2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74)는 ROM(2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30)에 저장된 O/S를 RAM(2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71)에 복사하고, RAM(27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7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26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74)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내지 27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75-1 내지 27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된 다면체 UI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하고, 다면체 UI를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16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다면체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200) 내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음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음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체 UI는 여섯 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형태의 UI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에 포함된 여섯 개의 면 중 제1 면만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정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앨범 자켓 영상, 가사 화면,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화면 등이 제1 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70)는 도 4a 처럼 다면체 UI 중 하나의 면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4b 처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을 디스플레이하여 다면체 UI를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면체 UI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 개의 면(510-1 내지 56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섯 개의 면 중에는 사용자가 정면으로 바라보는 제1 면(510-1), 제1 면의 우측에 접하는 제2 면(520-1), 제1 면의 좌측에 접하는 제3 면(530-1), 제1 면의 상측에 접하는 제4 면(540-1), 제1 면의 하측에 접하는 제5 면(550-1) 및 제1 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6 면(560-1)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면(510-1 내지 560-1)은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510-1)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면(520-1)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 중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다음 순서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3 면(530-1)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 중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이전 순서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4 면(540-1)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의 다음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 중 하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5 면(550-1)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카테고리의 이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 중 하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510-2)가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인 경우, 제2 면(520-1)에는 같은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다음 음악 컨텐츠(52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3 면(530-1)에는 같은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이전 음악 컨텐츠(53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4 면(540-1)에는 다음 카테고리 "클래식"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4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5 면(550-1)에는 이전 카테고리 "팝"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5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 가로축은 같은 카테고리 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며, 세로 축은 카테고리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6 면(560-1)에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셔플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제6 면(560-1)에 임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510-1)에 접하는 면들(520-1 내지 55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면(510-1)에 대응되는 제1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제어부(270)는 제2 면 내지 제 5면(520-1 내지 55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510-2)가 현재 재생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같은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다음 음악 컨텐츠(520-2)에 대한 영상, 같은 카테고리 "재즈"에 속하는 이전 음악 컨텐츠(530-2)에 대한 영상, 다음 카테고리 "클래식"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40-2)에 대한 영상 및 이전 카테고리 "팝"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50-2)에 대한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510-1)에 접하는 면들(520-1 내지 55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을 임시저장함으로써, 다면체 UI가 회전하더라도 다른 면에 임시 저장된 영상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어 직관적인 UI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6 면(56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은 버퍼에 임시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임의의 음악 컨텐츠의 영상이 제6 면(560-1)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으로 임시저장될 수 있다.
이때, 다면체 UI의 복수의 면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은 다면체 UI가 회전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다면체 UI의 복수의 면 각각은 반드시 하나의 음악 컨텐츠의 영상에 대응되는 것이 아닌, 다면체 UI가 회전함에 따라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60)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를 다른 음악 컨텐츠로 변경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하고, 다면체 UI를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로 변경하여 재생하고,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로 변경하여 재생하고,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27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렉션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특히,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음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가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왼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면(520-1)이 사용자 정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면체 UI가 회전하는 동안 원근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제어부(270)는 면의 앞부분을 선명하게 표시하고, 면의 뒷부분을 흐릿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면체 UI 안에 포함된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 역시 3D 효과가 느껴지도록 앞으로 나온 부분을 선명하게 표시하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페이드 아웃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버퍼에 임시 저장된 영상 중 제2 면(52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제2 면(520-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정면에 위치하는 제2 면(520-1)을 기준으로 제2 면(520-1)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520-1)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520-2)가 재생되는 동안 제어부(27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51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20-2)의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전 음악 컨텐츠(51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6 면(56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20-2)의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음 음악 컨텐츠(61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4 면(54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40-2)의 다음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3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5 면(55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20-2)의 이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55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역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렉션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아래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특히,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아래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다음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가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아래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4 