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17B1 -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17B1
KR101874617B1 KR1020170113163A KR20170113163A KR101874617B1 KR 101874617 B1 KR101874617 B1 KR 101874617B1 KR 1020170113163 A KR1020170113163 A KR 1020170113163A KR 20170113163 A KR20170113163 A KR 20170113163A KR 101874617 B1 KR101874617 B1 KR 10187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hematical
solving process
smart terminal
input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17011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수학 영역별로 분류된 수학 개념 중 어느 하나의 수학 개념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수학 개념의 레벨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되는 단계,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HECKING OUT DEMONSTRATION OF SOLVING PROCESS FOR MATH EQUATION}
본 발명은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학문제의 풀이과정의 오류나 계산 오류를 정확히 진단하여 어느 부분 또는 어느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현재 앱의 대부분은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교육용 앱은 시장 비율이 매우 낮은데, 이런 현상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한다. 첫 번째는 단순한 패턴의 문제 풀이로 인한 재사용 빈도의 하락이며, 두 번째는 학습한 영역의 사용자 수준을 고려한 학습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수준을 고려한 방법으로는 주관식 수학문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학습을 관리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112155호(2012년02월29일 공고)에는, 기호버튼과, 기호버튼에 해당하는 기호이미지, 기호버튼을 사용한 문제와 모범답안, 모범답안에 관한 평가 항목에 따라 배점이 다르게 적용되는 채점기준을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풀이과정과 저장된 모범답안의 풀이과정단위로 유사 비교하여 풀이과정단계를 자동 채점하고,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기호버튼이 선택될 때 풀이과정이 입력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실제로 학생이 문제를 성실히 풀지 않고, 객관식의 경우에는 소위 찍기로 대충 넘어가도 확인할 방법이 없고,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풀이과정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찍지 않고 풀었다고 할지라도, 계산 오류로 틀릴 수도 있고,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된 공식을 이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논리가 잘못되어서 정답에 이르지 못한 경우도 있고, 문제 자체를 잘못 이해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풀었다고 할지라도 정답이 맞아도 과정이 틀린 경우도 있고, 과정이 맞아도 정답이 틀린 경우도 있어서 이를 학생이 어떤 부분이 정확히 잘못되었고, 어떠한 개념을 오해 또는 모르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란 과외를 받지 않는 한 어려워서 아직도 과외로 적지 않은 돈이 소모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육과정에 맞게 높아지는 서술형 문제의 비중을 학생이 준비할 수 있고, 과외를 받지 않더라도 자신이 모르거나 오해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획기적인 방법을 제공하도록, 문제 풀이과정을 기입받고, 풀이과정 및 정답을 서버에서 체크하여 정답과 풀이과정을 각각 나누어서 채점한 후, 풀이과정 중 잘못된 계산 실수, 잘못 입력된 수학공식 등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답 부분을 확인하고, 개념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심화학습 및 오답 노트로 저장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학 영역별로 분류된 수학 개념 중 어느 하나의 수학 개념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수학 개념의 레벨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되는 단계,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출제한 문제와 다양한 유제문제를 풀어보고 개인오답노트를 만들어 나가면서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학습자의 학습환경을 제어하고 학업 성취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자신이 틀린 문제에 대한 피드백을 즉시 모바일 기기를 통해 풀이과정과 답을 별도로 체크하고, 풀이과정 중에서도 단순한 계산 실수인지, 개념을 잘못 파악한 것인지 등에 대한 피드백으로 자신이 모르는 부분을 정확히 짚고 넘어감으로써 과외를 받지 않아도 과외를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고, 한정적 문제로의 일률적 강의식 수업으로는 학업 성취를 높이기에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를,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업성취를 높여주며 아울러 학업동기 및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를 종래 기술에 따른 수학문제 애플리케이션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스마트 단말(100),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100) 및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100),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단말(100)은, 수학문제를 풀이과정까지 정확히 맞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100)은, 사용자가 학습하기를 원하는 개념을 레벨을 선택하거나 증감하면, 수학문제를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풀이과정을 이미지, 숫자와 수학 연산자의 선택, 동영상으로 입력받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 후, 그 피드백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100)은, 틀린 풀이과정이 있거나 계산의 