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731A -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731A
KR20170026731A KR1020150120795A KR20150120795A KR20170026731A KR 20170026731 A KR20170026731 A KR 20170026731A KR 1020150120795 A KR1020150120795 A KR 1020150120795A KR 20150120795 A KR20150120795 A KR 20150120795A KR 20170026731 A KR20170026731 A KR 20170026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terminal
concept
terminal
student
learn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이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KR102015012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6731A/ko
Publication of KR2017002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학생 단말로부터 과목 및 나이를 포함하는 학생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과목 및 나이에 대응하는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학생 단말로부터 전송된 답이 기 저장된 답과 일치하지 않거나, 학생 단말로부터 물음표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 틀린 문제 및 물음표 이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생 단말과 저장하는 단계, 추출된 개념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 상위 노드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를 재추출하는 단계, 및 재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SOLUTION}
본 발명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다양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이 연구 및 개발되어 활성화되면서, 교육분야에도 강의준비 및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이 개발 및 보급되기 이르렀다.
이때,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복수의 문제유형을 저장하고, 하나의 문제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1314호(2012.07.19 공개)에는, 수집된 수식을 파싱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항에서 상수와 변수를 분리하며, 수집된 수식 및 분리된 각각의 항의 상수와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문제 변형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응용한 새로운 문제를 생성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 문제에서 사용된 수식을 수집하고, 수집된 수식을 파싱(Parsing)하여 항을 분리해야 하고, 트리형으로 분리된 항을 배치 및 다양한 변형 방법에 따라 분리된 항에 대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응용문제를 생성해야 함에 따른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의 소모가 커지며, 프로그램 복잡도가 현저히 높아진다. 또한, 문제를 학생이 푼다고 할지라도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문제를 많이 푼다고 하더라도 학생이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시 전문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그 비용이 높아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문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학생이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고, 개인화된 맞춤형 기본서와 문제집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생 단말로부터 과목 및 나이를 포함하는 학생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과목 및 나이에 대응하는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학생 단말로부터 전송된 답이 기 저장된 답과 일치하지 않거나, 학생 단말로부터 물음표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 틀린 문제 및 물음표 이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생 단말과 저장하는 단계, 추출된 개념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 상위 노드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를 재추출하는 단계, 및 재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학원과 같은 사교육을 이용하지 않고도, 학생의 수준과 아는 지식 및 모르는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여 맞춤형 기본서를 제공하고, 자주 틀리는 문제나 유형을 추출하여 학생의 실력과 함께 성적까지 올릴 수 있는 문제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험대비시 사교육 없이도 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자의 기본실력을 다지고 문제풀이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제 자동생성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시스템(1)은, 학생 단말(100),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 및 부모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생 단말(100)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부모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생 단말(100) 및 부모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부모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생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고, 부모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학생 단말(1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학생 단말(100),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 및 부모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학생 단말(100)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본 개념 및 문제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해답 또는 물음표를 학생 단말(100)의 정보와 매핑 및 저장하여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생 단말(100)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로부터 맞춤형 학습 기본서 콘텐츠와 문제집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학생 단말(100)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부모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된 문제 및 개념의 종류와, 풀이한 횟수를 기반으로 다음 문제를 자동으로 배치 