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150A -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150A
KR20170027150A KR1020150123728A KR20150123728A KR20170027150A KR 20170027150 A KR20170027150 A KR 20170027150A KR 1020150123728 A KR1020150123728 A KR 1020150123728A KR 20150123728 A KR20150123728 A KR 20150123728A KR 20170027150 A KR20170027150 A KR 20170027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charge
case
discharge pipe
seal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587B1 (ko
Inventor
김초롱
최용수
김상훈
정상석
황원필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2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587B1/ko
Priority to JP2018523719A priority patent/JP6509437B2/ja
Priority to PL16842092T priority patent/PL3346520T3/pl
Priority to US15/565,854 priority patent/US10700324B2/en
Priority to CN201680022213.1A priority patent/CN107925033B/zh
Priority to EP16842092.5A priority patent/EP3346520B1/en
Priority to PCT/KR2016/006305 priority patent/WO2017039126A1/ko
Publication of KR2017002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587B1/ko
Priority to US16/883,123 priority patent/US115578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28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01M2/0267
    • H01M2/126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탭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실링되어 실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탭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위치한 상기 전극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면과 함께 결합되는 리드필름;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은 상기 리드필름에 매립되는 메인 가스방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필름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한다.

Description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방출관을 내장한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58649호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복수개의 전지셀을 포함하며, 상기 전지셀은 전극조립체, 전해액 및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파우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지셀은 파우치의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한 다음, 상기 파우치의 테두리를 실링하여 제조하며, 제조한 전지셀은 전지 성능 높이기 위해 충방전 공정을 거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지셀은 충방전 공정시 파우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며, 이에 파우치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지셀의 일측에 가스방출관을 내장시키며, 이 가스 배출관을 통해 전지셀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탭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실링되어 실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탭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위치한 상기 전극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면과 함께 결합되는 리드필름;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은 상기 리드필름에 매립되는 메인 가스방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필름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절개된 리드필름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은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상기 전극리드의 측부에 위치한 상기 리드필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매립되는 보조 가스방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실링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상기 절개된 실링면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전극리드가 결합된 전극조립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전극리드의 단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케이스에 수용하는 수용단계(S20);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위치한 상기 전극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리드필름을 배치하는 배치단계(S30); 메인 가스방출관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되, 일단은 상기 리드필름에 매립시키는 매립단계(S40); 및 상기 케이스의 전체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전지셀을 완성하는 실링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단계(S50) 후, 상기 완성된 전지셀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단계(S60)와; 충방전이 완료된 전지셀 내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가스 방출단계(S70)를 더 수행하며,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는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필름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노출된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 후,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위치한 리드필름을 열융착하여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실링하는 재 실링단계(S8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립단계(S4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보조 가스방출관을 더 배치하되,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단계(S50)는 상기 케이스의 전체 실링면을 열융착함에 따라 상기 실링면에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함께 실링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는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실링면을 절개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추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재실링단계(S80)는 절개된 상기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함께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스방출관을 내장한 전지셀을 마련함으로써 충반전시 상기 가스방출관을 외부로 노출시켜서 전지셀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안정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둘째: 외부로 노출된 가스방출관은 전지셀의 재실링시 함께 실링되며, 이에 가스방출관을 안정적으로 마감할 수 있다.
셋째: 가스방출관을 전지셀에 내장하되, 일단을 리드필름에 매립하며, 이에상기 리드필름의 절개를 통해 가스방출관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전지셀 내부에 보조 가스방출관을 더 포함함으로써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보다 신속하고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은 전극조립체 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전극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는 수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리드필름을 전극리드에 배치하는 배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가스방출관을 매립하는 매립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가스방출관으로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방출단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가스방출관과 보조 가스방출관을 재실링하는 재실링단계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탭(111)이 구비된 전극조립체(110),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하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실링되어 실링면(121)을 형성하는 케이스(120), 전극탭(111)에 결합되고 케이스(120) 밖으로 인출되는 전극리드(130), 케이스(120)의 실링면(121)에 위치한 전극리드(130)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고 실링면(122)과 함께 결합되는 리드필름(140), 및 케이스(120)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이 리드필름(140)에 매립되는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포함한다.
전극조립체(11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는 전극탭(111)이 각각 구비된다.
케이스(120)는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열융착되면서 수용부(121)를 실링하는 실링면(122)을 포함한다.