면(540-1)이 사용자 정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버퍼에 임시 저장된 영상 중 제4 면(54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540-2)에 대한 영상을 제4 면(540-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정면에 위치하는 제4 면(540-1)을 기준으로 제4 면(540-1)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면(540-1)에 대응되는 음악 컨텐츠(540-2)가 재생되는 동안 제어부(27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51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40-2)의 이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전 음악 컨텐츠(51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6 면(56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40-2)의 다음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83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2 면(52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40-2)의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음 컨텐츠(82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고, 제3 면(530-1)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음악 컨텐츠(540-2)의 이전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810-2)의 영상을 임시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역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카테고리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카테고리에서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는 음악 컨텐츠가 있으면, 제어부(270)는 가장 마지막에 재생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카테고리에서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는 음악 컨텐츠가 없으면, 제어부(270)는 변경된 카테고리의 첫 음악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인터렉션이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고, 제2 인터렉션이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이 다른 인터렉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렉션은 리모컨의 좌우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으며, 제2 인터렉션은 리모컨의 상하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인터렉션은 좌우 방향의 사용자 모션 인터렉션일 수 있으며, 제2 인터렉션은 상하 방향의 사용자 모션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제어부(26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인터렉션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인터렉션(1010)일 수 있다. 대각선 방향의 드래그 인터렉션(1010)이 감지되면, 제어부(26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카테고리와 상관없이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고,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복수회 회전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60)는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6 면(560-1)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6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의 카테고리와 상관없이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고, 플릭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다면체 UI를 복수회 회전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오른쪽 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1110)이 감지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다면체 UI를 오른쪽 방향으로 복수 회 회전시킨 후, 제1 면(510-1)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6면(560-1)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셔플링 재생을 위하여, 오른쪽 방향의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다면체 UI를 회전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01
즉, 셔플링 재생을 위한 제3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재생될 음악을 선택한 후, 재생될 음악에 대한 영상을 다면체 UI의 제6면(560-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학식 1에서 N은 다면체 UI의 회전량을 뜻할 수 있으며,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다면체 UI의 회전량은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가 빠를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가 빠를수록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결정하고,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가 느릴수록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정면에 위치하는 제6 면(560-1)을 기준으로 제6 면(560-1)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에 대한 영상을 버퍼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인터렉션이 감지되기 전,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510-1)에는 제1 음악 컨텐츠(131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제2 면(520-1)에 디스플레이될 제1 음악 컨텐츠(1310-2)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음악 컨텐츠(132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3 면(530-1)에 디스플레이될 제1 음악 컨텐츠(1310-2)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3 음악 컨텐츠(133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4 면(540-1)에 디스플레이될 제1 음악 컨텐츠(1310-2)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4 음악 컨텐츠(134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5 면(550-1)에 디스플레이될 제1 음악 컨텐츠(1310-2)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5 음악 컨텐츠(135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될 수 있다. 이때, 임의 선택될 제6 음악 컨텐츠(1360-2)에 대한 영상 역시 임시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면(560-1)에는 제6 음악 컨텐츠(1360-2)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제3 면(530-1)에 디스플레이될 제6 음악 컨텐츠(1360-2)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7 음악 컨텐츠(137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2 면(520-1)에 디스플레이될 제8 음악 컨텐츠(1380-2)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8 음악 컨텐츠(137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5 면(550-1)에 디스플레이될 제7 음악 컨텐츠(1370-2)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9 음악 컨텐츠(1390-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되며, 제4 면(540-1)에 디스플레이될 제7 음악 컨텐츠(1370-2)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10 음악 컨텐츠(1395-2)에 대한 영상이 임시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플릭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릭 인터렉션이 좌우 방향인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한 음악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플릭 인터렉션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 뿐만 아니라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들을 모두 포함하여 재생될 음악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렉션 내지 제3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의 볼륨을 점점 감소시키고, 새롭게 선택된 음악 컨텐츠의 볼륨을 증가시켜 자연스러운 음악 변경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다면체 UI를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음악 컨텐츠를 선택,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통해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제1 면에 커버 영상(140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커버 영상(1400)을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영상(1400')이 뒤로 움직이면서 화면이 점점 작아지고 흐려지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1410,1420,14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UI 엘리먼트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1410), 음악 컨텐츠에 대한 뒤로 감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UI(1420) , 음악 컨텐츠에 대한 앞으로 감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UI(1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c에 도시된 UI 엘리먼트(1410,1420,143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UI 엘리먼트(예를 들어, 볼륨 조절 UI 엘리먼트, 재생 모드 조절을 위한 UI 엘리먼트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UI 엘리먼트(1410,1420,143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엘리먼트(1410,1420,1430)를 제거하고, 커버 영상(1400)이 앞으로 움직이면서 화면이 점점 커지고 밝아지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음악 컨텐츠의 설정을 