및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생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맞춤 학습 기본서 콘텐츠와 문제집 콘텐츠를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학생 단말(100)에 저장된 기본서 콘텐츠와 문제집 콘텐츠를 프린트하는 신호를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100)은, 부모 단말(400)과 위치 및 수업 시간표를 기반으로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고, 수업 시간표의 시간에 동기화되어 부모 단말(400)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학생 단말(100)에 포함된 문제 디스플레이 및 해답 전송과, 문제 수신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100)은, 학생의 수업 시간표 및 문제 뿐만 아니라, 수학진도별 학습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학습수준 데이터는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학생 단말(100)은, 학생이 다양한 문제 유형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개념에 매핑된 다양한 문제를 풀이하도록 문제를 디스플레이하되, 학생이 틀린 개념에 대해서는,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로 동일 또는 유사한 문제 또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를 요청하여 동일한 개념에 대한 다양한 유형에도 풀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학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학생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교과 과정에 맞게 적어도 하나의 과목에 대한 개념 및 문제를 난이도 및 배경 지식에 따라, 하나의 개념을 중심으로 트리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로 개념과 문제를 전송하고, 학생 단말(100)에서 개념이나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틀리는 경우에는, 백그라운드 개념을 묻는 문제 또는 난이도나 교과 과정을 낮춘 문제를 제공하고, 해당 개념이나 문제를 이해하거나 맞추는 경우에는, 반대로 상위 개념을 묻는 문제 또는 교과 과정을 높인 문제를 제공하고, 전자의 경우에는 해당 개념을 루트(Root)로 하는 문제를 맞출 때가지 진행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해당 개념을 루트로 하는 문제를 틀릴 때까지 진행하여, 학생이 어떠한 개념을 아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며, 개념은 알지라도 문제는 틀리는 경우에도, 어떠한 유형의 문제에 약한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이 모르는 문제 또는 개념만을 모아둔 맞춤형 개념서 및 문제집을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를 학생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부모 단말(400)로 학생 단말(100)에서 해당 공부를 하고 있는 동안에, 공부에 집중을 못하는 경우를 발견한 경우, 즉 다른 애플리케션을 구동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모 단말(400)로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고, 학생 단말(100)에서 개념 또는 문제 풀이를 하는 경우, 해당 개념 또는 문제 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생 단말(100)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또는 구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모 단말(400)은 학생 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부모 단말(400)은, 수업 시간표, 수업 자료 및 학생 정보를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부모 단말(400)은 학생 단말(100)의 수업 집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부모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부모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제 자동생성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추출부(320), 제 1 전송부(330), 저장부(340), 재추출부(350), 제 2 전송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 또는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학생 단말(100) 및 부모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학생 단말(100),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 및 부모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은, 학생이 교과 과정을 충실히 했다고 할지라도, 하나의 과목의 과정에 포함된 개념 및 지식의 빈 부분이 발생할 수 있고, 문제를 맞춘다고 할지라도 해당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문제를 풀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백그라운드 개념을 전혀 모르는 학생이 백그라운드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풀었을 시, 전혀 모르는 개념과 문제로 학습 자체를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발명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은, 상위 개념 및 백그라운드 개념을 기본 개념별로 이진 트리로 배치하고, 학생이 어떠한 개념을 모르는 경우, 어느 정도까지 모르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며, 반대로 학생이 어떠한 개념을 아는 경우, 어느 정도까지의 응용력과 심화도를 가지고 이해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여, 학생의 수준에 따른 맞춤형 기본서 및 문제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부(310)는, 학생 단말(100)로부터 과목 및 나이를 포함하는 학생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출부(320)는, 수신된 과목 및 나이에 대응하는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문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는 물음표 이벤트로 선택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어는 적어도 하나의 개념 데이터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학생 단말(100)의 학생이, 문제의 보기 중 모르는 개념이 포함된 경우, 또는 문제 중에 모르는 개념이 포함된 경우, 또는 보기 중 맞는 것인지 틀린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을 때, 명제 중 모르는 명제가 있을 경우를 정확하게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에서 파악할 수 있다. 즉, 문제를 틀린 경우 뿐만 아니라, 보기, 문제, 또는 명제 중 학생이 모름에도 불구하고 답은 맞은 경우를 간과하지 않도록 한다.
제 1 전송부(330)는, 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학생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답이 기 저장된 답과 일치하지 않거나, 학생 단말(100)로부터 물음표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 틀린 문제 및 물음표 이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생 단말(100)과 저장할 수 있다.
