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63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634A
KR20170027634A KR1020150124515A KR20150124515A KR20170027634A KR 20170027634 A KR20170027634 A KR 20170027634A KR 1020150124515 A KR1020150124515 A KR 1020150124515A KR 20150124515 A KR20150124515 A KR 20150124515A KR 20170027634 A KR20170027634 A KR 2017002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area
screen
displayed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안
김남기
김인숙
전봉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634A/ko
Publication of KR2017002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단말기는 다수의 아이콘과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과, 다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드래그 제스처가 지나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상에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는, 다수의 아이콘과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다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드래그 제스처가 지나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상에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화면에서, 메인 표시 영역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이형 표시 영역이 항상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이형 표시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정 아이콘을 이형 표시 영역에서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의 사이즈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간단한 제스처 동작에 의해 후면 영상 화면을 확대시키거나 원래의 사이즈로 복귀시켜 사용자가 후면 영상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형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메인 표시 영역으로 디스플레이시는 한편, 제2 정보를 이형 표시 영역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여러 정보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인 표시 영역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이형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후속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메라 기능과 뮤직 재생이 동시에 수행되고, 카메라 기능과 뮤직 재생 중 하나의 실행이 중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보여준다.
도 3은 이형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실행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뮤직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6은 비디오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7은 이형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8은 화면 분할을 이용하여 아이콘을 편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9는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일 화면 예시도다.
도 10은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1은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2는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3은 메인 표시 영역을 포함한 화면이 온되는 경우에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화면을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보여준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220)은 메인 표시 영역(215)과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편의상 이형 표시 영역(210)을 제1 표시 영역이라고 명명하고 메인 표시 영역(215)을 제2 표시 영역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의 사이즈는 이형 표시 영역(210)의 사이즈보다 크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사이즈는 이형 표시 영역(210)의 사이즈의 2배 내지 4배 클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메인 표시 영역(215)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다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다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실행되는 경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온/오프에 의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온시 전원이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공급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이 활성화되며 이에 따라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오프시 전원이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메인 표시 영역(215)이 블랙 계조가 되어 해당 정보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반해, 이형 표시 영역(210)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관계없이 항상 활성화되어 항상 정보를 볼 수 있는 영역이다.
메인 표시 영역(215)이 비활성화될지라도 이형 표시 영역(210)은 활성화되므로, 이형 표시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항상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에게 바로 보여줄 수 있는 정보 즉 통지(notification) 정보, 예컨대 시간, 날씨, 배터리 정보가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는 사용자가 자주 실행 및 사용하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형 표시 영역(210)은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보다 더 많은 영역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형 표시 영역(210)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215)이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이형 표시 영역(210)이 항상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이형 표시 영역(210)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이형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의 실행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특정 아이콘(30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touch and drag gesture)가 입력되면, 특정 아이콘(301)이 실행되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는 특정 아이콘(301)으로부터 일방향을 따라 드래그되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아이콘(301)으로부터 제1 영역(201)에 인접한 제2 영역(203)까지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영역(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 예컨대 통지 정보가 포함된 통지 화면이 제3 영역(205)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제2 영역(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통지 정보가 제3 영역(205)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에 의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반투명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과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중복되어 함께 보여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투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투명도가 최대치가 되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은 보이지 않게 되고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만 보이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투명도는 감소될 수 있다.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투명도가 최소치가 되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만이 보이게 되고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은 보이지 않게 된다.
예컨대, 특정 아이콘(301)으로부터 제2 영역(203)을 경유하여 제3 영역(205)까지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제 3 영역으로 확대되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아이콘(301)을 이형 표시 영역(210)에서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의 사이즈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을 종료시키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은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각선 방향은 제3 영역(205)의 하측으로부터 제1 영역(201)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3 영역(205)으로부터 제1 영역(201)을 따라 드래그 제스처에 의해서도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301)의 실행 화면(303)이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화면 분할에 의해 구현 가능한 다양한 활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카메라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이 카메라 아이콘(30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 아이콘(306)에 대한 터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아이콘(306)이 실행되어 전면 카메라의 활성화로 인해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면 영상 화면(307)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터치 드래그 제스처는 카메라 아이콘(306)으로부터 제1 영역(201)에 인접한 제2 영역(203)까지 수행될 수 있다.