전극리드(130)는 전극조립체(110)의 전극탭(111)에 결합되고, 선단이 케이스(120)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리드필름(140)은 전극리드(130)와 케이스(120) 사이의 실링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20)의 실링면(122)에 위치한 전극리드(1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리드필름(140)의 전후면은 리드필름(140)과 실링면(122)의 실링성을 높이기 위해 실링면(122)의 외부(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로 노출되게 연장되고, 리드필름(140)의 측부는 리드필름(140)과 실링면(12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리드필름(140)의 측방향(실링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실링이 완료된 전지셀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납작한 원통형태를 가지며, 케이스(120)에 내장하되, 일단이 리드필름(140)에 매립된다. 이때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은 실링면(122) 외부로 노출된 리드필름(140)까지 매립되며, 이에 리드필름(140)의 절단만으로도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전극리드(130)의 측부에 위치한 리드필름(140)에 매립되며, 이는 리드필름(140)의 절단이 용이하고, 리드필름(140)을 절단하더라도 리드필름(140)과 전극리드(130) 사이의 실링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케이스(120)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편, 케이스(120) 내부에 가스발생시 리드필름(140)을 절단하여 메인 가스방출관을 노출시키면,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 제거가 완료되면, 외부로 노출된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은 절개된 리드필름(140)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된다.
한편,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마련되며, 이에 전해액 및 케이스(120)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케이스(120)의 실링면(122)에 매립되는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더 포함한다.
즉,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리드필름(140)이 위치한 케이스(120) 내의 가스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지만, 리드필름(140) 반대쪽에 위치한 케이스(120) 내의 가스는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다. 이에 케이스(140)의 실링면(122)에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내장시키고, 이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통해 케이스(120)에 남아 있는 가스를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가스방출관(160)은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케이스(120)의 실링면(122)에 매립되며, 이에 보조 가스방출관(16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실링면(122)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통해 케이스(12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한다.
한편, 외부로 노출된 보조 가스방출관(160)의 일단은 절개된 실링면(122)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되며, 이에 별도의 장치 추가 없이도 보조 가스방출관을 실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리드(130)가 결합된 전극조립체(11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전극리드(130)의 단부가 케이스(120) 밖으로 인출되도록 전극조립체(110)를 케이스(120)에 수용하는 수용단계(S20), 케이스(120)의 실링면(122)에 위치한 전극리드(130)의 상면과 하면에 리드필름(140)을 배치하는 배치단계(S30),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케이스(120) 내부에 배치하되, 일단은 리드필름(140)에 매립시키는 매립단계(S40), 케이스(120)의 전체 실링면(122)을 열융착하여 전지셀을 완성하는 실링단계(S50), 완성된 전지셀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단계(S60), 충방전이 완료된 전지셀 내에 발생한 가스를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가스 방출단계(S70) 및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이 위치한 리드필름(140)을 열융착하여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을 실링하는 재실링단계(S80)를 포함한다.
준비단계(S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를 준비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권취하여 전극조립체(110)를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전극조립체(110)의 전극에 구비된 전극탭(111)에는 전극리드(130)를 결합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전극조립체(110)의 준비가 완료된다.
수용단계(S2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준비된 전극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리드(130)의 일단이 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전극조립체(110)를 케이스(120)에 수용한다.
배치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리드필름을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20)의 실링면(122)에 위치한 전극리드(130)의 상면과 하면에 리드필름(140)을 배치한다. 이때 리드필름(140)의 폭은 실링면(122)의 폭 보다 큰 것을 사용하여 실링력을 높인다.
매립단계(S4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 가스방출관과 보조 가스방출관을 내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인 가스방출관(150)은 케이스(120)의 수용부(121)에 내장한 상태로 일단을 리드필름(140)에 매립시킨다. 이때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이 실링면(122)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필름(140)까지 매립되게 삽입하고, 특히 가스방출관(150)은 전극리드(130) 측부에 위치한 리드필름(140)에 매립시켜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외부 노출 및 실링의 효율성을 높인다.
그리고 보조 가스방출관(160)은 케이스(120)의 수용부(121)에 내장한 상태로 일단을 실링면(122)에 매립시킨다.
실링단계(S50)는 케이스(120)를 실링하는 것으로, 케이스(120)의 실링면(122) 전체를 열융착하여 실링하며, 이에 실링면(122)과 함께 리드필름(140)과 메인 가스방출관(150)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실링면(122)과 함께 보조 가스방출관(160)의 일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실링단계(S50)가 완료되면 미충전된 전지셀이 완성되며, 이후 전지셀을 충방전하여 전지셀을 활성화시킨다.
즉, 충방전단계(S60)는 전지셀을 충방전하기 위한 것으로, 전지셀의 전극리드(130)를 통해 충방전을 진행한다. 여기서 충방전시 케이스(12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며, 이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가스 방출단계(S70)를 진행한다.
