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473A -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473A
KR20170027473A KR1020150124123A KR20150124123A KR20170027473A KR 20170027473 A KR20170027473 A KR 20170027473A KR 1020150124123 A KR1020150124123 A KR 1020150124123A KR 20150124123 A KR20150124123 A KR 20150124123A KR 20170027473 A KR20170027473 A KR 20170027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enerator rotor
generator
shaft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579B1 (ko
Inventor
신관수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5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른 상기 몸체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하는 발전기 회전자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로서, 지면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몸체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간접적으로 지지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몸체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제1 블록; 및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블록이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블록이 지지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DRAWOUT AND DRAWIN DEVICE OF GENERATOR ROTOR}
본 발명은 발전기 회전자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기 회전자는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 몸체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 회전자는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른 몸체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발전기 고정자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런데 발전기 회전자의 고장이 발생되면, 발전기 고정자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여 발전기 회전자를 수리해야 한다.
발전기 회전자를 발전기 고정자 내부로부터 인출 하는 작업은 체인 블록(Chain Block)을 발전기 회전자에 연결하여 인출하는 방식으로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체인 블록을 발전기 회전자에 연결하여 인출하는 방법은 발전기 회전자의 인출 시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될 수 있다. 또 체인 블록을 발전기 회전자에 설치할 때,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필요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 회전자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발전기 회전자를 발전기 고정자로부터 인출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른 상기 몸체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하는 발전기 회전자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로서, 지면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몸체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간접적으로 지지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몸체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제1 블록; 및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블록이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블록이 지지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에 의하면, 발전기 회전자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발전기 회전자를 발전기 고정자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제2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를 인출하는 제3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1 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2 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2 블록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이송부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른 상기 몸체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하는 발전기 회전자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로서, 지면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몸체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간접적으로 지지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몸체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제1 블록; 및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블록이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블록이 지지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더 큰 곡률 반경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가 긴 경우,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이 모두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한 채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는 일 부분이 상기 제1 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블록이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할 때 상기 레일에 밀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안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블록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은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위치 조정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전기 회전자(200)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여, 발전기 회전자(200)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발전기 회전자(200)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전기 회전자(200)는 몸체(220), 샤프트(240) 및 베어링(26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20)는 발전기 고정자(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20)의 외면을 따라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샤프트(240)는 몸체(220)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베어링(260)은 샤프트(240)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샤프트(2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 회전자(200)는 발전기 고정자(10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몸체(220)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발전기 고정자(100)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발전기 회전자(200)를 발전기 고정자(100)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를 장착할 수 있다.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는 이송부(1200),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200)는 레일(R)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송부(1200)에는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이 차례로 안착될 수 있다. 제2 블록(1600)은 제1 블록(14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제2 안착부(164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블록(1600)에 샤프트(240)가 안착됨에 따라 제1 블록(1400)은 제2 블록(1600)을 통해 간접적으로 발전기 회전자(20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는 제2 블록(1600)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와 동일하므로, 제2 블록(160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는 제2 블록(1600)이 한 쌍으로 제공되어, 베어링(260)을 기준으로 양측의 샤프트(240)를 각각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2 블록(1600)은 길이가 긴 샤프트(240)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한 쌍으로 제공되었지만, 샤프트(240)의 길이 또는 중량에 따라 제2 블록(16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복수 개로 제공되는 제2 블록(1600)을 각각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한다면, 샤프트(240)의 처짐 발생이 더 감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는 제2 블록(1600)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와 동일하므로, 제2 블록(160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1 단계는 제2 블록(1600)이 샤프트(240)와 베어링(260)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블록(1600)에 샤프트(240) 및 베어링(260)을 모두 안착될 경우, 발전기 고정자(100)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할 때, 제2 블록(1600)이 상대적으로 자중이 큰 베어링(260) 부분과 샤프트(240)를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발전기 회전자(200)의 베어링(260) 부분의 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2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샤프트(240)가 제2 블록(1600)에 안착되도록 레일(R) 상에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를 설치한 후,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블록(1400)은 발전기 회전자(200)의 자중을 제2 블록(16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한 채 이송부(1200)에 안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발전기 회전자(200) 인출 장치는 레일(R) 상에서 위치 이동하던 것을 정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하는 제3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블록(1400)은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가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송부(1200)에 안착된 채 발전기 고정자(1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블록(1600)은 제1 블록(1400)으로부터 분리되어 샤프트(240) 및 상기 베어링(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한 채 지지대(20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자 인출입 장치는 이송부(1200),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200) 상에는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이 서로 결합된 채 안착될 수 있다.