재추출부(350)는, 추출된 개념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 상위 노드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를 재추출할 수 있다. 이때,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은, 트리 구조로 마인드 맵(Mind Map)화되어 교과과정 및 난이도에 기초하여 각 노드에 저장되고, 트리 구조의 하위 노드로 갈수록 교과과정 및 난이도가 높아지고, 상위 노드로 갈수록 교과과정 및 난이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이 틀리거나 모르는 경우, 백그라운드 개념을 아는지를 묻는 단계로 진행하여, 학생이 어디까지 모르고 있고, 어디까지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학생이 맞거나 아는 경우, 상위 개념을 아는지를 묻는 단계를 진행하여, 학생이 어디까지 알고 있고, 어디까지 모르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전송부(360)는, 재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하나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학생 단말(100)로부터 정답이 기 설정된 수만큼 수신될 때까지, 저장 단계, 재추출 단계 및 전송 단계를 반복할 수 있고, 정답이 수신된 문제에 포함된 기본 개념의 노드 레벨을 확인하고, 노드 레벨을 포함하고, 노드 레벨의 상위 노드에 매핑된 기본 개념 및 문제를 추출하여 학생 단말(100)의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하나의 과목에 포함된 복수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추출 단계, 전송 단계, 저장 단계, 재추출 단계 및 전송 단계를 반복하고,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는 과목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정답이 수신되는 경우, 오답이 수신될 때까지 하위 노드로 진행하고,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오답이 수신되는 경우, 정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위 노드로 진행하고, 생성된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거나 지면으로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에 출력되는 문제는 텍스트 단위로 X, O 또는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오버레이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X 또는 ?가 입력된 텍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본 개념은,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에서 문제가 출력되는 동안, 학생 단말(100)과 연결된 통신 매체를 수집 및 차단하고, 학생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및 앱 페이지를 활성화하는 입력이 존재하더라도 무시 명령을 전송하여 동작불능상태로 유지하고, 무시 명령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시켜 학생 단말(100)에서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며, 활성화하는 입력이 기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학생 단말(100)과 기 연동된 부모 단말(400)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 3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기본 개념, 2차 방정식에 대한 기본 개념, 명제에 대한 개념, 미분에 대한 개념 및 함수에 대한 개념 등에 대한 문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O,X,?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학생 단말(100)은, O,X,?를 문제에 대한 답으로써만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함수를 모르는 경우, 함수라는 단어에 대하여 ?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이 함수조차 모르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함수의 기본 개념에 대한 내용을 기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b)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문제를 (b)와 같이 출력할 수도 있고, (c) 개념과 문제에 대한 결과를 이용하여 기본서 및 문제집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로부터 과목 및 나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0).
그리고 나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기본 개념 및 문제를 추출하고, 학생 단말(100)로 전송한다(S4300). 또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이 오답 또는 물음표(?)인 경우,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S4600), 교과 과정 및 난이도를 감소시키고(S4610),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와 문제를 추출하여(S4620), 학생 단말(100)로 전송하고(S4800),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S4900), 정답을 맞출 때까지 진행한다(S4910).
한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학생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정답인 경우(S4500), 하위 노드로 이동하고(S4700), 교과 과정 및 난이도를 증가시키고(S4710), 상위 개념 데이터 및 문제를 추출하고(S4720), 학생 단말(100)로 전송하고(S4800), 응답을 수신하여(S4900), 오답이 수신될 때까지 지속한다(S4910).
그리고 나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300)는, 하나의 과목에 대한 진단이 종료되면(S4920), 해당 과목에 대한 기본서 및 문제집을 생성하여(S4930), 학생 단말(100)로 전송한다(S4940).
상술한 단계들(S4100~S494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4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는, 학생 단말로부터 과목 및 나이를 포함하는 학생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는, 수신된 과목 및 나이에 대응하는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하고(S5200), 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한다(S5300).
또한,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는, 학생 단말로부터 전송된 답이 기 저장된 답과 일치하지 않거나, 학생 단말로부터 물음표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 틀린 문제 및 물음표 이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생 단말과 저장하고(S5400), 추출된 개념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 상위 노드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를 재추출한다(S5500).
마지막으로, 재추출된 문제를 학생 단말로 전송한다(S5600).
