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8063A1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8063A1
WO2022098063A1 PCT/KR2021/015737 KR2021015737W WO2022098063A1 WO 2022098063 A1 WO2022098063 A1 WO 2022098063A1 KR 2021015737 W KR2021015737 W KR 2021015737W WO 2022098063 A1 WO2022098063 A1 WO 20220980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lead
lead film
batte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7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훈희
김상훈
유형균
강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424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619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US17/802,4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84670A1/en
Priority to EP21889528.2A priority patent/EP4145598A1/en
Priority to CN202180027420.7A priority patent/CN115428239A/zh
Priority to JP2022558536A priority patent/JP2023519377A/ja
Publication of WO20220980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80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ell with improved external emission of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are of great interest not only a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notebooks, and wearable devices, but also as energy sources for power device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batteries and prismatic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the electrode assembly built into the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ing element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b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long sheet typ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It is classified into a jelly-roll type, which is wound therebetween, and a stack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interposed in a separator and sequentially stacked.
  • a pouch-type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type or stack/folding-typ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s used gradually for reasons of low manufacturing cost, small weight, easy deformation, etc. is increasing
  • FIG. 1 is a top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cell.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a-a' in FIG. 1 . 1 and 2,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10,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21, the outer periphery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25 of a sealed structure by thermal fusion and a battery case 20 .
  •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21, the outer periphery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25 of a sealed structure by thermal fusion and a battery case 20 .
  • it includes an electrode lead 30 protruding outward of the battery case 20 via the sealing part 25 , and a lead film 4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lectrode lead 30 and the sealing part 25 . ) is loca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ell with improved external emission of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a battery cell includes: a battery case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mounted on a receiving part, and a sealing part having an outer periphery sealed by thermal fusion; an electrode le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battery case via the sealing part; and a lead film position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art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de lead, wherein the lead film discharges gas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A portion is formed, and the gas outle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gas discharge part may be closed based on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electrode lead.
  • I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lay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as outlet.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nner layer may have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ead film, and may not react to the electrolyte.
  • the lead film may include a polyolefin-based material
  • the inner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lyolefin-based material, a fluorine-based material, and a porous ceramic-based material.
  • the lead film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electrode lead.
  • the lead film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a length of the sealing part and a length less than a length of the electrode lead.
  • the gas discharge part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electrode lead.
  • the lead film may include a first lead film and a second lead film, the first lead film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lectrode lead, and the second lead film may be positioned under the electrode lead.
  • the electrode lea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ead film and the second lead film, and the first lead film and the second lead film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end of the gas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lead film may be located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 An end of the gas discharge unit tha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battery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n electrode lead with a lead film having a maximized transmission area attached thereto,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so that external emission of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can be improved. there is.
  • 1 is a top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cell.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a-a' in FIG. 1 .
  • FIG 3 is a top view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lead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of FIG. 3 .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axis in FIG. 4 .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d-d' in FIG. 4 .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b-b' in FIG. 3 .
  • FIG. 8 is a view showing a flow in which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FIG. 7 .
  •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Referring to FIG. 9 ,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measuring a gas pressure in a battery cell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planar it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cross-sectional” means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a cross-section of the target part is vertically cut.
  • the pouch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he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pouch battery cell 100 , but the descrip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may be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other side.
  • FIG 3 is a top view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battery cell 100 includes a battery case 200 , an electrode lead 300 , and a lead film 400 .
  • the battery case 200 includes a sealing part 25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210 and the outer periphery is sealed by thermal fusion.
  • the battery case 200 may be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case 200 is made of a laminate sheet, and may include an outer resin layer forming the outermost layer, a barrier metal layer preventing penetration of a material, and an inner resin layer for sealing.
  •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have a jelly-roll type (winding type), a stack type (stacking type), or a complex type (stack/folding typ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include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 the electrode lead 300 and the lead film 400 will be mainly described.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de lead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of FIG. 3 .
  • the electrode lead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tab (not shown)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nd passes through the sealing part 250 of the battery case 200 . It protrudes outward.
  • the lead film 400 is position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art 250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 300 . Accordingly, the lead film 400 may prevent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the electrode lead 300 during thermal fusion, while improving sealing properties between the sealing part 250 and the electrode lead 300 .
  • the lead film 400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electrode lead 300 .
  • the lead film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a length of the sealing part and a length less than a length of the electrode lead. Accordingly, the lead film 400 may prevent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3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electrode lead 300 .
  • the lead film 400 includes a first lead film and a second lead film, the first lead film is located on the electrode lead 300, the second lead film is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300) can be located in At this time, the electrode lead 300 is heat-sealed together with the sealing part 250 in a state located between the first lead film and the second lead film, so that the first lead film and the second lead fil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have been
  • the lead film 400 may prevent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3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improving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sealing part 250 and the electrode lead 300 .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axis in FIG. 4 .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d-d' in FIG. 4 .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xis b-b' in FIG. 3 .