실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개념이나 계산 과정을 실수하지 않을 때까지 되풀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시험이 있을 때마다 시험범위에 대응하는 기출문제 중 사용자가 유도과정이 틀렸거나 계산 실수가 있거나 답이 틀린 경우의 문제를 추출하여 오답노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선택된 개념 및 레벨의 문제를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에서 입력된 풀이과정을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비교하고 틀린 부분이나, 계산이 정확히 되지 않은 부분을 추출하여 피드백을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에서 유도가 틀린 부분의 개념을 포함하는 동일한 레벨의 문제를 다시 풀어보도록 하고, 레벨을 증감할지를 결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의 채점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100)의 순위를 매기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은, 스마트 단말(100)과 연동되어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100)에서는 문제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을 통하여 학습자(사용자)가 수학문제를 푸는 과정(풀이과정, 유도과정)을 입력받아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을 등록한 경우, 하나의 식별자로 스마트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은, 스마트 단말(100)의 사용자를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할 때의 타인의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의 기능은 스마트 단말(10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은 문제를 풀고 난 결과를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여 스마트 단말(100)의 사용자를 순위에 올릴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는 점만이 다를 뿐이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도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로 학습 결과를 제공하므로, 어느 단말을 주어로 사용하느냐에 따른 다른점일 뿐, 기능적인 다른점은 아님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마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를 종래 기술에 따른 수학문제 애플리케이션과 비교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0)은, 선택부(110), 레벨부(120), 출력부(130), 입력부(140), 확인부(150), 세트 수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스마트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로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은,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스마트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부(110)는, 수학 영역별로 분류된 수학 개념 중 어느 하나의 수학 개념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선택부(110)는, 학년별, 교과과정별 등으로 나누어지는 분류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학의 개념별로 나누어진 분류자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학년별, 교과과정별 등의 분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 개념별로 선별된 유사문제가 제공될 수 있는데, 동일 유형의 묶음기능으로 검색을 최소화하여 문제출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진도출제 및 선택출제가 가능할 수도 있고, 개념선택이 풀다운 메뉴로 간결하게 출력될 수 있고, 선택문제를 들어가면 각 유형별 유사문항이 나타나고, 문제를 클릭하면 문제가 출제될 수도 있다. 이때, 문제는 이미지로 보여줌으로써 직관적으로 원하는 문제를 빠르게 간편하게 찾아 출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레벨부(120)는, 선택받은 수학 개념의 레벨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개념별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레벨부(120)는 1 내지 100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300)의 기본 데이터베이스인 문항은 학습자 수준에 맞는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유형 내 예를 들어 10개 이상의 유제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학습자들은 다양한 수학적 기호를 포함한 답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웹상에서 다양한 수학적 기호들까지 입력할 수 있도록 문항 및 앱이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항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도 수학적 기호에 구애받지 않고 문항을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된 문항은, 레벨 17과정(중학교 3년 과정)의 99%의 유형을 포함한 총 1,099개 유형의 16,400문항일 수 있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전학기 337개 유형/약 5,100개 문항, 중학교 2학년 전학기 421개 유형/약 6,100개 문항, 중학교 3학년 전학기 341개 유형 약 5,200개 문항이 존재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스마트 단말(100)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0)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수학 문제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받는 방법은 숫자와 수학 연산자의 풀(Pool)로부터 순서대로 정렬하는 방법, 촬영된 이미지를 받는 방법, 동영상으로 각각의 프레임을 받는 방법,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로부터 입력받는 방법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출제문제는 스마트 단말(100)에 연동되어 보이고, 학습자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 또는 스마트 단말(100)에 문제를 풀어 답을 입력할 수 있다. 출제한 모든 문제는 시험지 형태로 인쇄하여 활용 가능하며, 각 학교별 고유 테스트 서식을 저장·설정하여 각종 수행평가와 지필고사에 활용할 수도 있다.