이송부(1200),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각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1 블록(1400)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블록(1400)은 제1 지지부(1420) 및 제1 안착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420)는 블록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상부 가장자리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1422)는 제1 지지부(1420)의 가장자리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체결 돌기 또는 제1 지지부(1420)의 가장자리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체결 홈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420)는 제1 지지부(14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측의 제1 지지부(14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할 고정 홈(1224, 도 15a 참조)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14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424)는 제1 지지부(1420)의 하면 일측의 가운데에 구비될 수 있다.
또 제1 지지부(1420)는 제1 지지부(14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타측의 제1 지지부(142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할 각도 조절 홈(1222, 도 15a 참조)에 삽입되는 각도 조절 돌기(14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 돌기(1426)는 고정 돌기(1424)와 같은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420)는 발전기 회전자(200, 도 2 참조)의 몸체(220, 도 2 참조)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가 안착되도록 제1 지지부(1420)의 상면으로부터 몸체(220)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143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의 1/2 정도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0)가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를 감싸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는 제1 안착부(143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부(143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와의 마찰력을 높여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가 제1 안착부(143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가 제1 안착부(1430)에 안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제공되는 고무 재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안착부(1430)는 고무 재질의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무, 에폭시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420)는 제1 안착부(1430)와 동일한 재질로 제공되거나 제1 안착부(1430)와 상이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1 지지부(1420)는 유리와 같이 취성이 있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발전기 회전자(2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블록(1400)은 발전기 회전자(200)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발전기 회전자(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2 블록(1600)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2 블록(1600)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블록(1600)은 제2 지지부(1620) 및 제2 안착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620)는 블록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16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622)는 제2 지지부(1620)의 가장자리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체결 돌기 또는 제2 지지부(1620)의 가장자리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되는 체결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라이드 부재(162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22, 도 8 참조)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드 부재(1422)가 체결 돌기로 제공될 경우, 제2 슬라이드 부재(1622)는 이에 대응되는 체결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드 부재(1422)가 체결 홈으로 제공될 경우, 제2 슬라이드 부재(1622)는 이에 대응되는 체결 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22)는 체결 홈으로 제공되고 제2 슬라이드 부재(1622)는 체결 돌기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2 블록(1600)은 샤프트(240, 도 2 참조) 및 베어링(260, 도2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한 채 제1 블록(1400, 도 2 참조)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1 블록(1400)이 발전기 고정자(100, 도 2 참조)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지지대(2000)에 안착되는 제2 지지부(1620)의 지지대(2000, 도 6 참조)에 안착되는 일 부분이 제1 블록(14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1620)의 측면이 제1 지지부(1420)의 측면과 동일 면상에 제공되지 않고, 제2 지지부(1620)의 측면이 제1 지지부(1420)의 측면보다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1620)의 하면 일부분이 제1 지지부(1420)에 안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블록(1600)이 제1 블록(1400)으로부터 분리되기 직전에, 제1 지지부(14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지지부(1620)의 일부분은 지지대(200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620)의 일부분이 지지대(2000)에 안착된 후, 제2 블록(1600)이 제1 블록(1400)으로부터 분리되고 지지대(2000)를 위치 이동시켜 제2 블록(1600)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64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안착되도록 제2 지지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샤프트(240)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부(1640)는 제1 안착부(1430)보다 더 작은 곡률 반경으로 제2 지지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의 곡률 반경이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제2 안착부(164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의 1/2 정도를 감싸며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640)가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를 감싸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는 제2 안착부(16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착부(1640)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와의 마찰력을 높여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제2 안착부(164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가 제2 안착부(1640)에 안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고무 재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안착부(1640)는 고무 재질의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무, 