  • the lead film 400 has a gas discharge part 450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200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200 is formed, and the gas discharge part 450 is formed. )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200 .
  • the gas discharge unit 450 may have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closed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lead 300 .
  • the gas discharge unit 450 may refer to a portion in which the remaining surfaces of the lead film 400 are non-adhesive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surface tha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200 .
  • the gas discharge unit 450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electrode lead 300 .
  •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200 may flow in the gas discharge unit 450 .
  • the pressure of the lead film 40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2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450 .
  • a gas permeation area may be maximized by the gas discharge unit 450 , and thus a large amount of gas may be discharged.
  • the lead film 40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layer 410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 More preferably, the inner layer 410 may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 Here, the inner layer 410 may be coated on the gas discharge unit 450 or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film and attached to the gas discharge unit 450 .
  • the gas discharge part 450 is heated by the inner layer 410 . It can be preserved in an unfused state.
  • the inner layer 4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compared to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ead film 400 .
  • the inner layer 4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to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battery case 300 .
  • the lead film 400 may include a polyolefin-based material, and the inner layer 4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lyolefin-based material, a fluorine-based material, and a porous ceramic-based material.
  • the inner layer 410 since the inner layer 410 includes a getter material, gas permeability can be increased while water permeability can be minimized.
  • the getter material may be calcium oxide (CaO), barium oxide (BaO), lithium chloride (LiCl), silica (SiO 2 ),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acts with water (H 2 O). Any material can be used.
  • the inner layer 410 is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does not react separately with the electrolyte, and heat fusion, thermal deformation, etc. can be maintained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may be maintained in a non-adhesive state.
  • the inner surfaces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gas introduced into the gas discharge unit 4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discharged.
  • the lead film 400 is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battery cell 100 and to prevent leakage of the internal electrolyte.
  • the end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formed in the lead film 4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200 .
  • an end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tha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200 .
  • the lead film 400 maximizes the area of the gas discharge unit 450 , thereby maximizing the area of the inner layer 410 to which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200 is exposed.
  • the permeation area of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200 can be maximized, so that a large amount of gas can be discharged.
  • FIG. 8 is a view showing a flow in which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FIG. 7 .
  •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100 of FIG. 7 may flow toward the gas outlet 450 of the lead film 400 .
  • the gas discharge unit 450 may be expanded upward and downward compared to FIG. 7 by the gas inside the battery cell 100 .
  • FIG. 8A when the gas inside the battery cell 100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gas inside the battery cell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450 .
  • the permeation area of the gas inside the battery cell 100 is also maximized, and the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100 is External emissions of gases can also be maximized.
  •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cells described above. Meanwhile,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ackaged in a pack case to form a battery pack.
  •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 a device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this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invention.
  • a battery cell including a sealing par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mounted in a receiving part in a battery case,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battery case is sealed by thermal fusion was manufactured.
  • the electrode tab inclu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lead protrudes outwardly of the battery case via the sealing part.
  • a lead film is attach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lead, and a gas discharge part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is formed in the lead film.
  • a battery cell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except that a separate gas outlet was not formed in the lead film.
  • CT was taken centered on the sealing part where the lead film and the electrode lead were located, and a CT image of the corresponding part was obtained as shown in FIG. 9 .
  •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 FIG. 9 (a) is a CT image of the cross-section of the lead film and electrode lead bef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of the example is increased
  • FIG. 9 (b) is a gas inside the battery cell of the embodiment. It is a CT ima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ead film and the electrode lead after injection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of the example is increased.
  • FIG. 9( a ) it is confirmed that, befo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of the embodiment increase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centered on the gas outlet formed on the lead film. However, a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of the embodiment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gas discharge portions formed in the lead fil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row direction), as shown in FIG. 9( b ).
  • the gas discharge unit when the gas discharge unit is formed in the lead film of the battery cell,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increases, the gas discharge unit is vertically spaced apart, so that the gas discharge unit inside the battery cell Gas may be introduc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gas discharge unit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of this embodiment serves as a gas discharge path of the battery cell.
  • the gas pressure inside the battery cells over time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0 .
  • the initial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is 1 atmosphere.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measuring a gas pressure in a battery cell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the internal pressure decreases relatively little over time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internal pressure is 1 atm.
  • the internal pressure is relativel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ime elapses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internal pressure is 1 atm. That is, in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rnal gas is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lead film over time.
  •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as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lead film, it can be confirmed that gas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unit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battery cell is increas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11월 06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147669호 및 2021년 10월 25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4244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여기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 비용, 작은 중량, 용이한 변형 형태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지셀(10) 전극 조립체(11)가 수납부(21)에 장착되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25)를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링부(25)를 경유하여 전지 케이스(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30)를 포함하며, 전극 리드(30)의 상하부와 실링부(25) 사이에는 리드 필름(40)이 위치한다.