확인부(150)는,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150)는,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때,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택된 수학 문제의 개념이 포함된 동일한 레벨의 문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부(150)는, 동일한 레벨의 문제는 입력된 풀이과정이 출력된 동일한 레벨의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내재적 동기를 제고하기 위하여, 교수자용 웹 프로그램에는 학습자의 오답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의 조력자의 역할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직접 오답이나 계산 실수, 잘못된 개념 파악은 시스템적으로 출력이 가능하지만, 교수자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고, 출제된 문제를 학습자가 풀게 되면 바로 랭킹을 확인할 수 있어 학습자 개인뿐만 아니라 그룹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확인부(150)는, 채점 후 학습한 문제에 대해 유사유형 문제풀이 기능이 있어 해당문제의 학습효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부(150)는, 문제풀이 후 저장하기를 누르면 열람한 문제와 해설과 오답 포인트(개념, 수학공식 잘못, 잘못된 계산 등)가 내 보관함으로 개념 및 레벨별(또는 개념별)로 저장되어 오답노트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문제 검색기능을 통하여 틀린 문제에 대한 동일 유형의 문제를 추가로 풀어봄으로써 완전히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세트 수신부(160)는, 출력부(130)에서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스마트 단말(100)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0)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된 후,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학 문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학 연산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랜덤 함수로 순서가 섞인 풀이과정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세트 수신부(160)는, 수신한 풀이과정 세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40)에서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을 때, 수신한 풀이과정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학 연산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40)는, 입력된 순서와 수학 연산자 및 숫자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부(150)에서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때, 입력된 순서에 매핑된 수학 연산자 및 숫자가, 기 저장된 풀이과정에 포함된 순서의 수학 연산자 및 숫자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순서와 수학 연산자 및 순서와 숫자가 일치하는 경우, 풀이과정에 오류가 없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과 연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400)은, 풀이과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풀이과정이 시계열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숫자 및 수학 연산자의 조합과,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 중 기 저장된 핵심 풀이과정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답 노트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입력되는 숫자 및 수학 연산자의 조합의 결과가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계산기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계산 오류 노트로 저장하여 스마트 단말(1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자기평가를 통한 학습관리를 위하여 학습자의 풀이과정, 오답노트 확인을 통하여 개별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풍부한 유제문제를 기반으로 능동적으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풀이경험을 할 수 있고 모든 문제에 제공되는 지면 및 동영상 해설을 통하여 개별 학습이 가능할 수 있다. 문제에 대한 해설보기 기능은 지면해설과 동영상 해설이 모두 제공될 수 있는데, 동영상 해설은 집중도 높은 손글씨 동영상 강의로 마치 과외를 받는 듯한 느낌을 재현할 수 있고, 오답노트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 개별로 취약한개념이나 문제유형을 복습하고 본인 학습에 대한 평가를 통한 순환학습이 가능하다.
이때,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은 복수일 수 있다.
한편,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수학문제를 개념별로 생성된 트리에 레벨별로 각각의 노드에 배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각의 노드의 계층이 감소할수록 레벨이 감소하고, 각각의 노드의 계층이 증가할수록 레벨이 증가하며, 스마트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레벨의 수학문제를 틀린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노드에 배치된 수학문제를 선택하여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출력된 결과와, 복수의 학습자 단말(500)에서 채점된 결과를 비교하고, 스마트 단말(100)로 스마트 단말(100)의 학습자가 복수의 학습자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중의 문제집에 있는 해설은 중간과정이 생략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풀이과정이 이해되지 않으면 학습자들의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학습에 보다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든 문제에 동영상해설을 추가하여 풀이과정을 학습자들이 따라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학습자에게 마치 1:1로 바로 옆에서 선생님이 가르쳐주는 느낌을 주기 위하여, 모든 문제에 대해 손글씨 강의로 동영상 해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학습 시 저하될 수 있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및 실재감을 재고하여 학습의 효과성 및 지속성을 높일 수 있고, 문제에 필요한 부가적인 개념도 필요한 경우, 추가하여 해설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시험 범위, 학교, 및 교과서의 종류를 