가스 방출단계(S7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 가스방출관(150)이 위치한 리드필름(140)을 절단하여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이와 동시에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메인 가스방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케이스(120) 내부에 가스가 잔류할 수 있으며, 이에 추가로 보조 가스방출관(160)이 위치한 실링면(122)을 절단하여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러면 케이스(120)에 잔류한 가스를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가스 방출이 완료되면 메인 가스방출관(150)과 보조 가스방출관(160)을 실링하는 재실링단계(S80)를 수행한다.
재실링단계(S8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 가스방출관(150)이 위치한 리드필름(140)을 열융착하여 재실링하며, 이때 리드필름(140)과 함께 메인 가스방출관(150)도 실링되면서 마감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가스방출관(160)이 위치한 실링면(122)을 열융착하여 재실링하며, 이때 실링면(122)과 함게 보조 가스방출관(160)이 실링되면서 마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충방전시 케이스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를 메인 가스방출관 및 보조 가스방출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특히 관을 통해 가스를 방출하기에 보다 안정적으로 가스 방출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전극조립체
120: 케이스
130: 전극리드
140: 리드필름
150: 메인 가스방출관
160: 보조 가스방출관

Claims (14)

  1. 전극탭이 구비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실링되어 실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탭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위치한 상기 전극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면과 함께 결합되는 리드필름;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되, 일단은 상기 리드필름에 매립되는 메인 가스방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필름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절개된 리드필름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은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상기 전극리드의 측부에 위치한 상기 리드필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매립되는 보조 가스방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실링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상기 절개된 실링면을 재 열융착함에 따라 함께 실링되면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전극리드가 결합된 전극조립체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전극리드의 단부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케이스에 수용하는 수용단계(S20);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위치한 상기 전극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리드필름을 배치하는 배치단계(S30);
    메인 가스방출관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하되, 일단은 상기 리드필름에 매립시키는 매립단계(S40); 및
    상기 케이스의 전체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전지셀을 완성하는 실링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링단계(S50) 후, 상기 완성된 전지셀을 충방전하는 충방전단계(S60)와;
    충방전이 완료된 전지셀 내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가스 방출단계(S70)를 더 수행하며,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는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필름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노출된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 후,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위치한 리드필름을 열융착하여 상기 메인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실링하는 재 실링단계(S8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매립단계(S4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보조 가스방출관을 더 배치하되,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실링면에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링단계(S50)는 상기 케이스의 전체 실링면을 열융착함에 따라 상기 실링면에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함께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단계(S70)는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실링면을 절개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의 가스를 추가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재실링단계(S80)는 절개된 상기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상기 보조 가스방출관의 일단을 함께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KR1020150123728A 2015-09-01 2015-09-01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28A KR101904587B1 (ko) 2015-09-01 2015-09-01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523719A JP6509437B2 (ja) 2015-09-01 2016-06-14 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L16842092T PL3346520T3 (pl) 2015-09-01 2016-06-14 Ogniwo akumulatorowe i sposób jego wytwarzania
US15/565,854 US10700324B2 (en) 2015-09-01 2016-06-14 Battery cell having main gas discharge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80022213.1A CN107925033B (zh) 2015-09-01 2016-06-14 电池单元及其制造方法
EP16842092.5A EP3346520B1 (en) 2015-09-01 2016-06-14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6/006305 WO2017039126A1 (ko) 2015-09-01 2016-06-14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US16/883,123 US11557810B2 (en) 2015-09-01 2020-05-26 Battery cell having main gas discharge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28A KR101904587B1 (ko) 2015-09-01 2015-09-01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50A true KR20170027150A (ko) 2017-03-09
KR101904587B1 KR101904587B1 (ko) 2018-10-04

Family

ID=581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728A KR101904587B1 (ko) 2015-09-01 2015-09-01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700324B2 (ko)
EP (1) EP3346520B1 (ko)
JP (1) JP6509437B2 (ko)
KR (1) KR101904587B1 (ko)
CN (1) CN107925033B (ko)
PL (1) PL3346520T3 (ko)
WO (1) WO2017039126A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53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이차전지용 파우치형 케이스
CN111263990A (zh) * 2017-10-30 2020-06-09 京瓷株式会社 电化学电池和电化学电池堆
US10985433B2 (en) 2017-09-08 2021-04-20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breaking connector by using venting gas
WO2022098063A1 (ko) * 2020-11-06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061853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49960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49959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64241A1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필름 상에 벤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69146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64182A3 (ko) * 2021-01-28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2231277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50429A1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282632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3282631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007956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3054993A1 (ko) * 2021-10-01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리드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2539734B1 (ko) * 2022-01-24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118487A (ko)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기능이 구비된 파우치형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153673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000939U (zh) * 2018-04-11 2018-10-2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和设备