에폭시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620)는 제2 안착부(1640)와 동일한 재질로 제공되거나 제2 안착부(1640)와 상이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부(1620)는 유리와 같이 취성이 있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발전기 회전자(2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블록(1600)은 발전기 회전자(200)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발전기 회전자(200)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2 블록(1600)은 제2 안착부(164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2 블록(1600)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제2 안착부(1640)의 형상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안착부(1640)는 샤프트(240) 및 베어링(260)이 모두 안착되도록 제2 지지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640)가 샤프트(240) 및 베어링(260)을 모두 수용할 경우, 발전기 고정자(100)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할 때, 제2 안착부(1640)가 상대적으로 자중이 큰 베어링(260) 부분과 샤프트(240)를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발전기 회전자(200)의 베어링(260) 부분의 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결합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블록(14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블록(1400)의 상부 일단에 제2 블록(16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은 제1 지지부(1420)의 제1 슬라이드 부재(1422)에 제2 지지부(1620)의 제2 슬라이드 부재(1622)가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부(1430)의 곡률 반경은 제2 안착부(1640)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안착부(143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 도2 참조)의 몸체(220, 도 2 참조)의 곡률 반경이 제2 안착부(164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 도 2 참조)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블록(14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블록(1400)의 상부 양단에 한 쌍의 제2 블록(16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은 제1 지지부(1420)의 제1 슬라이드 부재(1422)에 제2 지지부(1620)의 제2 슬라이드 부재(1622)가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2 개의 제2 지지부(1620)를 포함하는 제2 블록(1600)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 개의 제2 지지부(1620)를 포함하는 제2 블록(16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지지부(1620) 간의 간격이 동일하게 제공될 경우, 발전기 회전자(200, 도 2 참조)의 자중에 의한 처짐 발생이 더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부(1430)의 곡률 반경은 제2 안착부(1640)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안착부(143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몸체(220)의 곡률 반경이 제2 안착부(164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블록(14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블록(1400)의 상부 일단에 제2 블록(16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은 제1 지지부(1420)의 제1 슬라이드 부재(1422)에 제2 지지부(1620)의 제2 슬라이드 부재(1622)가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0)의 곡률 반경은 제2 안착부(1640)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안착부(143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 도 2 참조)의 몸체(220, 도 2 참조)의 곡률 반경이 제2 안착부(1640)에 안착되는 발전기 회전자(200)의 샤프트(240, 도 2 참조) 및 베어링(260, 도 2 참조)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이송부(1200)가 레일(R)에 결합된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이송부(1200)가 레일(R)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송부(1200)는 플레이트(1220) 및 롤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220)는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이 안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220)에는 고정 홈(1224), 각도 조절 홈(1222) 및 각도 조절 부재(3000, 도 15a 참조) 수용 공간(122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224)은 제1 블록(1400, 도 8 참조)의 고정 돌기(1424, 도 8 참조)가 삽입 고정되도록 플레이트(122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홈(1222)은 제1 블록(1400)의 각도 조절 돌기(1426)가 삽입되도록 플레이트(122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 홈(1222)은 고정 돌기(1424)가 고정된 채 고정 돌기(1424)를 축으로 각도 조절 돌기(1426)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3000) 수용 공간(1226)은 플레이트(1220)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3000) 수용 공간(1226)은 각도 조절 부재(300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각도 조절 부재(3000)의 회전 반경에 따라 각도 조절 부재(300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한다.
롤러(1240)는 플레이트(1220)의 하부에 장착되어 레일(R) 상을 이동할 때 레일(R)에 밀착되어 구름 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200)의 이동 수단은 레일(R)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1240)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구조 및 래크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각도 조절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각도 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의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되고, 도 15b를 참조하면, 정렬되지 않은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은 각도 조절 부재(3000)의 조정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3000)는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정렬 상태 또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 부재(3000)는 봉 형상으로 제공되어 각도 조절 부재(3000) 수용 공간(1226)에 수용되는 부재로, 일단에는 제1 블록(1400)의 각도 조절 돌기(1426)가 삽입되는 삽입 홈(3100)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부재(3000)는 제1 블록(1400)의 각도 조절 돌기(1426)와 연결되어 각도 조절 돌기(1426)가 각도 조절 홈(1222)을 따라 회전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블록(1400)의 고정 돌기(1424)가 이송부(1200)의 고정 홈(122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각도 조절 축이 될 수 있다. 고정 돌기(1424)를 축으로 각도 조절 부재(30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도 조절 부재(30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조정하면, 각도 조절 돌기(1426)가 각도 조절 홈(1222) 내에서 회전 이동되어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각도 조절 부재(3000)로 제1 블록(1400) 및 제2 블록(1600)의 정렬 상태를 맞추어 발전기 회전자(200, 도 2 참조)의 몸체(220, 도 2 참조), 샤프트(240, 도 2 참조) 및 베어링(260, 도 2 참조)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1000)에 의하면, 발전기 고정자(100)의 내부로부터 발전기 회전자(200)가 인출될 때 발전기 회전자(20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발전기 회전자(200)를 인출함에 따라 작업자가 발전기 회전자(200)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할 때 충분한 작업 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발전기 고정자 200: 발전기 회전자