입력받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력된 시험 범위, 학교 및 교과서의 종류에 대응하여 생성된 문제 풀(Pool) 중 스마트 단말(100)의 학습자가 틀렸던 수학문제의 개념과 일치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성된 문제 풀(Pool) 중 스마트 단말(100)의 학습자가 틀렸던 수학문제의 개념과, 학교에서 출제된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문제의 개념이 일치하는 경우 기출 예상 문제로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스마트 단말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기존의 초중고 수학 교육은 강의식, 필기식 방법을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으며, 성장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수학을 휴대용 기기를 통한 인터넷 강의로 강의를 듣고, ① 인터넷에 업로드 되어있는 수학 문제가 생성되면 ① 그것을 다시 오프라인상의 종이와 연필을 이용하여 ③ 문제를 푼 뒤, 다시 온라인 상의 문제지에 ④ 정답만을 기입하고, ⑤ 온라인으로 정답을 전송한 후 ⑥ 오답 여부를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서 오프라인의 작업을 온라인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a)와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학생이 문제를 성실히 풀지 않고, 객관식의 경우에는 소위 찍기로 대충 넘어가도 확인할 방법이 없고,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풀이과정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찍지 않고 풀었다고 할지라도, 계산 오류로 틀릴 수도 있고,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된 공식을 이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논리가 잘못되어서 정답에 이르지 못한 경우도 있고, 문제 자체를 잘못 이해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풀었다고 할지라도 정답이 맞아도 과정이 틀린 경우도 있고, 과정이 맞아도 정답이 틀린 경우도 있어서 이를 학생이 어떤 부분이 정확히 잘못되었고, 어떠한 개념을 오해 또는 모르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란 과외를 받지 않는 한 어려워서 아직도 과외로 적지 않은 돈이 소모되고 있다.
반면, (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최근 교육과정에 맞게 높아지는 서술형 문제의 비중을 학생이 준비할 수 있고, 과외를 받지 않더라도 자신이 모르거나 오해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획기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즉, 스마트 단말(100)은, 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문제를 제공받으면, ② 문제를 출력한 후, ③ 문제 풀이과정을 기입받게 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④ 정답도 함께 입력받고, ⑤ 풀이과정 및 정답을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⑥ 정답과 풀이과정을 각각 나누어서 채점한 후, 풀이과정 중 잘못된 계산 실수, 잘못 입력된 수학공식 등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⑦ 스마트 단말(100)은, 오답 부분을 확인하고, 개념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요청이 있는 경우) 심화학습 및 오답 노트로 저장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술형 문제를 대비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학생이 과외를 통하지 않고도 자신이 오해하거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나 개념을 정확히 짚고 넘어갈 수 있으며, 오답 노트를 만드는 수고와 노력을 들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수집 및 출력될 수 있으며, 객관식 문제에서 답만 클릭하여 넘어가지 않아 철저히 문제를 풀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스마트 단말(100)은, 학년별 구성이 아닌 영역별 구성으로 학습에 대한 학년 구분이 없도록 하고, 수의 연산, 규칙성 등 선택(클릭, 터치)을 통하여 관련된 문제가 레벨별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한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b) 레벨별 화면으로 이동되어 레벨에 따른 문제를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1부터 30레벨까지는 초등학교 과정, 31레벨에서 60레벨까지는 중학교 과정, 61레벨에서 100레벨까지는 고등학교 과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17레벨을 선택하는 경우, (c)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클릭박스에 풀이과정 세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풀이과정 세트에는 정답과 관련된 풀이과정에 필요한 숫자 및 수학 연산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숫자나 연산자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d)에서 숫자나 연산자를 클릭하는 경우, 클릭하는 순서를 기억하여 스마트 단말(100)은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순서대로 연산자 및 숫자를 전송한다.
이때, (e) 스마트 단말(100)은,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확인결과를 피드백으로 받고 (f) 학습자는 오류가 있었던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a) 스마트 단말(100)을 활용한 수학 프로그램은, 문제해결력 및 내재적 동기 유발, 그리고 자기평가에 있어서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학과목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환경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설계를 바탕으로 보다 학습자 중심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학습환경 제공자로서의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100)은, 풀이과정이 맞았는지, 답이 맞았는지를 각각 평가한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고, (b) 스마트 단말(100)은, 문제를 출력하고, 계산 실수는 없는지, 공식 활용은 제대로 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c) 해설도 지문으로 나올 수도 있고, (d) 동영상도 손으로 직접 푼 것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e) 스마트 단말(100)은, 학습자의 순위를 출력할 수 있고, 각각의 기말고사 등의 예상적중문제나 오답노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은, 수학 영역별로 분류된 수학 개념 중 어느 하나의 수학 개념을 선택받고(S6100), 선택받은 수학 개념의 레벨을 선택받는다(S6200).