KR102361569B1 (ko) * 2018-04-23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20009009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068070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23525014A (ja) 2020-12-08 2023-06-1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二次電池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US20220209375A1 (en) * 2020-12-31 2022-06-30 Hyundai Motor Company Energy storage device
US20230170564A1 (en) * 2021-02-25 2023-06-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63090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실링부 벤팅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WO2023282634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14204205A (zh) * 2021-12-10 2022-03-18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软包电池和软包电池热封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094A (ja) 1999-04-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35483B2 (ja) 2003-09-29 2011-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収納ケース、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WO2006013743A1 (ja) * 2004-08-05 2006-02-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電池モジュール、組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774705B2 (ja) 2004-09-17 2011-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ス放出手段を備えたバイポーラ電池、その製造方法およびバイポーラ電池を用いた組電池。
CN101189746B (zh) * 2005-03-17 2011-08-24 日本电气株式会社 覆膜电气设备及其制造方法
KR100846986B1 (ko) * 2005-12-20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리튬 이차전지용가스방출기구
JP5114018B2 (ja) * 2006-05-18 2013-01-0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9090B1 (ko) * 2007-12-18 2010-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396703B1 (ko) * 2008-03-05 2014-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이차전지
KR101292618B1 (ko) * 2011-08-17 2013-08-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462304B2 (ja) * 2012-03-12 2014-04-0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を用いた組電池
KR101370265B1 (ko) * 2012-04-17 2014-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용 부품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1547403B1 (ko) *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433B2 (en) 2017-09-08 2021-04-20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breaking connector by using venting gas
KR20190042953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이차전지용 파우치형 케이스
WO2019078449A1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이차전지용 파우치형 케이스
US11094981B2 (en) 2017-10-17 2021-08-17 Lg Chem, Ltd. Pouch-shaped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discharging gas
CN111263990A (zh) * 2017-10-30 2020-06-09 京瓷株式会社 电化学电池和电化学电池堆
WO2022098063A1 (ko) * 2020-11-06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061853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49959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117310A (ko) * 2021-01-11 2023-08-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101577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49960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64241A1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 필름 상에 벤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64182A3 (ko) * 2021-01-28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전지셀 제조 장치
US11984609B2 (en) 2021-01-28 2024-05-1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CN115428242A (zh) * 2021-01-28 2022-12-02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电芯和电池电芯制造设备
WO2022169146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112682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118535A (ko) * 2021-02-04 2023-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31277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50429A1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007956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3282631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282632A1 (ko) * 2021-07-06 2023-0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3054993A1 (ko) * 2021-10-01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리드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2539734B1 (ko) * 2022-01-24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140707A1 (ko) * 2022-01-24 2023-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30118487A (ko)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기능이 구비된 파우치형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153673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5804A (ja) 2018-09-06
US11557810B2 (en) 2023-01-17
PL3346520T3 (pl) 2020-03-31
KR101904587B1 (ko) 2018-10-04
US20180114964A1 (en) 2018-04-26
EP3346520A1 (en) 2018-07-11
EP3346520A4 (en) 2018-10-10
EP3346520B1 (en) 2019-11-06
US20200287186A1 (en) 2020-09-10
US10700324B2 (en) 2020-06-30
JP6509437B2 (ja) 2019-05-08
CN107925033A (zh) 2018-04-17
WO2017039126A1 (ko) 2017-03-09
CN107925033B (zh) 202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587B1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EP2822062B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tegrated anode lead and cathode l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858317B1 (ko)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56363B1 (ko) 전지 셀
KR101702985B1 (ko) 이차 전지
KR101754609B1 (ko)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70132565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17157545A (ja) ソフトパック二次電池のケーシング
JP2004356085A (ja) ジェリーロール型の電極組立体とこれを採用した二次電池
KR102236347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60032889A (ko) 이차 전지
KR101711993B1 (ko)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70018667A (ko) 이차전지
JP6709532B2 (ja) 蓄電素子
KR102248595B1 (ko) 이차 전지
US20160093865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90027528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60131414A (ko)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90048863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JP2016103412A (ja) 角形二次電池
KR20150043900A (ko) 전기 절연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68262A (ja) 蓄電素子
KR101856822B1 (ko) 전류 제한 기능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30134238A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6688401B2 (ja) 電極リードを含む二次電池及びその二次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