위한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제1 면에 음악 커버 영상(150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260)를 통해 다면체 UI를 일 지점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프레스 인터렉션(또는 리모컨의 옵션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영상(1500')이 뒤로 움직이면서 화면이 점점 작아지고 흐려지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아진 커버 영상(1500') 주위에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UI 엘리먼트(1510-1 내지 1510-8)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UI 엘리먼트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으로 설정하는 제1 UI 엘리먼트(1510-1),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가 싫어하는 음악으로 설정하는 제2 UI 엘리먼트(1510-2),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3 UI 엘리먼트(1510-3),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포함하는 재생 목록을 확인하기 위한 제4 UI 엘리먼트(1510-4),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하기 위한 제5 UI 엘리먼트(1510-5),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즐겨찾기 설정을 위한 제6 UI 엘리먼트(1510-6), 임의 재생 설정을 위한 제7 UI 엘리먼트(1510-7), 반복 재생 설정을 위한 제8 엘리먼트(1510-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UI 엘리먼트(1510-1)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으로 설정하고,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제1 UI 엘리먼트(15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UI 엘리먼트(1510-2)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가 싫어하는 음악으로 설정하고, 확대된 제2 UI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UI 엘리먼트(1510-3)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상세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4 UI 엘리먼트(1510-4)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포함된 재생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5 UI 엘리먼트(1510-5)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6 UI 엘리먼트(1510-6)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의 즐겨찾기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7 UI 엘리먼트(1510-7)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재생 모드를 임의 재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8 UI 엘리먼트(1510-8)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재생 모드를 반복 재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동작이 종료되면, 제어부(270)는 다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제1 면에 음악 커버 영상(150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음악 컨텐츠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UI 엘리먼트에는 도 15c에 도시된 복수의 UI 엘리먼트 이외에 다른 UI 엘리먼트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체 UI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UI 엘리먼트, 음악 컨텐츠의 음향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UI 엘리먼트, 뮤트 설정을 위한 UI 엘리먼트 등 다양한 UI 엘리먼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상술한 방법과 이외의 방법으로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의 제1 면에 음악 커버 영상(160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70)는 음악 커버 영상(1600)의 상단에 메뉴 진입을 위한 UI 엘리먼트(1610)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메뉴 진입을 위한 UI 엘리먼트(1610)는 항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가 음악 커버 영상(1600)의 상단 영역을 드래그할 때, 메뉴 진입을 위한 UI 엘리먼트(16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메뉴 진입을 위한 UI 엘리먼트(1610)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를 밑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리스트(16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뉴를 진입을 위한 UI 엘리먼트(1610)는 사용자의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커버 영상(1600)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6c에 도시된 리스트(16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270)는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를 복수회 회전시키는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고,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다음에 재생될 음악을 미리 확인하게끔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통해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가 해당 카테고리의 마지막 음악 컨텐츠임을 안내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면체 UI의 특징상 계속해서 돌아갈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제어부(270)는 현재 카테고리에 마지막 음악 컨텐츠임을 안내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가 마지막인 상태에서 다음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걸리는 듯한 이미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한번 다음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회전시키고 해당 카테고리의 가장 처음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통해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현재 볼륨의 크기에 따라 다면체 UI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볼륨이 커질수록 다면체 UI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볼륨이 작아질수록 다면체 UI의 크기를 작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한 경우,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흔드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현재 배터리 값에 따라 다면체 UI의 명암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현재 배터리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다면체 UI를 희미하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270)는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UI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오디오 기기와 TV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른 전자 장치에 다면체 UI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다면체 UI에 대한 정보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 정보,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를 포함하는 재생 목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UI를 특정 전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2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UI를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다른 전자장치의 사용자와 사용자 환경(즉, 다면체 UI)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면체 UI가 다른 사용자에게 이동되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는 사양을 고려하여 다면체 UI의 퀄리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전자 장치의 사양이 높은 경우, 다른 전자 장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로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의 사용이 낮은 경우, 다른 전자 장치는 음악 컨텐츠에 대한 저해상도 이미지 또는 텍스트만을 로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인터렉션 내지 제3 인터렉션이 터치 인터렉션 또는 버튼 인터렉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모션 인터레션, 음성 인터렉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렉션이 모션 인터렉션인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기울이는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음악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좌우 또는 상하로 복수회 흔드는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7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감지된 모션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다면체 UI를 90도 또는 복수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면체 UI가 하나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면체 UI가 복수 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다면체 UI 각각은 복수의 사용자와 매핑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다면체 UI 중 하나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복수의 다면체 UI 중 선택된 하나를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면체 UI 내지 제3 다면체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다면체 UI를 외부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선택된 제2 다면체 UI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면체 UI가 정육면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면체 UI는 정사면체, 정팔면체 등과 같은 다양한 다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면체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인터렉션은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으며, 제2 인터렉션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일 수 있으며, 제3 인터렉션은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 또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동영상 컨텐츠, 사진 컨텐츠 등과 같이, 영상 및 오디오가 함께 출력되는 컨텐츠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710). 