또한, 스마트 단말은,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하고(S6300),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는다(S6400).
마지막으로, 스마트 단말은, 입력된 풀이과정이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S6500).
상술한 단계들(S6100~S6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되는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학 영역별로 분류된 수학 개념 중 어느 하나의 수학 개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수학 개념의 레벨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레벨의 수학 개념에 매핑된 복수의 수학 문제 중 어느 하나의 수학 문제가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선택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선택된 수학 문제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수학 문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학 연산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숫자가 랜덤 함수로 순서가 섞인 풀이과정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풀이과정 세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풀이과정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학 연산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순서와 수학 연산자 및 숫자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출력된 수학 문제의 풀이과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순서에 매핑된 수학 연산자 및 숫자가, 상기 기 저장된 풀이과정에 포함된 순서의 수학 연산자 및 숫자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순서와 수학 연산자 및 순서와 숫자가 일치하는 경우, 풀이과정에 오류가 없음을 출력하여, 상기 입력된 풀이과정이 상기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풀이과정 세트는, 상기 풀이과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학 연산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숫자 외에 다른 수학 연산자 및 다른 숫자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시험 범위, 학교, 및 교과서의 종류를 입력받고,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입력된 시험 범위, 학교 및 교과서의 종류에 대응하여 생성된 문제 풀(Pool) 중 상기 스마트 단말의 학습자가 틀렸던 수학문제의 개념과 일치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된 문제 풀(Pool) 중 상기 스마트 단말의 학습자가 틀렸던 수학문제의 개념과, 상기 학교에서 출제된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문제의 개념이 일치하는 경우 기출 예상 문제로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풀이과정의 일치여부 및 답의 일치여부를 문제번호에 매핑되도록 테이블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풀이과정에 포함된 계산실수여부 및 공식활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탭(Tap), 해설탭 및 동영상탭으로 나누어 문제, 해설 및 손으로 문제를 푼 것을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레벨은 학년별 구성이 아닌 영역별 구성으로 학습에 대한 학년의 구분이 없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과 연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말은, 상기 풀이과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풀이과정이 시계열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숫자 및 수학 연산자의 조합과,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 중 기 저장된 핵심 풀이과정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답 노트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되는 숫자 및 수학 연산자의 조합의 결과가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의 계산기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계산 오류 노트로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출력하는 것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풀이과정은 복수인 것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풀이과정이 상기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풀이과정이 상기 선택된 수학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수학 문제의 개념이 포함된 동일한 레벨의 문제를 출력하고,
    상기 동일한 레벨의 문제는 입력된 풀이과정이 상기 출력된 동일한 레벨의 문제에 기 저장된 풀이과정과 일치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수학문제를 개념별로 생성된 트리에 레벨별로 각각의 노드에 배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각각의 노드의 계층이 감소할수록 레벨이 감소하고, 각각의 노드의 계층이 증가할수록 레벨이 증가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레벨의 수학문제를 틀린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노드에 배치된 수학문제를 선택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출력된 결과와, 복수의 학습자 단말에서 채점된 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 상기 스마트 단말의 학습자가 복수의 학습자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인,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KR1020170113163A 2017-09-05 2017-09-05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63A KR101874617B1 (ko) 2017-09-05 2017-09-05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63A KR101874617B1 (ko) 2017-09-05 2017-09-05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17B1 true KR101874617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63A KR101874617B1 (ko) 2017-09-05 2017-09-05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5A (ko) * 2018-07-23 2020-01-31 (주)비에이치소프트 수학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학습 관리 서버 및 수학 교육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69A (ko) * 2003-05-14 2004-11-20 김용건 모의고사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방법 및 장치