이와 같은 도 5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가 실행하는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학생 단말로부터 과목 및 나이를 포함하는 학생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과목 및 나이에 대응하는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함하는 문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문제를 상기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전송된 답이 기 저장된 답과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물음표 이벤트가 선택된 경우, 틀린 문제 및 물음표 이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생 단말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개념 데이터가 저장된 노드의 상위 노드로 이동하여, 상기 상위 노드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개념 데이터를 추출하여 문제를 재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추출된 문제를 상기 학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교과과정에 대한 기본 개념은, 트리 구조로 마인드 맵(Mind Map)화되어 교과과정 및 난이도에 기초하여 각 노드에 저장되고, 상기 트리 구조의 하위 노드로 갈수록 교과과정 및 난이도가 높아지고, 상위 노드로 갈수록 교과과정 및 난이도가 낮아지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는 상기 물음표 이벤트로 선택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는 적어도 하나의 개념 데이터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정답이 기 설정된 수만큼 수신될 때까지, 상기 저장 단계, 재추출 단계 및 전송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정답이 수신된 문제에 포함된 기본 개념의 노드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노드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 레벨의 상위 노드에 매핑된 기본 개념 및 문제를 추출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의 과목에 포함된 복수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상기 추출 단계, 전송 단계, 저장 단계, 재추출 단계 및 전송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는 과목별로 생성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정답이 수신되는 경우, 오답이 수신될 때까지 하위 노드로 진행하고,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오답이 수신되는 경우, 정답이 수신될 때까지 상위 노드로 진행하고,
    상기 생성된 교과서 콘텐츠 및 문제집 콘텐츠는, 상기 학생 단말에서 출력되거나 지면으로 인쇄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에 출력되는 문제는 텍스트 단위로 X, O 또는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X 또는 ?가 입력된 텍스트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본 개념은, 상기 학생 단말과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서버는, 상기 학생 단말에서 문제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학생 단말과 연결된 통신 매체를 수집 및 차단하고, 상기 학생 단말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및 앱 페이지를 활성화하는 입력이 존재하더라도 무시 명령을 전송하여 동작불능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무시 명령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시켜 상기 학생 단말에서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활성화하는 입력이 기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학생 단말과 기 연동된 부모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KR1020150120795A 2015-08-27 2015-08-27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KR20170026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795A KR20170026731A (ko) 2015-08-27 2015-08-27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795A KR20170026731A (ko) 2015-08-27 2015-08-27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31A true KR20170026731A (ko) 2017-03-09

Family

ID=5840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795A KR20170026731A (ko) 2015-08-27 2015-08-27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673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17B1 (ko) * 2017-09-05 2018-07-04 김태경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WO2019088726A1 (ko) * 2017-11-03 2019-05-09 스케이프플로우 문제 풀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10775A (ko) * 2018-07-23 2020-01-31 (주)비에이치소프트 수학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학습 관리 서버 및 수학 교육 시스템
KR102431604B1 (ko) * 2022-01-13 2022-08-11 (주)개념원리 온라인 수학학습에서의 학습자의 성취도 분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17B1 (ko) * 2017-09-05 2018-07-04 김태경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WO2019088726A1 (ko) * 2017-11-03 2019-05-09 스케이프플로우 문제 풀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10775A (ko) * 2018-07-23 2020-01-31 (주)비에이치소프트 수학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학습 관리 서버 및 수학 교육 시스템
KR102431604B1 (ko) * 2022-01-13 2022-08-11 (주)개념원리 온라인 수학학습에서의 학습자의 성취도 분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dungadi et al. A new approach to personalization: integrating e-learning and m-learning
De-Marcos et al. An experiment for improving students performance in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by means of m-learning auto-assessment
KR20170026731A (ko)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US20150286958A1 (en)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method
Ortega et al. Using M-learning on nursing courses to improve learning
CN104537949A (zh) 试题管理系统和方法
CN103957190A (zh) 一种在线教育互动的方法及客户端、服务器、系统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Martin et al. Developing mobile based instruction
Hongthong et al. Personalized mobile learning for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of Thai youth
Zhang et al. Intelligent retrieval method of mobile learning resources in the intelligent higher education system
Adkins et al. The mystery behind the code: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th quick response codes i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KR101620818B1 (ko) 수학문제 자동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Abood et al. A quiz management system based on P2P near-field communication on Android platform for smart class environments
Mohanna Using knowledge engineering for modeling mobile learning systems
KR102225443B1 (ko) 학습문제 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5898B1 (ko)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1732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7647B1 (ko) 교재검사 및 오답관리를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787127A (zh) 一种课堂信息传输方法及课堂信息传输系统
CN111598746A (zh) 教学交互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308744A (zh) 学习管理系统、用于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Rios-Aguilar et al. Anonymous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 for higher education using mobile devices
Alamsyah et al. Implementations of m-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Indonesia
da Silva Fidalgo et al. Remote experimentation using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1

Effective date: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