그러나, 최근 전지셀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량 또한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전지셀(10)의 경우,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부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전지셀은 가스 발생으로 인해 벤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벤팅 현상에 의해 손상된 전지셀은 수분이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부반응이 발생될 수 있고, 전지 성능 저하 및 추가적인 가스 발생 또한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된 전지셀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 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배출부의 전면 및 양측면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층을 이루는 소재는, 상기 리드 필름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고,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실링부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전극 리드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전극 리드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은 제1 리드 필름 및 제2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 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단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단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술한 전지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과면적이 최대화된 리드필름이 부착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여,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c-c’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d-d’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b-b’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험예 1에 따른 전지 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예 2에 따른 전지 셀 내 가스 압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전지셀(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여기서 파우치 전지셀(1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측면인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00)은 전지 케이스(200), 전극 리드(300), 및 리드 필름(400)을 포함한다.
전지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10)가 수납부(210)에 장착되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250)를 포함한다. 전지 케이스(200)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지 케이스(20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10)는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복합형(스택/폴딩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 음극,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극 리드(300) 및 리드 필름(4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전지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리드(300)는 전극 조립체(110)에 포함된 전극 탭(미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실링부(250)를 경유하여 전지 케이스(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링부(250)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열융착 시 전극 리드(300)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실링부(250)와 전극 리드(300)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실링부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전극 리드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전극 리드(3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제1 리드 필름 및 제2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은 전극 리드(3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전극 리드(3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리드(300)는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링부(250)와 함께 열융착되어,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실링부(250)와 전극 리드(300)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c-c’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d-d’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b-b’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은 전지 케이스(200)의 내부로부터 전지 케이스(2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스배출부(45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배출부(450)는 전지 케이스(200)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가스배출부(450)는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가스배출부(450)의 전면 및 양측면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스 배출부(450)는 리드 필름(400) 내에서 전지 케이스(200)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이 서로 비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배출부(450)는 전극 리드(300)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지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배출부(45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전지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배출부(45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가스배출부(450)에 의해 기체의 투과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대량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가스배출부(45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부층(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층(410)은 가스 배출부(450)의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내부층(410)은 가스배출부(450)에 코팅되어 있거나, 별도의 필름으로 제조되어 가스배출부(4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상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링부(250)와 함께 열융착되더라도, 내부층(410)에 의해 가스배출부(450)가 열융착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층(410)은 리드 필름(400)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층(410)은 전지 케이스(300) 내에 포함되는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리드 필름(400)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내부층(410)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층(410)은 게터(getter) 물질을 포함하여, 가스 투과도는 높이되 수분 침투도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게터(getter) 물질은 산화칼슘(CaO), 산화바륨(BaO), 염화리튬(LiCl), 실리카(SiO2)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H2O)과 반응하는 물질이라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층(410)은 상술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해액과 별도의 반응을 하지 않으면서, 고온의 열융착 과정에서 열융착, 열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아 가스배출부(450)가 공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가스 배출부(450)의 내면은 비접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200) 내 발생되는 가스가 가스 배출부(450) 내부로 유입 시, 가스 배출부(450)의 내면이 서로 이격되면서, 가스 배출부(450) 내부에 유입된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상술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지셀(10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부 전해액의 누액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배출부(450)의 단부는 전지 케이스(200)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가스배출부(450)의 단부는 전지 케이스(200)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가스배출부(450)의 면적을 최대화하여, 전지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노출되어 있는 내부층(410)의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투과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대량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전지셀(1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리드 필름(400)의 가스배출부(450)를 향해 흐를 수 있다. 이 때, 가스배출부(450)는 전지셀(100) 내부의 가스에 의해 도 7에 비해 상하부를 향해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와 같이, 전지셀(100) 내부의 가스가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가스배출부(450)를 통해 전지셀(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와 비교할 때, 리드 필름(400)에 가스배출부(450)가 위치함에 따라, 전지셀(100) 내부의 가스의 투과 면적 또한 최대화되면서, 전지셀(1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 또한 최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지셀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전지 케이스 내에 전극 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하고, 전지 케이스의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 셀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은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극 리드는 실링부를 경유하여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전극 리드의 상부에서 실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리드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리드 필름 내에 전지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리드 필름 내에 별도의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지셀이 제조되었다.
<실험예 1- CT 촬영 이미지>
실시예의 전지 셀에 대하여, 리드 필름 및 전극 리드가 위치한 실링부를 중심으로 CT 촬영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CT 촬영 이미지를 도 9와 같이 획득하였다.