KR20110020662A (ko) * 2009-08-24 2011-03-03 송상엽 온라인상의 주관식 수학문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215942B1 (ko) * 2011-12-08 2012-12-27 주식회사 청담러닝 교실수업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강사와 학습자들의 쌍방향 상호참여형 수업을 제공하는 학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67152B1 (ko) * 2012-12-14 2013-05-27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5360A (ko) * 2013-09-27 2015-04-06 더 스티븐스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서술적 문제풀이 접근법을 이용한 자동 교육 시스템
KR20160025248A (ko) * 2014-08-27 2016-03-08 김현옥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4476A (ko) * 2015-04-20 2016-10-28 주식회사 드림에듀 수학 공식 입력 및 자동 채점이 가능한 수학 교육 시스템
KR20170026731A (ko) * 2015-08-27 2017-03-09 이지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KR20170044276A (ko) * 2015-10-15 2017-04-25 강호제 문제풀이 과정을 계층별로 나누어 시각화시키는 추론과정 전개도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70079926A (ko) * 2015-12-31 2017-07-10 김태정 풀이 과정 모델링과 구성 개념 누적 학습 공간을 이용한 스마트 스캐폴딩 자기주도 수학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169A (ko) * 2003-05-14 2004-11-20 김용건 모의고사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방법 및 장치
KR20110020662A (ko) * 2009-08-24 2011-03-03 송상엽 온라인상의 주관식 수학문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215942B1 (ko) * 2011-12-08 2012-12-27 주식회사 청담러닝 교실수업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강사와 학습자들의 쌍방향 상호참여형 수업을 제공하는 학습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67152B1 (ko) * 2012-12-14 2013-05-27 (주)액시스소프트 학습문제풀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5360A (ko) * 2013-09-27 2015-04-06 더 스티븐스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서술적 문제풀이 접근법을 이용한 자동 교육 시스템
KR20160025248A (ko) * 2014-08-27 2016-03-08 김현옥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4476A (ko) * 2015-04-20 2016-10-28 주식회사 드림에듀 수학 공식 입력 및 자동 채점이 가능한 수학 교육 시스템
KR20170026731A (ko) * 2015-08-27 2017-03-09 이지수 맞춤형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KR20170044276A (ko) * 2015-10-15 2017-04-25 강호제 문제풀이 과정을 계층별로 나누어 시각화시키는 추론과정 전개도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70079926A (ko) * 2015-12-31 2017-07-10 김태정 풀이 과정 모델링과 구성 개념 누적 학습 공간을 이용한 스마트 스캐폴딩 자기주도 수학학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5A (ko) * 2018-07-23 2020-01-31 (주)비에이치소프트 수학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학습 관리 서버 및 수학 교육 시스템
KR102084092B1 (ko) * 2018-07-23 2020-03-03 (주)비에이치소프트 수학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학습 관리 서버 및 수학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oshyar et al. A flowchart‐based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of novice programmers
Graf et al. Supporting teachers in identifying students' learning style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 automatic student modelling approach
US20190066525A1 (en) Assessment-based measurable progress learning system
Embi et al. Mobile learning: Malaysian initiatives & research findings
US11756445B2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Dexter et al. (Inter) Active learning tools and pedagogical strategies in educational leadership preparation
KR101887407B1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Marković et al. Adaptive distance learning and testing system
Vojteková et al. Evaluation of story maps by future geography teachers
KR20120004650A (ko)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nejo et al. Technology-enhanced formative assessment of plant identification
Ngai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SL Teachers: A Course in Transcultural Pragmatics.
Gerber et al. Converting to inclusive online flipped classrooms in response to Covid-19 lockdown
da Cruz Pinheiro et al. Teaching Software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A Systematic Mapping Study.
Larsen et al. Conveying the applications and relevance of the powerful geography approach through humanitarian mapping
Kuo-Hung et al. Implementation of a mobile peer assessment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in a fundamental design course
Smithwick et al. Interactive videos enhance learning about socio-ecological systems
KR20120011727A (ko) 스마트 러닝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학습자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ang et al. Impact of mobile learning in engineering mathematics under 4-year undergraduate curriculum
KR101874617B1 (ko) 수학문제의 풀이과정 유도 서비스 제공 방법
Schilperoort Self-paced tutorials to support evidence-based practice and information literacy in online health sciences education
KR102397899B1 (ko) 영어 학습 관리 방법
Richardson et al. Shifting pedagogical space: Egyptian educators use of Moodle
EUAN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service on a WiFi network for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skills
KR20080045957A (ko) 온라인 반전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