전면 영상 화면(307)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영역(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통지 화면은 제3 영역(205)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전면 영상 화면(307)에 포함된 촬영 버튼(308)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통해 해당 전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만일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3 영역(20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카메라 모드가 후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어 후면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후면 영상 화면(309)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예로서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309)에 대한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영상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후면 카메라 모드가 전면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어 다시 전면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면 영상 화면(307)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면 영상 화면(307)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309)으로 인해 통지 정보를 보지 못할 때 사용자가 통지 정보를 보고 싶은 경우, 제3 영역(205)으로부터 제2 영역(203)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후면 영상 화면(309)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으로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통지 정보가 포함된 통지 화면이 제3 영역(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후면 영상 화면(309)을 종료시키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309)은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후면 영상 화면(309)이 사라짐에 따라 후면 카메라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 더 이상 동작되지 않게 된다.
대각선 방향은 제3 영역(205)의 하측으로부터 제1 영역(201)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뮤직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뮤직 아이콘(3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영역(201)으로부터 제2 영역(203)으로 뮤직 아이콘(311)에 대한 터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아이콘(311)이 실행되어 뮤직 화면(31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뮤직 화면(313)에는 해당 뮤직에 대한 가사를 보여주는 가사 윈도우(315)와 뮤직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뮤직 제어 윈도우(317)가 포함될 수 있다.
뮤직 제어 윈도우(317)에는 되돌리기 기능, 빨리 감기 기능, 정지 기능 등과 관련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해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뮤직 화면(31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영역(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통지 정보가 포함된 통지 화면은 제3 영역(205)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영역(201)으로부터 제2 영역(203)으로 뮤직 아이콘(311)에 대한 터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정보가 포함된 통지 화면이 제3 영역(205)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고, 뮤직 화면(313)이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이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3 영역(20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3 영역(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화면은 사라지고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이 제2 및 제3 영역(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이 사라지고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제2 영역(203)에서 제3 영역(205)으로부터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화면(313)은 제2 및 제3 영역(203, 205)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제1 영역(201) 상에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을 이용하여 다른 뮤직들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화면(313)이 제1 및 제2 화면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뮤직 화면(313)을 종료시키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은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각선 방향은 제3 영역(205)의 하측으로부터 제1 영역(201)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비디오 기능을 화면 분할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비디오 아이콘(3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 아이콘(320)에 대한 터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아이콘(320)이 실행되어 비디오 화면(321)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 화면(321)에는 해당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323)와 비디오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비디오 제어 윈도우(325)가 포함될 수 있다.
비디오 제어 윈도우(325)에는 되돌리기 기능, 빨리 감기 기능, 정지 기능 등과 관련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제스처에 의해 해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화면(321)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2 영역(203)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통지 정보가 포함된 통지 화면은 제3 영역(205)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제2 영역(203)에서 제3 영역(205)으로부터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비디오 화면(321)은 제2 및 제3 영역(203, 205)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제1 영역(201) 상에 비디오 재생 리스트 화면(32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비디오 재생 리스트 화면(327)을 이용하여 다른 뮤직들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려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화면(321)이 제1 및 제2 화면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 화면(321)을 종료시키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재생 리스트 화면(327)은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되었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각선 방향은 제3 영역(205)의 하측으로부터 제1 영역(201)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은 이형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2 영역(203) 상에 예컨대 시간, 날씨, 배터리 정보와 같은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과 같은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통지 오브젝트(330)를 포함하는 통지 화면(331)이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지 오브젝트(330)와 관련된 통지 정보를 보고 싶은 경우, 제2 영역(203) 상의 임의의 2 지점 각각으로부터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지 화면(331)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두 지점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왼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제2 영역(203)의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제3 영역(205)으로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는 한편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제2 영역(203)의 다른 지점으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에서 터치 홀드가 지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위에서는 서로 다른 손을 이용하여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수행되었지만, 한 손을 이용하여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확대된 통지 화면(331)에는 통지 오브젝트(330)와 더불어 통지 상대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통지의 상세 내용도 통지 화면(331)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의 종점에서 유지되는 터치 홀드에 대한 해제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화면(331)은 사라지고 원래의 정보들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통지 오브젝트(330)에 대한 내용은 도 7b에 도시된 확대 화면에서 확인되었으므로, 해당 통지 오브젝트(330)가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만일 제2 영역(203)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통지 화면(333)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적어도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통지 화면(333)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전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메인 표시 영역(215)이 비활성 상태일 때 제2 영역(203)의 임의의 한 지점으로부터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이 활성화되고 통지 화면(333)이 상기 활성화된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화면(333)이 사라질 수 있다.