도 9는 실험예 1에 따른 전지 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의 전지 셀에서, 도 9(a)은 실시예의 전지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하기 전의 리드 필름 및 전극 리드의 단면을 CT 촬영한 이미지이며, 도 9(b)는 실시예의 전지 셀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여, 실시예의 전지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한 후의 리드 필름 및 전극 리드의 단면을 CT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전지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하기 전에는 리드 필름에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중심으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실시예의 전지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도 9(b)와 같이, 리드 필름 내에 형성된 가스배출부가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와 같이, 전지 셀의 리드 필름 내에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지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할 때 가스배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가스배출부 내부로 전지 셀 내부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전지 셀에 포함된 가스배출부는 전지 셀의 가스 배출 경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전지 셀 내 가스 압력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지 셀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전지 셀 내부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과 같이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전지 셀에서, 전지 셀의 초기 내부 압력은 1 기압이다.
도 10은 실험예 2에 따른 전지 셀 내 가스 압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전지셀은 초기 내부 압력이 1기압인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은, 초기 내부 압력이 1기압인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리드 필름 내에 형성된 가스배출부를 통해 내부 가스가 외부를 향해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은, 리드 필름 내에 형성된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지 셀 내부의 압력 상승 시 가스배출부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전지셀
110: 전극 조립체
200: 전지 케이스
210: 수납부
250: 실링부
300: 전극 리드
400: 리드 필름
410: 내부층
450: 가스배출부

Claims (13)

  1. 전극 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스배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전지셀.
  2. 제1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배출부의 전면 및 양측면은 폐쇄되어 있는 전지셀.
  3. 제2항에서,
    상기 가스배출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부층을 더 포함하는 전지셀.
  4. 제3항에서,
    상기 내부층을 이루는 소재는, 상기 리드 필름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고,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는 전지셀.
  5. 제4항에서,
    상기 리드 필름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층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셀.
  6. 제1항에서,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전지셀.
  7. 제6항에서,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실링부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전극 리드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전지셀.
  8. 제6항에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전극 리드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전지셀.
  9. 제1항에서,
    상기 리드 필름은 제1 리드 필름 및 제2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지셀.
  10. 제9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11. 제1항에서,
    상기 리드 필름 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단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
  12. 제11항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상기 가스배출부의 단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전지셀.
  13. 제1항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PCT/KR2021/015737 2020-11-06 2021-11-02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0980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02,425 US20230084670A1 (en) 2020-11-06 2021-11-02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EP21889528.2A EP4145598A1 (en) 2020-11-06 2021-11-02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CN202180027420.7A CN115428239A (zh) 2020-11-06 2021-11-02 电池单元和包括该电池单元的电池模块
JP2022558536A JP2023519377A (ja) 2020-11-06 2021-11-02 電池セ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669 2020-11-06
KR20200147669 2020-11-06
KR1020210142441A KR102616196B1 (ko) 2020-11-06 2021-10-25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21-0142441 2021-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8063A1 true WO2022098063A1 (ko) 2022-05-12

Family

ID=8145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737 WO2022098063A1 (ko) 2020-11-06 2021-11-02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4670A1 (ko)
EP (1) EP4145598A1 (ko)
JP (1) JP2023519377A (ko)
KR (1) KR20230173641A (ko)
CN (1) CN115428239A (ko)
WO (1) WO202209806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773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027150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6852A (ko)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968167A (zh) * 2016-10-20 2018-04-27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牵引电池的袋型电池单元组件
KR2019012305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10142441A (ko) 2020-05-18 2021-11-25 황민석 의료용 흡인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019B2 (ja) * 1999-01-20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扁平電池
KR101547403B1 (ko) *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6418B1 (ko) * 2013-09-24 2016-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 보호용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773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027150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6852A (ko)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968167A (zh) * 2016-10-20 2018-04-27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牵引电池的袋型电池单元组件
KR20190123059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10142441A (ko) 2020-05-18 2021-11-25 황민석 의료용 흡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5598A1 (en) 2023-03-08
KR20230173641A (ko) 2023-12-27
JP2023519377A (ja) 2023-05-10
US20230084670A1 (en) 2023-03-16
CN115428239A (zh)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8911A1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0134788A2 (ko) 내수성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21241939A1 (ko) 이차전지
WO2019098522A1 (ko) 미실링부를 갖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
WO2022039508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56973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WO2022039442A1 (ko)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2098063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64182A2 (ko) 전지셀 및 전지셀 제조 장치
WO2022080673A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19031688A1 (ko)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2149959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49960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82210A1 (ko) 전지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50429A1 (ko)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31277A1 (ko)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169146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153673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065764A1 (ko) 파우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2225355A1 (ko)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282631A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3022470A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3038338A1 (ko) 전극 리드와 리드필름 사이에 안전 소자를 구비한 파우치형 전지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95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5853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895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3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