이때,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은 제1 음악 컨텐츠의 커버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100)는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S1720). 이때, 사용자 인터렉션은 터치 인터렉션 또는 버튼 인터렉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유형을 판단한다(S1730).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한다(S1740). 이때, 제1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 또는 리모컨의 좌우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 인터렉션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한다(S1750). 이때, 제2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 또는 리모컨의 상하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 인터렉션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한다(S1760). 이때, 제3 인터렉션은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인터렉션 또는 기설정된 이상의 속도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다면체 UI를 통해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전자 장치(20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3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전자 장치(20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210: 디스플레이부 120, 250: 오디오 출력부
130, 260: 감지부 140, 27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메모리
240: 오디오 처리부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면체 UI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고,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임시저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상기 버퍼에 임시저장된 영상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다면체 UI를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2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와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된 제3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고,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과 대응되도록 상기 다면체 UI를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면들에 디스플레이될 음악 컨텐츠들의 영상들을 임시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제1 인터렉션 또는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상기 임시저장된 영상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상기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회전된 다면체 UI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2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인터렉션이며,
    상기 제3 인터렉션은 상기 다면체 UI의 일 지점을 터치한 후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플릭 인터렉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다면체 UI를 상기 플릭 인터렉션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 인터렉션의 속도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의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음악 컨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기존에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감소하고, 새롭게 재생되는 음악 컨텐츠의 볼륨이 증가하는 페이드 인/아웃 효과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다면체 UI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음악 컨텐츠의 다음 음악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면에 접하는 제2 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면체 UI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평 방향의 제1 인터렉션 또는 수직 방향의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변경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대각선 방향의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면체 UI에 포함된 복수의 면 중 제1 면에 제1 음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 UI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평 방향의 제1 인터렉션 또는 수직 방향의 제2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음악 컨텐츠를 변경하여 재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이 대각선 방향의 제3 인터렉션인 경우,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24721A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28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21A KR20170028001A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16173576.6A EP3139260A1 (en) 2015-09-03 2016-06-0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181,563 US20170068514A1 (en) 2015-09-03 2016-06-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9826 WO2017039371A1 (en) 2015-09-03 2016-09-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721A KR20170028001A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001A true KR20170028001A (ko) 2017-03-13

Family

ID=5613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721A KR20170028001A (ko) 2015-09-03 2015-09-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68514A1 (ko)
EP (1) EP3139260A1 (ko)
KR (1) KR20170028001A (ko)
WO (1) WO2017039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9014A1 (en) * 2017-01-05 2018-07-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ive polyhedral display device
US10864454B1 (en) * 2019-12-24 2020-12-15 William Davis Interactive audio playback cu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8111B2 (en) * 2004-08-03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JP4318047B2 (ja) * 2005-06-06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3次元オブジェクト切替表示方法及び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US7487467B1 (en) * 2005-06-23 2009-02-03 Sun Microsystems, Inc. Visual representation and other effect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a device with a small screen
JP4573130B2 (ja) * 2006-07-21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及び再生プログラム
US8788977B2 (en) * 2008-11-20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KR20110036463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브라우징 방법
CA2881453A1 (en) * 2010-01-26 2011-08-0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20013727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294B1 (ko) * 2013-05-10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737357B2 (ja) * 2013-10-18 2015-06-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371A1 (en) 2017-03-09
EP3139260A1 (en) 2017-03-08
US20170068514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128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08647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880643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US10168797B2 (en)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KR10158030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696899B2 (en)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method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35722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1100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1236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635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이의 스피커 장치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 전환 방법 및 음향 시스템
US201900121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351634B1 (ko)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72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2017002800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73281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KR2017000968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44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567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