상기 통지 화면(333)이 사라질 때 메인 표시 영역(215) 또한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일방향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은 예컨대 통지 화면(333)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화면 분할을 이용하여 아이콘을 편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 영역(201)에 대한 롱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가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롱 터치라 함은 적어도 0.5초 내지 1.5초 동안 터치 상태가 유지됨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는 다수의 아이콘(a, b, c)이 포함될 수 있다.
다수의 아이콘(a, b, c)는 사용자에 의해 최근에 다운로드되었거나 실행되었던 아이콘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수의 아이콘(a, b, c)은 제1 영역(201)이나 제2 영역(203)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제1 또는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은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 포함되는 아이콘(c)가 터치되어 제1 영역(201)으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c)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 이동되어 제1 영역(201)에 추가되고 제1 영역(201) 상에서 실행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01)으로 이동된 아이콘(c)이 터치되면, 아이콘(c)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 포함되는 아이콘(b)가 터치되어 제1 영역(201)으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아이콘(b)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부터 제2 영역(203)으로 이동되어 제2 영역(203)에 추가되고 제2 영역(203) 상에서 실행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아이콘(b)가 제2 영역(203)으로 그리고 아이콘(c)가 제1 영역(201)으로 추가되는 경우,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서 아이콘(b)와 아이콘(c)는 삭제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영역(201) 또는 제2 영역(203)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로 이동되고 해당 아이콘이 제1 영역(201) 또는 제2 영역(203)에서 삭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아이콘이 터치되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특정 아이콘이 제1 영역(201) 상에서 삭제되고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 추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가 제2 영역(203)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에 대해 터치가 없는 경우,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가 제2 영역(203)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는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롱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었던 제1 영역(201)에 대해 다시 롱 터처 제스처가 입력되면, 아이콘 편집 윈도우(341)가 제2 영역(203)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일 화면 예시도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이 카메라 아이콘(30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아이콘(306)이 터치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되는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메인 표시 영역(215)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아이콘(306)이 터치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될 때, 제2 카메라도 활성화되어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화면(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 화면(345)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데 반해, 제2 영상 화면(347)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이고, 제2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에 대한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카메라 아이콘(306)이 터치되어 제2 영역(203)을 경유하여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제1 및 제2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이 제1 영역(201)과 제1 영역(20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 영역(203)으로 분할될 때,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상 화면(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및 제2 영역(201, 203)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만일 카메라 아이콘(306)이 터치되어 제2 및 제3 영역(203, 205)을 경유하여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제1 내지 제3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3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나 후면 카메라과 다른 카메라로서, 예컨대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 분할되되, 제1 영역(201)이 상측에 위치되고, 제2 및 제3 영역(203, 205)이 제1 영역(20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상 화면(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제3 영상 화면(349)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3 영역(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으로부터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은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 화면(345)은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이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카메라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215) 또한 비활성화되어 블랙 계조 상태(화면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0은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의 설명은 도 9a 및 도 9b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에 대해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화면(345), 즉 후면 영상 화면이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부터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후면 영상 화면이 메인 표시 영역(215)뿐만 아니라 이형 표시 영역(210)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즉, 후면 영상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 즉 전면 영상 화면 또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면 영상 화면의 확대 비율은 후면 영상 화면의 확대 비율과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면 영상 화면이 10% 확대되면, 후면 영상 화면 또한 10% 확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면 영상 화면이 확대될 때,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면 영상 화면은 사라져 상기 확대된 후면 영상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면 영상 화면이 사라짐에 따라 전면 카메라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 더 이상 동작되지 않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확대된 후면 영상 화면에 대해 일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과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확대된 후면 영상 화면이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 상태로 변경되고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는 원래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확대된 후면 영상 화면에 대해 더블 탭 제스처가 다시 입력되면, 상기 확대된 후면 영상 화면은 원래의 사이즈로 축소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 또는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일 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이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 상태로 변경되고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는 원래의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블 탭 제스처에 의한 영상 화면의 확대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표시 영역(215)이나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표시 영역(2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의 일 영역 즉, 후면 영상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 즉 전면 영상 화면 또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제스처 동작에 의해 후면 영상 화면을 확대시키거나 원래의 사이즈로 복귀시켜 사용자가 후면 영상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도 2의 220)은 메인 표시 영역(215)과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형 표시 영역(210)은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다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203) 상에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201) 상에 적어도 카메라 아이콘(306)과 뮤직 아이콘(3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 아이콘(306)은 제1 내지 제3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아이콘(306)으로부터 제2 영역(203)을 경유하여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제1 영상 화면(345)과 제2 영상 화면(347)이 디스플레이될 있다.