220: 몸체 240: 샤프트
260: 베어링 1000: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1200: 이송부 1220: 플레이트
1240: 롤러 1400: 제1 블록
1420: 제1 지지부 1430: 제1 안착부
1600: 제2 블록 1620: 제2 지지부
1640: 제2 안착부 2000: 지지대
3000: 각도 조절 부재 3100: 삽입 홈
R: 레일

Claims (8)

  1.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 제공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고정자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른 상기 몸체에 권선되는 코일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에 출력 단자 전압을 유도하는 발전기 회전자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로서,
    지면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몸체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간접적으로 지지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몸체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제1 블록; 및
    블록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이동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안착부에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된 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상기 발전기 고정자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블록이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블록이 지지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더 큰 곡률 반경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가 긴 경우, 상기 발전기 회전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블록의 상부에 복수 개가 결합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이 모두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한 채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 블록이 상기 발전기 고정자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는 일 부분이 상기 제1 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블록이 안착되도록 제공되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할 때 상기 레일에 밀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상기 발전기 회전자가 안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블록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블록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록의 타측은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위치 조정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20150124123A 2015-09-02 2015-09-02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KR10171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23A KR101716579B1 (ko) 2015-09-02 2015-09-02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23A KR101716579B1 (ko) 2015-09-02 2015-09-02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73A true KR20170027473A (ko) 2017-03-10
KR101716579B1 KR101716579B1 (ko) 2017-03-14

Family

ID=5841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23A KR101716579B1 (ko) 2015-09-02 2015-09-02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27B1 (ko) * 2019-07-15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용 리테이닝링의 위치 조절장치
KR20220081112A (ko) * 2020-12-08 2022-06-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축 발전기용 회전자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460A (ja) * 1998-02-04 1999-08-17 Nkk Corp 回転機のロータ抜き取り、挿入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0032714A (ja) * 1998-07-09 2000-01-28 Taihei Dengyo Kaisha Ltd 横軸型発電機のロータ引抜方法及び挿入方法
KR20000013479A (ko) * 1998-08-10 2000-03-06 김형국 대형로터의 분해 조립시스템
KR20140004821A (ko) * 2012-06-28 2014-01-14 두산엔진주식회사 발전기 회전자의 외통 분리 시스템 및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460A (ja) * 1998-02-04 1999-08-17 Nkk Corp 回転機のロータ抜き取り、挿入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0032714A (ja) * 1998-07-09 2000-01-28 Taihei Dengyo Kaisha Ltd 横軸型発電機のロータ引抜方法及び挿入方法
KR20000013479A (ko) * 1998-08-10 2000-03-06 김형국 대형로터의 분해 조립시스템
KR20140004821A (ko) * 2012-06-28 2014-01-14 두산엔진주식회사 발전기 회전자의 외통 분리 시스템 및 분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27B1 (ko) * 2019-07-15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용 리테이닝링의 위치 조절장치
KR20220081112A (ko) * 2020-12-08 2022-06-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축 발전기용 회전자 지지장치
WO2022124631A1 (ko) * 2020-12-08 2022-06-16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축 발전기용 회전자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579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215B1 (ko) 발전기용 여자기 로터의 인출장치
KR101716579B1 (ko) 발전기 회전자 인출입 장치
CN101508389A (zh) 用于支持页张运行的装置
KR20130032830A (ko) 다중 스테이션 직조기, 특히 투-포-원-트위스팅 또는 케이블링 머신
CN110589543B (zh) 一种布料卷筒分卷机构
KR1011766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CN211594460U (zh) 一种适应不同纸张的纠偏导向机构
CN111573396A (zh) 卷对卷收放卷设备
CN208577222U (zh) 一种退卷机
CN216122064U (zh) 一种分体式马达座
CN103993821B (zh) 卷帘
JP2015136262A (ja) ケーブル搬送装置
CN210041584U (zh) 一种新型的永磁电机定转子拆卸工装
CN106378360A (zh) 一种用于高精六辊铜箔压延机的支撑辊与轴承座的拆装装置
KR101110248B1 (ko)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판밀림 방지장치
KR100784180B1 (ko) 간지공급장치
CN205606105U (zh) 翻动装置及组合屏系统
CN214934494U (zh) 一种包装袋膜卷输送装置
CN215660129U (zh) 维修辅助装置
CN105293212B (zh) 卷料放料装置
CN209820726U (zh) 电动振动台
CN109617334A (zh) 一种电机装配工装
CN218433735U (zh) 一种光学玻璃用输送装置
CN210140296U (zh) 一种便于对边的卷布机
CN107565748B (zh) 半框直驱电机、运输固定方法、安装方法及拆装更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