제1 영상 화면(345)은 제1 카메라의 활성화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서, 예컨대 후면 영상 화면일 수 있다.
제2 영상 화면(347)은 제2 카메라의 활성화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서, 예컨대 전면 영상 화면일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215)은 상측에 위치된 제1 영역(201)과 제1 영역(201)의 하측에 위치된 제2 영역(2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상 화면(345)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상 화면(347)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대각선 방향을 따라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은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아이콘(311)으로부터 제2 영역(203)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화면(313)이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정보가 밀려서 제3 영역(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뮤직 화면(313)에는 해당 뮤직에 대한 가사를 보여주는 가사 윈도우(도 5의 315)와 뮤직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뮤직 제어 윈도우(도 5의 317)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뮤직 화면(313)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3 영역(20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뮤직 화면(313)은 확대되어 제1 및 제2 영역(201, 203)뿐만 아니라 제3 영역(205)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뮤직 화면(313)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203)으로부터 제3 영역(20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뮤직 화면(313)이 제2 및 제3 영역(203, 205)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201) 상에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영역(205)으로부터 제1 영역(201)으로 예컨대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뮤직 화면(313) 및/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은 사라지고 원래의 정보들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원래의 정보들은 통지 정보나 아이콘 등일 수 있다.
만일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으로부터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영상 화면과 뮤직 화면(313)이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은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이동되어 이동 표시 영역의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은 메인 표시 영역(215) 상으로 이동되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뮤직 화면(313)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여전히 후면 영상 화면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면 영상 화면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전체 영역, 즉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이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부터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화면(313)과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후면 영상 화면이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 상태로 변경되며 원래의 정보들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 표시 영역(21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디스플레이시는 한편, 제2 정보를 이형 표시 영역(210)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여러 정보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후속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카메라 기능을 이형 표시 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에 이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또 다른 화면 예시도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 표시 영역(210)은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부터 구분되고, 예컨대 제1 영역(201) 상에 적어도 카메라 아이콘(306)과 뮤직 아이콘(3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카메라 아이콘(306)으로부터 제2 및 제3 영역(203, 205)을 경유하여 메인 표시 영역(21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제1 내지 제3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이고, 제2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이며, 제3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나 후면 카메라과 다른 카메라로서, 예컨대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상 화면(345)은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후면 영상 화면이고, 제2 영상 화면(347)은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면 영상 화면이며, 제3 영상 화면(349)은 제3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광각 영상 화면일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 분할되되, 제1 영역(201)이 상측에 위치되고, 제2 및 제3 영역(203, 205)이 제1 영역(20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상 화면(345)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상 화면(347)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제3 영상 화면(349)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3 영역(2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2 영역(203)으로부터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영역(201)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의 제1 및 제2 영역(201, 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및 제2 영상 화면(345, 347)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상 화면(347)은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상 화면(345)은 제2 영역(203)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이 사라지고 제1 내지 제3 카메라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표시 영역(215) 또한 비활성화되어 블랙 계조 상태(화면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다가 뮤직을 듣고 싶은 경우,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뮤직 아이콘(311)으로부터 제2 영역(203)을 경유하여 제3 영역(205)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화면(313)과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이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뮤직 화면(313)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2 및 제3 영역(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319)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영역(20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뮤직은 듣지만 카메라 기능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 메인 표시 영역(215)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표시 영역(21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은 사라지고 메인 표시 영역(215)은 화면 오프되어 비활성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345, 347, 349)은 사라짐에 따라 제1 내지 제3 카메라 또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어 제1 내지 제3 카메라가 더 이상 동작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기능과 뮤직 재생이 동시에 수행되고, 필요에 따라 카메라 기능과 뮤직 재생 중 하나의 실행이 중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형 표시 영역(210)의 화면이 항상 온되는데 반해, 메인 표시 영역(215)의 화면은 오프됨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도 13을 참조하여 이형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메인 표시 영역을 포함한 화면이 온되는 경우에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화면을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예컨대 홈 화면 상에 다수의 아이콘, 위젯(widget) 오브젝트 및 상태 바(35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태 바(3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아이콘이나 알림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바(351)에는 빠른 설정 기능 아이콘, 바로 접근 가능한 아이콘, 화면 밝기/볼륨 조절, 현재 실행 중인 기능의 상태나 알림을 표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태 바(35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화면(353, 355, 357)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각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두 손가락은 한 손의 두 손가락일 수도 있고, 두 손, 즉 왼손 및 오른손 각각의 한 손가락일 수도 있다.
예컨대, 이형 표시 영역(210)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으로 구분되어,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해당 실행 화면(353, 355, 35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실행 화면(353, 355, 357)이 3개 이상인 경우,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1 내지 제3 영역(201, 203, 205)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실행 화면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형 표시 영역(210)에 대해 일방향, 예컨대 수평 방향을 따라 플리킹(flicking) 제스처가 입력되면, 플리킹 제스처의 진행 방향에 따라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실행 화면(353, 355, 357)은 사리지는 대신 새로운 실행 화면이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형 표시 영역(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실행 화면(353, 355, 357)을 이형 표시 영역(210)에 아이콘으로 설정시켜 항상 사용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실행 화면(353, 355, 357)에 대해 예컨대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실행 화면(357)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아이콘(359)이 해당 실행 화면(357)이 디스플레이되는 이형 표시 영역(210)의 해당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당 실행 화면이 해당 영역 상에 아이콘으로 설정되는 경우, 각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한 영역으로 모아 설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2 영역에 설정된 아이콘으로부터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콘이 특정 영역으로 이동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이형 표시 영역(210)의 제3 영역에 설정된 아이콘으로부터 특정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콘이 특정 영역으로 이동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태 바(35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바로 보여줄 수 있는 정보 즉 통지 정보, 예컨대 시간, 날씨, 배터리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화면이 이형 표시 영역(210)의 특정 영역 상에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9)

  1. 다수의 아이콘과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다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드래그 제스처가 지나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상에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일렬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상기 특정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통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특정 아이콘으로부터 드래그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드래그 제스처가 지나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 상에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제스처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으로 지나가는 경우,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제3 영역으로 밀려 디스플레이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3 영역으로 확대시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카메라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카메라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아이콘을 실행시켜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카메라 모드를 제2 카메라 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제2 카메라 모드에 의해 활성화된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화면을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뮤직 아이콘 또는 비디오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특정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을 실행시켜 뮤직 화면 또는 비디오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뮤직 화면 또는 비디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뮤직 화면 또는 비디오 화면을 상기 제2 및 제3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뮤직 재생 리스트 화면 또는 비디오 재생 리스트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통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통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의 두 지점으로부터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통지 화면을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확대시키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의 두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및 제3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수행된 후 해제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통지 화면을 사라지게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카메라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아이콘을 실행시켜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화면을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카메라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화면과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화면을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카메라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화면,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화면 및 제3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3 영상 화면을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 확대시키는 이동 단말기.
  17. 제13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콘은 뮤직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뮤직 아이콘으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뮤직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화면으로부터 상기뮤직 화면으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하나의 영상 화면과 상기 뮤직 화면을 서로 변경시키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적어도 하나의 영상 화면을 사라지게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124515A 2015-09-02 2015-09-02 이동 단말기 KR20170027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15A KR20170027634A (ko) 2015-09-02 2015-09-02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515A KR20170027634A (ko) 2015-09-02 2015-09-02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34A true KR20170027634A (ko) 2017-03-10

Family

ID=5841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515A KR20170027634A (ko) 2015-09-02 2015-09-02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3437A (zh) * 2017-04-26 2017-09-22 咪咕音乐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3437A (zh) * 2017-04-26 2017-09-22 咪咕音乐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7193437B (zh) * 2017-04-26 2023-10-20 咪咕音乐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7415A1 (en) Identifying applications on which content is available
US10509492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27201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01056B2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281313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0193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73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77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92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11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90034075A1 (en)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KR2018013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6296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872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353550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back in an accessibility mode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85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5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5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44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815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9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